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992Y1 -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 Google Patents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992Y1
KR200401992Y1 KR20-2005-0025734U KR20050025734U KR200401992Y1 KR 200401992 Y1 KR200401992 Y1 KR 200401992Y1 KR 20050025734 U KR20050025734 U KR 20050025734U KR 200401992 Y1 KR200401992 Y1 KR 200401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lens
unit
coupling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석 filed Critical 서용석
Priority to KR20-2005-0025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5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agnifying glass or the object view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4Eyepieces; Magnifying glasses affording a wide-angle view, e.g. through a spy-ho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Abstract

본 고안은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 결합하여 렌즈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할 수 있도록,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가 수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가 연결 끈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렌즈부는: 광학 렌즈;와 상기 광학 렌즈의 외주 일측에 상기 연결 끈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공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렌즈부가 수납되기 위하여 통과할 수 있는 개방홈;과 상기 렌즈부에 결합된 연결 끈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끈을 당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An optical lens for accessary}
본 고안은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 결합하여 렌즈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한 광학 렌즈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시력 등의 문제나 디지털 카메라의 여러 가지 효과를 위하여 다양한 광학 렌즈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광학 렌즈는 수시로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광학 렌즈를 휴대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사용자의 핸드폰에 악세사리 형태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제품이 제안되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핸드폰에 장착되는 돋보기를 설명한다.
도7은 제1종래기술에 따른 돋보기가 핸드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폰용 돋보기(20)는 돋보기(26)의 일측에 끈 고정홈(24)을 형성하고, 연결끈(22)을 통해 핸드폰(10)의 끈 고정부(12)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제1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폰용 돋보기(20)는 돋보기(26)의 표면을 보호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중에 표면이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또한, 연결끈(22)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끈(22)이 너무 길게 제조되면 휴대시 불편하며, 표면 손상의 정도가 가중될 수 있으며, 짧게 구성되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제1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8에 도시된 핸드폰용 돋보기가 제안되었다.
도8은 제2종래기술에 따른 돋보기의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폰용 돋보기(30)는 돋보기(40)와 수납부(32)로 구성되되, 돋보기(40)는 회전 힌지(34)를 통해 손잡이(42)를 사용하여 회전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끈 고정 홈(36)을 사용하여 핸드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끈(38)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제2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폰용 돋보기(30)는 제1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폰용 돋보기(10)가 갖는 돋보기(26)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그 외에 길이에 따른 단점은 상기 종래기술 1과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광학 렌즈를 내부로 수납하여 광학 렌즈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 끈을 늘릴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간편하고 휴대가 더욱 용이한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4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가 수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가 연결 끈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렌즈부는: 광학 렌즈;와 상기 광학 렌즈의 외주 일측에 상기 연결 끈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공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렌즈부가 수납되기 위하여 통과할 수 있는 개방홈;과 상기 렌즈부에 결합된 연결 끈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끈을 당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광학 렌즈는,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또는 카메라용 필터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렌즈부는, 상기 광학 렌즈의 파지시에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렌즈부를 상기 수납부에서 꺼내기 쉽도록 상기 광학 렌즈의 외주 일측에 인출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인출 손잡이가 상기 수납부의 표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인출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용수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수납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연결 끈을 당기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고정돌기; 및 상기 일방향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단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수납부는, 결합 대상에 묶기 위한 결합 끈; 및 상기 결합 끈이 묶일 수 있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수납부의 일면에 접착 부재가 추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가 핸드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100)는 크게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0)와, 렌즈부(120)를 수납하는 수납부(110)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끈(128)으로 구성된다.
수납부(110)는 렌즈부(12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렌즈부(120)가 삽입/배출되도록 개방홈(114)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렌즈부(120)의 인출 손잡이(124)가 돌출되어 이동될 수 있게 인출홈(112)이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로서 판스프링(130)이 탑재되어 있다.
인출홈(112)은 후술될 인출 손잡이(124)가 소정 부분 돌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납부(110)로부터 렌즈부(12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개방홈(114)은 렌즈부(120)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수납부(1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116)은 수납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끈(134)이 결합된다.
렌즈부(120)는 광학 렌즈(126)를 중심으로, 인출 손잡이(124)가 결합되고, 연결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광학 렌즈(126)는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또는 카메라용 필터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렌즈(126)의 형상은 원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이나 자유도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출 손잡이(124)는 광학 렌즈(126)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사용시에 렌즈부(120)를 수납부(110)로부터 인출하고, 광학 렌즈(126)의 표면에 사용자의 지문 등이 묻지 않도록 돕는다.
연결공(122)은 연결끈(128)이 연결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100)의 사용을 설명한다.
먼저, 결합끈(134)을 사용하여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100)를 핸드폰(10)에 결합한다. 이때, 렌즈부(120)는 판스프링(130)의 작용에 의해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학 렌즈(126)의 표면이 사물과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게 광학 렌즈(126)를 사용할 필요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인출 손잡이(124)를 두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인출홈(112)을 따라 이동시켜, 렌즈부(120)를 수납부(110)로부터 인출한다. 이때, 판스프링(130)이 수축되면서, 연결끈(128)의 길이 범위 내에서 렌즈부(120)를 수납부(110)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
광학 렌즈(126)의 사용이 끝나면, 간단히 인출 손잡이(124)를 인출 홈(112)의 입구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렌즈부(120)가 수납부(110)에 수납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200)는 수납부(110)의 내부에 판스프링(130)이 연결끈(128)을 당기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측부에 일방향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단추(13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일방향 고정돌기와 해제 단추(132)의 구성 및 동작은 줄자 등에 사용되는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와 같이 일방향 고정돌기와 해제 단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200)는 광학 렌즈(126)의 사용시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연결끈(128)을 잡아당겨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가 핸드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300)는 일면에 접착 부재(140)가 결합되고, 제1실시예의 결합홈(116)과 결합끈(134)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300)는 접착 부재(140)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핸드폰(10)의 배터리(11)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3실시예와 같이 접착 부재(14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300)를 핸드폰(10)에 결합끈(134)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보다, 결합력이 높고 휴대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제4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40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탄성부재로서 판스프링 구조 대신 용수철(43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용수철(430)을 탄성부재로 사용하게 되면,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비용과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광학 렌즈는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또는 카메라용 필터 렌즈 하나로만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광학 렌즈를 예를 들면 4등분하여, 볼록 렌즈, 오목 렌즈, 자외선을 차단하는 UV필터, 광량을 줄이는 ND필터 등을 하나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렌즈부를 수납부에 수납하는 구성에 의해 광학 렌즈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렌즈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연결끈을 필요한 만큼 당겨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끈의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결합끈의 길이가 짧아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폰이나 카메라 등에 수납부를 고정시키는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고 휴대가 더욱 용이한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또는 카메라용 필터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근시, 원시 등의 시각의 장애 정도에 따라 또는 용도에 따라 필요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즈 외주 일측에는 인출 손잡이가 형성되어, 광학 렌즈의 파지시에 렌즈에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렌즈부를 상기 수납부에서 꺼내기 용이하며, 특히, 수납부에는 인출 손잡이가 수납부의 표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인출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수납부에서의 인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부에는 일방향 고정돌기 및 해제 단추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광학 렌즈의 사용시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연결끈을 잡아당겨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가 핸드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가 핸드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7은 제1종래기술에 따른 돋보기가 핸드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제2종래기술에 따른 돋보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핸드폰 11: 배터리
12: 끈 고정부 20,30: 핸드폰용 돋보기
22,38: 연결 끈 24,36: 끈 고정홈
26,40: 돋보기 32: 수납부
34: 회전 힌지 42: 손잡이
100,200,300,400: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110: 수납부 112: 인출홈
114: 개방홈 116: 결합홈
120: 렌즈부 122: 연결공
124: 인출 손잡이 126: 광학 렌즈
128: 연결끈 130: 판 스프링
132: 해제 단추 134: 결합끈
140: 접착 부재 430: 용수철

Claims (7)

  1.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가 수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가 연결 끈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렌즈부는:
    광학 렌즈;와
    상기 광학 렌즈의 외주 일측에 상기 연결 끈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공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렌즈부가 수납되기 위하여 통과할 수 있는 개방홈;과
    상기 렌즈부에 결합된 연결 끈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끈을 당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는,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또는 카메라용 필터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학 렌즈의 파지시에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렌즈부를 상기 수납부에서 꺼내기 쉽도록 상기 광학 렌즈의 외주 일측에 인출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인출 손잡이가 상기 수납부의 표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인출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용수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연결 끈을 당기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고정돌기; 및
    상기 일방향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단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결합 대상에 묶기 위한 결합 끈; 및
    상기 결합 끈이 묶일 수 있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면에 접착 부재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KR20-2005-0025734U 2005-09-07 2005-09-07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KR200401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34U KR200401992Y1 (ko) 2005-09-07 2005-09-07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34U KR200401992Y1 (ko) 2005-09-07 2005-09-07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992Y1 true KR200401992Y1 (ko) 2005-11-23

Family

ID=4370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34U KR200401992Y1 (ko) 2005-09-07 2005-09-07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9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70B1 (ko) 2011-08-17 2013-03-18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70B1 (ko) 2011-08-17 2013-03-18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폰용 렌즈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042B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 케이스
US20140268376A1 (en) Optical system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WO2017046973A1 (ja) 携帯端末機取付アダプタ
CN103018843B (zh) 光纤连接器插头
US20160342072A1 (en)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KR1005483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478010Y1 (ko) 휴대폰용 카드지갑
KR200401992Y1 (ko)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KR100474035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KR102585986B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
KR20070076159A (ko) 악세사리용 광학 렌즈
JP3860455B2 (ja) カメラ用クレードル
CN107024823A (zh) 一种可连接附加镜头的保护壳
KR200471070Y1 (ko) 스마트폰 지지장치
KR10159295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사용방법
KR20040038024A (ko) 외부로 인출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800681B1 (ko) 카메라와 그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22511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켓 보호 장치
EP3432611B1 (fr) Système de localisation d&#39;une personne par voie de télécommunication
KR100693358B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2140397B1 (ko)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되는 부속물 모듈
KR200447071Y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 액세서리
KR20180002158U (ko)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