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03A -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03A
KR20110006903A KR1020090064524A KR20090064524A KR20110006903A KR 20110006903 A KR20110006903 A KR 20110006903A KR 1020090064524 A KR1020090064524 A KR 1020090064524A KR 20090064524 A KR20090064524 A KR 20090064524A KR 20110006903 A KR20110006903 A KR 2011000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user
carbon emission
emissions
carbon emis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이두행
김진석
신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903A/ko
Priority to PCT/KR2010/004609 priority patent/WO2011008033A2/en
Priority to US13/382,808 priority patent/US20120116792A1/en
Publication of KR2011000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누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탄소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탄소 배출량을 누적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탄소 배출량, 이산화탄소, 탄소 배출권, 환경

Description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TERMINAL CALCULATING CARBON EMMISSION and CARBON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사용자의 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계산 및 누적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지난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는,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들에게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강제 부여함과 동시에 신축적인 이행을 유도하기 위해 배출권 거래제(Emissions Trading)라는 독특한 제도를 도입했다.
상기 제도는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정하고 이를 국가별로 할당하는 것이다. 즉, 어떤 국가가 자국에 부여된 할당량 미만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되면 그 여유분을 다른 국가에 돈을 받고 팔 수 있고, 반대로 할당량을 넘겨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밖에 없는 국가는 초과분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다른 국가로부터 사들이도록 한 것이다.
온실가스 가운데 배출량이 가장 많은 것은 이산화탄소(CO2)이기 때문에 통상 배출권은 ‘탄소배출권’으로 불린다. 아울러 배출 할당량은 국가별로 주어지지만 실제로 배출에 제약을 받는 것은 산업활동을 하는 일선 기업들이어서 탄소배출권 거래는 주로 기업들 사이에서 이뤄지게 된다.
숲이나 조림지는 온실가스를 흡수, 정화할 수 있어 탄소 배출권으로 가치를 인정받는다. 이미 유럽에선 탄소 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이 형성돼 있으며, 호주나 뉴질랜드 같은 나라는 이산화타소 배출량을 늘릴 수 있는 권리가 있기 때문에 배출권을 다른 나라에 팔 수도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전경련과 에너지관리공단이 공동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각 개인에 대하여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려는 움직임은 아직 없으나, 환경 문제가 심각해질 경우, 탄소 배출권은 개인에게도 할당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개인에게 탄소 배출권이 할당되지 않더라도, 최근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각 개인이 자신이 유발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에 대하여 궁금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탄소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누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탄소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탄소 배출량을 누적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단말기를 실시함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의 활동이 유발하는 탄소 배출량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 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 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 중 본 발명의 사상의 달성을 위한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겠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기(100-1)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50-1);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유발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 이에 출력하는 제어부(180-1); 및 상기 탄소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 또는 계산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160-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1)는, 사용자조작에 따른 탄소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1)는, 상기 탄소 배출량의 한 항목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의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탄소 배출량은 배터리 소모에 따른 전력 사용량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1)는 상기 디스플레이(150-1) 및 사용자 입력부(130-1)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탄소 배출 항목 설정 및 각 항목에 대한 사용량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1)는, 카메라 모듈(도 1의 121)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재화 또는 용역 구매에 따라 발급받은 페이퍼 영수증에 탄소 배출량이 텍스트나 바코드 형태로 기재된 경우(즉, 이른바 탄소 영수증을 발급받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나 바코드를 상기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180-1)는 촬영된 텍스트/바코드 사진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탄소 배출량 계산 항목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시한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는 사용자의 활동 항목들을 각 체크 버튼(cb)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배출 항목으로서, 지하철/버스/자가용 이용 같은 교통 수단의 사용, TV/컴퓨터 등 전기기기의 사용, 종이컵 등 일회용품 사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하는 항목들의 체크 박스들(cb)을 터치하여, 탄소 배출을 모니터링할 항목들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설정된 탄소 배출량 계산 항목들에 대한 사용량을 입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모니터링할 탄소 배출 항목들에 해당하는 행위를 수행한 경우, 도 4의 탄소 배출 입력 화면을 활성화하고, 각 탄소 배출 항목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바(sb)를 터치-드래그하여, 사용량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 수단이나 전기기기는 사용 시간으로 입력하며, 일회용품은 사용 개수로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하루 탄소 배출량에 따른 효과를 경고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도 4에서 입력된 사용량에 따른 탄소 배출 모니터링 항목들이 유발하는 총 탄소 배출량을 경고한다. 상기 경고 화면은 사용자가 상세 내역을 원할때 터치할 수 있는 상세 내역 터치 버튼(B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도 5의 상세 내역 터치 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의 하루 탄소 배출량의 세부 내역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시한 탄소 배출량의 세부 내역 화면은, 각 탄소 배출 모니터링 항목의 사 용량 및 이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탄소 배출 모니터링 항목들 중 이동 단말기(휴대폰) 자체에 대한 항목은, 도 4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자체의 사용은 이동 단말기의 2차 전지의 사용량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누적 탄소 배출량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 유발된 탄소 배출량의 하루 누적치, 1주일 누적치, 1달 누적치 및 1년 누적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주간 탄소 배출 현황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시한 그래프는 막대형 그래프이지만, 다른 형태의 그래프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한 그래프는, 각 막대의 부분들로서 세부 내역들의 비율을 나타내었는데, 각 세부 내역들을 각 종류별로 그룹핑하여 나타내었다.
도 9는 월간 탄소 배출 현황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시한 그래프는 꺾은선 그래프이지만, 다른 형태의 그래프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한 그래프는, 복수개의 꺾은 선들을 이용하여 전체 탄소 배출량 및 세부 내역별 탄소 배출량을 나타내었는데, 각 세부 내역들을 각 종류별로 그룹핑하여 나타내었다.
도 10은, 외부 서버에서 탄소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송받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한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50-2);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유발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부(180-2); 상기 탄소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 또는 계산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160-2); 및 외부에서 탄소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11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탄소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 또는 사용자 지시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2)는, 상기 탄소 배출량의 한 항목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의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탄소 배출량은 배터리 소모에 따른 전력 사용량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2)는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정보 수집부(110-2)를 통해 전송받지만, 도 2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디스플레이(150-2) 및 사용자 입력부(130-2)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탄소 배출 항목 설정 및 각 항목에 대한 사용량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겸할 수 있다. ,
상기 이동 단말기가 셀룰러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셀룰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네트워크(예: 인터넷)를 통 해 외부의 결제 서버(예: 신용카드 결제 서버, 교통 카드 등 전자화폐 카드 결제 서버)로부터 탄소 배출에 관련된 결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수집부(110-2)는 사용자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구매 활동에 대한 결제 내역들 중 탄소 배출을 유발하는 구매 활동에 대한 결제 내역들을 상기 결제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주유소 결제 단말기(240)를 이용하여 주유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내역을 결제 서버(200)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주유된 오일은 자동차 등에서 연소될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180-2)는 주유량 및 단위량당 이산화탄소 발생량으로, 해당 주유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버스나 지하철에 구비된 교통 카드 결제용 단말기(220)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용 카드나 교통 카드로 결제한 내역을 결제 서버(200)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2)는, 교통 카드 결제 내역으로, 사용자가 이용한 교통 수단 및/또는 구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발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상기 결제 서버(200)로부터 항공 티켓 구매 내역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사이트(예: 사용자의 집)에 구비된 전력 사용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 상기 사이트에 위치 하는 전기기기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 정보는, 각 전기기기의 동작 여부 및 동작 레벨(예: 진공청소기의 강/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사용 모니터링 장치(300)는 가정의 전력 사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통보하는 이른바 스마트 미터(smart-met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110-2)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사이트(예: 사용자의 집)에 구비된 가스 사용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 상기 사이트에서의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110-2)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사이트(예: 사용자의 집)의 난방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사이트의 난방 상태(예: 난방 온도 및/또는 난방 시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2)는, 상기 전력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사이트 난방 상태로부터, 각 활동이 유발하는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전기기기의 동작 시간에, 동작 레벨에 따른 가중치를 곱하고, 다시 해당 전기기기의 제조/폐기에 대한 환경 영향 지수를 곱하여, 탄소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배출량 계산 항목을 설정하고, 각 탄소 배출 항목의 사용량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2)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배출량 계산 결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50-2)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기(100-3)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50-3);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유발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부(180-3); 상기 탄소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 또는 계산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160-3); 및 외부에서 탄소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11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3)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탄소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 또는 사용자 지시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3)는, 상기 탄소 배출량의 한 항목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의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탄소 배출량은 배터리 소모에 따른 전력 사용량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3)는, 도 10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전력 사용 내역, 가스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로부터, 유발되는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전력 사용 내역, 가스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로부터, 유발되는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동작을 사업자 서버(7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3)는 상기 사업자 서버(700)가 수행한 탄소 배출량 계산 결과를, 상기 정보 수집부(110-3)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사업자 서버(700)는, 탄소 배출량을 관리하고, 탄소 배출량의 거래를 중계하는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도 소정 기간(예: 1달) 동안 배출할 수 있는 탄소 배출량이 정해져 있다(이를 탄소 배출권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초과하거나 잉여된 탄소 배출량에 대해서는 경제적 부담 또는 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서버(700)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탄소 배출 DB(720);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탄소 할당량 DB(740); 및 상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에 따른 처리 및 상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 거래를 지원하는 결제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부(760)는,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탄소 배출량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탄소 할당량 DB(740)를 일종의 탄소 배출량 계좌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서버(700)는, 소정 기간(예: 1달) 동안 상기 사용자가 배출한 탄소 배출량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양을 초과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장 서버(700)는, 사용자의 초과된 탄소 배출량에 대해서는 다음달 전기(또는 가스) 요금을 증액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감소된 탄소 배출량에 대해서는 다음달 전기 요금을 감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 서버(700)는, 사용자에게 부족한 탄소 배출량을 구매토록 하거나, 잉여되는 탄소 배출량을 판매토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업자 서버(700)는, 탄소 배출량에 대한 개인 간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중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상기 사업자 서버(760)는 사용자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구매 활동에 대한 탄소 배출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배출 영수증은 전자 영수증으로 발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영수증인 탄소 배출 영수증은, 상기 탄소 배출 DB(720)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소 배출 영수증에는 사용자의 각 구매 활동에 대한 탄소 배출량을 직접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3)는 별도의 계산 없이 탄소 배출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3)의 제어부(180-3)는 상기 디스플레이(150-3)에, 상기 전송받은 탄소 배출 영수증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탄소 배출 영수증에 포함된 탄소 배출 항목 및 탄소 배출량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3)가 상기 전자 영수증인 탄소 배출 영수증의 수령 및 디스플레이하는데, 접근 권한을 요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3)는, 상기 접근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서명 S/W 모듈이나, 인증용 스마트 칩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 할당량 및 누적 배출량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소정 기간(예: 1달) 동안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 및 탄소 배출 할당량을 출력하고, 그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에 따른 전기 요금 등에 부여되는 효과를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할당량 판매 또는 구입을 원하는 경우 터치하여 탄소 배출 할당량 거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도시한 화면은 탄소 배출 할당량 판매 버튼(B2) 및 구입 버튼(B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경우, 탄소 배출 할당량이 부족하므로 탄소 배출 할당량 구입 버튼(B3)만이 활성화되었다.
도 13은 탄소 배출 할당량 거래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상기 화면은, 탄소 배출 할당량에 대한 시세를 구입시 시세와 판매시 시세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고, 거래 후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소정 기간(예: 1달) 동안의 탄소 배출 할당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구입 또는 판매를 선택할 수 있는 라디오 버튼들(rb) 및/또는 거래량을 입력하는 입력창(t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의 이동 단말기는, 도 2, 도 10 및 도 11의 이동 단말기들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즉,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탄소 배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량 입력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기능; 외부의 결제 서버로부 터 탄소 배출을 유발하는 구매 활동에 대한 결제 내역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기능; 및 외부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탄소 배출 영수증에서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은, 모니터링할 상기 탄소 배출 항목들을 선택하는 단계(S120); 탄소 배출 항목들의 사용량들을 입력받는 단계(S140); 상기 사용량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계(S160); 및 소정 기간 동안 누적된 탄소 배출량을 통보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상기 S120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상기 S140 단계는, 도 4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130-1)를 통해 상기 탄소 배출 항목들의 사용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상기 S140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결제 서버(200) 및/또는 전력/가스 사용 모니터링 장치(300, 400)로부터 전송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상기 S160 단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의 사업자 서버(700)로부터 상기 탄소 배출 항목들의 사용량들을 전송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경우, 상기 S180 단계 이후, 상기 누적된 탄소 배출량과 탄소 배출 할당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탄소 배출량과 탄소 배출 할당량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배출 할당량을 구입 또는 판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적된 탄소 배출량과 탄소 배출 할당량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통지하는 단계에서는, 도 12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배출 할당량을 구입 또는 판매하는 단계에서는, 도 13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영수증인 탄소 배출 영수증을 이용하는 도 11의 경우, 상기 S120 단계, S140 단계 및 S160 단계를 생략하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의 탄소배출량을 입력받는 단계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배출 영수증은 도 16에 도시한 흐름도의 탄소 배출 관리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도시한 탄소 배출 관리 방법은, 도 11 또는 도 14의 사업자 서버(700)를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시한 탄소 배출 관리 방법은,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판매자 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정들로서, 사용자가 구매한 재화 또는 용역이 유발하는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S210); 상기 판매자 서버에서 상기 탄소 배출량이 기재된 탄소 배출 영수증을 발급하는 단계(S220); 및 상기 탄소 배출 영수증을 탄소 배출 관리 사업 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탄소 배출 관리 방법은, 탄소 배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정들로서, 사용자의 재화 또는 용역 구매에 따라 발급되는 탄소 배출 영수증을 전송받는 단계(S230); 상기 전송받은 탄소 배출 영수증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추출하는 단계(S240); 상기 사용자의 단위 기간당 탄소 배출 할당량에서 상기 추출된 탄소 배출량을 차감하는 단계(S250); 및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탄소 배출량 및 차감된 탄소 배출 할당량을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탄소 배출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상기 전송받은 탄소 배출 할당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10 내지 S270 단계들은, 도 1 내지 도 15에 대하여 기술된 과정들의 일부와 유사한 절차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270 단계 이후, 도 12 및 도 1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탄소 배출량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이동 단말기로 구체화하여 설명하였지만, 디지털 텔레비전,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하며, 그러한 경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탄소 배출량 계산 항목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4는 각 탄소 배출량 계산 항목에 대한 탄소 배출량을 입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5는 탄소 배출량을 경고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6은 탄소 배출 상세 내역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7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누적 탄소 배출량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8은 주간 탄소 배출 현황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9는 월간 탄소 배출 현황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정보 수집 구조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정보 수집 구조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12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 할당량 및 누적 배출량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13은 탄소 배출 할당량 거래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정보 수집 구조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5)

  1.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누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탄소 배출량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탄소 배출 항목의 사용량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량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획득된 탄소 배출량을 누적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탄소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재화 또는 용역 구매에 따른 결제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기기기들의 전력 사용 정보
    를 전송받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탄소 배출량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8.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탄소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탄소 배출량을 누적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탄소 배출 항목의 사용량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량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항목의 사용량을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탄소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는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의 탄소배출량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탄소 배출량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탄소 배출 할당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탄소 배출량과 탄소 배출 할당량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배출 할당량을 구입 또는 판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탄소 배출 모니터링 방법.
  14. 탄소 배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탄소 배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재화 또는 용역 구매에 따라 발급되는 탄소 배출 영수증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탄소 배출 영수증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위 기간당 탄소 배출 할당량에서 상기 추출된 탄소 배출량을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탄소 배출량 및 차감된 탄소 배출 할당량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 배출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판매자 서버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재화 또는 용역이 유발하는 탄소 배출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서버에서 상기 탄소 배출량이 기재된 탄소 배출 영수증을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배출 영수증을 상기 탄소 배출 관리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탄소 배출 관리 방법.
KR1020090064524A 2009-07-15 2009-07-15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KR20110006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24A KR20110006903A (ko) 2009-07-15 2009-07-15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PCT/KR2010/004609 WO2011008033A2 (en) 2009-07-15 2010-07-15 Terminal calculating carbon emission, carbon emission management server and carbon monitoring method
US13/382,808 US20120116792A1 (en) 2009-07-15 2010-07-15 Terminal calculating carbon emission, carbon emission management server and carbon monito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24A KR20110006903A (ko) 2009-07-15 2009-07-15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03A true KR20110006903A (ko) 2011-01-21

Family

ID=4344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24A KR20110006903A (ko) 2009-07-15 2009-07-15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16792A1 (ko)
KR (1) KR20110006903A (ko)
WO (1) WO20110080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46B1 (ko) * 2013-01-30 2014-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9078A1 (en) * 2012-09-21 2014-03-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rbon emission credits at a fuel dispensing station using vehicle on-board diagnostics data
EP3104494B1 (en) * 2014-02-03 2022-08-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control system, health management device, exercise measurement device, and power command device
CN106599533B (zh) * 2016-11-11 2019-02-12 飞友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航班不同舱位人均碳排放量的方法
CN106781512A (zh) * 2016-11-22 2017-05-31 江苏省邮电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基于城市物联网的汽车尾气智能检测与监督系统及方法
CN113139524A (zh) * 2017-12-14 2021-07-2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的方法、装置及设备
CN111241465A (zh) * 2020-03-06 2020-06-05 赫普能源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电表耦合碳排放量监测系统和方法
US11551315B2 (en) * 2020-12-29 2023-01-1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ing travel options
CN113837600A (zh) * 2021-09-18 2021-12-2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燃煤电厂碳排放量指标实时监测系统及方法
CN113962468A (zh) * 2021-10-29 2022-01-21 杭州青橄榄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用能监控统计能源消耗碳排放管理方法及系统
CN113724103B (zh) * 2021-11-02 2022-03-22 国网北京市电力公司 基于智能电表的区域碳排放监测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4139877A (zh) * 2021-11-05 2022-03-04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电池回收的碳排放核算方法、装置及系统
CN114140294B (zh) * 2021-11-26 2022-07-12 碳阻迹(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企业碳排放信息实时分析展示的服务方法及系统
CN114417255B (zh) * 2021-12-21 2024-05-17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碳排放量化平台和碳排放量化系统
WO2024012267A1 (zh) * 2022-07-14 2024-01-18 华为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碳排放量的确定方法、装置及设备
CN115328050A (zh) * 2022-08-19 2022-11-11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考虑电池全生命周期的碳排放控制方法和装置
CN115880119B (zh) * 2023-02-23 2023-05-05 北京国电通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两级协同的碳排放信息生成方法、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3428A1 (en) * 2001-06-05 2005-12-22 Carlton Bartel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rading of carbon dioxide equivalent emission
JP2004326375A (ja) * 2003-04-24 2004-11-18 Hitachi Ltd 温室効果ガス排出量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55457A1 (en) * 2006-04-28 2007-11-01 Bright Planet Network, Inc. Consumer Pollution Impact Profile System and Method
US8271363B2 (en) * 2007-04-25 2012-09-18 Bennett Hill Branscomb System and method for banking downstream resource costs
JP2008286538A (ja) * 2007-05-15 2008-11-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エネルギー構成情報配信を用いた二酸化炭素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GB2450357B (en) * 2007-06-20 2010-10-27 Royal Bank Scotland Plc Resource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JP2009070204A (ja) * 2007-09-14 2009-04-02 Cubic S Consulting:Kk 二酸化炭素排出量削減のためのサービス方法
US8427318B2 (en) * 2008-11-24 2013-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rbon value tracking and labeling
US8229602B2 (en) * 2009-01-19 2012-07-24 2D2C, Inc.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46B1 (ko) * 2013-01-30 2014-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6792A1 (en) 2012-05-10
WO2011008033A2 (en) 2011-01-20
WO2011008033A3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903A (ko)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US8660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6485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осредством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на устройстве отображения
US900226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3807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13426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9258691B2 (en) Merchant server programmed for user acquisition within a repeat payment computer system
CN103632266A (zh) 使用设备显示器上的图像来提供交互信息的装置和方法
KR2010006384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상품 구매 방법
KR201601473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60260077A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077855A (zh) 一种现金交易终端及方法
KR101832370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7553B1 (ko) 선불형 결재 수단의 잔액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서버 장치
US1036637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cluding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ystem
US100036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66222B2 (en) Mobile billing operator server programmed for user acquisition within a repeat payment computer system
KR20160108095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0669B1 (ko) 협업 도구에서 포인트(코인) 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198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194408B1 (ko) 혜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3859A (ko) 단말기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390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85931B1 (ko) 하이패스 카드를 이용한 가맹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683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