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514B1 -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 Google Patents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514B1
KR101752514B1 KR1020127000371A KR20127000371A KR101752514B1 KR 101752514 B1 KR101752514 B1 KR 101752514B1 KR 1020127000371 A KR1020127000371 A KR 1020127000371A KR 20127000371 A KR20127000371 A KR 20127000371A KR 101752514 B1 KR101752514 B1 KR 10175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adhesive
weight
polyurethane foam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717A (ko
Inventor
피크리 엠라흐 알렘다로글루
곤잘레스 알폰소 파체코
게오르크 파르투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2003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5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41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oxyeth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5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mixed oxyethylene-oxypropylene or oxyethylene-higher oxyalk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8Thermoform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60Compositions for foaming; Foamed or intumescent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80Compositions for aqueous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성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도입하고 이것을 접착제로 라이닝 재료에 접합시킴으로써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라이닝 재료로부터 복합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용되는 접착제는 물과 접촉됨으로써 경화되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이고, 상기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화학량론적 과량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를 50 중량%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복합 부품 및 차량에서, 더 특히 지붕 라이너로서 상기 복합 부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COMPOSITE PARTS CONTAINING PLASTICALLY DEFORMABLE RIGID POLYURETHANE FOAM, ADHESIVE, AND COVERING MATERIAL}
본 발명은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도입하고 이것을 접착제로 라이닝 재료에 접합시킴으로써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라이닝 재료로부터 복합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용되는 접착제는 물과 접촉됨으로써 경화되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이고, 상기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화학량론적 과량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를 50 중량%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복합 부품 및 차량에서, 더 특별하게는 지붕 라이너로서 상기 복합 부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로도 불리는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자동차에서 내부 트림으로서 이의 용도는 공지이며 예컨대 문헌("Kunststoffhandbuch, Volume 7, Polyurethane", Carl Hanser Verlag, 3rd edition 1993, section 6.5.4.1)에 개시된다. 이 출원에서 내부 트림의 제조를 위한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성형 단계 동안 또는 성형이 일어난 후 주형에서 소성 변형되며, 라이닝 재료와 함께 라미네이팅된다. 사용되는 라이닝 재료는 예컨대 유리섬유 매트와 같은 보강재 및/또는 예컨대 부직포와 같은 장식재이다. 소성 변형 동안 또는 소성 변형 후, 이들 라이닝 재료는 접착제,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에 의하여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부착된다. 여기서 라이닝 재료에 의한 라미네이팅이 소성 변형과 더불어 한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가 특별히 유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들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라이닝 재료의 라미네이팅은 예컨대 EP 437787호 및 DE 4333795호에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라이닝 재료의 접착제 접합에 사용된다. 수분 경화성 1-성분 접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접착제가 아직 압축되지 않은 강성 발포체에 도포되는 경우, 발포체는 물이 분무되고 라이닝 재료와 라미네이팅되며, 라미네이트는 승온에서 주형 안에서 압축된다.
사용되는 수분 경화성 1-성분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촉매가 제공된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이다. 주석계 촉매 또는 3급 아민 촉매를 포함하는 이러한 종류의 수분 경화성 1-성분 접착제는 예컨대 EP 464483호에 개시된다. WO 2004/033519호는 비스무트계 촉매를 포함하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러한 접착제의 단점은 경화에 장시간이 요구되고 복합 부품 제조를 위해 주형에서 장시간을 소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긴 탈형 시간으로 제조 공정의 비용이 비싸진다.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고 지붕 라이너라 불리는 지붕 부분에서의 트림 부품으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부과되는 요건은 다양한다. 따라서, 이들은 일정한 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예컨대 냄새나는 임의의 유해한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야 한다. 지붕 라이너의 특히 중요한 기능은 음향 시설에의 이의 기여이다. 여기서의 특별한 과제는 공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들 지붕 라이너 특성의 품질은 사용되는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특성 및 사용되는 접착제에 크게 의존한다. 양호한 공기 소음 흡수를 위해, 공기 투과능이 매우 높은 지붕 라이너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라이닝 재료 및 최종 제품의 부품에서 최소 방출 수준에 의하여 낮은 악취 소음에 기여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뛰어난 음향 특성을 갖고 객실에서 악취 소음을 유발하지 않으며 강성 복합 부품을 제공하고 적은 탈형 시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부품, 특히 자동차용 지붕 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도입하고 이것을 접착제로 라이닝 재료에 접합시킴으로써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라이닝 재료로부터 복합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었으며, 상기 사용되는 접착제는 물과 접촉됨으로써 경화되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이고, 상기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화학량론적 과량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를 50 중량% 이상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라이닝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라이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재료이다. 이들 재료는 유리 섬유 매트, 가요성 발포체 층, 직포, 편물 및 부직포와 같은 직물, 및 또한 통상의 라이닝 재료의 조합을 포함한다.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로서 임의의 종래의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예컨대 EP 437787호, DE 4333795호 및 DE102004062540호에 개시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셀이며 바람직하게는 냄새 형성을 유발하는 임의의 물질을 방출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a)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b1) 히드록실가가 150∼650이고 1급 히드록실기의 분율이 70%를 초과하는 2-작용성 내지 4-작용성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및 b2) 히드록실가가 25∼40이고 1급 히드록실기의 분율이 70%를 초과하는 이작용성 내지 삼작용성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포함하는 b) 폴리에테롤, 임의로 c)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 d) 발포제, e) 촉매, 및, 임의로, f) 보조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고 이 반응 혼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80∼160℃, 더 바람직하게는 100∼150℃의 주형 온도에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사용되는 성분 a) 내지 f)는 폴리우레탄 화학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성분이다.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b1)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에틸렌 옥시드를 포함한다.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b2)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옥시드를 포함한다.
언급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b1) 및 b2) 외에, 추가의 폴리에테롤, 폴리에스테롤과 같은 추가의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폴리티올 또는 폴리아민과 같은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합물 b)의 총 중량의 비율로서 화합물 b1) 및 b2)의 중량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더 특히 80 중량% 이상이다.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b1) 및 b2)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0.8:1 내지 1.5:1이다.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 c)로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트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기 자체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특히 95 중량% 이상의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표면 활성 물질, 디글리콜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오르토인산과 같은 억제제, 가소제, 무기 충전제, 예컨대 모래, 카올린, 백악, 황산바륨, 이산화규소, 산화 안정화제, 염료 및 안료, 예컨대 가수분해, 빛, 열 또는 탈색에 대한 안정화제, 유기 및/또는 무기 충전제, 유화제, 난연제, 노화 억제제, 접착 촉진제 및 보강제, 및 또한 폴리우레탄 화학업계에 보편적인 촉매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점도는 DIN 53 018에 따라 25℃에서 측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500∼5000 mPas, 더 바람직하게는 1000∼3000 mPas 범위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제공된다.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함유하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및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의 반응 생성물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과량으로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종래 기술의 방향족의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 모두 및 또한 이들의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이다. 방향족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는 4,4', 2,4' 및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환식 고급 동족체(중합체 MDI)의 혼합물,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2,4,6-톨루엔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2,4-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환식 고급 동족체(중합체 MDI), 및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우레톤이민, 및 더 특히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갖는 모든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분자량은 400 g/몰 이상이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의 알콕실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롤, 폴리에테롤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롤은 예컨대 촉매로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를 사용하고 2∼5, 바람직하게는 2∼4, 더 바람직하게는 2∼3, 더 특히 2 개의 반응성 수소 원자를 결합 형태로 포함하는 1 이상의 개시제 분자를 첨가하여 음이온 중합하거나 또는 알킬렌 라디칼에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로부터 오염화안티몬 또는 삼불화붕소 에테레이트와 같은 루이스산으로 양이온 중합하는 것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추가로, 촉매로서 DMC 촉매라 불리는 다금속 시안화물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당한 알킬렌 옥시드의 예는 테트라히드로푸란, 1,3-프로필렌 옥시드, 1,2- 및/또는 2,3-부틸렌 옥시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및 1,2-프로필렌 옥시드를 포함한다. 알킬렌 옥시는 개별적으로, 교대로 연속해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1,2-프로필렌 옥시드, 에틸렌 옥시드 또는 1,2-프로필렌 옥시드와 에틸렌 옥시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려되는 개시제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2가 및 3가 알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2- 또는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글리세롤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이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은 2∼5, 더 바람직하게는 2∼3의 작용가 및 400∼9000, 바람직하게는 1000∼6000, 더 바람직하게는 1500∼5000, 및 더 특히 2000∼4000 g/몰의 분자량을 갖는다. 폴리에테르 폴리올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2500 g/몰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 화합물 외에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하나만 갖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들은 예컨대 모노아민, 모노티올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를 베이스로 하는 모노알콜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일작용성 개시제 분자로부터 출발하여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모노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이다. 이들 화합물은 상기 개시된 폴리에테롤과 유사하게 개시제 분자에 알킬렌 옥시드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에테르 모노올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분율의 1급 OH 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모노올의 제조에서, 알킬렌 옥시드로서 에틸렌 옥시드가 배타적으로 사용된다.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1000 g/몰, 더 바람직하게는 200∼600 g/몰이다.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대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2 이상의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1, 더 바람직하게는 1:20 대 10:1이다.
임의로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는 폴리올의 첨가 전, 폴리올의 첨가와 더불어 또는 폴리올의 첨가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되는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400 g/몰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350 g/몰인 물질이고, 사슬 연장제는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고 가교결합제는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는다. 이들 화합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슬 연장제가 사용될 경우, 1,3- 및 1,2-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탄디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슬 연장제, 가교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교적 고분자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유리하게는 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50 중량%,더 특히 2∼4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는 예컨대 30∼100℃,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상기 개시된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반응시켜 예비중합체를 생성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의 비가 1.5:1 내지 15:1, 바람직하게는 1.8:1 내지 8:1이도록 서로 혼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는, 제조되는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이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30 중량%, 더 특히 10∼25 중량%인 비로,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화합물,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사슬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를 서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이소시아네이트를 바람직하게는 박막 증류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100∼5000 mPas이다. 각 경우 25℃에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하는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점도가 500∼3000 mPas이고, 한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하는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점도가 600∼3000 mPas이다.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가는 바람직하게는 2.0∼2.9, 더 바람직하게는 2.1∼2.6이다.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또한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촉매는 예컨대 2,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과 같은 아미딘, 3급 아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메벤질아민, N-메틸-, N-에틸-, N-시클로헥실모르폴린,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에틸 에테르, 비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아, 디메틸피페라진, 1,2-디메틸이미다졸, 1-아자비시클로[3.3.0]옥탄, 및, 바람직하게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및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메틸- 및 N-에틸-디에탄올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과 같은 알칸올아민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촉매로서 유기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유기 카르복실산의 주석(II) 염, 예컨대 주석(II) 아세테이트, 주석(II) 옥토에이트, 주석(II) 에틸헥소에이트 및 주석(II) 라우레이트, 및 유기 카르복실산의 디알킬주석(IV) 염, 예컨대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레에이트 및 디옥틸주석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주석 화합물, 및 또한 비스무트(III)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무트 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비스무트 옥타노에이트와 같은 비스무트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고려된다. 유기금속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염기성 아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예비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의 촉매를 첨가하거나, 특히 촉매를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촉매 조합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복합 부품의 제조에서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m2 당 20∼300 g, 더 바람직하게는 50∼200 g의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물과 접촉함으로써 경화된다. 이 경우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워터글래스"라고 불리는 화학식 M2OㆍSiO2(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이고 M2O:SiO2 비는 가변적임)의 공지되고 시판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이다. 상이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의 혼합물, 예컨대 규산나트륨 및 규산칼륨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기서 N2O:K2O 비는 바람직하게는 99.5:0.5 내지 25:75이다. M2O 대 SiO2의 몰비는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고 보통 4∼0.2, 바람직하게는 1.5∼3이다. 바람직한 규산나트륨이 사용되는 경우, Na2O 대 SiO2의 중량비는 예컨대 1:1.6 내지 1:3.3,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3으로 달라진다.
수용액 중의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의 농도는 점도 또는 요구되는 물 함량 면에서의 특별한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수용액 중의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일반적으로 2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이다. 여기서는 불포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액은 포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용액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수득된다.
물 대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20 내지 3:1,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이다. 이것은 접합되는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표면적 m2 당 1∼400 g의 도포에 상응한다. 접합되는 표면적 m2 당 50∼130 g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 복합 부품의 제조에서, 가장 먼저 도입되는 것은 보통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다. 상기 발포체는 한면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면이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코팅되고, 물 또는 수용액이 분무된다. 이어서, 라이닝 재료가 도포되고, 복합재는 승온, 바람직하게는 60∼180℃, 더 바람직하게는 100∼150℃에서 주형에서 성형되며,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경화된다. 바람직한 비율이 관찰되는 경우, 이 처리로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발포가 일어남으로써,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연속 셀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복합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선박 및 항공기의 트림 부품으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트림 부품, 특히 지붕 라이너로서 사용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 방법은 탈형 시간을 빠르게 하므로 생산 유닛을 더 비용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사용으로 뛰어난 공기 소음 흡수 및 높은 강성을 나타내는 지붕 라이너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점도가 낮아 가공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실시예에 의하여 예시된다.
개시 물질
폴리올 1: 주로 1차 OH 기를 갖고 프로필렌 글리콜로부터 출발하여 제조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OHN 30 mg KOH/mg) (조성 80% 프로필렌 옥시드, 20% 에틸렌 옥시드)
폴리올 2: 메틸폴리에틸렌 글리콜 (OHN 113 mg KOH/mg)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PMDI)
촉매 1: 유기주석 에스테르
억제제 1: 디글리콜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DIBIS)
억제제 2: 오르토-인산, 85%
예비중합체 1 (비교):
교반 탱크에 70 중량부의 PMDI 및 0.01 중량부의 억제제 1을 넣고, 이 초기 장입물을 교반하면서 55℃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29.7 중량부의 폴리올 1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가 종료된 다음 추가로 120분 동안 교반하고, 25℃로 냉각하고, 방출한다.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 및 점도는 각각 20.6% 및 1021 mPas였다. 이어서, 0.2 중량부의 촉매 1 및 0.03 중량부의 억제제 2를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 2 (발명):
교반 탱크에 70 중량부의 PMDI 및 0.01 중량부의 억제제 1을 넣고, 이 초기 장입물을 교반하면서 55℃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29.7 중량부의 폴리올 1 및 폴리올 2의 혼합물(중량비 10:1)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가 종료된 다음 추가로 120분 동안 교반하고, 25℃로 냉각하고, 방출한다.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 및 점도는 각각 20.6% 및 845 mPas였다. 이어서, 0.2 중량부의 촉매 1 및 0.03 중량부의 억제제 2를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 3 (발명):
교반 탱크에 70 중량부의 PMDI 및 0.01 중량부의 억제제 1을 넣고, 이 초기 장입물을 교반하면서 55℃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29.6 중량부의 폴리올 1 및 폴리올 2의 혼합물(중량비 1:2)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가 종료된 다음 추가로 120분 동안 교반하고, 25℃로 냉각하고, 방출한다.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 및 점도는 각각 20.7% 및 617 mPas였다. 이어서, 0.2 중량부의 촉매 1 및 0.03 중량부의 억제제 2를 첨가하였다.
테스트:
발포체 1 (비교):
91.8 중량부의 예비중합체 1 및 8.2 중량부의 물을 실온에서 서로 혼합하고 연속 셀 및 성긴 셀 발포체 1을 수득하였다.
발포체 2:
91.8 중량부의 예비중합체 2 및 8.2 중량부의 물을 실온에서 서로 혼합하고 연속 셀 및 성긴 셀 발포체 2를 수득하였다.
발포체 3:
91.8 중량부의 예비중합체 3 및 8.2 중량부의 물을 실온에서 서로 혼합하고 연속 셀 및 성긴 셀 발포체 3을 수득하였다.
상기 예비중합체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지붕 라이너의 강성을 ASTM D790 J949에 따라 측정하였다.
발포체 1 (비교) 발포체 2 발포체 3
개시 시간[초] 68 63 61
셋팅 시간[초] 223 197 178
기동 시간[초] 357 325 306
밀도 [g/l] 27.8 23.4 22.7
셀 구조 성김 성김 성김
점도[mPas] 1021 845 617
비슷한 개시 시간에 대하여 셋팅 시간 및 기동 시간이 적어서, 더 빠른 주기 시간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예비중합체의 점도가 더 낮아 가공 특성이 개선된다.
예비중합체 1 내지 3을 사용하여, 지붕 라이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이것에 사용되는 층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1. 부직포 190 g/m2 Fytisa (1.1 mm)
2. MatGlass Fiber 100+/-10 g/m2 Owens Corning Vetrotex
3. 물 25 g/m2
4. 접착제 100 g/m2
5.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RG20 Elastoflex E 3943/120 10.6 mm
6. 접착제 100 g/m2
7. 물 25 g/m2
8. MatGlass Fiber 100+/-10 g/m2 Owens Corning Vetrotex
9. 보강측에 LDPE를 갖는 부직포 PET (45 g/m2 PET fiber+15 g/m2 LDPE) Fytisa (0.25 mm)
재료를 130℃에서 주형에서 압축 성형하고 제조된 지붕 라이너의 강성을 ASTM D790 J949에 따라 측정하였다(압축 12 mm). 표 2는 제조된 지붕 라이너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지붕 라이너 1
(비교)
지붕 라이너 2 지붕 라이너 3
100 g/m2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완전한 지붕 라이너의 강성 (N/mm2) 8.1 9.8 11.6
상기 표는 본 발명 예비중합체 2 및 3이 사용될 때 완전한 지붕 라이너는 비교 테스트로부터의 지붕 라이너보다 강성이 더 큼을 나타낸다.

Claims (12)

  1.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도입하고 이것을 접착제로 라이닝 재료에 접합시킴으로써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라이닝 재료로부터 복합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되는 접착제는 물과 접촉되어 경화되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이고, 상기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화학양론적 과량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고, 400 g/몰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 및 사슬 연장제, 가교결합제, 또는 사슬 연장제 및 가교결합제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를 베이스로 하는 폴리에테르 모노올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의 분자량이 100∼1000 g/몰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고, 400 g/몰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 대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가 1:30 내지 20:1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수용액으로 경화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말단 예비중합체는 NCO 함량이 5∼30 중량%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수용액 이외에,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데 추가의 촉매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인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열성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적 m2 당 20∼300 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성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라이닝 재료 및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60∼180℃의 주형 온도를 갖는 주형에서 접합시키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복합 부품.
  11. 제10항에 따른 복합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12. 삭제
KR1020127000371A 2009-06-05 2010-06-02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KR101752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2054.2 2009-06-05
EP09162054 2009-06-05
PCT/EP2010/057679 WO2010139710A1 (de) 2009-06-05 2010-06-02 Verbundteile enthaltend plastisch verformbaren polyurethanhartschaumstoff, klebstoff und abdeck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717A KR20120034717A (ko) 2012-04-12
KR101752514B1 true KR101752514B1 (ko) 2017-06-29

Family

ID=4255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371A KR101752514B1 (ko) 2009-06-05 2010-06-02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38102B1 (ko)
JP (1) JP5680629B2 (ko)
KR (1) KR101752514B1 (ko)
CN (1) CN102822221B (ko)
WO (1) WO2010139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2513U1 (de) * 2010-12-02 2012-06-15 Schaefer Philipp Verbundmaterial
EP2597107A1 (de) * 2011-11-28 2013-05-29 Basf Se Verbundteile enthaltend plastisch verformbaren Polyurethanhartschaumstoff, Klebstoff und Abdeckmaterial
CN103833955A (zh) * 2014-02-20 2014-06-04 青岛宇田化工有限公司 一种专门用于复合材料拉挤工艺的双组份聚氨酯组合料
CN104513352B (zh) * 2014-12-03 2017-06-30 营口天元化工研究所股份有限公司 一种单组份聚氨酯泡沫填缝剂的制备方法
GB201507207D0 (en) 2015-04-24 2015-06-10 Givaudan Sa Enzymes and applications thereof
GB201507170D0 (en) 2015-04-24 2015-06-10 Givaudan Sa Process
GB201618090D0 (en) 2016-10-26 2016-12-07 Givaudan Sa Product
ES2912348T3 (es) * 2017-12-21 2022-05-25 Basf Se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iezas moldeadas en sándwich de poliuretano.
KR20220066831A (ko) * 2020-11-16 2022-05-2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습기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한 헤드라이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헤드라이닝
WO2022261855A1 (en) * 2021-06-16 2022-12-22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Llc One-component polyurethane adhesi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482A1 (en) 2002-10-24 2004-04-29 Zhang Yue S. Moisture cured reactive hot melt adhesive with monofunctional reactants as grafting agents
JP2006070181A (ja) 2004-09-02 2006-03-16 Inoac Corp 水分硬化型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US20080292902A1 (en) 2007-05-24 2008-11-27 Reid Kevin J Moisture cur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4385B1 (fr) * 1989-11-10 1992-05-29 Nat Starch Chem Sa Procede de production d'articles isolants rigides a l'aide d'un adhesif de polyurethanne.
DE4001249A1 (de) * 1990-01-18 1991-07-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ffenzelligen, kaltverformbare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utohimmeln
JP2001047544A (ja) * 1999-08-04 2001-02-20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 サンドウィッチ構造を有する自動車内装材の製造方法
JP2003025452A (ja) * 2001-07-11 2003-01-29 Toyo Tire & Rubber Co Ltd 発泡樹脂製断熱パネル製作方法、及びこの方法で製作した発泡樹脂製断熱パネル
WO2007100502A1 (en) * 2006-02-22 2007-09-0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One-component flexible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CN101220614A (zh) * 2007-12-07 2008-07-16 厦门高特高新材料有限公司 聚氨酯复合保温板及其制造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482A1 (en) 2002-10-24 2004-04-29 Zhang Yue S. Moisture cured reactive hot melt adhesive with monofunctional reactants as grafting agents
JP2006070181A (ja) 2004-09-02 2006-03-16 Inoac Corp 水分硬化型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US20080292902A1 (en) 2007-05-24 2008-11-27 Reid Kevin J Moisture cur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0629B2 (ja) 2015-03-04
EP2438102A1 (de) 2012-04-11
WO2010139710A1 (de) 2010-12-09
JP2012528744A (ja) 2012-11-15
KR20120034717A (ko) 2012-04-12
CN102822221A (zh) 2012-12-12
EP2438102B1 (de) 2013-05-01
CN102822221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514B1 (ko)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US7056976B2 (en) Pultrusion systems and process
KR101663327B1 (ko) 낮은 성형 온도에서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시스템
US8431058B2 (en) Polyurethane systems for production of polyurethane sandwich components
KR102344130B1 (ko) 폴리우레탄에 기초한 인발성형된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20061046A (ko) 소성 변형성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접착제 및 피복재를 함유하는 복합 부품
JP2015507513A (ja) 高反発弾性・低圧縮永久ひずみの低密度ポリウレタン製の靴底または靴底部材
DE102004062540A1 (de) Polyurethan-Hartschaumstoff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ES2912348T3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iezas moldeadas en sándwich de poliuretano.
KR102030863B1 (ko) 소성 변형가능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접착제 및 피복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부품
US20140073712A1 (en) Polyurethanes comprising halogen compounds
US9272489B2 (en) Composite parts comprising plastically deformable rigid polyurethane foam, adhesive and covering material
JP2022515209A (ja) コンパクトなポリウレタン
JPH0414693B2 (ko)
US20050282016A1 (en) Polyester-polyurethane composite structure
BR112020010641B1 (pt) Processo para produzir peças moldadas em forma de sanduíche de poliureta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