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989U -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989U
KR20110011989U KR2020110010723U KR20110010723U KR20110011989U KR 20110011989 U KR20110011989 U KR 20110011989U KR 2020110010723 U KR2020110010723 U KR 2020110010723U KR 20110010723 U KR20110010723 U KR 20110010723U KR 20110011989 U KR20110011989 U KR 201100119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guide rail
camera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147Y1 (ko
Inventor
권무형
Original Assignee
권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무형 filed Critical 권무형
Priority to KR2020110010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47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47Y1/ko
Priority to PCT/KR2012/009383 priority patent/WO20130813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망원렌즈 또는 광각렌즈 기능을 하는 렌즈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박스 형태로 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면에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카메라의 부가 렌즈 기능을 하는 렌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of Lenz-Mounted Type for Portable Terminals}
본 고안은 렌즈 탑재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확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대응하는 위치에 망원렌즈 또는 광각렌즈 기능을 하는 렌즈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자,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 휴대폰, PDA 등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들은 무선통신의 기능과 더불어 알람기능, 음성인식기능, 단축다이얼 기능,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 벨소리 변환 기능, 게임 기능 등, 매우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문자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기능 뿐만 아니라, 소형카메라까지 장착되어 촬영한 화상이나 동영상 등을 휴대단말기를 통해 즉시 편집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소형 카메라는 촛점 거리가 일정한 단촛점의 렌즈를 구비하기 때문에 원거리의 망원 촬영이나 넓은 범위의 광각 촬영은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의 활용 범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망원렌즈 또는 광각렌즈 기능을 하는 렌즈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박스 형태로 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면에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카메라의 부가 렌즈 기능을 하는 렌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렌즈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하우징과, 상기 렌즈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유닛은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렌즈유닛을 가이드레일 내측으로 밀어 넣거나 분리하여 부가적인 렌즈 기능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렌즈유닛은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기능을 겸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렌즈유닛의 망원렌즈 기능과 광각렌즈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장착된 표준렌즈만으로로 촬영된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유닛을 이용하여 망원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유닛을 이용하여 광각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직육면체 박스 형태로 되어 휴대단말기(1)의 후방 또는 전방에 장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면에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와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2)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렌즈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의 외면에 얇은 고무나 수지를 코팅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휴대단말기(1)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되어 휴대단말기(1)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방된 전방면을 통해 거의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에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부(11)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일측 테두리 부분에는 케이스본체(10)를 카메라 삼각대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유닛(30)은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의 부가 렌즈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하우징(31)과, 상기 렌즈하우징(31)에 장착되는 렌즈(32, 33)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32, 33)는 가이드레일(20)에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32)와 오목렌즈(33)가 겹쳐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렌즈 중 볼록렌즈(32)가 이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하면 망원렌즈의 기능을 하게 되고, 렌즈유닛(30)을 뒤집어서 오목렌즈(33)가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 광각렌즈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렌즈유닛(30)은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망원렌즈와 광각렌즈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 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렌즈하우징(31)의 측면부에는 가이드레일(20)의 안내를 받기 위한 가이드홈(34)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렌즈유닛(3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안내되는 부분으로,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방부(11)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개방부(11)의 외측 둘레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력성이 있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상기 렌즈유닛(30)의 가이드홈(34) 내측으로 삽입되어 렌즈유닛(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5)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는데,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렌즈유닛(3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되어 상기 렌즈유닛(30)이 지나갈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스톱퍼부(21)와 렌즈유닛(30)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되어 렌즈유닛(30)이 수용되는 수용부(2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20)이 구불구불한 땅콩 모양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렌즈유닛(30)이 상기 수용부(22)에 위치되었을 때 스톱퍼부(21)에 의해 현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스톱퍼부(21)를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면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부(22) 및 스톱퍼부(21)의 위치와 수는 휴대단말기(1)에 내장된 카메라(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20)의 수용부(22)는,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의 후방에 장착했을 때 휴대단말기(1)의 후방측 카메라(2)와 대응하는 제1촬영 위치(P1)와,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의 전방에 장착했을 때 휴대단말기(1)의 전방측 카메라(미도시)와 대응하는 제2촬영 위치(P2), 상기 제1촬영 위치 및 제2촬영 위치에서 벗어난 대기 위치(P3)의 3군데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에 형성된 개방부(11)는 상기 수용부(22) 중 제1촬영 위치(P1) 및 제2촬영 위치(P2)에만 형성되고, 대기 위치(P3)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의 후방면에 장착하면, 상기 케이스본체(10)는 통상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와 마찬가지로 휴대단말기(1)를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의 촬영 기능을 수행 중 망원렌즈 기능을 부가하고자 할 경우, 소지하고 있는 렌즈유닛(30)을 가이드레일(20)의 개방된 일측 단부를 통해 삽입한다. 이 때, 렌즈유닛(30)의 가이드홈(34)을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돌기(25)에 맞추어 밀어넣으면 렌즈유닛(3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때, 렌즈유닛(30)이 제1촬영 위치(P1)에 왔을 때 렌즈유닛(30)을 밀던 힘을 제거하면, 렌즈유닛(30)이 제1촬영 위치(P1)의 수용부(22)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와 정렬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여 망원 촬영을 하면 된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로 촬영 도중, 상기 렌즈유닛(30)의 망원렌즈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2) 자체 렌즈로만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렌즈유닛(30)을 측방으로 밀어서 가이드레일(20)의 대기 위치(P3)로 이동시키면, 렌즈유닛(30)이 카메라(2)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렌즈유닛(30)을 사용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렌즈유닛(30)을 가이드레일(20)에서 완전히 분리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 상기 렌즈유닛(30)은 가이드레일(20)의 폭이 협소한 부분, 즉 스톱퍼부(21)에 의해 수용부(22)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동시에는 스톱퍼부(21)를 탄력적으로 밀어내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렌즈유닛(30)을 광각렌즈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렌즈유닛(30)을 반대로 뒤집어서 가이드레일(20)에 밀어넣어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의 전방측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한 셀프 촬영시 망원렌즈 혹은 광각렌즈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에서 분리하여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의 전방면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렌즈유닛(30)을 가이드레일(20) 내측에 삽입하여 슬라이딩시켜 렌즈유닛(30)을 제2촬영 위치의 수용부(22) 내측에 위치시킨 다음, 촬영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렌즈유닛(30)을 가이드레일(20) 내측으로 밀어 넣거나 분리하여 부가적인 렌즈 기능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렌즈유닛(30)은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기능을 겸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렌즈유닛(30)의 망원렌즈 기능과 광각렌즈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4는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에 장착된 표준렌즈로 촬영된 사진이고, 도 5는 상기 렌즈유닛(30)을 이용하여 망원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은 상기 렌즈유닛(30)을 이용하여 광각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에 장착되는 렌즈유닛(3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에 망원 촬영 기능과 광각 촬영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렌즈유닛(30)은 케이스본체(10)와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소지하고 다닐 수도 있지만, 휴대폰 고리와 같이 렌즈유닛(30)에 고리를 연결하여 휴대단말기에 렌즈유닛(30)을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렌즈유닛(30)을 가이드레일(20) 내측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단독으로 구성되지만, 이와 다르게 케이스본체(10)에 가이드레일(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형성되고, 이 지지체 내측에 가이드레일(2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휴대단말기 2 : 카메라
10 : 케이스본체 20 : 가이드레일
21 : 스톱퍼부 22 : 수용부
25 : 가이드돌기 30 : 렌즈유닛
31 : 렌즈하우징 32 : 볼록렌즈
33 : 오목렌즈 34 : 가이드홈

Claims (5)

  1.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박스 형태로 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면에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2)와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휴대단말기(1)의 카메라(2)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카메라(2)의 부가 렌즈 기능을 하는 렌즈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닛(30)은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하우징(31)과, 상기 렌즈하우징(31)에 장착되는 렌즈(32)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유닛(30)은 가이드레일(20)에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렌즈유닛(3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되어 상기 렌즈유닛(30)이 지나갈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스톱퍼부(21)와 렌즈유닛(30)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되어 렌즈유닛(30)이 수용되는 수용부(2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수용부(22)는,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의 후방에 장착했을 때 휴대단말기(1)의 후방측 카메라(2)와 대응하는 제1촬영 위치와, 케이스본체(10)를 휴대단말기(1)의 전방에 장착했을 때 휴대단말기(1)의 전방측 카메라와 대응하는 제2촬영 위치, 상기 제1촬영 위치 및 제2촬영 위치에서 벗어난 대기 위치의 3군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닛(30)의 측면부에 오목한 가이드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상기 렌즈유닛(30)의 가이드홈(34) 내측으로 삽입되어 렌즈유닛(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20110010723U 2011-12-02 2011-12-02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61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23U KR200461147Y1 (ko) 2011-12-02 2011-12-02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CT/KR2012/009383 WO2013081313A1 (ko) 2011-12-02 2012-11-08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23U KR200461147Y1 (ko) 2011-12-02 2011-12-02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89U true KR20110011989U (ko) 2011-12-28
KR200461147Y1 KR200461147Y1 (ko) 2012-06-22

Family

ID=4556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23U KR200461147Y1 (ko) 2011-12-02 2011-12-02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1147Y1 (ko)
WO (1) WO201308131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27Y1 (ko) * 2012-03-14 2013-07-08 김영준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3151255A1 (ko) * 2012-04-06 2013-10-10 Kwon Beom Gi 휴대폰 케이스
WO2014171743A1 (ko) * 2013-04-16 2014-10-23 Cho Won-Young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모듈
KR101517111B1 (ko) * 2014-01-07 2015-05-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산판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02832U (ko) * 2016-02-01 2017-08-09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203642B1 (ko) 2019-12-09 2021-01-15 이서호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21Y1 (ko) * 2013-02-07 2014-07-07 박선기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WO2015026154A1 (ko) * 2013-08-20 2015-02-26 Ahn Sung-Ho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57323B1 (ko) 2013-08-20 2014-02-05 안성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1502227B1 (ko) * 2013-08-29 2015-03-12 김재욱 휴대폰 케이스
KR101626842B1 (ko) * 2015-01-12 2016-06-02 김상준 접사렌즈가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N107948488A (zh) * 2017-12-22 2018-04-20 深圳岚锋创视网络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与镜头组件配合实现全景拍摄的方法和镜头组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11B1 (ko) * 2004-02-04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079417A (ja) * 2005-09-16 2007-03-29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カバー装置及びカメラ
KR100793334B1 (ko) 2006-08-23 2008-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레버 전환식 매크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JP2009060269A (ja) * 2007-08-30 2009-03-19 Kyocera Corp 撮影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9086513A (ja) * 2007-10-02 2009-04-23 Techno Science:Kk デジタルカメラ機又は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機用の付属機器連結機構
KR100970982B1 (ko) * 2008-06-03 2010-07-20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27Y1 (ko) * 2012-03-14 2013-07-08 김영준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3151255A1 (ko) * 2012-04-06 2013-10-10 Kwon Beom Gi 휴대폰 케이스
WO2014171743A1 (ko) * 2013-04-16 2014-10-23 Cho Won-Young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모듈
KR101517111B1 (ko) * 2014-01-07 2015-05-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산판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02832U (ko) * 2016-02-01 2017-08-09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203642B1 (ko) 2019-12-09 2021-01-15 이서호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313A1 (ko) 2013-06-06
KR200461147Y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147Y1 (ko)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20220163758A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US20130188943A1 (en) Camera Adapter
KR200467827Y1 (ko)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GB2511213A (en) Optical redirection adapter
KR20050009412A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CN101490616A (zh) 可扩展变焦照相机
EP1613026A1 (en) Portable terminal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US6967790B2 (en) Detachable zoom lens assembly
CN106899720A (zh) 一种双附加镜头以及附加镜头组件
US8073512B2 (en) Mobile phone
CN101470339A (zh) 具有照相功能的手持装置
KR101375650B1 (ko)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0548623B1 (ko)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CN102103306A (zh) 便携式电子装置
CN205792877U (zh) 一种拍摄终端
KR100703510B1 (ko) 광학 줌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CN211152050U (zh) 移动终端
KR101244270B1 (ko)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CN207070113U (zh) 一种双附加镜头以及附加镜头组件
KR101718113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663501B1 (ko)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20070111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