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146B1 -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 Google Patents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146B1
KR101460146B1 KR1020130010608A KR20130010608A KR101460146B1 KR 101460146 B1 KR101460146 B1 KR 101460146B1 KR 1020130010608 A KR1020130010608 A KR 1020130010608A KR 20130010608 A KR20130010608 A KR 20130010608A KR 101460146 B1 KR101460146 B1 KR 10146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gas
emission
source
amount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312A (ko
Inventor
조병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1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02P90/845Inventory and reporting systems for greenhouse gases [GH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위험도를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으로 생성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를 수행하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Web 2.0 smart carbon grid platform}
본 발명은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가스 배출원, 배출자, 온실가스 관리기관, 및 관련산업간의 온실가스의 현황관리, 통제, 거래, 교육, 및 기부를 최적화하기 위한 양방향 유비쿼터스 모바일 온실가스 생태계를 구축하는 온실가스 총량 관리 플랫폼을 포함하는 웹 2.0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07년 12월 발리로드맵의 제2차 기간(2013∼2017)동안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저감 의무화가 예상되고 더욱이 지구온난화 대비 온실가스저감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효율적인 통제,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유가의 지속, 장기화가 전망되면서 산업부문, 가정/상업부문, 수송부문 등 각 부문별 에너지 절약을 위한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은 도시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원을 파악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 통제, 관리의 경제성 확보와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검증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도시별, 지역별, 구역별 에너지와 온실가스 총량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려하고 있으며, 세계는 지금 자원위기, 에너지위기, 환경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에너지수요 증가와 자원 고갈의 심각성을 깨닫고 혁신적인 탄소 저감과 관리 기술을 하나로 융합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녹색 성장을 위한 탄소 게임포인트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상거래 방법(공개번호: 10-2011-0018089)" 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하는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위험도를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으로 생성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를 수행하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는, 상기 배출원을 해당 지역도에 개인식별자를 갖는 상징도형으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고, 상기 참여 배출원은 소정의 기준이상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으며, 상기 개인식별자는 IP address, 전화번호, 사업자번호, 또는 상기 배출원별로 부여되는 등록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은, 상기 각 배출원의 위치정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 또는 위험요인 유출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고,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게이트웨이를 거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 이더넷을 통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상기 배출원이 가정인 경우, 수도, 가스,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수도, 가스, 또는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 중 하나의 스마트 미터에서 상기 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기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표시하고, 상기 배출원이 사업장인 경우, 온실가스를 배출요소별로 온실가스 배출 측정 노드에 의해 직접 측정되거나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수도, 가스,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 관리 상기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은, 전년도 온실가스배출량 및 국내외 온실가스배출현황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는 상기 배출원을 도형 형태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고, 웹 또는 모바일 앱상에서 접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으며, 상기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는, 지역별, 산업별, 건물별, 주택별, 또는 에너지원별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는, 물건 또는 자원 에너지 기부, 공유, 재사용, 재활용, 중고물품 사용, 또는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입에 따른 탄소포인트를 주택별, 사업장별, 기업별, 기관별로 산출하여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고, 상기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는,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교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카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으며, 상기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는, 배출원에 장착된 온실가스 스마트미터에 포함된 센서노드로부터 배출원의 외부로의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여부에 따른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위험알람을 표시하고, 상기 위험상황이 인지된 배출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지역의 위험상황 대응기관과 상기 위험상황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위험상황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이용하여 표준규격에 따라 변환된 온실가스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고, 상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는,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 및 국제배출권 시장현황을 이용하여 정부기준가, 또는 상기 배출원으로부터 입력받은 희망매매가에 의해 온실가스 배출권의 양방향 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으며, 상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원의 매매가능 온실가스 배출권 및 상기 배출원이 위치한 구역의 온실가스 위험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생성부;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관리부;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저감부;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위험도를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도시 방재부;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저장부; 및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를 수행하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생성부는,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을 해당 지역도에 개인식별자를 갖는 상징도형으로 도시하며, 수신 또는 입력된 온실가스 배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구현하는 색상구현부; 및 지역 내 배출원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에 따라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또는 입력된 희망매매가격으로 거래조건을 제시하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후변화 대비 온실가스 배출 관리를 효율적으로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온실가스 할당량 대비 증감, 배출원간에 양방향 정보공유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기관, 산업을 모바일 온실가스 생태계로 네트워크 연결하여 웹 또는 앱상에서 온실가스 배출현황, 거래, 통제, 기부, 교육이 이루어지는 웹 2.0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 생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본 그리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은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위험도를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으로 생성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를 수행하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100)은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110),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120),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130),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140),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150) 및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한다.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110)에 온실가스 정보 및 상기 각 인터페이스들을 를 표시함으로써, 온실가스를 총합 관리할 수 있는 양방향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을 구현한다.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은 웹 또는 모바일 앱상에서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누구나, 언제든지 플랫폼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110)는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110)는 사용자에게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을 보여주는 창의 역할을 하고,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모니터링한다. 상기 배출원을 해당 지역도에 개인식별자를 갖는 상징도형으로 도시할 수 있다. 배출원을 상징도형으로 매핑하여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참여 배출원은 일정한 기준이상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원일 수 있다. 상기 기준은 법적으로 온실가스배출 관리를 받는 배출원일 수 있으며, 그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참여를 원하는 배출원에 한할 수도 있다. 상기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원으로는 기관, 사업장, 건물, 아파트(단지), 가정, 교통수단, 인프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인식별자는 IP address, 전화번호, 사업자번호, 또는 상기 배출원별로 부여되는 등록번호일 수 있다. 상기 배출원은 상기 해당 지역도의 실제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배출원을 구별하기 위한 개인식별자로 IP address와 같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개인식별자를 이용하거나, 또는 배출원별로 별도로 부여되는 등록번호일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현황에 대해서는 이하,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120)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120)는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별, 산업별, 건물별, 주택별, 또는 에너지원별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함으로써 온실가스를 관리한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은, 상기 각 배출원의 위치정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 또는 위험요인 유출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은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거나, 배출원 또는 기관으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게이트웨이를 거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 이더넷을 통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배출원이 가정인 경우, 수도, 가스,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수도, 가스, 또는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 중 하나의 스마트 미터에서 상기 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기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배출원이 사업장인 경우, 온실가스를 배출요소별로 온실가스 배출 측정 노드에 의해 직접 측정되거나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수도, 가스,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 관리 상기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정보에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량은 배출원의 종류에 따라 산출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경우, 해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가정과 같은 경우, 전기,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수도, 가스를 가정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온실가스를 상기 전기, 수도, 가스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사업장의 경우에는 전기, 수도, 가스뿐만 아니라, 사업장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유 등의 석유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사업장의 종류에 따라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온실가스 배출요소는 다를 수 있다. 공장의 경우, 굴뚝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바, 해당 배출요소별로 온실가스 배출 측정 노드를 설치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한다. 또한, 온실가스의 종류에 따라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차량과 같은 교통수단은 가솔린 또는 경유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해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원의 센서가 측정한 각각의 정보에 해다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함으로써 각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수시로 또는 계속 수신 산출하여, 그 증감을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수도, 가스의 사용량은 스마트 미터를 이용하여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바로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배출원별로 해당 게이트웨이를 거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 이더넷을 통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과 통신할 수 있는 단말에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종합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스마트 미터 자체에서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스마트 미터가 다른 스마트 미터가 측정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종합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위험요인 유출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가스 누출 등을 센서가 감지하면, 해당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온실가스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은 전년도 온실가스배출량 및 국내외 온실가스배출현황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은 전년도 온실가스배출량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국내외 온실가스배출현황에 따라 전체적인 온실가스량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는, 다년간의 평균 사용량 또는 유사한 가정의 평균 사용량 등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110)는 상기 배출원을 도형 형태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배출원을 도형 형태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모트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건 또는 자원 에너지 기부, 공유, 재사용, 재활용, 중고물품 사용, 또는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입에 따른 탄소포인트를 주택별, 사업장별, 기업별, 기관별로 산출하여 부여한다.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에 대한 보상을 위하여, 물건 또는 자원 에너지를 기부하거나, 공유, 재사용, 재활용 등을 하는 배출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을 구매하는 배출원에 부여될 탄소포인트를 주택별, 사업장별, 기업별, 기관별로 산출하고 부여한다.
또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범위 이상 증가하는 경우, 온실가스 저감을 유도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저감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14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위험도를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원에 장착된 온실가스 스마트미터에 포함된 센서노드로부터 배출원의 외부로의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여부에 따른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위험알람을 표시하고, 상기 위험상황이 인지된 배출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지역의 위험상황 대응기관과 상기 위험상황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위험상황에 대응하도록 한다. 배출원으로부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유해가스 유출여부에 따라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유해가스 유출정보는 센서노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위험상황이 인지되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상에 표시된 해당 배출원에 위험알람을 표시하고, 상기 위험상황이 인지된 배출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지역의 위험상황 대응기관인, 도시가스 관리기관, 소방서, 병원, 경찰서와 상기 위험상황 정보를 공유한다.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지역의 다른 배출원에 상기 위험상황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150)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으로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이용하여 표준규격에 따라 변환된 온실가스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저장한다.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에 맞게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축된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정보들은 온실가스 배출을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 및 국제배출권 시장현황을 이용하여 정부기준가, 또는 상기 배출원으로부터 입력받은 희망매매가에 의해 온실가스 배출권의 양방향 거래를 수행한다. 온실가스 배출권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써, 배출원별로 일정한 배출권이 나누어지며, 기후변화 등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탄소배출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관리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권의 거래를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가 필요한 배출원과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도가 가능한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각 배출원의 온실가스 경감을 위하여 제안되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관리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위해선 온실가스 배출량의 관리와의 연동이 필요하다.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필요 또는 매도가능 여부와 그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가 필요한 배출원과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도가 가능한 배출원간의 거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대일 매매뿐만 아니라 다대다 매매도 가능하다. 또한, 배출원의 설정에 따라 자동거래가 제한될 수도 있으며, 배출원의 입력에 따라 거래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원의 매매가능 온실가스 배출권량 및 상기 배출원이 위치한 구역의 온실가스 위험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이 특정 구역에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역별로 온실가스 위험도를 고려할 수 있다. 특정 구역의 배출원들이 온실가스 배출권을 매수하여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온실가스 배출권이 해당 구역에 몰리게 되어, 온실가스의 배출에 따른 온실가스 위험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위험도가 상기 임계치를 넘지 않는 범위까지만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가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위험도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을 매수하려는 배출원이 입력한 매수가와 온실가스 배출권을 매도하려는 배출원이 입력한 매도가를 비교하여 상기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권 매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원 매매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을 매수하려는 배출원이 입력한 매수가와 온실가스 배출권을 매도하려는 배출원이 입력한 매도가를 비교하여, 주식거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매매가격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을 많이 가지고 있는 기업들의 불공정거래를 방지하도록 매매에 대한 기관의 감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에 대한 희망매매가는 상기 배출원 관리자의 이동단말과 통신을 통해 이동단말의 모바일 앱(App)상에서 확인, 수정, 또는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배출원 관리자의 이동단말과 통신을 통해, 모바일 앱상에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단말뿐만 아니라 PC에서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기 이더넷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의 상기 배출원의 해당 도형에 표시하는 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트는 각 배출원이 게이트웨이를 거쳐 이더넷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송신하면,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이더넷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의 역할 및 상기 수신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상 애니메이션도의 상기 배출원의 해당 도형에 표시하는 표시부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 생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200)는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생성부(210), 온실가스 관리부(220), 온실가스 저감부(230), 온실가스 도시 방재부(240), 온실가스 인벤토리 저장부(250), 및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부(260)를 포함한다.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생성부(210)는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을 해당 지역도에 개인식별자를 갖는 상징도형으로 도시한다.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생성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1), 색상구현부(222), 및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1)는 수신 또는 입력된 온실가스 배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또는 입력된 온실가스 배출정보를 배출원별로 상기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도시된 상징도형에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가상 애니메이션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온실가스 정보를 알 수 있다.
색상구현부(222)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을 초과하는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 미만인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과 같은 경우로 상기 등급을 나눌 수 있고,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의 비율 값에 따라 등급을 나눌 수도 있다. 등급마다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직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바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배출원별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역별 온실가스 정보 및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온실가스 위험도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각 배출원별 온실가스 정보뿐만 아니라, 일정 구역별로 온실가스 정보를 산출하여 색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온실가스 위험도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위험요인의 유출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경보를 알릴 수 있는 표시를 할 수도 있다. 특정 색이 깜빡이는 방법등으로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부(223)는 지역 내 배출원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에 따라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또는 입력된 희망매매가격으로 거래조건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을 쉽게 알 수 있고, 다른 배출원이 매매하고자 하는 희망매매가격을 쉽게 알 수 있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온실가스 관리부(220)는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온실가스를 관리한다. 온실가스 관리부(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온실가스 관리인터페이스(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 바, 도 1의 온실가스 관리인터페이스(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온실가스 저감부(23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를 관리한다. 온실가스 저감부(2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 바, 도 1의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온실가스 도시 방재부(24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위험도를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한다. 온실가스 도시 방재부(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 바, 도 1의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저장부(25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표준규격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저장부(2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 바, 도 1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부(260)는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를 수행한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부(2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 바, 도 1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200)는 참여 배출원으로부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관리하기 위하여,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개별 배출원으로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원으로는 기관, 사업장, 건물, 아파트(단지), 가정, 교통수단, 인프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각 배출원의 온실가스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온실가스 정보뿐만 아니라 온실가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와 상기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410단계는 참여 배출원으로부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원으로부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온실가스 정보는 상기 각 배출원의 위치정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량, 또는 위험요인 유출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게이트웨이를 거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 이더넷을 통해 상기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관리 현황도로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상기 배출원이 사업장인 경우, 온실가스 배출요소별로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에 의해 직접 측정되거나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배출원이 가정 또는 공공기관인 경우, 수도, 가스, 및 전기 사용량을 계측하는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420단계는 상기 수신한 배출원별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410단계에 수신한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상기 가상 애니메이션은,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을 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 정도에 따라 상기 각 배출원의 다르게 표시하여 생성될 수 있다.
430단계는 상기 생성된 가상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420단계에서 생성한 가상 애니메이션을 2D 또는 3D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가 필요한 배출원과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도가 가능한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경감에 따른 녹색 인센티브 부여, 온실가스 배출권 기부, 및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교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실가스의 경감을 위한 제도인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매를 위하여,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가 필요한 배출원과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도가 가능한 배출원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수행한다. 또한, 온실가스와 관련된 정보들의 관리를 위하여, 온실가스 경감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온실가스 배출권의 기여, 및 온실가스 관련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온실가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하나의 플랫폼상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예 이외에의 다른 온실가스 정보들을 관리, 공유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본 그리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온실가스는 산업, 건물, 교통, 및 기타에 의해 배출되고 있다. 상기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인 회사, 건물, 교통수단, 및 인프라에서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카본 그리드 시스템상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온실가스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상에서 관리함으로써 국가, 지자체 에너지/온실가스 총량 관리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본 그리그 시스템은 배출원별 온실가스 정보를 가상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온실가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에서 온실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참여, 개방,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Web 2.0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자, 컨설팅회사, 관련기관, 온실가스 관리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정보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플랫폼상에 구축함으로써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공장 가동, 자동차 운행, 교통수단 운행, 주거 냉난방 가동 등에 따른 온실가스 정보와 국가기관의 온실가스 관리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상에서 관리함으로써, 이산화탄소/온실가스 모니터링, 검증 및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 경감에 따른 인센티브, 탄소세 부과를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이루어지는바, 효율적으로 온실가스를 관리하고 감독할 수 있다.
스마트 카본 그리드에 대한 다른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의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을 도시한 것이다.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은 온실가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Web-GIS(수치) 전자지도 또는 도시(지역)지형도의 각종 구성요소 개체에 IP 또는 식별 인자를 부여하고, 사용하는 에너지와 배출하는 온실가스 데이터가 원격 자동 계측 모니터링 되어, 할당량과 배출권, 탄소 인센티브 결과치가 개별요소에 지정된 색상으로 표현된다. 도시 구성 공간요소의 모든 에너지와 온실가스 관련 인자의 상관 관계를 조직화하여, 에너지, 온실가스 Big Data, Cloud, 국가공인 기관, DNA, DOE, 검증기구, 각종 탄소포인트, 인센티브 등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목적과 기능인 참여, 개방, 공유의 개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양방향 Web 2.0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실가스 정보에 따라 각 도시 공간 구성요소(지자체, 빌딩, 기관, 아파트, 가정 등)의 온실가스 인벤트리 구축 및 총량관리 결과와 예정치를 미리 산정하여, 자동 통보하고, 온실가스 배출권(CDM)을 최적 자동 매매하는 거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 공간 구성요소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관련 장치에 전자태그 또는 코드를 부착하여 개체인지를 하고, 관련정보를 입력하여, 필요한 구성 인자간에, 사람 사이 또는 사물간 SNS를 구축하고 M2M을 통해 제어, 통제할 수 있다.
도시 공간 구성요소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관련 시설에 탑재된 유비쿼터스 계측 장치 또는 센서노드 CPU의 위험 상황 판단 및 대처 지능화 알고리즘이, 메쉬 네트워크의 다중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스마트 원격 상황 판단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 공간 구성요소의 에너지/온실가스 관련 시설의 개체인지, 에너지/온실가스 계측치 및 위험 상황 인지, 에너지 수송 장치의 위치인지(LBS), 위험 및 개체 정보를 공지하는 소통인지 서브 모듈이 메인보드의 증폭, ADC, CPU, 안테나와 결합하여, 목적에 따라 맞춤형으로 조립되는 스마트 탄소 에너지 노드 장치와 연동되어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 공간 구성요소 별 원격 검침된 에너지/온실가스 결과치가 가이드 라인에 따라 구축된 에너지 및 온실가스 인벤토리 데이터 베이스에 자동입력되고 검증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온실가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상기 플랫폼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서의 다양한 기능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플랫폼
110: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도
120: 온실가스 관리 인터페이스
130: 온실가스 저감 인터페이스
140: 온실가스 도시 방재 인터페이스
150: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인터페이스
160: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인터페이스

Claims (21)

  1. 참여 온실가스 배출원들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애니메이션도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지능형 온실가스 배출현황 가상 애니메이션 생성부;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는 온실가스 관리부;
    상기 온실가스 관리부가 산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에 따른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저감, 및 녹색 마일리지 상품 구매여부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저감부;
    상기 배출원별 온실가스 유출을 감지하여 온실가스 위험정보를 관리하는 온실가스 도시 방재부;
    상기 산출된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저장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저장부; 및
    상기 배출원으로부터 온실가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니메이션도는,
    상기 배출원을 상기 배출원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도에 도형으로 도시하며,
    상기 온실가스 관리부는,
    상기 배출원으로부터 수신한 온실가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원을 지역별, 산업별, 건물별, 주택별, 또는 에너지원별로 나누어,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량 대비 증감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원은 소정의 기준이상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게이트웨이를 거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 이더넷을 통해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배출현황은,
    상기 온실가스 정보에 포함된 각 배출원의 위치정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 온실가스 배출량, 또는 온실가스 유출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하는 배출원이 가정인 경우, 수도, 가스,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상기 배출원의 스마트 미터에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상기 온실가스 정보를 수신하는 배출원이 사업장인 경우, 상기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요소별로 온실가스 배출 측정 노드에 의해 직접 측정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배출원에 장착된 온실가스 스마트미터에 포함된 센서노드로부터 배출원의 외부로의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을 수신하여 인지하고, 상기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이 인지된 배출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지역의 위험상황 대응기관과 상기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 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온실가스 도시 방재부는,
    상기 애니메이션도에 상기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유출에 대한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 스마트카본 그리드 관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30010608A 2013-01-30 2013-01-30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KR10146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08A KR101460146B1 (ko) 2013-01-30 2013-01-30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08A KR101460146B1 (ko) 2013-01-30 2013-01-30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12A KR20140098312A (ko) 2014-08-08
KR101460146B1 true KR101460146B1 (ko) 2014-11-11

Family

ID=5174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608A KR101460146B1 (ko) 2013-01-30 2013-01-30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3481A (zh) * 2021-11-24 2022-03-01 特斯联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企业温室气体来源捕捉系统
KR102407451B1 (ko) * 2021-12-31 2022-06-14 에이티알 주식회사 개인의 탄소중립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N115166146A (zh) * 2022-07-04 2022-10-11 万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边缘网关的碳排放监测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03A (ko) * 2009-07-15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KR20110028108A (ko) * 2009-09-11 2011-03-17 (주) 팬지아이십일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03A (ko) * 2009-07-15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말기 및 탄소 모니터링 방법
KR20110028108A (ko) * 2009-09-11 2011-03-17 (주) 팬지아이십일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12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850B1 (en) Determining insurance policy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 sensor data
US11631149B2 (en) Collecting and transmitting utility meter data
US10713726B1 (en) Determining insurance policy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 sensor data
Munshi et al. Logistic regression and cellular automata-based modelling of retail, commercial and residential development in the city of Ahmedabad, India
CA2950420C (en) System and method for fault analysis and prioritization
US11847646B2 (en) Systems including a gateway receiving sensor data, and related methods
US10762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intelligent water points in resource constrained regions
CN107155407B (zh) 用于交互式光传感器网络的照明节点和系统
Bosona et al. GIS-based analysis of integrated food distribution network in local food supply chain
CN102388397A (zh) 应用环境激励的方法和系统
JP2020524867A (ja) センサデータを記憶するサーバを含む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Coates et al.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to assess flood preparedness and recovery of manufactur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KR101460146B1 (ko)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WO2013103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assist in an open urban environment
KR20090074143A (ko)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3148476A1 (en) Spatially self-verifying array of nodes
Nonnecke et al. IoT & sustainability: Practice, policy and promise
Yeon et al. Preservation of green environment in smart home project: Formulation of sustainable legal framework
Vuppala et al. Service applications-exploiting the internet of things
Borlase et al. Smart cities
Yeon et al. Designing a legal framework of green environment in smart home project
Dlodlo et al. Use cases and related business models for smart cities infrastructures
Quraishi et al. How smart is your city?
Masia et al. A study into the implementation of Water Conservation/Water Demand Management in Gauteng municipalities
toward Innovation 4 Applications of the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