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052B1 -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052B1
KR101694052B1 KR1020150126523A KR20150126523A KR101694052B1 KR 101694052 B1 KR101694052 B1 KR 101694052B1 KR 1020150126523 A KR1020150126523 A KR 1020150126523A KR 20150126523 A KR20150126523 A KR 20150126523A KR 101694052 B1 KR101694052 B1 KR 10169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region
button
lift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트림에 마련된 구속영역에서 승강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와 마주하도록 웨빙(webbing)의 길이방향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구속영역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웨빙의 거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인출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부를 상기 구속영역에서 구속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Webbing lockin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웨빙의 탈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벨트는 차량에 탑승한 승차자의 하복부와 흉부를 시트에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량 충돌 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는 2차적 유동상태를 저감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시트벨트는 벨트체인 웨빙(Webbing) 그 양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바, 그 중 일단은 리트렉터(Retractor)에 감겨져 수납되어 있으며, 타단은 앵커로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웨빙의 소정부위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된 텅플레이트를 차체에 고정된 버클에 체결함으로써, 승차자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시트벨트는 승차 또는 하차 시에 걸리지 않도록 시트 백 상단에 설치된 웨빙 가이드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웨빙 가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웨빙(10)을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끼워 넣어야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웨빙 가이드(20)의 경우, 2열 시트에 어린이 및 유아 탑승 시 호기심에 뒤로 젖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그에 따른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억지로 웨빙(10)을 웨빙 가이드(20)에 넣을 시 웨빙(10)이 손상되거나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6019호(2014.02.07.)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 타입을 적용하여 웨빙의 탈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는 차량 내부의 트림에 마련된 구속영역에서 승강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와 마주하도록 웨빙(webbing)의 길이방향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구속영역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웨빙의 거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인출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부를 상기 구속영역에서 구속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인출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구속영역에 설치되고, 다단의 구조로 형성되며, 길이의 가변을 통해 상기 구속영역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웨빙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인출부재 및 상기 웨빙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를 향하여 개방된 체결 홈이 구비되는 제2인출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제1인출부재는 상기 웨빙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인출부재에는 상기 결합핀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구비되어 결합핀 관통홀을 갖는 상기 웨빙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인출부재와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에는 상기 웨빙이 관통 삽입되는 슬롯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구속영역과 연결된 장착영역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장착영역에서 상기 버튼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영역에 마련된 힌지 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재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힌지 축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구속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체결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영역에서의 상기 제2인출부재 구속 시 상기 체결 홈에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가압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돌출편을 상기 체결 홈에서 벗어나게 하여 상기 제2인출부재가 상기 구속영역에서 구속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 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착영역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림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버튼 타입을 적용하여 웨빙의 탈장착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웨빙의 고정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웨빙이 꼬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웨빙에 결합되는 인출부가 원터치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기존의 직사각 고리형상의 웨빙 가이드가 꺽여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에 대한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에 대한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3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4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는 승강부(100), 인출부(200) 및 버튼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승강부(100)는 차량 내부의 트림(1)에 소정의 깊이로 마련된 구속영역(A)의 내부에서 승강한다.
이를 위해, 승강부(100)는 승강 플레이트(110), 승강부재(120) 및 스프링 부재(130)를 구비한다.
승강 플레이트(110)는 구속영역(A)에 입측에 위치되고,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인출부(200)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승강부재(120)는 구속영역(A)에 직립되어 설치되고, 다단의 구조로 형성된다.
즉, 승강부재(120)는 구속영역(A)에 직립된 하부 승강부재에 승강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상부 승강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상부 승강부재(1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승강부재(12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부재(12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구속영역(A)에서 승강 플레이트(1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스프링 부재(130)는 승강부재(120)에 설치되고, 승강 플레이트(110)의 승강 시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프링 부재(130)는 일반적인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승강부재(120)의 승강 시 승강 플레이트(110)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120)를 구성하는 상부 승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부(200)는 승강부(100)와 마주하도록 웨빙(webbing)(10)의 길이방향 상에 장착되고, 승강부(100)와 함께 승강하여 구속영역(A)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결과적으로는 웨빙(10)의 거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인출부(200)는 제1인출부재(210) 및 제2인출부재(220)를 구비한다.
제1인출부재(210)는 외부로 노출된 웨빙(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제2인출부재(220)는 웨빙(10)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승강 플레이트(11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인출부재(220)는 승강 플레이트(110)와 함께 구속영역(A)에 구속될 수 있도록 구속영역(A)의 입측 면적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제2인출부재(220)에는 후술 될 버튼부(300)를 향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개방된 체결 홈(220a)이 구비된다.
버튼부(300)는 트림(1) 상에서 승강부(10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인출부(200)를 구속영역(A)에서 구속 해제시킨다.
여기서, 버튼부(300)는 버튼부재(310), 회전부재(320) 및 탄성부재(330)를 구비한다.
버튼부재(3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구속영역(A)과 연결된 장착영역(B)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된다.
회전부재(320)는 장착영역(B)의 내부에서 버튼부재(3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장착영역(B)에 마련된 힌지 축(320a)에 힌지 결합되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버튼부재(310)의 승강 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구속영역(A)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러한 회전부재(32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출부(200)가 구속영역(A)에서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구속영역(A)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322)을 구비한다.
돌출편(322)은 제2인출부재(220)에 형성된 체결 홈(220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속영역(A)에서의 제2인출부재(220) 구속 시 체결 홈(220a)에 걸림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버튼부재(310)를 누르게 되면, 버튼부재(310)가 회전부재(320)를 가압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돌출편(322)이 체결 홈(220a)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제2인출부재(220)가 구속영역(A)에서 구속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힌지 축(320a)에 설치되고, 버튼부재(310)의 승강에 따라 회전부재(32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30)는 힌지 축(320a)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회전부재(320)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장착영역(B)에 마련된 걸림턱(340)에 걸림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토선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출부(200)는 후면에 결합핀을 갖는 제1인출부재(210)와, 전면에 결합홈(220b)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면에 체결 홈(220a)이 형성된 제2인출부재(220)로 구성된다.
이에, 제1인출부재(210)의 결합핀(210a)을 웨빙(10)에 형성시킨 결합핀 관통홀(10a)을 통하여 관통시키는 동시에 제2인출부재(220)의 결합홈(220a)에 체결시킴으로써, 웨빙(10)을 사이에 두고 제1인출부재(210)와 제2인출부재(220)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가 되고, 결국 제1인출부재(210)와 제2인출부재(220)로 구성된 인출부(200)가 웨빙(10)과 하나로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출부(200)는 웨빙(10)의 인출 또는 되감김 방향으로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출부(200)가 지나가는 슬롯홀(230)을 갖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인출부(200)의 일측면에는 회전부재(320)의 돌출편(322)이 잠금 삽입되는 체결 홈(220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에 대한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에 대한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빙의 구속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웨빙(10)의 구속을 위하여 웨빙(10)의 길이방향 상에 장착된 인출부(200)를 승강 플레이트(110)와 밀착시킨다.
이후, 인출부(200)를 구속영역(A)을 향해 가압하여 승강 플레이트(110)와 인출부(200)가 구속영역(A)으로 함께 하강하도록 한다.
여기서, 구속영역(A)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편(322)을 승강 플레이트(110)가 하강하면서 밀게되는데, 이때 돌출편(322)은 장착영역(B)으로 밀려났다가 탄성부재(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딸깍 소리와 함께 돌출편(322)이 체결 홈(220a)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체결 홈(220a)과 돌출편(322)의 걸림 구조를 통해 구속영역(A)의 내부에 인출부(200)가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트림(1) 상에서 웨빙(10)의 고정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웨빙(10)이 꼬여서 거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3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의 웨빙 구속 해제에 대한 제4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빙의 구속 해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기 위하여 시트벨트를 당기는 경우, 돌출편(322)이 체결 홈(220a)에 걸림 위치되어 인출부(200)가 구속영역(A)에 고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먼저 인출부(200)가 구속영역(A)에서 구속 해제되도록 버튼부(300)를 누른다.
이때, 버튼부(300)의 누름동작에 의해 회전부재(320)가 힌지 축(320a)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돌출편(322)이 체결 홈(220a)에 이탈된다.
그에 따라, 스프링 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20)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승강 플레이트(110) 또한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승강 플레이트(110)가 승강하여 구속영역(A)의 입측에 위치되면, 인출부(200)는 구속 해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인출부(200)를 잡아 당겨 웨빙(10)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유롭게 시트벨트의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 타입을 적용하여 웨빙의 탈장착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웨빙의 고정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웨빙이 꼬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웨빙에 결합되는 인출부가 원터치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기존의 직사각 고리형상의 웨빙 가이드가 꺽여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트림 10 : 웨빙
10a : 관통홀 20 : 웨빙 가이드
100 : 승강부 110 : 승강 플레이트
120 : 승강부재 130 : 스프링 부재
200 : 인출부 210 : 제1인출부재
210a : 결합핀 220 : 제2인출부재
220a : 체결 홈 220b : 결합홈
230 : 슬롯홀 300 : 버튼부
310 : 버튼부재 320 : 회전부재
320a : 힌지 축 322 : 돌출편
330 : 탄성부재 340 : 걸림턱
A : 구속영역 B : 장착영역

Claims (9)

  1. 차량 내부의 트림에 마련된 구속영역에서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마주하도록 웨빙(webbing)의 길이방향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구속영역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웨빙의 거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인출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부를 상기 구속영역에서 구속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웨빙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인출부재; 및
    상기 웨빙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를 향하여 개방된 체결 홈이 구비되는 제2인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인출부재는,
    상기 웨빙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인출부재에는, 상기 결합핀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구비되어 결합핀 관통홀을 갖는 상기 웨빙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인출부재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인출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구속영역에 설치되고, 다단의 구조로 형성되며, 길이의 가변을 통해 상기 구속영역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는,
    상기 웨빙이 관통 삽입되는 슬롯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구속영역과 연결된 장착영역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버튼부재;
    상기 장착영역에서 상기 버튼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영역에 마련된 힌지 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재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힌지 축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구속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체결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영역에서의 상기 제2인출부재 구속 시 상기 체결 홈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가압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돌출편을 상기 체결 홈에서 벗어나게 하여 상기 제2인출부재가 상기 구속영역에서 구속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 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착영역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림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KR1020150126523A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KR10169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23A KR101694052B1 (ko)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23A KR101694052B1 (ko)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052B1 true KR101694052B1 (ko) 2017-01-06

Family

ID=5783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523A KR101694052B1 (ko)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05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732A (ko) * 1995-12-27 1997-07-24 전성원 벨트 고정장치
KR1998005191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가이드
KR20060038183A (ko) * 2004-10-29 2006-05-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전 벨트의 웨빙 가이드
KR20140016019A (ko) 2012-07-30 2014-02-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732A (ko) * 1995-12-27 1997-07-24 전성원 벨트 고정장치
KR1998005191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가이드
KR20060038183A (ko) * 2004-10-29 2006-05-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전 벨트의 웨빙 가이드
KR20140016019A (ko) 2012-07-30 2014-02-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가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05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KR102623775B1 (ko) * 2021-10-28 2024-01-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016B2 (en)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US8052170B2 (en) Locking height adjuster for a seat belt
US20150173461A1 (en) Tongue and seat belt device using same
KR20100029718A (ko) 아동용 카시트
US9988012B2 (en) Seat belt system
US9764662B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integral child seat module
US20220185153A1 (en) Child restraint base and child restraint system
KR101694052B1 (ko)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KR101788193B1 (ko)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JP6467413B2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EP2025256A1 (en) A tension regulator for a safety belt of a seat, in particular a child safety seat
TWI590970B (zh) Saf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structure
JP469691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220140B1 (ko) 벨트 버클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CN218054823U (zh) 车用投影天窗和车辆
KR100285046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CN210234914U (zh) 一种汽车安全带
KR101014538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GB2492814A (en) Seatbelt assembly
KR100991765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
JP484877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53500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 인출 장치
KR101647447B1 (ko) 버클 장치
JP202101114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636635B1 (ko) 차량 시트 벨트의 디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