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200A - 거푸집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200A
KR20110012200A KR1020090069807A KR20090069807A KR20110012200A KR 20110012200 A KR20110012200 A KR 20110012200A KR 1020090069807 A KR1020090069807 A KR 1020090069807A KR 20090069807 A KR20090069807 A KR 20090069807A KR 20110012200 A KR20110012200 A KR 20110012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lamp
bolt
cut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649B1 (ko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정주희
이용호
Original Assignee
깨뱉시스템주식회사
박정호
이용호
박정진
정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깨뱉시스템주식회사, 박정호, 이용호, 박정진, 정주희 filed Critical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6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에 철근과 스페이서를 정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인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설치와 제거가 용이하고 거푸집을 보강하는 강선을 함께 고정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은 일반볼트와 결합하고, 타측은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와 결합되는 체결구로서, 전·후면이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면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의 장공홀이, 타측에는 락(lock)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홀은 상기 미들컷볼트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와 양측에서 결합되는 체결구로서, 전·후면이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면의 양측에는 락(lock)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홀은 상기 미들컷볼트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좌우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를 함께 제공한다.
클램프, 거푸집, 스페이서, 철근

Description

거푸집용 클램프{Form Clamp}
본 발명은 거푸집에 철근과 스페이서를 정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인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설치와 제거가 용이하고 거푸집을 보강하는 강선을 함께 고정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특히, 데크 플레이트)에 트러스근을 설치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페이서(100)를 데크 플레이트에 배치·고정시킨 후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트러스근이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가닥의 하현재가 구비된 트러스근을 세워 고정시키려면 상기 스페이서(100)가 양 측의 하현재 각각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스페이서(100)는 슬래브에 매립되는 소비재로서 이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시공단가가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데크 플레이트를 슬래브 거푸집으로 적용하는 경우, 데크 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하중을 견디도록 하기 위해서는 데크 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데크 플레이트에 리브를 형성시키거나, 데크 플레이트 하부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설치하거나,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된 철근과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선조립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 위에 트러스근을 세워 일정한 피복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슬래브 시공 중에는 데크 플레이트를 보강하며, 슬래브 시공 완성 후에는 간단한 작업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거푸집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일반볼트와 결합하고, 타측은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와 결합되는 체결구로서, 전후면이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면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의 장공홀이, 타측에는 락(lock)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홀은 상기 미들컷볼트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 때, 전후면 가운데에는 강선이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시키고, 상면 중심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 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거푸집용 클램프 제1실시예'라 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 들컷볼트(middle-cut boult)와 양측에서 결합되는 체결구로서, 전후면이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면의 양측에는 락(lock)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홀은 상기 미들컷볼트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좌우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를 함께 제공한다. 이 때, 전후면 가운데에는 강선이 관통하는 통공을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키고, 상면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 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거푸집용 클램프 제2실시예'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클램프를 데크 플레이트의 하면에 미리 결합시켜 둠으로써 스페이서를 손쉽게 정착시킬 수 있으며,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데크 플레이트와 일체(一體)를 이룬 상태로 한번에 탈형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용 클램프 자체를 데크 플레이트의 보강 리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강선을 설치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실시예 및 본 발명의 활용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페이서는 트러스근의 피복두께 유지를 위한 필수 부재이나, 슬래브에 매립되는 소모성 부재이므로, 시공비 절감을 위해서는 스페이서의 사용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거푸집용 클램프(300, 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0)를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스페이서(100)의 사용을 줄이면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근(1)의 2가닥의 하현재를 균형감 있게 떠받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클램프 제1실시예(300)와 제2실시예(4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거푸집용 클램프 제1실시예(300)는 일측은 일반볼트(2)와 결합하고, 타측은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 14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구이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1실시예(300) 상면(310)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의 장공홀(311)이 형성되어 있어, 일반볼트(2)가 상기 장공홀(3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톱퍼(4)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1실시예(300) 상면(310)의 타측에는 락홀(lock-hole, 312)이 형성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들컷볼트(140)와 결합된다. 상기 락홀(312)은 상기 미들컷볼트(140)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슬릿형 결합공은 상기 관통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하방 경사턱이 형성되어 상기 미들컷볼트(140)가 상기 락홀(312)의 관통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채워질수록 단단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거푸집용 클램프 제2실시예(400)는 양측이 모두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 14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구이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2실시예(400) 상면의 양측에는 락홀(lock-hole, 412)이 형성되어 있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미들컷볼트와 체결된다. 상기 락홀의 구성은 상기 제3실시예(300)에 구비된 락홀과 그 구성은 동일하나, 관통공과 슬릿형 결합공은 좌우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클램프(제1, 2실시예 포함)는 전·후면이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300, 400)가 데크 플레이트(200)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300, 400)의 전·후면은 데크 플레이트(2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300, 400)의 전·후면 가운데에는 각각 강선이 관통하는 통공(321, 421)이 형성되어 있어 데크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강선(3)이 삽입,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1실시예(30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통공(321)은 원형으로 형성시키면 되며, 상면(310) 중심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330)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강선(3)이 상기 받침부(330)에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2실시예(4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통공(42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2실시예(400)를 강선 설치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 제2실시예(400)의 상면(410)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430)를 더 구성하여 강선(3)을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제1, 2실시예 포함)와 데크 플레이트는 원래 분리된 별도의 부재이나, 일반볼트(2)와 미들컷볼트(140)로 체결시킨 후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충분한 양생후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탈형할 때에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용 클램프와 데크 플레이트가 일체를 이루며 함께 거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스페이서를 데크 플레이트 위에 배치·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트러스근을 스페이서에 정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클램프의 제1, 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거푸집용 클램프와 스페이서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데크 플레이트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클램프를 결합시켜 두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 플레이트를 탈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거푸집용 클램프와 결합하는 미들컷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러스근 2 : 일반볼트
3 : 강선 4 : 스톱퍼
100 : 스페이서 140 : 미들컷볼트
200 : 데크 플레이트 300 : 거푸집용 클램프(제1실시예)
310 : 상면 311 : 장공홀
312 : 락홀 320a : 전면
320b : 후면 321 : 통공
330 : 받침부 400 : 거푸집용 클램프(제2실시예)
410 : 상면 412 : 락홀
420a : 전면 420b : 후면
421 : 통공 430 : 받침부

Claims (4)

  1. 일측은 일반볼트(2)와 결합하고, 타측은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 140)와 결합되는 체결구로서,
    전·후면(320a, 320b)이 상면(310)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면(310)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의 장공홀(311)이, 타측에는 락홀(lock-hole, 3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홀(312)은 상기 미들컷볼트(140)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300).
  2. 제1항에서,
    전·후면(320a, 320b) 가운데에는 각각 강선(3)이 관통하는 통공(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310) 중심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330);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300).
  3. 중단부가 돌려깎여진 미들컷볼트(middle-cut boult, 140)와 양측에서 결합되는 체결구로서,
    전·후면(420a, 420b)이 상면(410)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면(410)의 양측에는 락홀(lock-hole, 4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홀(412)은 상기 미들컷볼트(140)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미들컷볼트 중단에 채워져 고정되는 슬릿형 결합공이 좌우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400).
  4. 제3항에서,
    전·후면(420a, 420b) 가운데에는 각각 강선(3)이 관통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공(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410)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430);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클램프(400).
KR1020090069807A 2009-07-30 2009-07-30 거푸집용 클램프 KR10108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07A KR101080649B1 (ko) 2009-07-30 2009-07-30 거푸집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07A KR101080649B1 (ko) 2009-07-30 2009-07-30 거푸집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00A true KR20110012200A (ko) 2011-02-09
KR101080649B1 KR101080649B1 (ko) 2011-11-08

Family

ID=4377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807A KR101080649B1 (ko) 2009-07-30 2009-07-30 거푸집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9880A (zh) * 2013-12-09 2014-03-26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管道工程公司 一种负弯矩钢筋悬挂施工控制保护层的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317145A (zh) * 2014-07-30 2016-02-10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底模式钢筋桁架楼承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510B1 (ko) 2006-01-24 2008-01-02 주식회사 퍼스폼 거푸집패널 클램프
KR100770698B1 (ko) 2006-07-31 2007-10-29 주식회사 다일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거더의 고정구조 및고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9880A (zh) * 2013-12-09 2014-03-26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管道工程公司 一种负弯矩钢筋悬挂施工控制保护层的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317145A (zh) * 2014-07-30 2016-02-10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底模式钢筋桁架楼承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649B1 (ko)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2361339B1 (ko)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JP2011512466A (ja) 組み立て式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覆工および架橋構造体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581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일체형 정착구
KR101080649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100910986B1 (ko) 복공판 구조체
JP2004183232A (ja) 建設構造物の鋼製構造材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KR20110019267A (ko) 절곡 성형 강판을 이용한 강재 합성보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3808490B2 (ja) トンネル構造体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2139851B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0480471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연속화연결구조 및 연속화 방법
KR200456012Y1 (ko) 층간높이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주름강판보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100997450B1 (ko) 엇물림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449181Y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JPH01290853A (ja) 合成床板
JP4388881B2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
US20070283645A1 (en) Concrete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