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9Y1 - 양면구이기 - Google Patents

양면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9Y1
KR200401029Y1 KR20-2005-0024021U KR20050024021U KR200401029Y1 KR 200401029 Y1 KR200401029 Y1 KR 200401029Y1 KR 20050024021 U KR20050024021 U KR 20050024021U KR 200401029 Y1 KR200401029 Y1 KR 200401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main body
double
sid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퀸
Priority to KR20-2005-0024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양면으로 구워 신속히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양면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하부가열판과 상부가열판 사이의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두께에 관계없이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양면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는,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신속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구이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대한 지지대를 형성하며, 일측에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수단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하부가열판과,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손잡이와, 회동손잡이에 양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와, 덮개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코드선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상부가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구이기{DOUBLE ROASTER}
본 고안은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양면으로 구워 신속히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양면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하부가열판과 상부가열판 사이의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두께에 관계없이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양면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양쪽에서 가열하여 신속히 조리하기 위하여 양면그릴이 구비된 가스렌지, 상하가열판이 구비된 양면구이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양면구이기의 구조가 도시된다.
종래기에 따른 양면구이기(1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면에는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하부가열판(111)이 결합되고, 일측에는 온도조절구(113) 및 작동버튼(115)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전원접속구(117)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하부면에는 전원공급에 의해 고안가능한 상부가열판(121)이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양면구이기(100)는, 본체(110)에 대해 덮개(120)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전원접속구(117)를 통해 전원을 연결하고, 하부가열판(111) 상에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올려놓은 다음, 본체(110)에 대해 덮개(12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에 상부가열판(121)이 접하도록 하여, 하부가열판(111) 및 상부가열판(121) 사이에서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신속히 조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양면구이기(100)의 경우에는, 하부가열판(111)이 결합된 본체(110)의 일측에 상부가열판(121)이 결합된 덮개(120)가 직접 힌지결합됨에 따라, 예를 들어 생선과 같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상부가열판(121)이 결합된 덮개(120)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유지됨에 따라 상부가열판(121)이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가열하지 못하므로 양면의 동시가열을 통한 신속한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하부가열판과 상부가열판 사이의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두께에 관계없이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양면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신속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구이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대한 지지대를 형성하며, 일측에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수단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하부가열판과,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손잡이와, 회동손잡이에 양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와, 덮개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코드선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상부가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덮개에는 하부가열판 및 상부가열판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구와, 전원공급여부 및 하부가열판과 상부가열판의 가열상태를 지시하는 지시램프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본체 상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열판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며, 전술한 본체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로부터 인출가능한 기름받이통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하부가열판의 가장자리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기름받이통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하부가열판 및 상부가열판 상에는 요철면이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본체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전술한 회동손잡이의 내측에는 미사용시 본체에 대해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본체에 대한 회동손잡이의 회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의 하부홈에 걸려지는 걸림고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폐쇄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개방시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는 하부가열판(20)과 상부가열판(50)을 통해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대상물이 신속히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한 지지대를 형성하며, 일측에 전원공급수단(11)이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수단(11)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하부가열판(20)과, 본체(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손잡이(30)와, 회동손잡이(30)에 양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40)와, 덮개(4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수단(11)과 연결되는 코드선(53)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상부가열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바닥면으로부터 하부가열판(20)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대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하부가열판(20) 및 상부가열판(50)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10) 하부로부터 인출가능한 기름받이통(13)이 구비된다.
전원공급수단(11)은 통상의 전원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상의 전원선이 접속가능한 콘센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기름받이통(13)의 인출을 위해, 본체(10) 하부 양측벽에는 그루브(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기름받이통(13)의 양측에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가능한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돌출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상부면에는 하부가열판(20)이 결합되는데, 이 하부가열판(20)은 전원공급수단(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공급수단(1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됨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하부면을 가열하는 것으로, 온도조절이 용이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세라믹히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가열판(20)의 상부면에는 조리대상물의 조리상태가 보기 좋도록 요철면(21)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기름받이(13)통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23)가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 상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자연적으로 흘러내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열판(20)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일측에는 회동손잡이(30)가 힌지결합되는데, 이 회동손잡이(30)는 회동방향에 따라 본체(10)에 대해 덮개(4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손잡이(30)는 그 회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10)의 일측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구(17)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17)는 하부가열판(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지지구(17) 상에는 본체(10)에 대한 회동손잡이(30)의 회동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17a)가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회동손잡이(30)에는 덮개(40)가 힌지결합되는데, 이 덮개(40)는 상부가열판(50)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 덮개(40)에는 하부가열판(20) 및 상부가열판(50)의 가열온도를 설정 또는 조절하는 조절다이얼 형태의 온도조절구(41)와, 전원공급수단(11)에 의한 전원공급여부를 지시하는 제 1 지시램프(43a)와, 하부가열판(20)과 상부가열판(50)이 조리에 알맞은 온도로 가열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 2 지시램프(43b)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가열판(20)과 상부가열판(50)의 가열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이 온도센서의 전기신호를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제 2 지시램프(43b)의 점멸을 제어함과 동시에, 하부가열판(20)과 상부가열판(50)의 가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하부가열판(20)과 상부가열판(50)의 가열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재개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은 자명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10)에 대해 덮개(40)가 폐쇄된 상태에서 본체(10)에 대한 회동손잡이(30)의 회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회동손잡이(3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5)의 하부홈(15a)에 걸려지는 걸림고리(3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덮개(40)의 하부면에는 상부가열판(50)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가열판(50)은 전원공급수단(11)에 연결되는 코드선(5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됨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을 가열하는 것으로, 온도조절이 용이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세라믹히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가열판(50)의 하부면에는 조리대상물의 조리상태가 보기 좋도록 요철면(21)에 상응하는 요철면(51)이 형성된다.
코드선(53)은 본체(10)와 덮개(40)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부가열판(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회동손잡이(30)에 대한 덮개(40)의 회동범위를 한정하는 역할도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사용방법 및 그에 따른 전체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수단(11)을 통해 하부가열판(20) 및 상부가열판(50)에 전원을 연결하고, 온도조절구(41)를 통해 조리에 적절한 온도를 설정한다.
하부가열판(20) 및 상부가열판(50)이 조리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었음이 제 2 지시램프(43b)에 의해 지시되면, 회동손잡이(30)의 회동을 통해 본체(10)에 대해 덮개(40)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하부가열판(20) 상에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올려놓은 다음, 회동손잡이(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에 상부가열판(50)이 접하도록 한 후 회동손잡이(30)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적절히 눌러가면서, 하부가열판(20) 및 상부가열판(50)을 통해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대상물을 신속히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조리시, 본체(10)로부터 기름받이통(13)을 인출시켜 둔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경우, 본체(10) 상에 하부가열판(20)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조리되는 동안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은 자연적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가이드(23)에 의해 기름받이통(13)으로 안내되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가 완료되면, 전원공급수단(11)에 의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회동손잡이(30)의 회동을 통해 본체(10)에 대해 덮개(40)를 이격시켜, 조리대상물을 외부로 꺼낸 후, 회동손잡이(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본체(10) 상에 덮개(40)를 밀착시킨 다음, 본체(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5)의 하부홈(15a)에 걸림고리(31)를 걸어, 본체(10)와 덮개(40)의 밀착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보관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가열판(20) 상에 조리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해 회동손잡이(30)를 회동시키게 되면, 회동손잡이(30) 상에 힌지결합된 덮개(40)는 본체(10) 및 회동손잡이(30)의 힌지결합지점과 회동손잡이(30)와 덮개(40)의 힌지결합지점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됨에 따라, 덮개(40)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부가열판(50)도 본체(10)의 상부면에 결합된 하부가열판(20)에 대해 양 힌지결합지점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1)를 통해 비교적 두꺼운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손잡이(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덮개(40)가 회동손잡이(30) 상에서 회동가능함에 따라, 하부가열판(50)은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조리대상물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비교적 두꺼운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에 의하면, 하부가열판 및 상부가열판을 통해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신속히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가열판이 결합된 본체의 일측에 상부가열판이 결합된 덮개가 직접 힌지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가열판이 결합된 본체의 일측에 회동손잡이가 힌지결합되고, 이 회동손잡이 상에 상부가열판이 결합된 덮개가 힌지결합됨에 따라, 예를 들어 생선과 같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경우에도 상부가열판이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그 두께에 관계없이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면구이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의 폐쇄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의 개방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구이기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양면구이기 10 : 본체
11 : 전원공급수단 13 : 기름받이통
15 : 걸림돌기 20 : 하부가열판
21 : 요철면 30: 회동손잡이
31 : 걸림고리 40 : 덮개
41 : 온도조절구 43a, 43b : 지시램프
50 : 상부가열판 51 : 요철면
53 : 코드선 100 : 종래기술에 따른 양면구이기

Claims (6)

  1.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신속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구이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대한 지지대를 형성하며, 일측에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하부가열판;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손잡이;
    상기 회동손잡이에 양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코드선을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상부가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하부가열판 및 상부가열판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구와, 전원공급여부 및 상기 하부가열판과 상부가열판의 가열상태를 지시하는 지시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가열판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가능한 기름받이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열판의 가장자리에는 조리대상물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상기 기름받이통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열판 및 상부가열판 상에는 요철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미사용시 상기 본체에 대해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한 회동손잡이의 회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홈에 걸려지는 걸림고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구이기.
KR20-2005-0024021U 2005-08-20 2005-08-20 양면구이기 KR200401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21U KR200401029Y1 (ko) 2005-08-20 2005-08-20 양면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21U KR200401029Y1 (ko) 2005-08-20 2005-08-20 양면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9Y1 true KR200401029Y1 (ko) 2005-11-28

Family

ID=4370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21U KR200401029Y1 (ko) 2005-08-20 2005-08-20 양면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226B1 (ko) 2008-09-18 2011-03-04 주식회사 해피콜 전기양면쿠커
KR101021494B1 (ko) 2009-02-27 2011-03-16 임숙희 다목적 구이기의 상판구동장치
KR200461130Y1 (ko) 2009-12-23 2012-06-25 호암모리아 주식회사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KR101357128B1 (ko) * 2012-03-23 2014-02-11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
WO2016024669A1 (ko) * 2014-08-14 2016-02-18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접이식 전기 그릴
KR200482291Y1 (ko) * 2016-06-15 2017-01-06 주식회사 이푸른인터내셔널 샌드위치 메이커
KR200490871Y1 (ko) * 2019-02-18 2020-01-16 황영남 전열식 다용도 조리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226B1 (ko) 2008-09-18 2011-03-04 주식회사 해피콜 전기양면쿠커
KR101021494B1 (ko) 2009-02-27 2011-03-16 임숙희 다목적 구이기의 상판구동장치
KR200461130Y1 (ko) 2009-12-23 2012-06-25 호암모리아 주식회사 구이용 전열조리 장치
KR101357128B1 (ko) * 2012-03-23 2014-02-11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
WO2016024669A1 (ko) * 2014-08-14 2016-02-18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접이식 전기 그릴
KR200482291Y1 (ko) * 2016-06-15 2017-01-06 주식회사 이푸른인터내셔널 샌드위치 메이커
KR200490871Y1 (ko) * 2019-02-18 2020-01-16 황영남 전열식 다용도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29Y1 (ko) 양면구이기
CN105030080A (zh) 烤箱
KR100580150B1 (ko) 라면 간편 조리기
JPH08187176A (ja) 電気湯沸し器
JP2012228445A (ja) 炊飯器
JP2007029403A (ja) 炊飯器
JP2012228446A (ja) 炊飯器
CN206295272U (zh) 加热电器
US4531048A (en) Confectionery grill having adjustable heating elements
KR102437040B1 (ko)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CN109744850A (zh) 用于糕点制品的烹饪设备
CN214341560U (zh) 一种食品保温罩
JP3468107B2 (ja) 電気調理器
CN220735129U (zh) 一种高强度的咖啡机支撑机构及早餐机
KR200261881Y1 (ko) 돌솥을 구비한 닭튀김장치
JP2024018269A (ja) 加熱調理器
JP2015016179A (ja) 保温器
KR200238479Y1 (ko)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진 냄비
CA2558149A1 (en) Cook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probe and hinged lid
JPH105126A (ja) 保温機能付き炊飯器
JPH0111156Y2 (ko)
KR100230992B1 (ko) 전기죽솥
JPH0646431Y2 (ja) 電気ポットのサーモスイッチ取付け構造
JP2003144327A (ja) 容器収納ケースおよび該容器収納ケースを備えた飲料抽出装置
JPH0866303A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