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108A -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108A
KR20110028108A KR1020090086043A KR20090086043A KR20110028108A KR 20110028108 A KR20110028108 A KR 20110028108A KR 1020090086043 A KR1020090086043 A KR 1020090086043A KR 20090086043 A KR20090086043 A KR 20090086043A KR 20110028108 A KR20110028108 A KR 2011002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emission reduction
carbon emission
reduction product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엽
Original Assignee
(주) 팬지아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팬지아이십일 filed Critical (주) 팬지아이십일
Priority to KR102009008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8108A/ko
Publication of KR2011002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모두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에 의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정보를 발주업체 단말에게 전송하는 납품업체 단말, 및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위해 발주업체 단말은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탄소 배출권을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에게 요청한다.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발주업체 단말 또는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한다. 이에 의해, 발주업체는 납품업체에게 현금 대신 지불하는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는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납품업체는 발주업체에게 비용 부담을 덜어주어 기존의 영업 효과를 가지면서 납품 비용을 일시불에 상응하는 형태로 완납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소, 배출권, 온실가스, LED, 조명, 납품, 지불, 거래, 수단

Description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aying carbon dioxide emissions reducing goods received to profits ordering and delivering enterprise}
본 발명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저감 효과를 갖는 제품의 납품 비용에 대해 발주업체와 납품업체 모두에게 이득을 줄 수 있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석유 자원의 공급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 가격의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석화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온난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온실 가스의 감축을 위한 교토메카니즘의 한 형태인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는 15개 사업 분야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의 감축목표가 부과된 선진국들이 감축목표가 없는 개발도상국에 자본과 기술을 투자해 이룩한 온실가스 저감분을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게는 효과적인 비용으로 교토의정서의 협약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개발도상국에는 외국의 투자활성화 및 오염저감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사기업에게는 교토의정서로 인해 유발되는 비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교토의정서의 규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사기업에 대해 온실가스(즉,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불화탄소(PFC), 수소화불화탄소(HFC), 블화유황(SF6))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억제시키기 위한 의무를 부과하는 반면, 온실가스 저감을 달성한 경우에는 그 온실가스 저감분을 시장을 통해 판매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은 에너지 산업/공급/수요, 제조업, 화학산업, 건설, 수송, 가스배출, 탄소,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한 노력의 한 예로, 조명 분야에 있어서도 기존의 조명등에 비해 전력 손실이 절감되고, 탄소배출이 저감되는 특성을 통해 환경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ED 조명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LED 조명장치는 공연 또는 영화 제작 등과 같은 문화 산업 분야, 자동차 또는 선박과 같은 운송 산업 분야, 방위 산업 분야, 민간 산업 분야 등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민간 산업 분야의 예로, LED 조명장치는 관공서 등에 납품되어 가로등으로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LED 조명장치는 관공서의 시설물 또는 관공서에서 관할하는 구역 내에 설치될 경우, 관공서 입장에서는 납품받아 설치된 LED 조명장치에 대한 비용을 납품업체에게 지불해야하는 부담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관공서와 같은 LED 조명장치의 발주업체와 LED 조명장치를 납품하는 납품업체 간에 LED 조명장치의 납품 설치에 따른 납품 비용 지불 방식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활용되어 지고 있다.
먼저, 발주업체로부터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갖는 LED 조명장치의 설치를 발주 받은 납품업체는, 발주 받은 LED 조명장치를 발주업체의 요구사항에 따라 해당 지역에 납품 설치한다.
이후 발주업체는 일정 기간 동안(통상 2년)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갖는 LED 조명장치에 의해 절감되는 전기료를 산출하여, 납품업체에게 지불해야할 전체 금액에서 산출된 전기료의 절감액에 상응하는 비용을 계약된 기간 내에 지불한다. 이때 전기료의 절감액분에 대응하는 지불할 금액은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통상 매월 단위로 2년 동안) 나누어 납품업체에게 지불하는 시스템이 이용하고 있다. 납품업체에게 지불해야하는 비용의 지불을 완료하면, 설치된 LED 조명장치는 최종적으로 발주업체의 소유가 된다.
이에 따라, 발주업체 입장에서는 납품업체에게 지불해야할 비용의 일부를 일정 기간 동안 할부로 지불함으로써, LED 조명장치의 설치에 따른 지불 비용 부담을 일정 부분 줄일 수 있다. 또한 납품업체 입장에서는 발주업체에게 LED 조명제품의 납품에 따라 청구하는 금액의 일정 부분을 할부로 지불하도록 함으로써, 발주업체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어 영업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발주업체는 납품받은 LED 조명장치에 대해 지불해야할 비용의 일부는 할부로 지불함에 따라 초기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는 있다고는 하나, 결국 지불해야할 비용을 전부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발주업체는 전체적으로 볼 때 금전적 이득이 없으면서, 매 주기마다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지불할 때 마다 금전적 부담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납품업체는 납품한 LED 조명제품에 대해 청구한 비용의 일정 부분을 할부로 받음에 따라, 발주업체의 초가 지불 비용을 덜어준다는 측면에서 영업적인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납품 비용을 일시불로 받는 것에 비해 자금 축적의 효과가 떨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납품한 제품의 일정 비용을 받는 기간 동안에 발주업체가 부도 등의 이유로 비용 지불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납품업체로부터 탄소배출 저감제품을 납품받음에 따라 발주업체가 납품업체에게 지불해야하는 납품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주업체의 요청에 따라 탄소배출 저감제품을 납품한 후 발주업체로부터 지불받아야하는 비용을 일시불에 상응하는 형태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 상기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에 의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정보를 상기 발주업체 단말에게 전송하는 납품업체 단말, 및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를 이용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주업체 단말이, 상기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b)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 출한 상기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때,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발주업체 단말이,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a)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에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된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발주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상기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때,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에게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이, a)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납품업체에 의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납품 정보를 상기 납품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납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제공해줄 것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할당되어 제공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수신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수신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상기 현금으로 환산한 비용을, 상기 탄소 배출권으로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시스템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의 제공을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 상기 납품의 요청에 따라 상기 납품업체에 의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납품비용청구정보를 상기 발주업체 단말에게 전송하는 납품업체 단말; 및 상기 발주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발주업체 단말은,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납품비용청구정보에 대응하는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는,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에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된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발주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 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할당부; 및 할당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배출권 할당부는,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는 탄소배출 산출부; 및 산출한 상기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상기 탄소 배출권을 산정하는 탄소 배출권 산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관리서버는, 상기 탄소 배출권 산정부에서 산정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현금 환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때, 상기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갖는 제품의 납품 비용의 일정 부분 또는 전부를 현금 대신 탄소 배출권으로 납품업체에게 지불하고 나머지 비용에 대해서만 현금으로 납품업체에게 지불함으로써, 발주업체는 납품업체에게 현금 대신 지불하는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는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납품업체는 발주 업체에게 비용 부담을 덜어주어 기존의 영업 효과를 가지면서 납품 비용을 일시불에 상응하는 형태로 완납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갖는 제품을 설치한 발주업체에게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제공하고 발주업체가 제공받은 탄소 배출권을 납품 비용의 일정 부분을 대신해서 납품업체에게 지불함으로써, 발주업체의 비용부담을 줄이면서 납품업체에게는 납품 비용을 한꺼번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비용 지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예로 LED 조명장치를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비용 지불 시스템은,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 발주업체 단말(200), 납품업체 단말(300), 및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갖는 탄소배출 저감제품 에 대해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한다.
발주업체 단말(200)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의 통신 단말인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요청한다.
납품업체 단말(300)은 발주업체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에 의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정보를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전송한다. 또한 납품업체 단말(300)은 납품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에 의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납품비용청구정보를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전송한다.
발주업체 단말(200)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요청에 대응하여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탄소 배출권의 제공을 요청하는 정보를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에게 전송한다.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발주업체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이때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기존 동일 성능을 갖는 산업 분야의 제품 대비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 전력 및 탄소배출의 저감량에 기초하여 탄소 배출권을 할당한다.
발주업체 단말(200)은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탄소 배출권을, 납품비용청구정보에 대응하는 금액 중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된 현금액을 대신하여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제공한다. 즉, 발주업체 단말(200)은 납품비용청구정보에 대응하는 금액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탄소 배출권으로 납품업체에게 지불한다.
납품업체 단말(300)은 발주업체로부터 납품비용의 일부를 대신하여 받은 탄소 배출권을, 시장을 통해 업체들 간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탄소 배출권의 거래를 관리하는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에게 매도를 요청한다.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는 납품업체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탄소 배출권을 필요 업체에 매도하여 이에 따라 매도한 현금을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지급한다.
따라서,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갖는 제품의 납품 비용의 일정 부분 또는 전부를 현금 대신 탄소 배출권으로 납품업체에게 지불하고 나머지 비용에 대해서만 현금으로 납품업체에게 지불함으로써, 발주업체는 납품업체에게 현금 대신 지불하는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는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납품업체는 발주업체에게 비용 부담을 덜어주어 기존의 영업 효과를 가지면서 납품 비용을 일시불에 상응하는 형태로 완납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환경부와 같은 국가 관련 기관일 수 있고, 발주업체 단말(200)은 관공서 또는 일반 기업체일 수 있으며, 납품업체 단말(300)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을 생산 및 설치하는 업체일 수 있고,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는 환경관리공단과 같은 국가 관련 기관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소비전력 산출부(150), 탄소배출 산출부(160), 탄소 배출권 산정부(170), 현금 환산부(18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의 할당을 제어한다.
통신부(120)는 발주업체 단말(200) 및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납품업체 단말(30))과도 필요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300)에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납품받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탄소 배출권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30)는 탄소 배출권의 할당 및 제공을 위해 제어부(110)에 해당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등이 마련된다. 출력부(140)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의 동작정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권의 할당 및 제공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발주업체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할당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소 배출권 할당부는, 도면에서 소비전력 산출부(150), 탄소배출 산출부(160), 및 탄소 배출권 산정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비전력 산출부(150)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을 산출한다. 탄소배출 산출부(160)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한다. 탄소 배출권 산정부(170)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소비전력 산출부(150)에서 산출한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산출부(160)에서 산출한 탄소배 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탄소 배출권을 산정한다.
현금 환산부(180)는 탄소 배출권 산정부(170)에서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산정한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한다.
제어부(110)는 탄소 배출권 산정부(170)에서 산정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현금 환산부(180)의 탄소 배출권에 대해 환산한 현금액에 대응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발주업체 단말(200) 또는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통신부(120)를 통해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탄소 배출권을 발주업체 단말(200) 또는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제공할 때,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발주업체 단말(200)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할당된 탄소 배출권을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제공하지 않고 발주업체 단말(200)에게만 제공된 경우에,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탄소 배출권을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납품청구지용정보에 대응하는 청구금액의 일부를 대신하여 지불한다.
저장부(190)는 탄소배출 저감제품들에 대한 소비전력 및 탄소배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이에 따라 할당하기 위한 탄소 배출권에 대한 정보 및 탄소 배출권의 현금 환산을 위한 시장 거래 가격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발주업체 및 발주업체 단말(200), 납품업체 및 납품업체 단말(300), 및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발주업체 단말(200)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의 통신 단말인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요청한다(S110).
납품업체 단말(300)은 발주업체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에 의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정보와 납품비용청구정보를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120).
발주업체 단말(200)은 납품업체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정보 및 납품비용청구정보를 수신하고,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제공해줄 것을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에게 요청한다(S130).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발주업체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로부터 발주업체에서 납품받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 전력량 및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S140).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산출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 전력량 및 탄소배출량에 기초하여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산정한다(S150). 이때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금액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한다(S160). 이후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산정한 탄소 배출권 및 현금 환산정보를 발주업체 단말(200)에게 제공한다(S170). 이때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는 탄소 배출권 및 현금 환산정보를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발주업체 단말(300)은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산정한 탄소 배출권 및 현금 환산정보에 기초하여, 납품지용 청구정보에 대응하는 청구비용 중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산정한 탄소 배출권에 대 응하여 환산된 현금을 탄소 배출권으로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지불한다(S180).
납품업체 단말(300)은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100) 또는 발주업체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시장을 통해 매도해줄 것을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에게 요청한다(S190).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는 납품업체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탄소 배출권을 시장 거래를 통해 필요 업체에 매도하고 이에 따른 매도 금액을 받는다(S210). 탄소 배출권 거래서버(400)는 탄소 배출권의 매도 처리에 따라 지급 받은 탄소 배출권의 매도 현금을 납품업체 단말(300)에게 제공한다(S220).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비용 지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 상기 요청에 따라 납품업체에 의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정보를 상기 발주업체 단말에게 전송하는 납품업체 단말, 및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를 이용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주업체 단말이, 상기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b)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 하는 단계; 및
    산출한 상기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때,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발주업체 단말이,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 용 지불 방법.
  5.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가,
    a)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에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된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발주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상기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 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때, 산출한 상기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8.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에게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이,
    a)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납품업체에 의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납품 정보를 상기 납품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납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제공해줄 것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 감량에 대응하는 할당되어 제공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수신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수신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상기 현금으로 환산한 비용을, 상기 탄소 배출권으로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10.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시스템에 있어서,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의 제공을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
    상기 납품의 요청에 따라 상기 납품업체에 의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에 따른 납품비용청구정보를 상기 발주업체 단말에게 전송하는 납품업체 단말; 및
    상기 발주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발주업체 단말은, 상기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납품비용청구정보에 대응하는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시스템.
  11.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을 납품업체 단말에 요청하는 발주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된 납품받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발주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할당하는 탄소 배출권 할당부; 및
    할당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권 할당부는,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저감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상기 탄소배출 저감제품에 대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는 탄소배출 산출부; 및
    산출한 상기 소비전력 저감량 및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여 상기 탄소 배출권을 산정하는 탄소 배출권 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서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권 산정부에서 산정한 상기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 거래되는 기준 가격에 기초하여 현금으로 환산하는 현금 환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소 배출권을 상기 발주업체 단말 또는 상기 납품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때, 상기 탄소 배출권에 대응하여 환산한 상기 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 관리서버.
KR1020090086043A 2009-09-11 2009-09-11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28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043A KR20110028108A (ko) 2009-09-11 2009-09-11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043A KR20110028108A (ko) 2009-09-11 2009-09-11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108A true KR20110028108A (ko) 2011-03-17

Family

ID=4393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043A KR20110028108A (ko) 2009-09-11 2009-09-11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8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46B1 (ko) * 2013-01-30 2014-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KR20220114683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탄소배출권 문서 자동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46B1 (ko) * 2013-01-30 2014-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2.0 스마트 카본 그리드 플랫폼
KR20220114683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탄소배출권 문서 자동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dicino et al. Corporate power purchase agreement: Formulation of the related levelized cost of energy and its application to a real life case study
KR100967229B1 (ko) 탄소 배출권을 이용한 포인트 리워딩 시스템
Giraudet et al. European experiences with white certificate obligations: A critical review of existing evaluations
JP2007518197A (ja) 排出削減を取引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Afshari et al. A proposal to introduce tradable energy savings certificates in the emirate of Abu Dhabi
Hamilton A comparison of energy efficiency programmes for existing homes in eleven countries
US20060064366A1 (en) Method and cash trust for financing and operating a business project
Ahmad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for lebanon: market assessment and policy pathways
JP2015158750A (ja) 電源運用計画策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Gillenwater et al. Internalizing carbon costs in electricity markets: Using certificates in a load-based emissions trading scheme
KR20110028108A (ko)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Crossley Tradeable energy efficiency certificates in Australia
Osso et al. Evolutions of the French EEO scheme through the ages according to emblematic measures: a testimony from within of a continuous work in progress
Heffner et al. Energy Provider‐Delivered Energy Efficiency: A Global Stock‐taking Based on Case Studies
Betz et al. Trading in energy efficiency in Australia: What are the lessons learnt so far
Yarrow Capacity auctions in the UK energy sector
Schlomann et al. Which role for market-oriented instruments for achieving energy efficiency targets in Germany?
Shah et al. Country review of energy-efficiency financial incentives in the residential sector
Rosen et al. Promoting Environmental Quality in a Restructured Electric Industry
JP2009217401A (ja) 温室効果ガス排出権付自動車リース契約システム
Force et al. The sustainable energy utility: A Delaware first
Campbell et al. The Future of California Consumer Energy Finance
Holt Greenhouse gas legislation: Summary and analysis of HR 2454 as reported by the House Committee on Energy and Commerce
Zimring Using QECBs for Street Lighting Upgrades. Lighting the Way to Lower Energy Bills in San Diego
US20100100488A1 (en) Infrastructure commodity savings acc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