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270B1 -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270B1
KR101244270B1 KR1020110081809A KR20110081809A KR101244270B1 KR 101244270 B1 KR101244270 B1 KR 101244270B1 KR 1020110081809 A KR1020110081809 A KR 1020110081809A KR 20110081809 A KR20110081809 A KR 20110081809A KR 101244270 B1 KR101244270 B1 KR 10124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bile phone
macro
support pad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695A (ko
Inventor
유태민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광산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to KR102011008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2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앞에 부착하여 접사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는 지지패드와, 지지패드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사렌즈들과, 접사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접사렌즈를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lens accessory for mobi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앞에 부착하여 접사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초기에 단순한 페이저 서비스로부터 음성통화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 확대되어 왔으며, 화상 통화, VOD(video on demand) 등 동영상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됨에 따라, 이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의 기능과 부가 장치 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사진촬영 또는 화상 통화 등에 이용되는 카메라는 휴대폰의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되고,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내부에 구비된 CCD나 CMOS등의 촬영 소자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이를 LCD창에 표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최근에는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의 기능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휴대폰이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종래의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사진 촬영이 가능한 광각렌즈가 장착되어 피사체에 초근거리로 접근하여 촬영하는 접사 촬영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액세서리 형태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필요시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앞에 부착하여 접사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는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사렌즈들과; 상기 접사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접사렌즈를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전면에 4개의 반구형의 가이드홈들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의 자성체와, 상기 각 접사렌즈들의 주위를 각각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패드에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와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이 내장된 환형의 렌즈홀더들과, 상기 각 렌즈홀더들의 후면에 4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자성체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홈들에 결합하는 반구형의 돌출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사렌즈를 이용하여 휴대폰 카메라만으로도 접사촬영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접사렌즈를 구비하여 적절한 배율의 접사렌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렌즈홀더와 자성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사렌즈를 휴대폰 카메라 렌즈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지지패드(10)와, 접사렌즈들(21,23,25)과, 정렬수단을 구비한다.
지지패드(10)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패드(10)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패드는 수지, 천, 금속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패드(10)에는 휴대폰(5)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고정수단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드(10)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11)와, 고리(11)에 일측이 결합된 연결줄(13)을 구비한다. 연결줄(13)은 지지패드(10)의 고리(11)에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폰(5)에 결합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수단으로 일명 찍찍이라 불리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지지패드의 후면에 숫 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고, 휴대폰의 일측에 암 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지지패드(10)에 접사렌즈들(21,23,25)이 설치된다. 접사렌즈는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둘 이상의 접사렌즈들이 설치된다. 이는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 다수의 접사렌즈들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배율의 접사렌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접사렌즈(21,23,25)가 설치된다. 접사렌즈들(21,23,25)은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다. 도시된 것과 달리 2개 또는 4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접사렌즈(21,23,25)는 후술할 렌즈홀더(31,33,35)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패드(10)에 설치된다.
지지패드(10)에 설치된 접사렌즈를 이용하여 휴대폰 카메라의 접사촬영이 가능하다. 접사촬영시 다수의 접사렌즈들(21,23,25) 중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접사렌즈를 휴대폰 카메라 렌즈(7) 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접사렌즈를 휴대폰 카메라 렌즈(7)와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이 필요하다.
일 예로 도시된 정렬수단은 자성체(50)와, 렌즈홀더(31,33,35)와, 돌출구(37)를 구비한다.
자성체(50)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자성체(50)는 영구자석에 끌리는 철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50)는 카메라 렌즈(7)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카메라 렌즈(7)가 설치된 휴대폰(5)의 일면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자성체(50)의 후면에는 접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50)의 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자성체(50)를 휴대폰(5)에 부착시킬 수 있다.
자성체(50)의 전면에는 반구형의 4개의 가이드홈들(55)이 형성된다. 가이드홈들(55)은 동일한 간격, 즉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각 렌즈홀더(31,33,35)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접사렌즈가 장착된다. 렌즈홀더(31,33,35)를 지지패드에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렌즈홀더의 수만큼 지지패드(10)에 홀더장착홀을 형성하고, 각 홀더장착홀에 렌즈홀더를 하나씩 끼워 고정시킨다. 3개의 렌즈홀더(31,33,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접사렌즈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내경을 갖지만, 외경은 모두 동일하다.
각 렌즈홀더(31,33,35)의 내부에는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40)이 내장된다. 이러한 영구자석(40)에 의해 렌즈홀더를 자성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렌즈홀더(31,33,35)의 후면에는 반구형의 돌출구(37)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구(37)는 가이드홈(55)과 동일한 수인 4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돌출구(37)는 가이드홈(55)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렌즈홀더를 자성체(50)에 결합시키는 경우 가이드홈들(55)에 돌출구들(37)이 결합함으로써 렌즈홀더에 장착된 접사렌즈와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7)가 정렬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3개의 렌즈홀더들 중 가운데 위치한 렌즈홀더(33)가 자성체(50)에 결합되어 카메라의 렌즈와 정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 렌즈홀더들(31,33,35)의 내경은 접사렌즈들(21,23,25)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렌즈홀더들(31,33,35)에 형성된 돌출구들(37)의 위치는 모두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렌즈홀더들을 설명의 편의상 좌측에서부터 제 1렌즈홀더(31), 제 2렌즈홀더(33), 제 3렌즈홀더(35)라고 한다. 제 1렌즈홀더(31)에 형성된 4개의 돌출구(37)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을 A라 하고, 제 2렌즈홀더(33)에 형성된 4개의 돌출구(37)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을 B라 하고, 제 3렌즈홀더(35)에 형성된 4개의 돌출구(37)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을 C라 할 때 A, B, C는 모두 직경이 동일하다. 이때 A, B, C의 직경은 자성체(50)에 형성된 4개의 가이드홈(55)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과 직경이 동일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3개의 렌즈홀더들(31,33,35) 중 어떠한 렌즈홀더라도 자성체(5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적절한 접사렌즈를 장착된 렌즈홀더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패드 13: 연결줄
21: 접사렌즈 31: 렌즈홀더
37: 돌출구 50: 자성체
55: 가이드홈

Claims (2)

  1. 삭제
  2.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사렌즈들과;
    상기 접사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접사렌즈를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전면에 4개의 반구형의 가이드홈들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의 자성체와, 상기 각 접사렌즈들의 주위를 각각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패드에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와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이 내장된 환형의 렌즈홀더들과, 상기 각 렌즈홀더들의 후면에 4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자성체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홈들에 결합하는 반구형의 돌출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KR1020110081809A 2011-08-17 2011-08-17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KR10124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809A KR101244270B1 (ko) 2011-08-17 2011-08-17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809A KR101244270B1 (ko) 2011-08-17 2011-08-17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95A KR20130019695A (ko) 2013-02-27
KR101244270B1 true KR101244270B1 (ko) 2013-03-18

Family

ID=4789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809A KR101244270B1 (ko) 2011-08-17 2011-08-17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5710B1 (ja) * 2020-02-03 2021-08-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の取付構造、及び検査装置
KR20220069593A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일체형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362A (ja) * 2002-05-27 2004-05-20 Oki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
KR200357043Y1 (ko) * 2004-04-13 2004-07-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착탈이 용이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외장형 렌즈장치
KR200401992Y1 (ko) 2005-09-07 2005-11-23 서용석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KR20100000632U (ko) * 2008-07-10 2010-01-22 김재한 핸드폰 카메라 휴대용 접사촬영 렌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362A (ja) * 2002-05-27 2004-05-20 Oki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
KR200357043Y1 (ko) * 2004-04-13 2004-07-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착탈이 용이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외장형 렌즈장치
KR200401992Y1 (ko) 2005-09-07 2005-11-23 서용석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KR20100000632U (ko) * 2008-07-10 2010-01-22 김재한 핸드폰 카메라 휴대용 접사촬영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95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8943A1 (en) Camera Adapter
WO2013081264A1 (ko)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JP3098262U (ja) アクセサリーレンズ
KR101420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컨버젼 렌즈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방법
JP2007206137A (ja) 携帯電話用カメラにおける交換レンズ並びにフィルターのマウント装置
WO2013081313A1 (ko)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0703408B1 (ko)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TWI719369B (zh) 相機模組以及使用此相機模組之電子裝置
KR101244270B1 (ko)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CN106899720B (zh) 一种双附加镜头以及附加镜头组件
JP4748385B2 (ja) 撮像装置
CN214380984U (zh) 一种移动终端设备
CN211378111U (zh) 电子设备
KR101375650B1 (ko)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WO2020102237A1 (en)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JPWO2007043508A1 (ja) 撮像装置
CN213182183U (zh) 一种望远镜转接环
CN204009321U (zh) 四孔拍照装置
JP2004254139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WO2015062053A1 (zh) 一种手机全景镜头
CN111371923A (zh) 终端及镜头
JP3181804U (ja) 携帯電話機の補助レンズアダプター
JP3155214U (ja) 携帯電話撮影用スタンド
US20150189050A1 (en) Mobile phon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KR2010003372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