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510A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510A
KR20110008510A KR1020090065889A KR20090065889A KR20110008510A KR 20110008510 A KR20110008510 A KR 20110008510A KR 1020090065889 A KR1020090065889 A KR 1020090065889A KR 20090065889 A KR20090065889 A KR 20090065889A KR 20110008510 A KR20110008510 A KR 20110008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lastic
contact member
photosensitive dru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425B1 (ko
Inventor
김종인
최재일
안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25B1/ko
Priority to US12/721,765 priority patent/US8238777B2/en
Priority to EP10158784.8A priority patent/EP2284627B1/en
Priority to CN2010202361213U priority patent/CN201732248U/zh
Publication of KR2011000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개시된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기로서, 하우징에 설치되어 롤러의 도전성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에 본체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롤러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재로 된 전기접점부재를 포함한다. 전기접점부재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베이스부로부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제1탄성부와, 제1탄성부로부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도전성 샤프트의 단부에 접촉되는 접점부가 마련된 제2탄성부, 및 베이스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탄성부의 제2탄성부의 절곡방향의 면과 대면되어 제1탄성부의 제2탄성부의 절곡방향으로의 변형을 규제하는 변형방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를 구비한다.
감광체와 토너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를 '현상기'라 한다.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된다. 현상기에는 대전롤러, 현상롤러 등의 롤러가 설치되며, 이 롤러들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기에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와 롤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접점부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기의 롤러에 안정적으로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접점부재를 구비하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기로서, 감광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도전성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재로 된 전기접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점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도전성 샤프트의 단부에 접촉되는 접점부가 마련된 제2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의 상기 제2탄성부의 절곡방향의 면과 대면되어 상기 제1탄성부의 상기 제2탄성부의 절곡방향으로의 변형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변형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절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태이며, 상기 제1탄성부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그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연장부와 대면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전기접점부재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기접점부재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방지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아암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제2탄성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탄성부로부터 샤프트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 형태로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엠보싱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감광드럼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현상기; 상기 감광드럼에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기; 상기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의 샤프트의 단부와 접촉되는 접점부가 마련된 탄성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여 접점부와 롤러와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를 구비하는 일체형 카트리지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도 8: 700)에 착탈될 수 있다.
감광드럼(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과 접촉된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며, 이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현상롤러(3)는 하우징(101)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3)와 감광드럼(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D)을 형성하는 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한다. 이 경우 현상롤러(3)는 도전성 금속 코어(미도시)의 외주에 탄성층(미도시)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현상롤러(3)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이 현상닙(D)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비접촉방식이 채용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3)의 표면과 감광드럼(1)의 표면은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기(100)에는 하우징(101)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롤러(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참조부호 5는 대전롤러(2)에 부착되는 이물질 및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6은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닙(D)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7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토너 및 이물질은 폐토너수용부(30)에 수용된다.
교반기(8)는 하우징(101)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3) 쪽으로 공급한다. 교반기(8)는 하우징(101)에 수용된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교반기(8)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1)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롤러(3)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101)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교반기(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접점부재(6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기접점부재(60)와 측부브라켓(90)과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대전롤러(2), 현상롤러(3), 공급롤러(4)에는 각각 대전바이어스, 현상바이어스,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를 위하여, 현상기(100)에는 전기접점부재가 마련된다. 현상기(1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도 8: 700)에 장착되면, 본체(도 8: 700)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전원단자(미도시)는 전기접점부재의 일부에 접촉된다. 이에 의하여 필요한 바이어스 전압을 대전롤러(2), 현상롤러(3), 공급롤러(4)에 인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접점부재(60)를 예로써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접점부재(60)가 하우징(101)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부브라켓(90)에 결합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접점부재(60)는 도전성과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접점부재(60)는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기접점부재(60)는 측부브러켓(90)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61)와, 베이스부(61)와 연결되며 대전롤러(2)의 도전성 샤프트(21)의 단부(22)에 접촉되는 접점부(64)가 마련된 탄성부를 구비한다. 탄성부는, 베이스부(6)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대전롤러(2)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탄성부(62)와, 제1탄성부(62)로부터 대전롤러(2)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탄성부(63)를 구비한다. 제2탄성부(63)에는 샤프트(21)의 단부(22)에 접촉되는 접점부(64)가 마련된다. 접점부(64)는 샤프트(21)의 단부(22)를 향하여 제2탄성부(6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접점부(64)는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을 보면, 측부브라켓(90)에는 전기접점부재(60)가 장착되는 장착홈(91)이 마련된다. 전기접점부재(60)를 측부브라켓(9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점부재(60)의 베이스부(61)의 일측 아암(630)에는 한 쌍의 지지편(631)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슬롯(632)이 형성될 수 있다. 측부브라켓(90)에는 슬롯(632)에 삽입되는 보스(93)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편(631) 사이의 간격은 보스(93)의 직경보다 작다. 측부브라켓(90)에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61)의 타측 아암(640)이 삽입되는 삽입홈(94)이 마련될 수 있다. 전기접점부재(60)의 타측 아암(640)을 삽입홈(94)에 삽입한 후에 일측 아암(630)의 슬롯(632)에 보스(93)가 삽입되도록 전지접점부재(60)를 민다. 한 쌍의 지지편(631)이 보스(93)의 삽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면서 그 단부가 보스(93)에 지지되어, 전기접점부재(60)는 측부브라켓(90)에 고정된다. 전기접점부재(60)의 제1탄성부(62)는 장착홈(91)에 삽입된다.
전기접점부재(60)가 측부브라켓(90)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부브라켓(90)이 하우징(101)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94)가 대전롤러(2)의 샤프트(21)의 단부(22)에 접촉된다. 이 때 제2탄성부(63)가 대전롤러(2)에 의하여 밀려서 그 절곡각도가 탄성적으로 변하고, 절곡각도의 탄성변화량에 상응하는 탄성력이 접점부(64)를 대전롤러(2) 쪽으로 밀어 접점부(64)를 샤프트(21)의 단부(22)에 접촉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62)가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면, 접점부(64)와 대전롤러(2)와의 접촉력이 작아져서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1탄성부(62)의 소성 변형량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는 아예 접점부(64)가 대전롤러(2)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소성 변형은 전기접점부재(60)가 단품상태에서 취급되는 도중에 발생될 수 있다. 또, 현상기(100)에 조립된 상태에서도 낙하 등 충격에 의하여 대전롤러(2)가 전기접점부재(60)를 길이방향으로 밀어 제1탄성부(62)를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으로 소성 변형시킬 수도 있다.
제1탄성부(62)가 조립 전에 단품 상태에서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성 변형된 경우에는 전기접점부재(60)가 측부브라켓(90)의 장착홈(91)에 장착되기 어려우므로, 조립과정에서 이러한 형태로 변형된 전기접점부재(60)를 선별해내기가 용이하다. 또, 현상기(100)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충격에 의한 소성 변형은 대전롤러(2)의 길이방향으로의 충격이 제2탄성부(63)에 가해져서 발생되는 것이다. 제2탄성부(63)가 제1탄성부(62)로부터 대전롤러(2)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전롤러(2)로부터 받는 충격에 의한 소성 변형은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으로 일어난다. 더 나아가서, 제1탄성부(62)의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면인 제1면(621)은 측부브라켓(90)에 마련된 장착홈(91)의 일측벽(92)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62)가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으로의 소성 변형, 즉 제1탄성부(62)의 베이스부(61)에 대한 절곡각도의 변형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보면, 베이스부(61)에는 제1탄성부(62)의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의 면인 제2면(622)과 대면되는 변형방지부(610)가 마련된다. 제1탄성부(62)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는 그로부터 연장된 연장부(65)가 마련되고, 변형방지부(610)는 연장부(65)와 대면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61)로부터 대전롤러(2)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변형방지부(610)는 제2면(622)과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또, 변형방지부(610)는 제2면(622)으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610)는 제1탄성부(62)에 대전롤러(2)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에 제1탄성부(62)의 제2면(622)에 접촉됨으로써 제1탄성부(62)가 소성 변형되지 않도록 제1탄성부(62)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기접점부재(60)의 단품 취급 과정 또는 대전롤러(2)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제1탄성부(62)가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변형방지부(610)가 베이스부(61)로부터 절곡된 형태이므로, 현상기(100)의 다른 구성품과의 연결관계를 고려할 필요없이 전기접점부재(60)의 치수관리 만에 의하여 제1탄성부(62)의 소성변형량을 규제할 수 있다.
연장부(65)에는 경사부(66)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6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점부재(60)가 측부브라켓(90)의 장착홈(91)에 삽입될 때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기접점부재(60)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연장부(6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브라켓(90)의 장착홈(91)의 측벽(96)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아암(630, 640)을 변형방지부(610)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고, 이 아암(630)(640)에 결합부를 마련함으로써, 변형방지부(610)가 결합부에 의하여 측부브라켓(90)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62)가 제2탄성부(63)의 절곡방향으로 소성 변형될 때에 변형방지부(610)가 제1탄성부(62)의 제2면(622)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대전롤러(2)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은 제2탄성부(63) 자체를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킬 수도 있다. 대전롤러(2)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제2탄성부(6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탄성부(63) 자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의 성분(641)과 폭방향의 성분(642)을 가지는 엠보싱 형태의 접점부(6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탄성부(63)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굽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브라켓(90)의 내측에는 제2탄성부(63)를 지지 하는 탄성지지부재(70)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70)는 예를 들어 고무, 발포탄성체, 스펀지 등 탄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70)는 제2탄성부(63)와 측부브라켓(90)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롤러(2)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제2탄성부(63) 자체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 대전롤러(2)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제거된 후에 제2탄성부(63)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탄성부재(63)의 절곡 각도(C)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대전롤러(2)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접점부재(60)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접점부재(60)는 현상롤러(3), 공급롤러(4)에 현상바이어스 전압, 공급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접점부재(도 2: 60a, 60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현상기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보면, 현상기(100)는 도어(701)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된다. 그러면, 본체(700)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전원단자(미도시)가 현상기(100)에 마련된 전기접점부재(60)에 접촉된다.
광주사기(20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주사한다. 광주사기(20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 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전기접점부재(60)를 통하여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기(20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현상기(100)에 마련된 광창(9a)을 통하여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는 교반기(8)에 의하여 공급롤러(4) 쪽으로 이송되며, 공급롤러(4)는 토너를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규제부재(6)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D)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502)에 의하여 적재수단(501)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3)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04)에 의하여 배출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수용부(30)에 수용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전기접점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측부브라켓과 전기접점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전기접점부재의 연장부가 장착홈의 측벽에 의하여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제2탄성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제1탄성부가 소성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현상롤러 4......공급롤러
5......클리닝롤러 6......규제부재
7......클리닝 블레이드 8......교반기
9a......광창 60......전지접점부재
61......베이스부 62.....제1탄성부
63......제2탄성부 64......접점부
65......연장부 66......경사부
70......탄성지지부재 90......측부브라켓
91......장착홈 92......장착부의 측벽
93......보스 94......삽입홈
610...변형방지부 620, 630......아암
621......지지편 622......슬롯
641......길이방향의 성분 642......폭방향의 성분
100......현상기 101....하우징
200......광주사기 300......전사기
400......정착기 501......적재수단
502......픽업롤러 503......피드롤러
504......배출롤러 700......본체
701......도어

Claims (12)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기로서,
    감광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도전성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재로 된 전기접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점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도전성 샤프트의 단부에 접촉되는 접점부가 마련된 제2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의 상기 제2탄성부의 절곡방향의 면과 대면되어 상기 제1탄성부의 상기 제2탄성부의 절곡방향으로의 변형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변형방지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절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태이며,
    상기 제1탄성부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그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연장부와 대면되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전기접점부재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기접점부재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방지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아암에 마련된 현상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탄성부로부터 샤프트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 형태로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엠보싱 성분을 가지는 현상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감광드럼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포함하는 현상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기;
    상기 감광드럼에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기;
    상기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방지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아암에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탄성부로부터 샤프트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 형태로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엠보싱 성분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감광드럼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65889A 2009-07-20 2009-07-20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08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89A KR101080425B1 (ko) 2009-07-20 2009-07-20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2/721,765 US8238777B2 (en) 2009-07-20 2010-03-11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EP10158784.8A EP2284627B1 (en) 2009-07-20 2010-03-31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CN2010202361213U CN201732248U (zh) 2009-07-20 2010-06-18 显影装置及包括该显影装置的电子照相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89A KR101080425B1 (ko) 2009-07-20 2009-07-20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10A true KR20110008510A (ko) 2011-01-27
KR101080425B1 KR101080425B1 (ko) 2011-11-04

Family

ID=4312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889A KR101080425B1 (ko) 2009-07-20 2009-07-20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8777B2 (ko)
EP (1) EP2284627B1 (ko)
KR (1) KR101080425B1 (ko)
CN (1) CN2017322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0516Y (zh) * 2008-11-19 2009-11-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充电辊导电片和具有该导电片的显影剂盒
JP5868079B2 (ja) * 2011-09-05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47507B2 (ja) * 2011-09-14 2016-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25639B2 (ja) * 2015-02-27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
JP6414502B2 (ja) * 2015-03-31 2018-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519262B1 (en) * 2015-10-13 2016-12-13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and electrical contacts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786840B2 (ja) * 2016-03-30 2020-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727955B2 (ja) * 2016-06-28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ーラ、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350A (ja) * 1997-04-24 1998-11-13 Murata Mach Ltd 画像記録装置
JP2001201996A (ja) * 2000-01-18 2001-07-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94298B2 (ja)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09402B2 (ja) 2002-05-1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08601B1 (en) * 2002-05-17 2003-01-21 Monitek Electronics Limited Charging contact plate
JP2006039222A (ja) 2004-07-27 2006-02-09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212693B2 (ja) * 2008-01-10 2013-06-1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感光体支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38777B2 (en) 2012-08-07
CN201732248U (zh) 2011-02-02
US20110013925A1 (en) 2011-01-20
EP2284627A1 (en) 2011-02-16
EP2284627B1 (en) 2014-11-05
KR101080425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42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988988B2 (en) Developing cartridge
CN106547187B (zh) 盒和支承部件
JP2007193125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77565A (ja) 着脱部材、現像器、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29795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6325029B (zh) 成像设备和盒
US724881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39564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98649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5162140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US10185279B1 (en) Grounding devic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ushion
JP2008111999A (ja) ローラ部材の付勢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20716B2 (ja) 画像記録装置の電源供給構造
US8781355B2 (en) Electrical contact,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process cartridge
JP4483805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02236B2 (en)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a developer from the surface of an image bearing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JP3217229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129944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520064B1 (ko) 화상형성장치
US10175631B2 (en) Earth plate with breakaway rotated tabs
JP200526654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帯電装置
KR100607964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230478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位置決め用部品
KR20070023220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