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17A - 휠체어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17A
KR20110005517A KR1020090063118A KR20090063118A KR20110005517A KR 20110005517 A KR20110005517 A KR 20110005517A KR 1020090063118 A KR1020090063118 A KR 1020090063118A KR 20090063118 A KR20090063118 A KR 20090063118A KR 20110005517 A KR20110005517 A KR 2011000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mber
belt
wheelchair
main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764B1 (ko
Inventor
최종학
Original Assignee
(주)유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프랜드 filed Critical (주)유프랜드
Priority to KR102009006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7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휠체어를 대중교통 수단에 고정하는 휠체어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는 대중교통수단의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고, 단부에 체결버클이 마련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메인체결유닛과, 차체에 설치된 고정바에 설치되며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의 바퀴 또는 바디의 일측을 통과한 체결부의 체결버클과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휠체어를 간단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안전벨트를 스스로 착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안전벨트, 휠체어

Description

휠체어용 안전벨트 {Safety belt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휠체어를 대중교통 수단에 고정하는 휠체어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장애인들에 대한 처우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상버스, 장애인용 지하철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수단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수단은 휠체어를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어야 하므로, 다양한 휠체어용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30550호에는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상기 종래의 휠체어 고정장치는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측 및 외측레버와, 내측 및 외측레버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와, 외측레버와 내측레버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레버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휠체어 고정장치는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근, 이간이 가능하도록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에는 간극 내로 진입한 휠체어의 차륜에 눌려 작동하는 차륜감지장치를 갖추고, 차륜감지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그 간극에 위치시킨 휠체어의 차륜을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로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 고정장치는 다수의 부품과 이러한 부품들에 의한 복잡한 작동 메카니즘을 가짐으로써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장 및 오작동시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게 됨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며 용이하게 휠체어를 이동수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휠체어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는 대중교통수단의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고, 단부에 체결버클이 마련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메인체결유닛과, 차체에 설치된 고정바에 설치되며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의 바퀴 또는 바디의 일측을 통과한 체결부의 체결버클과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체결부는 상기 본체에 권취된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체결버클과,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벨트부재의 인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벨트가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가이드부재는 상기 벨트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부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뒤 상기 권취롤에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에 의해 초기상태로 재권취되는 권취속도를 늦추기 위해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하되 상기 벨트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한다.
상기 벨트부재는 상면에 상기 체결버클이 결합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돌출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 다수의 정지돌기들이 상기 벨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바디에는 상기 정지돌기와 접촉하여 인출된 상기 벨트부재가 권취롤에 재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바디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정지돌기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접촉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타측단부에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벨트부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접촉부가 상기 벨트부재와 접촉되도록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휠체어를 간단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안전벨트를 스스로 착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10)의 일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의 실시예는 대중교통수단 중 지하철에 설치되는 휠체어용 안전벨트(10) 이다.
최근 지하철 또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들에는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바(2)가 차체(1)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고정바(2)는 차체(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고정바(2)가 설치된 곳에는 휠체어가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일반인들이 착석하는 의자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장애인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휠체어를 상기 고정바(2)에 고정시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체어용 안전벨트(10)는 상기 고정바(2)에 휠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휠체어용 안전벨트(10)는 차체(1)의 내측면에 고정된 메인체결유닛(100)과, 메인체결유닛(100)과 결합되며 고정바(2)에 설치되는 결합부재(150)를 포함한다.
결합부재(150)는 고정바(2)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후술하는 메인체결유닛(100)의 체결버클(1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된 체결버클(132)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누름버튼(152)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체결유닛(100)은 고정부(110)와 본체(120), 체결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차체(1)에 본체(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부재(150)가 설치된 고정바(2)와 인접하도록 차체(1)에 설치된다. 고정부(110)는 플레이트 형상인데, 상측에 차체(1)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볼팅홀(111)이 형성되 어 있으며, 이 볼팅홀(111)을 통해 고정볼트(112)가 차체(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부(110)를 차체(1)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체(120)는 고정부(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120)는 고정부(110)와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차체(1)의 전면으로부터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본체(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후술하는 벨트부재(131)의 연장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체(120)의 내부에는 권취롤(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권취롤(122)은 벨트부재(131)를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부재(131)는 외력이 없을 때에는 권취롤(122)에 감겨있게 된다.
상기 권취롤(122)은 벨트부재(131)를 당겨 권취롤(122)로부터 벨트부재(131)가 풀림상태에 있을 때, 외력이 해제되면 권취롤(122)에 재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롤(122)을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중심축의 일측에 스파이럴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벨트부재(131)가 갑자기 당겨지는 인출력이 작용할 때, 벨트부재(131)의 풀림을 차단하도록 권취롤(122)의 풀림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회전차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럴스프링과 회전차단부는 일반적인 안전벨트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시를 생략한다.
체결부(130)는 상기 권취롤(122)에 권취되는 벨트부재(131)와, 벨트부재(13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버클(132)과, 벨트부재(131)의 인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벨트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한다.
벨트부재(131)는 상술한 것처럼 권취롤(122)에 감겨 있으며, 단부에 상기 체결버클(132)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버클(132)에는 벨트부재(131)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133)이 형성되어 있어서 벨트부재(131)를 이 통과공(133)으로 통과시킨 후, 다시 벨트부재(131)측으로 말아올려 단부를 박음질 처리함으로써 체결버클(132)을 벨트부재(131)에 고정시킨다.
체결버클(132)은 상술한 결합부재(150)의 삽입공에 삽입되는데, 이 체결버클(132)과 결합부재(150)의 결합구조는 일반적인 안전벨트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다.
벨트가이드부재(140)는 본체(120)의 하단에 설치되어 권취롤(122)로부터 풀려 인출되는 벨트부재(131)의 인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가이드바디(141)와, 가이드바디(141)에 설치되는 요철부(143)를 구비한다.
가이드바디(141)에는 벨트부재(13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장공(1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장공(142)의 길이는 벨트부재(131)의 폭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42)의 주변 외주면은 곡률지고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어서 벨트부재(131)가 장공(142)을 통과한 뒤 연장될 때, 가이드바디(141)와 벨트부재(131)의 접촉면 사이에서의 마찰에 의해 벨트부재(131)가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143)는 가이드바디(141)에 설치되어 있는데, 장공(142)을 통과하는 벨트부재(131)의 일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장공(142)을 향해 돌출되어 있 다.
상기 요철부(143)는 벨트부재(131)의 측면과 접촉하여 벨트부재(131)가 권취롤(122)에 재권취되는 속도를 늦추기 위한 것이다.
요철부(143)는 벨트부재(131)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철부(143)가 벨트부재(131)의 표면에 접촉한다. 상술한 것처럼 권취롤(122)러의 회전중심축 일측에는 권취롤(122)을 벨트부재(131)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파이럴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벨트부재(131)가 본체(120)의 내부로 말려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지체가 부자유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벨트부재(131)를 당긴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힘겹게 당긴 벨트부재(131)가 스파이럴스프링에 의해 바로 재권취되어 버리면 벨트부재(131)를 휠체어를 통과시킨 후 체결버클(132)을 결합부재(150)에 체결하는 것이 매우 힘겨울 수 있다.
따라서 요철부(143)가 벨트부재(13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요철부(143)와 벨트부재(131)의 접촉면 사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 인출된 벨트부재(131)가 본체(120)로 되감기는 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장애인들이 보다 용이하게 체결버클(132)을 결합부재(150)에 체결하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휠체어용 안전벨트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용 안전벨트는 벨트부재(210)에 다수의 정지돌기(2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바디(141)에는 본체(120)로부터 인출된 벨트부재(210)가 권취롤(122)로 말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 퍼(2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벨트부재(210)에 형성되어 있는 정지돌기(211)들은 체결버클(132)이 결합된 벨트부재(210)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돌출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다수의 정지돌기(211)들이 벨트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정지돌기(211)는 벨트부재(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높이가 전단보다 후단이 더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20)는 가이드바디(141)에 설치되어 인출된 벨트부재(210)가 권취롤(122)로 재 권취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가이드바디(141)에 설치되는 브라켓(221)과, 브라켓(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22)과, 회전축(222)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224)와, 회전축(222)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223)을 포함한다.
회전체(224)는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일측단부는 정지돌기(211)와 접촉하도록 접촉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25)는 정지돌기(211)의 후단에 걸릴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 있으며, 접촉부(225)가 정지돌기(211)의 후단에 걸려 벨트부재(210)가 권취롤(122)에 재 권취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회전체(224)의 타측단부는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접촉부(225)와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이 타측단부에 가압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226)는 회전체(224)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가압부(226)를 가압하면 회전체(224)가 회전 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접촉부(225)가 정지돌기(211)와 분리된다.
토션스프링(223)은 회전축(222)에 설치되며, 회전체(224)의 접촉부(225)가 정지돌기(21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체(224)를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이 토션스프링(223)에 의해 가압부(226)를 가압하여 접촉부(225)를 체결벨트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외력이 사라지면 회전체(224)는 접촉부(225)가 정지돌기(211)에 걸리도록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용 안전벨트는 사용자가 체결버클(132)을 당겨 벨트부재(210)를 권취롤(122)로부터 풀어낼 때, 벨트부재(210)가 본체(12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는 정지돌기(211)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돌출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회전체(224)의 접촉부(225)가 경사면을 따라 승강 한 뒤 다음 정지돌기(211)의 전단으로 떨어지고, 다시 경사면을 따라 승강한 뒤 다음 정지돌기(211)의 전단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벨트부재(210)가 본체(12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인출된 벨트부재(210)는 스토퍼(220)의 접촉부(225)가 정지돌기(211)에 걸려 권취롤(122)에 재 권취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지체가 부자유하거나 힘이 없는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체결버클(132)을 결합부재(150)에 체결할 수 있다.
체결버클(132)을 결합부재(150)에 체결한 다음 느슨한 벨트부재(210)를 팽팽하게 긴장시키거나 체결버클(132)을 결합부재(150)로부터 분리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부(226)를 눌러 접촉부(225)를 정지돌기(21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스파이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권취롤(122)이 회전하여 벨트 부재(210)가 권취롤(122)에 재권취되게 한다.
본 실시예의 벨트부재(210)와, 스토퍼(220)에 대한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와 그 구성과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들의 경우 메인체결유닛(100)이 차체(1)에 결합되고 결합부재(150)는 차체(1)에설치된 고정바(2)에 설치되어 있으나, 메인체결유닛(100)과 결합부재(150)가 휠체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휠체어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휠체어에 고정시키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벨트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휠체어용 안전벨트의 부분발췌도,
도 3은 메인체결유닛의 내부 단면 및 고정부와 결합부재, 체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고정부에 대한 본체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벨트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휠체어용 안전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휠체어용 안전벨트
100; 메인체결유닛
110; 고정부
120; 본체
130; 체결부
140; 벨트가이드부재
150; 결합부재
211; 정지돌기
220; 스토퍼

Claims (2)

  1. 대중교통수단의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고 단부에 체결버클이 마련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메인체결유닛과;
    차체에 설치된 고정바에 설치되며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의 바퀴 또는 바디의 일측을 통과한 체결부의 체결버클과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체결부는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체결버클과,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벨트부재의 인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벨트가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가이드부재는 상기 벨트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부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뒤 상기 권취롤에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에 의해 초기상태로 재권취되는 권취속도를 늦추기 위해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하되 상기 벨트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상면에 상기 체결버클이 결합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돌출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 다수의 정지돌기들이 상기 벨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바디에는 상기 정지돌기와 접촉하여 인출된 상기 벨트부재가 권취롤에 재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바디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정지돌기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접촉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타측단부에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벨트부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접촉부가 상기 벨트부재와 접촉되도록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벨트.
KR1020090063118A 2009-07-10 2009-07-10 휠체어용 안전벨트 KR10113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18A KR101139764B1 (ko) 2009-07-10 2009-07-10 휠체어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18A KR101139764B1 (ko) 2009-07-10 2009-07-10 휠체어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17A true KR20110005517A (ko) 2011-01-18
KR101139764B1 KR101139764B1 (ko) 2012-06-12

Family

ID=4361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118A KR101139764B1 (ko) 2009-07-10 2009-07-10 휠체어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7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5064A1 (zh) * 2013-10-18 2015-04-23 迈柯唯医疗设备(苏州)有限公司 医用体位保持带固定装置
CN105128878A (zh) * 2015-09-24 2015-12-09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城轨车辆轮椅固定装置
CN107080624A (zh) * 2017-05-26 2017-08-22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转接片及安全带
CN108099757A (zh) * 2017-12-28 2018-06-01 兰考县鸿运运输有限公司 一种运输过程中的固定装置
KR20200004476A (ko) * 2018-07-03 2020-01-14 (주) 하나텍시스템 휠체어 고정 장치용 벨트 착용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경고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247B1 (ko) 2019-08-27 2021-09-06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365B2 (ja) * 1990-06-06 2000-05-22 株式会社トーシン ベルト式拘束装置
KR970005133Y1 (ko) * 1991-04-18 1997-05-24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장애자용 케어버스
JP4144126B2 (ja) 1999-08-03 2008-09-0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乗合自動車における車椅子用シートベルト装置
US7717655B2 (en) 2006-09-26 2010-05-18 Sure-Lok, Inc. Compact wheelchair restraint system with housing and relea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5064A1 (zh) * 2013-10-18 2015-04-23 迈柯唯医疗设备(苏州)有限公司 医用体位保持带固定装置
US10786386B2 (en) 2013-10-18 2020-09-29 Maquet (Suzhou) Co., Ltd. Medical body position retaining belt securing device
CN105128878A (zh) * 2015-09-24 2015-12-09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城轨车辆轮椅固定装置
CN107080624A (zh) * 2017-05-26 2017-08-22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转接片及安全带
CN108099757A (zh) * 2017-12-28 2018-06-01 兰考县鸿运运输有限公司 一种运输过程中的固定装置
KR20200004476A (ko) * 2018-07-03 2020-01-14 (주) 하나텍시스템 휠체어 고정 장치용 벨트 착용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경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764B1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764B1 (ko) 휠체어용 안전벨트
JP3041480B2 (ja) スリップ防止ウェッビング・アジャスタ
KR101691842B1 (ko) 보빈고정장치
EP0024812A1 (en)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an automobile vehicle
GB2359799A (en) A tape measure featuring braking and locking means
US7614103B2 (en) Stretcher with brake mechanism
WO1987006544A1 (en) Retractor for seat belt of automatic/emergency lock type
JPS586427Y2 (ja) 巻取装置のベルト延出し防止装置
CA1048983A (en) Retraction locking safety belt retractor
JP2007075473A (ja) 車椅子乗降用電動ウィンチ
JP5536416B2 (ja) 吊支式ドア装置
CN207931666U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总成及车辆
JP2007091008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073277A (ja) ウエビングガイド構造
KR101694052B1 (ko)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KR20190140164A (ko) 안전 벨트 보조 장치
JPH0322048Y2 (ko)
KR840001069Y1 (ko) 좌석 안전 벨트용 클램프장치
JPS63501705A (ja) 車両の安全ベルトにおける引き出し可能なストラップに対する緊急時ロッキング装置
JP2004106561A (ja) エンドロック低減機構
KR940002594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JPH0440950A (ja) ベルト式拘束装置
JP2000104449A (ja) 自動ドア装置
JP3378102B2 (ja) エスカレータの移動手すり装置
KR890004577Y1 (ko) 안전 벨트의 조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