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57U -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57U
KR20110005757U KR2020090015714U KR20090015714U KR20110005757U KR 20110005757 U KR20110005757 U KR 20110005757U KR 2020090015714 U KR2020090015714 U KR 2020090015714U KR 20090015714 U KR20090015714 U KR 20090015714U KR 20110005757 U KR20110005757 U KR 201100057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using
self
diagnostic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892Y1 (ko
Inventor
방지웅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9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는 그 구성품인 제1자기진단 커넥터(20)와 제2자기진단 커넥터(35)가 조립될 때, 조립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안내레버(30)와 안내턱(39)을 각각 제1자기진단 커넥터(20)와 제2자기진단 커넥터(35)에 두었다. 상기 안내레버(30)에는 상기 안내턱(39)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2)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돌기(32)는 상기 제1자기진단 커넥터(20)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22) 내부의 삽입공간(24)으로 돌출되는 정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안내면(33)과 제2안내면(34)을 구비한다. 상기 제1안내면(33)과 제2안내면(34)은 상기 걸이턱(39)을 안내하면서 제1자기진단 커넥터(20)와 제2자기진단 커넥터(35)가 서로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상태를 작업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 진단, 결합, 삽입, 분리

Description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A diagnosis 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고장부위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를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전기전자장치는 사람의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는데, 전기전자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자동차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는 엔진의 작동과 관련된 전기장치와 엔진 이외의 차체 각부에 설치된 전장품이 있다.
엔진과 관련된 전기장치에는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장치, 점화코일과 점화플러그를 구비하는 점화장치, 발전기, 충전장치 등이 있다. 각종 전장품으로는, 엔진을 시동할 때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비록하여, 조명, 표시, 신호용의 등화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경고 표시장치 및 공기조화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전자장치의 접속불량이나 기능불량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자기진단 커넥터인데, 상기 자기진단 커넥터는 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거나, 메인퓨즈박스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진단 커넥터에는 상대물인 자기진단 커넥터가 결합되어 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동차 측에 구비되는 자기진단 커넥터를 제1 자기진단커넥터라고하고, 진단을 위한 기기에 달려 있어 상기 제1 자기진단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제2 자기진단 커넥터라고 한다.
하지만, 상기 자기진단 커넥터도 일종의 커넥터 이므로, 커넥터 끼리의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기진단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즉, 자기진단 커넥터 내의 단자들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으면 자기진단이 제대로 될 수 없는 것이다.
실제로 자기진단을 위해 제1 및 제2 자기진단 커넥터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이들 사이의 결합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 자기진단 커넥터의 결합불량이 전기전자장치의 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진단 커넥터의 결합이 완벽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외관을 제1하우징이 형성하는 제1자기진단 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로 선단이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2자기진단 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중 어느 일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정점이 돌출되고 각각 상기 정점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가지는 안내돌기가 있는 안내레버와, 상기 안내레버가 형성된 반대쪽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턱은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턱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슬롯의 끝부분이 구비된다.
상기 제1하우징은 박스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를 사용하면, 자기진단 커넥터끼리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가 커넥터끼리의 결합상태를 알 수 있어 자기진단 커넥터의 진단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중 제1자기진단 커넥터가 박스에 일체로 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박스와 별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10)의 일측에는 부품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안착부(12)에는 전장부품(14)이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박스(1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요지가 아니므로 극히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박스(10)의 일측에는 제1자기진단 커넥터(2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자기진단 커넥터(20)의 골격을 제1하우징(22)이 형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22)은 상기 박스(10)의 일부를 구성한다. 물론 제1자기진단 커넥터(20)가 박스(10)와 별개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하우징(22)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자기진단 커넥터(20)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22)의 내부에는 삽입공간(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간(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자기진단 커넥터(35)의 제2하우징(36)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간(24)의 내부에는 단자삽입부(2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자삽입부(26)는 제2하우징(36)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단자삽입부(26)를 관통하여서는 단자안착공간(28)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자안착공간(28)에는 단자들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22)의 일측에는 안내레버(3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버(30)는 상기 제1하우징(22)의 외관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버(30)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공간(24)을 향하도록 안내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32)는 그 종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32)에는 상기 안내레버(30)의 선단에서부터 연장되어 제1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내돌기(32)의 정점까지 연장된다. 상기 안내돌기(32)의 정점에서 상기 안내레버(30)의 기저부를 향해서는 제2안내면(34)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면과 제2안내면(32,34)은 각각 제2자기진단 커넥터(35)의 삽입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면(32)은 제2자기진단 커넥터(35)가 삽입될 때, 아래에서 설명 될 안내턱(39)을 안내하여 안내레버(30)가 약간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제2안내면(32)은 안내턱(39)을 안내하여 제2자기진단 커넥터(35)의 삽입시에 미삽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2자기 진단 커넥터(35)가 분리될 때 상기 안내레버(30)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제1안내면(32)과 제2안내면(34)은 각각 안내돌기(32)의 정점을 향해 경사지게 되어 있어 제2자기진단 커넥터(35)가 삽입될 때와 분리될 때 안내턱(39)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안내턱(39)을 걸어서 체결하는 역할은 아니다.
제2자기진단 커넥터(35)는 별도의 진단장치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2자기진단 커넥터(35)는 제2하우징(36)이 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로는 상기 단자삽입부(26)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36)은 선단 외면은 상기 제1하우징(22)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되고, 상기 제2하우징(36)의 선단 내면은 상기 단자삽입부(26)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된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22)과 제2하우징(36)의 구성이 서로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하우징(36)의 외면 일측에는 안내슬롯(3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슬롯(38)이 끝나는 부분에는 안내턱(39)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버(30)의 안내돌기(32)를 따라 안내된다. 상기 안내턱(39)은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슬롯(38)이 형성됨에 의해 그 일단부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안내턱(39)은 상기 안내레버(30)의 안내돌기(32)에 안내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기진단 커넥터조립 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의 (a)상태는 제2하우징(36)의 선단이 제1하우징(22)의 삽입공간(24)으로 삽입되고, 안내턱(39)의 선단이 상기 안내레버(30)의 제1안내면(33)에 접촉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작업자가 상기 안내레버(30)의 탄성력에 의한 저항을 약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계속하여 제2하우징(36)에 힘을 가하면 상기 제2하우징(36)이 삽입공간(24) 내부로 더 삽입되면서, 상기 안내턱(39)의 선단은 상기 안내레버(30)의 제1안내면(33)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레버(30)도 함께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하우징(36)이 도 4의 (b) 상태에서 더 삽입되면, 도 4의 (c)상태가 되는데, 이는 상기 안내돌기(32)의 정점이 상기 안내슬롯(38)에 인접한 상태이다. 이때가 상기 안내레버(30)의 탄성변형이 가장 많이 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하우징(36)이 더 삽입되면, 도 4의 (d)의 상태가 되는데, 상기 안내돌기(32)의 정점이 상기 안내슬롯(38)에 안착되어 상기 안내턱(39)에 상기 안내돌기(32)의 제2안내면(34)이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32)가 상기 안내슬롯(38)에 안착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소리와 느낌은 작업자가 제1 및 제2하우징(22,36)이 서로 결합되었음을 알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36)은 상기 제2안내면(34)의 경사 및 상기 안내레버(30)의 복원력 때문에 안내턱(39)이 상기 제1하우징(22)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2하우징(36)과 제1하우징(22)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36)을 상기 제1하우징(22)에서 분리해 내는 것은 상기 제2하우징(36)은 작업자가 잡고 제1하우징(22)에서 뽑아내면 된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22)과 제2하우징(36)이 서로 체결되어 있도록 하는 구성이 별도로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에는 이들 사이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로 분리해야 한다.
상기 제2하우징(36)을 제1하우징(22)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안내턱(39)은 상기 안내돌기(32)의 제2안내면(34)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안내레버(30)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제2안내면(34)이 상기 안내돌기(32)의 정점을 향해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약간의 힘만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안내레버(30)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박스 12: 부품안착부
14: 전장부품 20: 제1자기진단 커넥터
22: 제1하우징 24: 삽입공간
26: 단자삽입부 28: 단자안착공간
30: 안내레버 32: 안내돌기
33: 제1안내면 34: 제2안내면
35: 제2자기진단커넥터 36: 제2하우징
38: 안내슬롯 39: 안내턱

Claims (3)

  1.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외관을 제1하우징이 형성하는 제1자기진단 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로 선단이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2자기진단 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중 어느 일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정점이 돌출되고 각각 상기 정점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가지는 안내돌기가 있는 안내레버와,
    상기 안내레버가 형성된 반대쪽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턱은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턱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슬롯의 끝부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박스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진단 커넥터조립체.
KR2020090015714U 2009-12-03 2009-12-03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KR200471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14U KR200471892Y1 (ko) 2009-12-03 2009-12-03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14U KR200471892Y1 (ko) 2009-12-03 2009-12-03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57U true KR20110005757U (ko) 2011-06-10
KR200471892Y1 KR200471892Y1 (ko) 2014-03-20

Family

ID=4929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14U KR200471892Y1 (ko) 2009-12-03 2009-12-03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92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507A (en) * 1996-11-04 2000-05-30 Molex Incorporated Housing adapt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892Y1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2888B2 (ja) 電気コネクタ
EP2701245A2 (en) Connector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JP2009259442A (ja) コネクタ
EP2456018A1 (en) Waterproof structure
KR970068027A (ko) 코넥터 및 이 코넥터를 장착한 자동차용 부품
JP5764023B2 (ja) コネクタ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5059527B2 (ja) 中継コネクタ
JP2014519685A (ja) 充電コネクタ掛止装置
JP2002008769A (ja) コネクタ
US20210351539A1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6519702B1 (ja) 電気コネクタ
JP5060849B2 (ja) コネクタ
JP200715757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EP1701414A1 (en) Electrical connector
EP1662618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KR100799883B1 (ko) 암단자 조립체
KR20140031151A (ko) 커넥터 장치
KR200471892Y1 (ko) 자기진단 커넥터 조립체
JP2010033991A (ja) 電子機器
JP3884728B2 (ja) コネクタ構成部品のがたつき防止構造
KR20090132362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366779B1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JP201522832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