KR101049794B1 -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794B1
KR101049794B1 KR1020100026332A KR20100026332A KR101049794B1 KR 101049794 B1 KR101049794 B1 KR 101049794B1 KR 1020100026332 A KR1020100026332 A KR 1020100026332A KR 20100026332 A KR20100026332 A KR 20100026332A KR 101049794 B1 KR101049794 B1 KR 101049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buffer member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to KR102010002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레이팅이 연속 설치되는 곳에 적용될 시 완충부재끼리 결속되어 충격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소음을 방지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는 네 귀퉁이가 전후방으로 오픈 된 그레이팅에 완충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그레이팅의 오픈 된 부위에 삽입되어 그레이팅 저면보다 돌출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면에 돌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여, 근접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몸체와 끼움 결합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는 근접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완충부재와 끼움 결합 됨으로써 충격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완충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쉽게 탈착되지 않아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용 완충부재{SHOCK ABSORBER FOR STEEL GRATING}
본 발명은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레이팅이 연속 설치되는 곳에 적용될 시 완충부재끼리 결속되어 충격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소음을 방지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우수 및 오수는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커다란 이물질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이나 보행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사각의 틀과, 틀의 내부에 평행하게 다수 구비되는 수직의 보강 살과, 보강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봉으로 이루어져 보강 살 사이의 공간으로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고 차량이나 보행자들은 보강 살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그레이팅은 큰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되는데, 금속재로 성형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부분적인 휨이 발생하여 저면의 평활도가 불량해지고 부분적인 들뜸 현상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금속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재활용의 가치가 크므로 종종 도난 당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충격의 완화 및 소음 방지를 위해 그레이팅의 하부에 완충부재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를 설치한 경우 그레이팅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그레이팅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방지함으로써 수명을 연장하고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를 설치한 경우 변형되는 시점을 늘려줄 뿐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결국 변형 및 소음이 발생한다. 특히, 그레이팅의 가장자리 부위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타측이 들리면서 변형이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탈착될 우려가 여전히 있어 안전상의 문제와 함께 도난 되는 문제도 여전히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는 그레이팅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근접한 완충부재와 결속됨에 따라 들뜸 현상 및 소음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도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는,
네 귀퉁이가 전후방으로 오픈 된 그레이팅에 완충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그레이팅의 오픈 된 부위에 삽입되어 그레이팅 저면보다 돌출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면에 돌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여,
근접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몸체와 끼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나사에 의해 그레이팅의 틀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그 일측 하부에 틀을 받치는 받침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는 근접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완충부재와 끼움 결합 됨으로써 충격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완충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쉽게 탈착되지 않아 도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가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가 설치된 그레이팅의 설치 상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설치된 그레이팅의 안착 과정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설치된 그레이팅의 설치 과정도.
도 6a,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가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가 설치된 그레이팅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설치된 그레이팅의 안착 과정도이며,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설치된 그레이팅의 설치 과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는 그레이팅(10)의 네 귀퉁이에 완충부재(20)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그레이팅(10)은 네 귀퉁이에 완충부재(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지지틀(11)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틀(11)은 기다란 판을 폭 방향으로 절곡시켜 그레이팅(10)의 양 측면에 용접하여 일체화시킨다. 이 때, 지지틀(11)의 오픈 된 방향이 외측과 저면을 향하도록 한다. 즉, 지지틀(11)의 전 후방에는 외측과 저면 및 전 후방으로 오픈되고 이 오픈된 부위에 완충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20)는 지지틀(11)의 오픈된 폭에 해당되는 너비와 배수로(D)에 안착될 시 지지틀(11)의 저면보다 조금 더 돌출되는 몸체(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는 그 일면에 돌부(22)를 돌출 형성하고 반대되는 면에 다른 몸체(21)의 돌부(22)가 삽입되는 홈부(23)를 형성하여 근접한 완충부재(20)끼리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체(20)의 저면 일측에 받침 턱(24)을 돌출 형성하여 지지틀(11) 및 그레이팅(10)의 저면을 받치도록 한다.
이러한 완충부재(20)는 그레이팅(10)의 전방에 두 개 후방에 두 개가 설치되는데, 전방의 완충부재(20)는 몸체(21)의 전면이 그레이팅(10)의 전면과 동일 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그레이팅(10)의 전면으로 돌부(22)만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후방의 완충부재(20)는 그레이팅(10)의 후면과 완충부재(20)의 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그레이팅(10)의 후방으로는 완충부재(2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모든 완충부재(20)는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하되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0)는 몸체(21)의 중앙에 측 방향으로 관통공(25)이 형성되어 나사(12)를 이용하여 그레이팅(10)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완충부재(20)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구비된 그레이팅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완충부재(20)가 설치된 그레이팅(10) 하나를 배수로(D)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계속 설치할 그레이팅(10)을 기 설치된 그레이팅(10) 옆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착시키되 완충부재(10)의 돌부(22) 및 홈부(23)의 방향을 확인하여 기 설치된 완충부재(20)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 설치된 그레이팅(10)에 밀착시키면 근접한 완충부재(20)의 돌부(22) 및 홈부(23)가 서로 끼움 결합되면서 설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또 다른 그레이팅(10)을 연속 설치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여기서 제일 마지막에 설치되는 그레이팅(10)은 말단에 돌출된 돌부(22)를 절단하여 원활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부재(20)가 구비된 그레이팅(10)을 설치하게 되면 완충부재(20)의 돌부(22) 및 홈부(23)가 서로 결속됨으로써 외부의 충격 특히 그레이팅(10)의 일측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들리지 않기 때문에 그레이팅(10)의 변형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중간의 그레이팅(10)을 뺄 수 없기 때문에 쉽게 탈착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팅용 완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0)에 공기 압축실(26)을 구비하여 완충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완충부재(20)는 저면으로 개구된 공기 압축실(26)이 형성되고, 완충부재(20)의 하부에 보조 완충부재(30)를 구비하되, 보조 완충부재(30)는 완충부재(20)의 저면과 동일한 면적의 받침판(31) 중앙으로부터 피스톤(32)이 돌출 형성되어 공기 압축실(26)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2)의 말단은 구 형상을 갖도록 하여 공기 압축실(26)의 삽입이 용이토록 한다. 또한, 피스톤(32)의 지름은 공기 압축실(26)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피스톤(32) 삽입시 공기 압축실(26)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상기 보조 완충부재(30)의 받침판(31)과 완충부재(20)의 저면은 소정의 간격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그레이팅(10)의 상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면 그레이팅(10) 및 완충부재(20)가 하향하면서 보조 완충부재(30)의 피스톤(32)이 공기 압축실(26)을 압축하게 되는데, 이 때 공기 압축실(26)의 압력에 의해 그레이팅(10) 및 완충부재(20)가 하향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소진시켜 완충효과를 극대화 한다. 따라서 그레이팅(10)의 수명이 더욱 연장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 그레이팅 11 : 지지틀 12 : 나사
20 : 완충부재 21 : 몸체 22 : 돌부
23 : 홈부 24 : 받침턱 25 : 관통공
26 : 공기 압축실 30 : 보조 완충부재 31 : 받침판
32 : 피스톤 D : 배수로

Claims (4)

  1. 네 귀퉁이가 전후방으로 오픈 된 그레이팅(10)에 완충부재(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0)는 그레이팅(10)의 오픈 된 부위에 삽입되어 그레이팅(10) 저면보다 돌출되는 몸체(2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1)의 일면에 돌부(22)를 형성하고 타면에 돌부(22)가 삽입되는 홈부(23)를 형성하여,
    근접 설치되는 그레이팅(10)의 몸체(21)와 끼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는 나사(12)에 의해 그레이팅(10)의 틀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는 그 일측 하부에 그레이팅(10)을 받치는 받침 턱(24)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0)는 저면으로 개구된 공기 압축실(26)을 형성하고, 완충부재(20)의 하부에는 받침판(31)으로부터 피스톤(32)이 상향 돌출된 보조 완충부재(30)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압축실(26)에 피스톤(32)이 삽입 됨에 따라 공기 압축실(26)이 압축되어 완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KR1020100026332A 2010-03-24 2010-03-24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KR101049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32A KR101049794B1 (ko) 2010-03-24 2010-03-24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32A KR101049794B1 (ko) 2010-03-24 2010-03-24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794B1 true KR101049794B1 (ko) 2011-07-19

Family

ID=4492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332A KR101049794B1 (ko) 2010-03-24 2010-03-24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63B1 (ko) 2006-03-06 2007-05-18 지운용 배수로 덮개
KR20090007993U (ko) * 2008-02-01 2009-08-05 김규열 배수용 트렌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63B1 (ko) 2006-03-06 2007-05-18 지운용 배수로 덮개
KR20090007993U (ko) * 2008-02-01 2009-08-05 김규열 배수용 트렌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693B (zh) 缓冲梁
CN101905682B (zh) 车辆用冲击吸收材料的安装结构
KR101432673B1 (ko)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CN102741147A (zh) 电梯的导靴装置
KR200472231Y1 (ko) 데크 연결용 브라켓
KR101358191B1 (ko)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UA94026C2 (ru) Боковина с приспособлениями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накладок
KR101049794B1 (ko)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KR101889088B1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KR200394338Y1 (ko) 건축용 석판재 고정장치
KR200480567Y1 (ko) 운반차용 안전가드의 원터치 체결부
CN105460083A (zh) 一种前地板中央通道
KR100846234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장치
KR200452528Y1 (ko) 무소음 트랜치 커버
JP3185743U (ja) 側溝の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KR101148021B1 (ko)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CN209409972U (zh) 一种车前防撞梁结构
JP6184055B2 (ja) 屋根構造体
KR100340464B1 (ko) 자동차용 범퍼 보강 구조체
KR101634743B1 (ko) 방진기능을 갖는 시트 지지구조
CN102878407A (zh) 支撑架
KR20090028918A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KR20110005154A (ko) 방음판 어셈블리
CN211309780U (zh) 一种前后保险杠滑架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