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42U -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42U
KR20110006542U KR2020090016718U KR20090016718U KR20110006542U KR 20110006542 U KR20110006542 U KR 20110006542U KR 2020090016718 U KR2020090016718 U KR 2020090016718U KR 20090016718 U KR20090016718 U KR 20090016718U KR 20110006542 U KR20110006542 U KR 201100065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ptc
roasting
temperature
roasting plate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130Y1 (ko
Inventor
김귀영
임상범
Original Assignee
호암모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암모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암모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30Y1/ko
Priority to JP2012600055U priority patent/JP3181393U/ja
Priority to PCT/KR2010/009260 priority patent/WO2011078597A2/en
Priority to EP20100839794 priority patent/EP2515730B1/en
Priority to CN2010900013971U priority patent/CN203041935U/zh
Priority to US13/518,143 priority patent/US20130112681A1/en
Publication of KR20110006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큐리온도가 각각 다른 복수의 세라믹 PTC를 설치하여 육류에 대한 탄화를 방지하고 하나의 구이판 상에서 육류의 익힘 정도가 차별화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케이스;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은 조리용 식품이 안착되도록 제공되고, 저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된 구이판;상기 구이판의 고정부에 고정되며, 구이판에 열을 공급하는 세라믹 PTC;상기 세라믹 PTC에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구이용,전열조리장치,세라믹PTC,복수,큐리온도,탄화방지

Description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electronic heat cooking device for roast}
본 고안은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 요리에 적합한 온도영역을 유지하도록 제작된 세라믹 PTC를 발열체로 하여 고기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량이 절감되도록 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음식문화 중 대표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돼지고기나 소고기 등의 육류를 구이용 불판에 구워먹는 것이다.
이러한 돼지고기, 소고기 등의 육류를 구이용 불판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것은 가스에 의한 가스버너,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버너, 전기를 이용한 버너 등의 발열체 상부에 불판을 안치한 후, 화기발생기구로부터 발생되는 열원을 이용해 구이용 불판을 가열하여 상기 구이용 불판의 열전도를 통해 돼지고기, 소고기 등의 육류를 조리하는 것이다.
이때, 구이용 불판에는 상기한 육류와 더불어 마늘이나 버섯 등의 야채 및 김치 등도 함께 구워 조리함으로써, 고기의 맛을 배가 시킬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에 대 해 살펴보도록 한다.
종래의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전열부(20)와, 구이판(30)과, 온도조절기(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부위이며, 장치의 하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전열부(20)는 구이판(30)의 저면을 가열하여 구이판(30)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전열부(20)에는 열전달을 위한 발열체인 열선이 설치되며, 이 열선은 니크롬선으(21)로 제공된다.
이때, 니크롬선(21)은 전열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구이판(30)은 육류 등의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부위이며, 전열부(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구이판(30)의 가운데에는 육류 등으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배수되기 위한 배수공(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온도조절기(40)는 니크롬선(21)에 전원을 공급하며, 니크롬선(21)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온도조절기(40)의 일단부는 전열부(20)의 접속부(22)에 접속되며, 그의 타단부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형태의 단자로 구성된다.
이때, 온도조절기(40)에는 니크롬선(21)의 발열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41)이 설치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온도조절기(40)의 일단부와 전열부(20)의 접속 부(22) 사이에는 바이메탈 센서가 설치되어 온도조절에 대한 감지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는 온도조절기(40)를 통해 전열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열부(20)의 니크롬선(21)은 온도조절기(40)의 다이얼(41)을 통해 맞춰진 온도까지 발열을 하게 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크롬선(21)이 일정온도 이상에 이르면, 바이메탈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전열부(20)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니크롬선(21)이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바이메탈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전원 공급을 통해 니크롬선(21)이 발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차례 반복 수행하면서 전열조리 장치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구이 요리가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이판(30)의 상면 온도가 최적의 온도영역인 175℃~200℃를 유지해야 하지만, 종래의 전열조리 장치는 온도조절기(40) 자체의 오차 또는 바이메탈 센서의 부착 위치에 따른 오차, 다이얼(41) 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오차, 통전과 단전에 따른 시간적 오차 등으로 인해 열판 상면의 온도가 175℃~200℃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종래에는 통상, 온도조절기(40)의 온도 영역을 최고 200℃로 설정되어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는 구이판(30)의 상면 온도가 250℃ 이상으로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오차로 인해 조리음식이 탄화되는 온도의 범위에 노출되며, 조리음식이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기를 수시로 뒤집거나 구이판(30)의 상면 온도를 낮추어야만 한다.
이때, 고기의 상태를 늘 체킹하여 뒤집는 과정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기(40)의 다이얼(41)을 조절하여 구이판(30)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전열부(20)의 니크롬선(21)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니크롬선(21)의 온도가 140℃ 미만으로 과도하게 낮아지게 된다.
이때, 고기 한 점이 익을 때까지의 이러한 온도 변화는 3번 정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이판(30)이 최적의 온도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고기의 맛이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니크롬선(21)의 온도 상승 및 온도 하강에 따른 그래프는 도 2를 통해 알 수 있다.
둘째, 전력이 많이 소모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구이판(30)에 대한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된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온도조절기(40)를 이용하여 니크롬선(21)을 OFF시켜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때, 니크롬선(21)의 온도가 낮아지는 실질적인 이유는, 니크롬선(21) 자체에서 온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온도조절기(40)의 다이얼을 조작해 니크롬선(21)에 전원 공급을 차단했기 때문에 과열된 니크롬선(21)이 식게되는 바, 이로 인해 니크롬선(21) 자체의 온도조절로 인해 온도가 낮아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후, 온도가 낮아진 구이판(30)의 온도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니크롬선(21)에 다시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이때, 니크롬선(21)이 적정 온도를 초과하여 발열하기 때문에 초과발열에 따른 전력소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음식이 탄화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과정 중에 상기한 일련의 과정들이 반복됨으로써 전력소모량은 더 커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이판의 표면온도가 최적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하나의 구이판에서 익힘 상태를 각각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케이스;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은 조리용 식품이 안착되도록 제공되고, 저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된 구이판;상기 구이판의 고정부에 고정되며, 구이판에 열을 공급하는 세라믹 PTC;상기 세라믹 PTC에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라믹 PTC는 구이판의 길이방향으로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상기 고정부는,세라믹 PTC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격벽과, 각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와, 상기 격벽의 고정홈을 가로질러 체결부에 결합되어 세라믹 PTC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은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세라믹 PTC를 탄성 지지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라믹 PTC는 복수로 제공되고, 각 세라믹 PTC의 전원은 전원공급부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세라믹 PTC의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열체로서 고정된 온도영역을 유지하도록 제조된 세라믹 PTC를 이용함으로써, 조리식품이 탄화점에 도달하지 않고 구이판의 상면 온도가 최적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식품에 대한 조리과정을 계속 주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세라믹 PTC의 온도조절 작용이 전원의 통전 및 단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세라믹 PTC가 갖는 고유의 정온유지 특성에 의한 것으로서, 탄화온도가 초과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음식의 탄화 및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큐리 온도가 다른 세라믹 PTC를 복수로 설치한 후, 전원공급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구이판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구이판 상에서 조리식품의 익힘상태를 차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번에 여러 사람의 입맛에 맛는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구이판의 일부만 발열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리 음식의 양에 따라 구이판의 조리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이하, '전열조리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열조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구이판(200)과, 세라믹 PTC(300)와,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케이스(100)는 전열조리 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며, 그의 상부에는 구이판(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외부케이스(10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외부케이스(100)에는 기름받이(11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기름받이(110)는 구이판(200)에서 조리되는 육류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을 출입하는 서랍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는 기름받이(1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출입홀(100a)이 형성된다.
즉, 서랍 형태의 기름받이(110)는 출입홀(100a)을 통해 출입되면서, 구이판(200)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등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이판(200)은 조리용 식품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구이판(200)의 형태는 외부케이스(100)에 대응되는 사각 형태임이 바 람직하며, 그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되, 다이 캐스팅되어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이판(200)의 중간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기름 배수공(210)이 형성되며, 구이판(200)은 상기 기름 배수공(210)을 향해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이판(200)의 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세라믹 PTC가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20)는 세라믹 PTC(300)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며, 격벽(221)과 이탈방지편(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격벽(221)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구이판(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는, 세라믹 PTC(300)의 형태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격벽(221) 사이에는 세라믹 PTC(330)가 배치되는 고정홈(221a)이 형성된다.
한편, 각 격벽(221)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부(221b)가 형성된다.
체결부(221b)는 이탈방지편(222)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서, 격벽(221)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며,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공(221c)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부(221b) 역시, 한 쌍의 격벽(2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체결부(221b)는 복수로 형성된다.
한편, 이탈방지편(222)은 격벽(221) 사이의 고정홈(221a)에 배치된 세라믹 PTC(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격벽(221) 사이의 고정홈(221a)을 가로질러 양편의 체결부(221b)에 결합된다.
이때, 이탈방지편(222)은 격벽(221) 사이의 고정홈(221a)을 가로질러 체결부(221b)에 결합되는 결합부(222a)와, 이 결합부(222a)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세라믹 PTC(300)를 지지하는 판스프링(222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222a)의 양단부에는 체결부(221b)의 나사공(221c)에 대응되는 체결공(222c)이 형성된다.
그리고, 판스프링(222b)은 세라믹 PTC(300)에 대한 이탈방지편(222)의 지지면적을 넓게 하여 세라믹 PTC(300)의 지지를 효율적으로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판 스프링(222b)은 탄성력을 이용해 세라믹 PTC(300)를 구이판(200)의 저면에 밀착시켜 세라믹 PTC(300)의 열전도율을 최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판스프링(222b)은 세라믹 PTC(300)를 밀어 상기 세라믹 PTC(300)가 구이판(200)의 저면에 밀착될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스프링(222b)은 세라믹 PTC(300)의 열팽창시 세라믹 PTC(300)를 따라 수축 및 팽창됨으로써, 상기 세라믹 PTC(300)의 열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세라믹 PTC(300)의 열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이탈방지편(222)과 세라믹 PTC와(300)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라믹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300)는 구이판(200)을 가열하는 발열체이며, 구이판(200)의 저면 고정부(220)에 설치된다.
상기 세라믹 PTC(300)는 정 온도계수를 가지는 써미스터(thermistor)로서,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세라믹 PTC(300)는 큐리온도 이하가 되면,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서서히 감소하지만, 큐리온도 이상이 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한편, 세라믹 PTC(300)의 형태는 직사각 형태의 바(ba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이판(200)의 길이방향에 걸쳐 고른 열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때, 세라믹 PTC(300)는 복수로 제공된다.
이는, 세라믹 PTC(300)를 복수로 제공한 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이판(200)의 특정 부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기의 조리량이 많지 않을 경우 구이판(200)의 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함으로써, 구이판(200)의 저면 중, 기름 배수공(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세라믹 PTC(300)를 설치하여, 구이판(200)의 부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구이판(200)의 기름 배수공(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세라믹 PTC(300)는 그의 큐리온도가 각각 다르게 제공된다.
즉, 기름 배수공(210)을 중심으로 어느 한측의 세라믹 PTC(300)의 큐리온도를 높여 구이판(200)의 발열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고기의 익힘을 완전하게 하고, 다른 한측의 세라믹 PTC(300)의 큐리온도를 낮춰 구이판의 발열온도를 비교적 낮게 함으로써 고기의 익힘을 덜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번의 조리과정을 통해 고기의 익힘 상태를 차별화하여 사용자 의 다양한 기호에 맞는 고기익힘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세라믹 PTC의 온도차는 약 10℃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세라믹 PTC(300)의 개수는 네개 정도임이 바람직하며, 기름 배수공(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 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세라믹 PTC(300)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열조리 장치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구이판(200)과 외부케이스(100) 사이에는 보호패널(P)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패널(P)은 구이판(2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세라믹 PTC(300)에서 발열된 열에너지가 밖으로 유츌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패널(P)은 세라믹 PTC(300)를 차폐하며, 그의 중간에는 구이판(200)의 기름 배수공(210)에 대응되는 연통공(PH)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원공급부(400)는 세라믹 PTC(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케이스(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세라믹 PTC(300)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아니며, 세라믹 PTC(300)에 전원을 단순히 on/off시키는 역할만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 제품에 적용되던 온도조절기에 대한 구성이 필요 없게 되며, 온도조절에 따른 오차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오차 등이 발생하지는 않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부(400)에는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410)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410)는 세라믹 PTC(300)의 각각에 연결된다.
즉, 스위치(410)의 개수와 세라믹 PTC(300)의 개수는 동일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열조리 장치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구이판(2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220)에 세라믹 PTC(3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세라믹 PTC(300)는 격벽(221) 사이의 고정홈(221a)에 배치되고, 이탈방지편(222)은 체결부(221b)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이탈방지편(222)의 판스프링(222b)은 세라믹 PTC(300)를 밀어 구이판(200)의 저면을 밀착하도록 한다.
이후, 각 세라믹 PTC(300)의 단자는 전원공급부(400)의 각 스위치(410)에 접속된다.
한편, 기름받이(110)는 외부케이스(100)의 출입공(100a)을 통해 인입되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호패널(P)은 기름받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기름받이(110)의 상부에는 구이판(200)이 설치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전열조리 장치의 구이판(200)의 상면에 고기를 안착시킨다.
구이판(200)에 고기를 안착시킨 후, 전원공급부(400)의 스위치(410)를 조작하여 세라믹 PTC(3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각 스위치(410)는 각 세라믹 PTC(300)에 연결된 상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이판(200)의 발열 범위를 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세라믹 PTC(300)의 발열온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온도로부터 시간이 흐를수록 상승하게 되며, 이후, 세라믹 PTC(300)의 발열온도는 고기의 구이 조리를 위한 최적의 온도인 큐리온도(175℃~200℃) 범위에서 능동적으로 오르락 내리락하며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세라믹 PTC(300)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면서 일정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차를 보이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세라믹 PTC(30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소비되는 전력분포에 대해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초 상태에서, 세라믹 PTC(300)가 발열을 하기 위해서는 "A"영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전류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후, 전류량은 서서히 감소하게 되며, 약 5분이 경과한 후에는 일정한 전류가 소비되면서 세라믹 PTC(300)의 발열온도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때, "B"영역에서 전류량이 증가한 이유는 고기를 뒤집은 상태로서, 고기의 익지 않은 면의 온도차로 인해 순간 전류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전원공급의 통전 및 단전으로 인해 온도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발열체 스스로 능동적으로 발열하여 꼭 필요한 전력만 사용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량 역시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는 발열체로서 구이요리에 적합한 온도미만으로 발열되도록 제공된 세라믹 PTC(300)를 사용하여 고기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나의 구이판 상에서 고기의 익힘상태를 차별화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나아가, 전력소비량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모든 전열조리 장치에 여러가 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의 전력소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의 구이판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의 전력소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외부케이스 100a : 출입홀
110 : 기름받이 200 : 구이판
210 : 기름 배수공 220 : 고정부
221 : 격벽 221a : 고정홈
221b : 체결부 221c : 나사공
222 : 이탈방지편 222a : 결합부
222b : 판스프링 222c : 체결공
300 : 세라믹 PTC 400 : 전원공급부
410 : 스위치 P : 보호패널
PH : 연통공

Claims (5)

  1.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은 조리용 식품이 안착되도록 제공되고, 저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된 구이판;
    상기 구이판의 고정부에 고정되며, 구이판에 열을 공급하는 세라믹 PTC;
    상기 세라믹 PTC에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PTC는 구이판의 길이방향으로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세라믹 PTC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격벽과, 각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와, 상기 격벽의 고정홈을 가로질러 체결부에 결합되어 세라믹 PTC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편은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세라믹 PTC를 탄성 지지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PTC는 복수로 제공되고, 각 세라믹 PTC의 전원은 전원공급부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각 세라믹 PTC의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KR2020090016718U 2009-12-23 2009-12-23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KR200461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718U KR200461130Y1 (ko) 2009-12-23 2009-12-23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JP2012600055U JP3181393U (ja) 2009-12-23 2010-12-23 焼き用電熱調理装置
PCT/KR2010/009260 WO2011078597A2 (en) 2009-12-23 2010-12-23 Electric roast cooking device
EP20100839794 EP2515730B1 (en) 2009-12-23 2010-12-23 Electric roast cooking device
CN2010900013971U CN203041935U (zh) 2009-12-23 2010-12-23 电烧烤烹饪装置
US13/518,143 US20130112681A1 (en) 2009-12-23 2010-12-23 Electric roast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718U KR200461130Y1 (ko) 2009-12-23 2009-12-23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42U true KR20110006542U (ko) 2011-06-29
KR200461130Y1 KR200461130Y1 (ko) 2012-06-25

Family

ID=4419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718U KR200461130Y1 (ko) 2009-12-23 2009-12-23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12681A1 (ko)
EP (1) EP2515730B1 (ko)
JP (1) JP3181393U (ko)
KR (1) KR200461130Y1 (ko)
CN (1) CN203041935U (ko)
WO (1) WO201107859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4B1 (ko) * 2016-04-05 2016-11-16 이수복 맥반석가루를 이용한 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1218B2 (en) 2015-04-27 2019-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heating element
CN105030081A (zh) * 2015-06-29 2015-11-11 柳州蚊敌香业有限公司 一种利用太阳能进行烧烤的烧烤机
KR102340540B1 (ko) 2021-04-27 2021-12-21 주식회사 대원 전열 조리기구
KR102340541B1 (ko) 2021-04-27 2021-12-21 주식회사 대원 전열 조리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2712A (en) * 1943-09-06 1946-01-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Warming pad
US3317709A (en) * 1964-05-11 1967-05-02 Mc Graw Edison Co Electric griddle
US3511971A (en) * 1967-08-24 1970-05-12 Richard T Keating Temperature control
US3848110A (en) * 1973-07-25 1974-11-12 Marie Martle Poulin Giguere Portable electric grill appliance
DE2804784A1 (de) * 1978-02-04 1979-08-09 Eichenauer Fa Fritz Elektrische widerstandsheizeinrichtung
DE3009961C2 (de) * 1980-03-14 1982-10-28 Schott Glaswerke, 6500 Mainz Glaskeramik-Kochfeldeinheit zum Einbau in eine Arbeitsplatte
US5355779A (en) * 1992-07-10 1994-10-18 Breville R & D Pty Limited Griller
JPH08126580A (ja) * 1994-11-01 1996-05-21 Sharp Corp 加熱調理器
EP0853444B1 (de) * 1997-01-10 2005-11-23 E.G.O. ELEKTRO-GERÄTEBAU GmbH Kochsystem mit einer Kontaktwärme übertragenden Elektro-Kochplatte
US6369366B1 (en) * 1999-06-03 2002-04-09 Charles F. Mullen Portable DC and AC electric cooking apparatus
JP2002165703A (ja) * 2000-12-05 2002-06-11 Jamco Corp トレー用ヒーターユニット
US6957013B2 (en) * 2001-06-08 2005-10-18 Algas-Sdi International Llc Fluid heater
DE10250317B4 (de) * 2002-10-29 2004-10-28 Schott Glas Glas- oder Glaskeramikplatte mit einer elektrischen Heizeinheit
KR200401029Y1 (ko) 2005-08-20 2005-11-28 주식회사 오퀸 양면구이기
JP2007143804A (ja) 2005-11-28 2007-06-14 Masayuki Takashima 飲食物加熱装置
KR100648005B1 (ko) 2005-12-01 2006-11-23 하나코비 주식회사 전기 그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4B1 (ko) * 2016-04-05 2016-11-16 이수복 맥반석가루를 이용한 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1393U (ja) 2013-02-07
EP2515730A4 (en) 2013-06-19
WO2011078597A2 (en) 2011-06-30
KR200461130Y1 (ko) 2012-06-25
WO2011078597A3 (en) 2011-11-10
CN203041935U (zh) 2013-07-10
EP2515730B1 (en) 2015-05-06
EP2515730A2 (en) 2012-10-31
US20130112681A1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88595A1 (en) Closed Loop Adaptive Control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KR200461130Y1 (ko)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US4917006A (en) Expansion thermostat for cooking grill
CN101953645A (zh) 烤箱
JP2012247092A (ja) 加熱調理器
US20150053092A1 (en) Toasting apparatus with fixed and adjustable mechanical thermostats
US5004617A (en) Method of heating food
TR200000392T1 (tr) Izgaralarda ve benzeri araçlarda kullanılacak ısı yayan element
EP2963994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ovens
GB2081889A (en) Cooker grill
CN201279073Y (zh) 一种食物烘烤装置
KR200238000Y1 (ko) 전기 레인지
KR100686744B1 (ko) 오븐 레인지의 보온 서랍 온도 제어 방법
JPH0421994B2 (ko)
EP2821708B1 (en) Hob assembly for range cookers
KR20140131757A (ko) 조리용기 가열부가 별도로 구성된 전기그릴
JP3826894B2 (ja) 加熱調理器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KR200280607Y1 (ko) 이중 온도조절 구이기
KR100916982B1 (ko) 쿡탑, 쿡탑의 온도조정방법
KR200284760Y1 (ko) 조리용 핫플레이트
JP3273559B2 (ja) 加熱調理器具
KR100686745B1 (ko) 오븐 레인지의 보온 서랍 온도 제어 방법
KR101928465B1 (ko) 황토 가열 조리기구
KR20020061099A (ko) 피자오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