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116A - 낮은 성형 온도에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시스템 - Google Patents

낮은 성형 온도에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116A
KR20110007116A KR1020107021862A KR20107021862A KR20110007116A KR 20110007116 A KR20110007116 A KR 20110007116A KR 1020107021862 A KR1020107021862 A KR 1020107021862A KR 20107021862 A KR20107021862 A KR 20107021862A KR 20110007116 A KR20110007116 A KR 2011000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reactive
appropriate
mol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327B1 (ko
Inventor
미카엘 파더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968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071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00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1875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ammonium salts or mixtures of secondary of tertiary amines and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3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linings,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326Joining the preformed parts, e.g. to make flat or profiled sandwich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03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rix material, e.g. material composition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29C70/08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and with one or more layers of pure plastics material, e.g. foam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c) 아민 촉매의 1종 이상의 카르복실산염(이 때, 아미노 촉매의 아민 1당량을 기준으로 카르복실산의 산기 0.5 내지 1.5 당량이 포함됨),
(d) 적절한 경우, 추가의 촉매,
(e) 적절한 경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가지는 반응성 사슬 연장제(이 때,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1 이상의 기는 유리 1차 NH2 기임) 및
(f) 적절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를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은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낮은 성형 온도에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시스템{POLYURETHANE SYSTEMS FOR PRODUCING POLYURETHANE SANDWICH PARTS AT LOW MOLDING TEMPERATURES}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c) 1종 이상의 아민 촉매의 카르복실산염(이 때, 아미노 촉매의 아민 1당량을 기준으로 카르복실산의 산기 0.5 내지 1.5 당량이 포함됨), (d) 적절한 경우, 추가의 촉매, (e) 적절한 경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가지는 반응성 사슬 연장제(이 때,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1 이상의 기는 유리 1차 NH2기임) 및 (f) 적절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를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 방법과,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는 특허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의 상기 특징과 하기에 설명할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으면서 언급된 각 조합뿐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이 부재는 코어층을 강화층으로 피복하여 제조한다.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샌드위치 반제품"의 한면과 종종 양면에, 스프레이 도포로 도포한다.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인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로 피복한 부재를 몰드(mold)에 넣고, 가열 압축 공정으로 압축하여 샌드위치 반제품을 특정 형상으로 하고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경화시켜 폴리우레탄을 얻는다. 이 압축 공정에서 강화층이 압축된다. 압축 정도는, 일부 소구역에서 수십 밀리미터에서부터 최초 두께의 수 퍼센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 다음 생성되는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몰드로부터 분리한다. 여기서 외부 프로파일은 성형 몰드 내에서 샌드위치 패키지를 압착하여 성형한다.
3차원 성형을 위해서는, 재료가 몰드에 이를 때까지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의 경화를 지연시켜야 한다. 특히 압축 영역의 연부 영역에서는, 압축 공정 후에, 상기 영역을 피복하기 위해 충분한 유동성의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코어층을 폴리우레탄으로 밀봉할 수 있다. 이들 공정은 예를 들어 Bayer AG Leverkusen의 브로셔 "PUR - Faserverbundwerkstoffe fur den Leichtbau im Fahrzeuginnenraum"["PU -자동차 내장의 경량 부품을 위한 섬유 복합재 "] 또는 Bayer AG Leverkusen의 "Baypreg F - PUR plus Natur im Automobil, Verbundwerkstoffe aus polyurethan" ["Baypreg F - 자동차에서의 PU 플러스 천연 소재: 폴리우레탄 복합재"]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 방법의 문제점은, 미완성의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에 필요한 폴리우레탄 시스템 처리 시간, "개방 시간(open time)"을 단축시키지 않고 몰드 내의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의 필요한 유동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산업적 목적의 필요한 짧은 탈형 시간을 유지하기 위해서, 약 120 내지 140℃의 몰드 온도에서 성형 공정을 실시하여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몰드 온도가 이렇게 높으면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시 에너지 소비가 생기고; 또 다른 요인은 매우 고가의 내열성 장식재를 사용해야만 직접 적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방법과 비교하여, 개방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탈형 시간을 연장하지 않으면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시 직접 적층 양상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를 위해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c) 1종 이상의 아민 촉매의 카르복실산염(아민 촉매의 아민 1당량을 기준으로 카르복실산의 산기 0.5 내지 1.5 당량이 포함됨), (d) 적절한 경우, 추가의 촉매, (e) 적절한 경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가지는 반응성 사슬 연장제(이 때,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1 이상의 기는 유리 1차 NH2기임) 및 (f) 적절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시스템은 2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시스템이고,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은 성분들을 혼합하여 얻는다. 여기서 종종 성분 (b) 내지 (f)를 배합하여 폴리올 성분이라고 알려진 것을 얻으며, 성분 (a)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화학식 R(NCO)z[여기서, R은 방향족계를 포함하는 다가의 유기 라디칼이고, z는 2 이상의 정수임]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그 예는 4,4'-디이소시아나토벤젠, 1,3-디이소시아나토-o-크실렌, 1,3-디이소시아나토-p-크실렌, 1,3-디이소시아나토-m-크실렌, 2,4-디이소시아나토-1-클로로벤젠, 2,4-디이소시아나토-1-니트로벤젠, 2,5-디이소시아나토-1-니트로벤젠,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6-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 나프탈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톡시페닐렌 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2,4'-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 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트리페닐메탄 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톨루엔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4,4'-디메틸디페닐메탄 2,2',5,5'-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이다.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이의 유도체 및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교적 많은 수의 방향족 핵을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체 MDI라고도 불리우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을 사용 전에, 폴리에테롤 또는 폴리에스테롤을 사용하여 예비중합시켜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를 얻음으로써, 특정 성질을 확립할 수 있다. 미정제 MDI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사용되는 변성의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는 (b)에 기재한 바와 같은 중합체 MDI와 폴리에스테롤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작용가는 1.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8이다.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b)은 폴리우레탄 제조시 사용될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수소 원자가 2개 이상인 임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b)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민 작용화된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당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공지 방법, 예를 들어 촉매로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 에톡시드 또는 칼륨 에톡시드, 또는 칼륨 프로폭시드 등의 알칼리 금속 알콜레이트를 이용하고, 2개 내지 8개의 반응성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스타터 분자를 첨가하는 음이온 중합반응으로, 또는 촉매로서 오염화안티몬, 플루오르화붕소 에테레이트 등과 같은 루이스산 또는 표백토(bleaching earth)를 사용하고 알킬렌 라디칼 내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로부터의 양이온 중합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촉매는 또한 DMC 촉매라고 알려진 다중금속 시아나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알킬렌 옥시드의 예는 테트라히드로푸란, 프로필렌 1,3-옥시드, 부틸렌 1,2-옥시드 또는 부틸렌 2,3-옥시드, 스티렌 옥시드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1,2-옥시드이다. 알킬렌 옥시드를 개별적으로, 교대로 연속하여,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스타터 분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 물, 유기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숙신산, 아디프산,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알킬 라디칼 내에 1∼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임의로 N-모노-, N,N-, 및 N,N'-디알킬-치환된 지방족 및 방향족 디아민, 예컨대 임의로 모노 및 디알킬-치환된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1,3-프로필렌디아민, 1,3- 또는 1,4-부틸렌디아민, 1,2-, 1,3-, 1,4-, 1,5-, 및 1,6-헥사메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2,3-, 2,4-, 및 2,6-톨릴렌디아민, 및 4,4'-, 2,4'-, 및 2,2'-디아미노디페닐메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스타터 분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 알칸올아민, 예컨대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N-메틸- 및 N-에틸에탄올아민, N-메틸- 및 N-에틸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및 암모니아. 다가, 특히 2가 내지 8가의 알콜, 예컨대 에탄디올, 1,2- 및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스, 프럭토스 및 수크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은 평균 작용가가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2, 특히 2.0 내지 3.5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150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0, 특히 60 내지 800이다.
상이한 작용가는 상이한 스타터를 사용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절한 폴리올은 중합체 변성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변성 폴리에스테롤 또는 폴리에테롤,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래프트 폴리에테롤이다. 이들은 중합체 폴리올이라고 알려진 것들이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인 중합체 함유량이 일반적으로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특히 18 내지 22 중량%이다. 이들 중합체 폴리에스테롤은 예를 들어 EP-A-250 35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당한 올레핀계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아크릴아미드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보통 성장하는 중합체 사슬로부터 폴리에스테롤 또는 폴리에테롤 상으로의 자유 라디칼의 전달에 의해 제조된다. 중합체 폴리올은 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함께, 비변형 폴리에스테롤에 분산된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단량체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을 사용하며, 특히 스티렌만을 사용한다. 단량체는, 적당한 경우 추가의 단량체, 마크로머, 및 모더레이터(moderator)의 존재 하에 유리 라디칼 개시제, 주로 아조 화합물 또는 퍼옥시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연속상으로서 폴리에스테롤 중에서 중합시킨다.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 동안, 마크로머가 부수적으로 공중합체 사슬로 도입된다. 그 결과 폴리에스테르 블록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블록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가 형성되어, 연속상과 분산상 사이의 경계에서 상용화제로 작용하고 중합체 폴리에스테롤 입자의 응집을 억제한다. 마크로머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폴리올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이다.
중합체 폴리올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이다. 이 물질은, 예로서,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합체 폴리올을 3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폴리올은 중합체 폴리에스테롤 또는 폴리에테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아민 촉매(c)의 카르복실산염은 폴리우레탄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염기성 아민 촉매 중 임의의 것의 카르복실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염기성 아민 촉매의 카르복실산염은 아민 촉매와 카르복실산을 혼합하여 얻는다. 이는, 적절한 경우 용매를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올 성분에의 염기성 아민 촉매의 첨가 및 산 첨가를 통해서, 별도의 단계로 실시할 수 있다.
아민 촉매의 카르복실산염은, 적절한 경우 가열하면서, 별도의 단계에서 카르복실산 및 염기성 아민 촉매를 혼합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 알콜을 사용하고, 특히 몰질량이 120 g/몰 이하인 2가 또는 3가 알콜, 특히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생성되는 아민 촉매의 카르복실산염을, 추가의 단계에서, 적어도 성분 (b)와 배합하고, 적절한 경우에는 성분 (d), (e) 및 (f) 중 하나와도 배합하여, 폴리올 성분을 얻는다.
염기성 아민 촉매는 예를 들어 문헌["Kunststoffhandbuch[플라스틱 핸드북], volume 7, Polyurethane[폴리우레탄], Carl Hanser Verlag, 3rd edition 1993, chapter 3.4.1]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예는 아미딘, 예컨대 2,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3급 아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메틸벤질아민, N-메틸-, N-에틸-, N-시클로헥실모르폴린,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에틸 에테르, 비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아,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이소프로판올아민, 디메틸피페라진, 1,2-디메틸이미다졸, 1-아자비시클로[3.3.0]옥탄, 바람직하게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및 알칸올아민 화합물, 예컨대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메틸- 및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이소프로판올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이다.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정확하게 1개의 반응성 기를 가지는 염기성 아민 촉매가 여기서 특별히 사용되며, 그 예는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이소프로판올아민이다. 촉매는 각각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카르복실산은 몰질량이 300 g/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가 1∼18개인 포화 및 불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시아노아세트산 또는 2-에틸헥산산, 탄소 원자가 2∼16개인 방향족 카르복실산, 지방족의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산의 유도체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다른 바람직한 카르복실산은 화학식 HOOC-(CH2)n-COOH(이 때, n은 2∼14의 정수임)의 디카르복실산이다. 이러한 종류의 디카르복실산은 일반적으로 부식성이 적다. 특히 사용되는 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을 포함한다.
여기서 산과 아민 촉매의 비율은, 포함되는 카르복실산의 산기의 당량수가 아민 촉매의 아민 1당량을 기준으로 0.5∼1.5, 바람직하게는 0.7∼1.3, 특히 바람직하게는 0.90∼1.10, 특히 0.95∼1.05 당량이 되도록 선택한다.
사용될 수 있는 아민 촉매 (c)의 카르복실산염의 농도의 예는 성분 (b) 내지 (f)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2 중량%이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촉매(d)는 유기 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유기 주석 화합물, 예컨대 유기 카르복실산의 주석염, 예컨대 아세트산주석, 옥토산주석, 에틸헥소산주석 및 라우르산주석과, 유기 카르복실산의 디알킬주석(IV)염, 예컨대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레에이트 및 디옥틸주석 디아세테이트와,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 예컨대 비스무스(III)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무스 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비스무스 옥타노에이트, 또는 혼합물이다. 추가의 촉매(d)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사슬 연장제(e)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개의 기를 가지며, 이들 물질은 하나 이상의 유리 1차 NH2 기를 가진다. 이들 물질은 폴리우레탄 반응을 촉진한다.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추가의 기는 예를 들어 1차 아미노기, 알콜기 또는 티올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사용되는 반응성 사슬 연장제(e)는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성 사슬 연장제(e)를 각각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서, 반응성 사슬 연장제(e)는 방향족 디아민, 특히 톨릴렌디아민, 또는 이의 유도체, 예컨대 3,5-디에틸톨릴렌-2,4-디아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반응성 사슬 연장제(e)는 지방족이고,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개의 기 사이에, 각각 1개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2 이상의 알킬렌기를 가지며, 이 때 상기 알킬렌기는 이종원자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개의 기는 특히 아미노기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반응성 사슬 증랑제(e)의 몰질량은 바람직하게는 100∼4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200 g/mol, 특히 100∼150 g/mol이다. 지방족 반응성 사슬 연장제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성 사슬 연장제(e)로서 특히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민이 사용된다.
폴리올 성분 중의 반응성 사슬 연장제의 비율은 성분 (b) 내지 (f)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 특히 1.5∼4.0 중량%이다.
반응성 사슬 연장제(e)와 함께, 적당한 경우 하나 이상의 유리 1차 NH2 기를 가지고, 폴리우레탄 반응을 촉진하며, 작용가가 2보다 큰 반응성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응성 사슬 연장제(e)와 함께, 추가의 종래 사슬 연장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예는 디올,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틸렌 글리콜 및 부탄디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반응성 사슬 연장제와 디올로 이루어진 사슬 연장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추가의 첨가제(f)는 발포제, 틱소트로픽 효과를 발현하는 첨가제, 충전제, 항산화제, 염료, 안료, 형광증백제 및 열, 빛 및/또는 UV선에 대한 안정화제와, 가소제 또는 계면활성제이다.
적절한 이형제로서 언급할 수 있는 예는 다음과 같다: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과 지방산을 포함하는 염, 탄소 원자가 8개 이상인 포화 또는 불포화 (환상)지방족 카르복실산과 3차 아민을 포함하는 염과, 특히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또는 카르복스아미드와 같은 내부 윤활제로서, 예를 들어 EP 153 6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몰질량이 60∼400 g/몰인 적어도 2작용성 알칸올아민,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을 사용하여, 몬탄산과 탄소 원자가 10개 이상인 하나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를 통해서, 또는 예를 들어 DE-A-3 607 4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기 아민, 스테아르산의 금속염, 및 유기 모노- 및/또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또는 예를 들어 US 4 764 5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미노 화합물,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및 적당한 경우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사용되는 발포제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용으로 공지된 임의의 발포제일 수 있다. 이들은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발포제는 예를 들어 문헌["Kunststoffhandbuch[플라스틱 핸드북], volume 7, Polyurethane[폴리우레탄], Carl Hanser Verlag, 3rd edition 1993, chapter 3.4.5.]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적 발포제는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을 통해 기상 생성물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이들 발포제의 예는 물 또는 카르복실산이다. 여기서, 물리적 발포제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출발 물질 중에 용해 또는 유화된 형태로 존재하고 폴리우레탄 형성 조건 하에서 증발하는 화합물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기타 화합물, 예를 들어 퍼플루오르화 알칸, 예컨대 퍼플루오로헥산, 플루오로클로로카본 및 에테르, 에스테르, 케톤 및/또는 아세탈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수발포된다. 수발포된 폴리우레탄 시스템 중 물의 비율은 성분 (b) 내지 (f)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1.5 중량%, 특히 0.4∼1.1 중량%이다.
항산화제와, 열, 빛 및/또는 UV선에 대한 안정화제의 예는 입체 장애 페놀군의 안정화제, 예컨대 Cyanox 1790®(Cytec Industries INC에서 입수), HALS 안정화제(입제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트리아진, 벤조페논 및 벤조트리아졸이다. 안료 및 소광제의 예는 이산화타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실리콘유, 산화아연 및 황산바륨이다. 염료의 예는 산성 염료 및 분산 염료이다.
본 발명은 (i) 코어층과 하나 이상의 강화 섬유층을 준비하고, (ii) 강화 섬유층에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도포하고, (iii) 상기 (ii)의 부재를 몰드에 넣고 몰드 내에서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경화시키고, (iv) 몰드로부터 성형체를 분리하고, 적당한 경우 추가의 조작을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코어층을 위해 사용되는 바람직한 재료는 열성형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그 밖에 페이퍼 하니콤, 금속 하니콤 또는 플라스틱 하니콤이다. 사용되는 바람직한 강화 섬유층은 유리 섬유 매트, 유리 섬유 부직포, 랜덤 유리 섬유층, 직포 유리 섬유, 절단 또는 분쇄 유리 섬유 또는 절단 또는 분쇄 미네랄 섬유, 천연 섬유 매트 및 편직 천연 섬유, 절단 천연 섬유 및 절단 섬유 매트, 및 중합체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응하는 부직포 및 편직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강화 섬유층을 코어층의 한면 또는 코어층의 양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성분 (a) 내지 (f)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생성된 샌드위치 반제품에 도포한다. 이는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의 스프레이 도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의 25℃에서의 점도는 혼합 직후 바람직하게는 280∼3000 m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2000 mPas이며, 혼합 과정 약 5∼10초 후에 점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각 성분을,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80∼200, 특히 90∼150이 되는 방식으로 혼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의 화학양론적 비율에 100을 곱한 것이다.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는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되는 임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이며, 이소시아네이트기 자체는 아니다.
그 다음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를 몰드에 넣고,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경화시킨다. 여기서 몰드 온도는 110℃ 이하이다. 몰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110℃, 바람직하게는 50∼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90℃이다.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를, 적당한 경우 외층 또는 장식층에 적층한다. 여기서 외층 또는 장식층을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적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탈형 후에, 추가의 조작으로 외층 또는 장식층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장식층의 예는 폴리우레탄 침투에 대한 차단층을 가지는 직물, 압축 또는 발포형 플라스틱 호일과, 또한 폴리우레탄 스프레이 스킨 또는 폴리우레탄 RIM 스킨이다. 사용할 수 있는 외층은 옥외 용도로 적당한 예비성형 재료, 예컨대 금속박 또는 금속 시트와, 코팅된, 코팅가능한 또는 착색된 형태의,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ASA(아크릴레이트 변성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원중합체), PC(폴리카르보네이트), PA(폴리아미드),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PPO(폴리페닐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압축 열가소성 복합재이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외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멜라민-페놀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제조된 외층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큰 장점은 몰드 온도 감소에 의해서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로의 적층을 위해 비교적 열에 민감한 장식층, 예를 들어 PVC(폴리염화비닐),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자동차용 카펫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들의 후속 단계로의 적용을 미루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는 예를 들어 구조 성분 또는 클래딩 성분으로서, 특히 자동차 산업, 가구 산업 또는 건축 산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적층시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를, 적당한 경우 플래쉬 페이스(flash face) 또는 핀치 에지(pinch edge)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정리하고, 여기서 추가의 후속 조작, 예컨대 스탬핑 또는 밀링은 필요하지 않다.
특히, 반응성 사슬 연장제(e)가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는 본 발명의 반응성 사슬 연장제(e)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부재와 비교하여 낮은 처리 온도 및 연부 개선의 장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응성 사슬 연장제(e)가 사용되는 경우 폴리우레탄 혼합물이 코어층으로 덜 침투하며, 따라서 그 결과 샌드위치 부재의 중량을 줄이고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반응성 사슬 연장제(e)를 사용하면,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로부터 재료가 흘러내리는 경향이 적어지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 과정에서 설비 오염이 감소된다.
이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폴리올 1: 글리세롤에 PO를 부가하여 제조한, OH가가 555 mg 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올 2: 트리메틸올프로판에 EO를 부가하여 제조한, OH가가 935 mg 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올 3: 수크로스/디에틸렌 글리콜 혼합물 상에 EO/PO를 부가하여 제조한, OH가가 400 mg 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안정화제: Tegostab®B8443, 실리콘 안정화제, GE Bayer Silicones
촉매 1: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이소프로판올아민
촉매 2: 에틸렌 글리콜 중의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이소프로판올아민의 아디프산염
촉매 3: 디에틸톨루엔디아민
염료: Isopur® SU-12021/9111, ISL-Chemie
폴리이소시아네이트: Lupranat® M20W, BASF SE
여기서 촉매 2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아디프산 900 g을 5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칭량하고 에틸렌 글리콜 2100 g 중에 슬러리화하였다. 오일조에서 환류 하에 교반하면서 전체 시스템을 70℃로 가열한 다음, 적하 깔대기의 보조 하에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이소프로판올아민 1000 g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로서 혼합물이 추가 가열되고, 지금까지 슬러리화되기만 한 아디프산이 반응하여 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용해되었다. 적색 점성 액체가 형성되었다.
Figure pct00001
폴리올 혼합물(폴리올 1 내지 3)의 평균 OH가는 600 mg KOH/g이다.
Figure pct00002
폴리올 혼합물(폴리올 1 내지 3)의 평균 OH가는 598 mg KOH/g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혼합 내역 1에 따라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고압 스프레이 시스템으로 서로 혼합하고, 준비한 샌드위치 반제품에 스프레이 도포하였다. 특히, PU 반응 혼합물 ~ 225 g/m2를 두께 17 mm의 확장가능한 하니콤 판지의 양면에 스프레이하였는데, 상기 양면은 225 g/m2의 랜덤 유리 매트로 덮혀있다. 이어서,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를 85℃로 가열된 몰드에서 두께 15.5 mm 부재로 압축하고, 60초 후에 탈형하였다. 탈형 후에 얻은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는, 특히 예리한 연부(sharp-edged) 영역에서, 매우 양호한 연부를 나타낸다.
비교예 1
혼합 내역 2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절차를 진행하였다. 몰드로 삽입하기 전에, 스프레이 도포된 반응 혼합물의 상당 부분이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로부터 흘러내렸다. 60초 후에 탈형시 얻은 성형체는 완전히 경화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비교예 2
혼합 내역 2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절차를 진행하였으나, 몰드 온도 130℃에서 60초 동안 압축하였다. 여기서도, 스프레이 도포된 반응 혼합물의 상당 부분이 미완성 샌드위치 부재로부터 흘러내렸다. 60초 후에 탈형시 얻은 부재는 연부에 특징적인 결합이 있는 완전히 경화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였다.

Claims (9)

  1.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c) 1종 이상의 아민 촉매의 카르복실산염,
    (d) 적절한 경우, 추가의 촉매,
    (e) 적절한 경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가지는 반응성 사슬 연장제(이 때,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1 이상의 기는 유리 1차 NH2 기임), 및
    (f) 적절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서, 상기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는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는 코어층의 압축을 통해 3차원 형상을 얻고, 아민 촉매의 아민 1 당량을 기준으로 카르복실산의 산기 0.5∼1.5 당량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화학식 HOOC-(CH2)n-COOH(이 때, n은 2 ∼14의 정수임)의 디카르복실산인 용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촉매 c)는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가지는 것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시스템 중에 반응성 사슬 연장제 e)가 성분 b) 내지 f)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용도.
  6. i. 코어층과 하나 이상의 강화 섬유층을 준비하는 단계,
    ii. 강화 섬유층에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iii. 상기 ii.의 부재를 몰드에 넣고 몰드 내에서 코어층을 압축하여 ii.의 부재를 3차원 형상으로 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iv. 몰드로부터 성형체를 분리하고, 적당한 경우 추가의 조작을 실시하는 단계에 의해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우레탄 시스템의 성분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인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몰드 온도는 110℃ 이하인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단계 iii.의 몰드는 장식용 요소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제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
KR1020107021862A 2008-03-20 2009-03-18 낮은 성형 온도에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시스템 KR101663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3054.5 2008-03-20
EP08153054 2008-03-20
PCT/EP2009/053171 WO2009115540A2 (de) 2008-03-20 2009-03-18 Polyurethansysteme für die herstellung von polyurethan-sandwichteilen bei geringen formtemperatu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16A true KR20110007116A (ko) 2011-01-21
KR101663327B1 KR101663327B1 (ko) 2016-10-06

Family

ID=4099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862A KR101663327B1 (ko) 2008-03-20 2009-03-18 낮은 성형 온도에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65840B2 (ko)
EP (1) EP2257580B1 (ko)
KR (1) KR101663327B1 (ko)
CN (1) CN101977954B (ko)
AT (1) ATE548401T1 (ko)
CA (1) CA2717054C (ko)
MX (1) MX2010009337A (ko)
WO (1) WO200911554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78B1 (ko) * 2011-06-29 2015-06-16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폴리우레탄 포움의 방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
KR20190003934A (ko) * 2014-12-22 2019-01-10 마그나 스티어 파르초이크테시닉 아게 운트 코. 카게 샌드위치형 구성요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8354A1 (de) * 2012-09-12 2014-03-1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andwichelementen
EP3039047B1 (en) * 2013-08-26 2021-10-13 Huntsman Petrochemical LLC Reduction of aldehyde content in amine catalysts
ES2662398T3 (es) * 2014-12-22 2018-04-06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componente tipo sándwich
RU2721046C2 (ru) 2015-05-27 2020-05-15 Басф Се Применен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геологических образований в нефтя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ях, газовых месторождениях, на площадках откачки воды, при добыче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ил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туннелей
CA2987326C (en) 2015-05-28 2023-09-12 Basf Se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compound comprising outstanding mechanical properties
DK3303437T3 (da) 2015-05-29 2020-03-16 Basf Se Polyurethan-polyisocyanurat-harpiks til fiber-kompositmaterialer med lang åben klæbetid
EP3727832B1 (de) * 2017-12-21 2022-02-0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andwich-formteilen
WO2019180131A1 (de) * 2018-03-23 2019-09-26 Covestro Deutschland Ag Wässrige uretdiongruppenhaltige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3830167A1 (en) * 2018-07-27 2021-06-09 Basf Se A panel constructio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s an automotive part
KR20210105963A (ko) 2018-12-20 2021-08-27 바스프 에스이 컴팩트 폴리우레탄
US11124615B2 (en) * 2019-03-29 2021-09-21 Covestro Llc Laminated parts containing a slip resistant and water resistant outer layer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KR20220049564A (ko) 2019-08-19 2022-04-21 바스프 에스이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US20220332945A1 (en) 2019-09-12 2022-10-20 Basf Se Pu composite resins
TW202311387A (zh) * 2021-05-24 2023-03-16 日商Dic股份有限公司 預浸體、預浸體的製造方法及成形品
CN116253853A (zh) * 2023-01-02 2023-06-13 黎明化工研究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高粘接快脱模聚氨酯组合物及制备聚氨酯制品的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618A (en) * 1993-11-29 1996-02-06 Osi Specialt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
WO2006099939A1 (de) * 2005-03-19 2006-09-28 Hennec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verbundteil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5875A1 (de) 1984-02-18 1985-08-22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lligen oder kompakten polyurethan-polyharnstoff-formkoerpern mit verbesserten entformungseigenschaften sowie innere formtrennmittel fuer das polyisocyanat-polyadditionsverfahren
DE3607447A1 (de) 1986-03-07 1987-09-1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mit einem zelligen kern und einer verdichteten randzone mit verbesserten entformungseigenschaften
ES8800697A1 (es) 1986-06-10 1987-12-01 Hoocker Sa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dispersiones de polimeros en poliesteres hidroxilados.
DE3631842A1 (de) * 1986-09-19 1988-03-24 Basf Ag Innere formtrennmittel,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nach dem polyisocyanat-polyadditionsverfah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ormkoerper
DE3703398A1 (de) * 1987-02-05 1988-08-18 Bodo Guenzel Verfahren zur erzeugung geschaeumter kunststofformteile sowie formteile aus geschaeumten kunststoff
CA2132595C (en) * 1993-09-22 1999-03-16 Thomas L. Fishback Polyol composition having good flow and water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s made thereby having good dimensional stability
JP4147637B2 (ja) * 1998-09-21 2008-09-10 東ソー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製造用の触媒
DE10062129A1 (de) * 2000-12-13 2002-06-20 Basf Ag Verbundelemente enthaltend Polyisocanat-Polyadditionsprodukte
WO2008113751A1 (de) * 2007-03-19 2008-09-25 Basf Se Polyurethansysteme für die herstellung von polyurethan-sandwichteil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618A (en) * 1993-11-29 1996-02-06 Osi Specialt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
KR0180255B1 (ko) * 1993-11-29 1999-05-15 제임스 에이치.코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WO2006099939A1 (de) * 2005-03-19 2006-09-28 Hennec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verbundteil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78B1 (ko) * 2011-06-29 2015-06-16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폴리우레탄 포움의 방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
US9968919B2 (en) 2011-06-29 2018-05-15 Evonik Degussa Gmbh Reducing emissions in polyurethane foam
KR20190003934A (ko) * 2014-12-22 2019-01-10 마그나 스티어 파르초이크테시닉 아게 운트 코. 카게 샌드위치형 구성요소
US10300676B2 (en) 2014-12-22 2019-05-28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Sandwich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7954B (zh) 2013-03-27
WO2009115540A2 (de) 2009-09-24
ATE548401T1 (de) 2012-03-15
US8465840B2 (en) 2013-06-18
CN101977954A (zh) 2011-02-16
US20110014480A1 (en) 2011-01-20
WO2009115540A3 (de) 2009-11-19
MX2010009337A (es) 2010-09-14
CA2717054C (en) 2017-02-28
EP2257580A2 (de) 2010-12-08
KR101663327B1 (ko) 2016-10-06
CA2717054A1 (en) 2009-09-24
EP2257580B1 (de)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5840B2 (en) Polyurethane systems for producing polyurethane sandwich parts at low molding temperatures
US8431058B2 (en) Polyurethane systems for production of polyurethane sandwich components
US20030134085A1 (en) Laminated parts made of outer layers and polyurethane sandwich materials and their production
US20090001626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molded articles
KR101752514B1 (ko)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KR102344130B1 (ko) 폴리우레탄에 기초한 인발성형된 제품의 제조 방법
JP7296966B2 (ja) ポリウレタンサンドイッチ成形品の製造方法
EP2438101B1 (de) Verbundteile enthaltend plastisch verformbaren polyurethanhartschaumstoff, klebstoff und abdeckmaterial
US11548244B2 (en) Laminated parts containing a slip resistant and water resistant outer layer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US515148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inforced polyurethane moldings by the reaction injection molding process
JP4062730B2 (ja) 自動車内装材の製造方法
CN114174037A (zh) 对型材进行二次成型以生产成形制品、通过所述二次成型获得的成形制品以及所述成形制品的用途
WO2023219764A1 (en) High temperature stable sandwich panels
WO2023186714A1 (en) A panel constructio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s an automotive part
JPH01130940A (ja) 積層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