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743U -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743U
KR20110007743U KR2020100005525U KR20100005525U KR20110007743U KR 20110007743 U KR20110007743 U KR 20110007743U KR 2020100005525 U KR2020100005525 U KR 2020100005525U KR 20100005525 U KR20100005525 U KR 20100005525U KR 20110007743 U KR20110007743 U KR 20110007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il wire
tool body
power too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용
Original Assignee
박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용 filed Critical 박기용
Priority to KR2020100005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743U/ko
Publication of KR20110007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전동공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동공구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공구에 있어서, 공구 본체와; 상기 공구 본체에 연결되는 코일전선과; 상기 코일전선에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코일전선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상의 링 부재와 상기 링부재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작업복 또는 벨트에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코일전선이 작업자의 손에 걸려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Electric motor tool with separate battery}
본 고안은 전동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공구의 배터리가 코일전선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배터리를 허리에 차고 작업할 수 있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동 공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용 전동 공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 중, 전선을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동 공구의 경우 전력공급의 제한이 없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선의 길이 내로 작업공간이 제한되고, 전선이 작업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한 전동 공구 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배터리가 구비된 전동 공구는, 도 1을 참조하면, 공구 본체(1)와 배터리로 구성되며, 배터리는 배터리 커버(2)와 배터리 본체(3)로 분리된다. 배터리 커버는 공구 본체의 손잡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본체만을 분리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전동 공구의 경우, 배터리의 무게로 인해 장시간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팔, 어깨 등에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작업자의 위치보다 높은 곳을 향하여 작업하는 경우 통증으로 인하여 장시간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착된 배터리의 부피로 인하여, 협소한 공간에 전동 공구를 삽입하여 작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일본특허공개 2007-111857호에는 전동공구 본체만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허리에 장착하고, 배터리와 전동공구 본체를 코일전선에 의해 연결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특허공개 2007-111857호는 작업자가 전동공구 본체를 사용할 때 코일전선이 작업자의 손에 걸려 작업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구 본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코일전선이 밑으로 많이 쳐지므로, 공구 본체를 떨어뜨렸을 경우, 전동공구 본체가 바닥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사다리나 선반과 같이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경우, 공구 본체가 떨어지면서 작업자 몸을 측방이나 후방으로 잡아당겨 몸 중심을 잃고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배터리를 공구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허리에 장착하고, 공구 본체와 배터리를 코일전선으로 연결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장시간 작업에 따른 팔, 어깨 등의 통증을 경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일전선이 작업자를 방해하지 않고 공구 본체를 떨어뜨려도 전동공구의 파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동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동 공구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공구에 있어서, 공구 본체와; 상기 공구 본체에 연결되는 코일전선과; 상기 코일전선에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코일전선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상의 링 부재와 상기 링부재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작업복 또는 벨트에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고리는, 상기 작업복 또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를 걸 수 있는 버클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전동 공구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공구에 있어서, 공구 본체; 상기 공구 본체에 연결되는 코일전선; 상기 코일전선에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코일전선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코일전선과 연결되며, 작업자의 작업복에 걸 수 있도록 양단에 고리가 형성된 안전 고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용량은 3.0 Ah 이상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를 허리에 장착하고, 전동 공구 본체만을 가지고 작업하게 되므로 전동 공구의 무게가 감소하여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팔, 어깨 등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고리를 작업자의 작업복에 고정하여 코일전선을 작업자 몸쪽으로 위치시켜 주기 때문에, 코일전선이 작업자의 손이 걸려 작업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안전고리에 의해, 공구 본체나 배터리가 밑으로 떨어져도 공구 본체 또는 배터리가 바닥으로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고리에 의해, 공구 본체가 밑으로 떨어져도 작업자의 측방이나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작업자의 앞쪽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몸 중심을 잃지 않아, 낙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전선을 돌려, 안전고리와 공구 본체 사이의 코일전선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최적의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 공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가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 본체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를 이용한 작업 예를 나타낸 예시 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안전고리를 갖는 전동공구를 이용한 다른 작업 예를 나타낸 예시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100)에 대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100)의 배터리 결합부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100)를 이용한 작업 예를 나타낸 예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100)는 공구 본체(10), 코일전선(20), 배터리(30) 및 안전고리(40)로 구성된다.
공구 본체(10)는 종래 개시된 전동 공구의 본체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다. 즉, 모터가 내장된 하우징(12),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척(11), 하우징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3)로 구성된다. 손잡이부(13)의 하부에는 연결단자부(14)가 결합 되어 있으며, 연결단자부에는 코일전선(20)의 일단이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구 본체(10)의 손잡이부에 연결된 코일전선의 타단은 배터리(30)에 연결된다. 배터리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 충전 시 코일 전선으로 인해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를 배터리 본체(32)와 배터리 커버(31)로 분리하고, 코일 전선(20)은 배터리 커버(31)에 연결된다. 배터리 커버(31)는 배터리 본체(3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되고, 이때 배터리 본체 단자(33)와 배터리 커버(31) 내측의 단자(미 도시)가 접속한다. 이로써, 배터리 본체(32)의 전력이 배터리 커버(31) 및 코일 전선(20)을 통해 공구 본체에 전달된다.
코일전선(20)의 내부에는 +/- 전선뿐만 아니라, 모터 회전 방향의 전환을 위한 전선과 공구 본체에 장착된 안전등(미 도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선도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터리는 다양한 용량을 갖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3.0A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고리(40)는 코일전선(20)이 작업자의 손에 걸려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코일전선(20)을 작업자 몸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며, 작업 중에 작업자가 공구 본체를 놓쳤을 경우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가 고소 공간에서 작업할 때, 공구 본체를 놓치는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전동 공구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안전고리(40)는 코일전선(20)의 일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코일전선(20)과 연결되고, 양 끝단에는 고리(41)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작업복(53)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공구(100)를 이용한 작업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통 공사현장에서 여러 가지 공구를 소지하고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들은 작업벨트(50)를 허리에 차고, 작업벨트에 공구들을 거치하거나 삽입한 후 작업을 하게 된다. 작업벨트가 허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허리 뒤쪽 벨트에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배터리 주머니(51)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주머니 형태로 예시하고 있으나, 배터리를 작업벨트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은 주머니 형태 이외에도 배터리에 고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후, 작업벨트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는 방식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동 공구의 평균적인 무게를 약 1.7Kg으로 볼 때, 배터리 무게는 약 0.6Kg을 차지한다. 본 고안과 같이 배터리를 작업벨트(50)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공구 본체의 부피도 줄어들게 된다. 종래 작업자의 작업 능률상 전동 공구의 무게가 제한되어 배터리의 용량 또한 제한되었으나, 본 고안의 전동 공구는 배터리 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디자인 또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작업벨트의 앞쪽에는 공구 본체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 주머니(52)가 설치된다. 작업자가 공구 본체를 사용중, 공구를 교체하거나 사용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동 공구는 배터리가 분리되어 있어, 공구 본체의 무게 중심이 척 쪽에 위치하게 되어, 공구 주머니로부터 공구 본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고리(40)의 고리(41)를 작업자의 작업복(53)에 고정함으로써 코일전선(20)이 작업자의 손에 걸려 작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 중 공구 본체(10)를 놓치거나 공구 주머니로부터 빠져 공구 본체(10)가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배터리(30)가 배터리 주머니로부터 빠져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공구 본체(10) 또는 배터리(30)가 바닥으로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사다리나 선반 위에서 작업할 때, 공구 본체(10)가 밑으로 떨어져도 작업자의 측방이나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작업자의 앞쪽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몸 중심을 잃지 않아, 낙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고리(40)는 다른 형태의 안전고리(4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코일전선(20)에 설치된 안전고리(40')가 작업자의 벨트(53)에 고정된 상태의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며, 안전고리(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코일전선(20)의 일측(20a)의 단부는 도 4와 같이, 작업자가 파지한 공구 본체(10)와 연결되고, 타측(20b)의 단부는 배터리 주머니(51) 속의 배터리(30)와 연결된다.
안전고리(40')는 링부재(47) 및 고리(48)를 포함한다.
링부재(47)는 코일전선(20)에 끼워져 코일전선(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코일전선(2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리(48)는 링부재(4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자의 작업복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안전고리(40')는 링부재(47)와 고리(48)로 구성되어, 고리(48)를 직접 작업자의 작업복이나 벨트(53)에 걸 수도 있으나, 버클(49)을 작업자의 벨트(53)에 클립방식으로 고정하고, 버클(49)에 형성된 구멍에 고리(48)를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버클(49)에는 작업자의 길이측정용 자를 끼워 놓을 수 있는 수용부(49a)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안전고리(40')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중 공구 본체(10)와 안전고리(40') 사이의 코일전선(20) 길이를 한 손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코일전선(20)을 한 손으로 잡고 일 방향(도 5의 A방향)으로 돌리면, 코일전선(20)이 링부재(47)를 통해 이동하여 공구 본체(10, 도 4 참조)와 안전고리(40') 사이의 코일전선(20) 길이가 늘어나고, 코일전선(20)을 한 손으로 잡고 타 방향(도 5의 B방향)으로 돌리면, 코일전선(20)이 링부재(47)를 통해 이동하여 공구 본체(10)와 안전고리(40') 사이의 코일전선(20) 길이가 짧아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중에 늘어진 코일전선(20)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공구 본체(10)와 안전고리(40') 사이의 코일전선(20) 길이를 한 손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편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특히, 사다리나 선반 위에서의 작업 즉, 작업자가 한 손은 공구 본체(10)를 잡아 조작하고, 나머지 한 손은 몸을 지탱하도록 건물 프레임이나 벽을 지지하는 하는 것과 같이, 작업자의 두 손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실제로 대부분의 작업은 지상 보다는 높이가 있는 곳에서 구조물 프레임을 한 손으로 잡고 한 손 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이다 - 본 고안은 한 손만을 사용해 코일전선(20)을 돌려, 공구 본체(10)와 안전고리(40') 사이의 코일전선(20)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공구 본체 11: 척
12: 하우징 13: 연결부
20: 코일전선 30: 배터리
31: 배터리 커버 32: 배터리 본체
40,40': 안전고리 47: 링부재
41,48: 고리 49: 버클
50: 작업벨트

Claims (4)

  1.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공구에 있어서,
    공구 본체;
    상기 공구 본체에 연결되는 코일전선;
    상기 코일전선에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코일전선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상의 링 부재와, 상기 링부재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작업복 또는 벨트에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상기 작업복 또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를 걸 수 있는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3.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공구에 있어서,
    공구 본체;
    상기 공구 본체에 연결되는 코일전선;
    상기 코일전선에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코일전선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코일전선과 연결되며, 작업자의 작업복에 걸 수 있도록 양단에 고리가 형성된 안전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용량은 3.0 A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KR2020100005525U 2010-01-26 2010-05-27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KR201100077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25U KR20110007743U (ko) 2010-01-26 2010-05-27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49 2010-01-26
KR2020100005525U KR20110007743U (ko) 2010-01-26 2010-05-27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43U true KR20110007743U (ko) 2011-08-03

Family

ID=4559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25U KR20110007743U (ko) 2010-01-26 2010-05-27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74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5622A (zh) * 2018-01-19 2018-06-05 杭州怡田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可分离式电池供电装置的电动工具
KR20210085653A (ko) * 2019-12-31 2021-07-08 원유협 전동공구 안전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556833B1 (ko) * 2023-01-31 2023-07-19 주식회사 오빌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의 전력 케이블 거치수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5622A (zh) * 2018-01-19 2018-06-05 杭州怡田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可分离式电池供电装置的电动工具
KR20210085653A (ko) * 2019-12-31 2021-07-08 원유협 전동공구 안전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556833B1 (ko) * 2023-01-31 2023-07-19 주식회사 오빌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의 전력 케이블 거치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641B2 (en) Detached portable battery with universal clip
CN103718421B (zh) 用于手持电动工具的充电器、电动工具系统和对电动工具电池进行充电的方法
US20180317636A1 (en) Impact-absorbing tethering attachment
EP1655114A2 (en) Ambidextrous drill holster
US20040099705A1 (en) Tool bag which can be carried next to the body of a person
US20150122856A1 (en) Hammer Loop/Flat Bar tool device
AU2006203644B2 (en) Holstered cordless power tool
KR20120003484U (ko) 전동드릴 걸이를 갖는 휴대용 공구걸이
AU2006202103A1 (en) A device for electrical power supply to a power tool
JP2010042465A (ja) 充電式電動工具
JP5416649B2 (ja) 電動工具及び電動工具用吊り下げ具
KR20110007743U (ko) 배터리 분리형 전동 공구
CN208955139U (zh) 蓄电池装置
US20050011919A1 (en) Waist-mounted drill holder for a battery-operated electric drill
US20070228093A1 (en) Waist-mounted electrical drill holder for a battery-operated electric drill
JP2009039841A5 (ko)
JP4413870B2 (ja) 融着接続機搭載用作業台
CN210328562U (zh) 一种可调口径的伸缩式采摘器
JP7237509B2 (ja) 動力工具およびフック
JP5382620B2 (ja) 携帯用掃除機
CN205610084U (zh) 一种新型便捷式电力施工中使用的捞捡工具
JP6305189B2 (ja) 電気自動車充放電装置
WO2012113443A1 (en) Tool supporting apparatus
JP2014017099A (ja) 背負式電源
JP2020021657A (ja) バッテ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