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705A -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705A
KR20230060705A KR1020210145192A KR20210145192A KR20230060705A KR 20230060705 A KR20230060705 A KR 20230060705A KR 1020210145192 A KR1020210145192 A KR 1020210145192A KR 20210145192 A KR20210145192 A KR 20210145192A KR 20230060705 A KR20230060705 A KR 2023006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cking
armrest
vehicl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775B1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는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에 마련되는 걸림턱, 걸림턱이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후크, 본체부에 마련되되, 걸림후크를 걸림턱에 체결 및 이격시키도록 전진 및 후퇴시키는 락킹유닛, 걸림후크 및 락킹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락킹유닛은 탑승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측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재와, 일단이 버튼부재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후크에 연결되며, 중간부위가 제1 힌지축에 의해 본체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arm rest}
본 발명은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시에도 암레스트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등 탑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그 중 차량의 도어나 센터콘솔 등에 마련되는 암레스트의 내부 하측에도 수납공간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암레스트의 수납공간은 평상 시 닫힌 상태로 탑승객의 팔을 거치하다가, 필요한 경우 개방되어 각종 물품들을 내부에 수납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운행 중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암레스트가 개방될 수 있으며, 암레스트의 개방 시 탑승객의 상해 가능성이 더욱 증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탑승객이 개방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암레스트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아울러, 암레스트의 닫힘 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해 조립부품을 복잡 다단하게 추가할 경우, 재료비가 상승하고 조립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되는 부품 수가 증가할수록 수납공간이 좁아지므로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며, 암레스트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어 탑승객의 거주 쾌적성을 떨어트린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2924호(2021. 06. 18. 공개)
본 실시 예는 암레스트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암레스트의 의도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암레스트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암레스트의 개폐 동작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후크;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체결 및 이격시키도록 전진 및 후퇴시키는 락킹유닛; 상기 걸림후크 및 상기 락킹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유닛은 탑승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측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재와, 일단이 상기 버튼부재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후크에 연결되며, 중간부위가 제1 힌지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과 중간부위 사이의 제1 부분과, 중간부위와 타단 사이의 제2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제2 힌지축에 의해 상기 버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제3 힌지축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측에 부품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비 작동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림후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체결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링크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내측에 부품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비 작동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체결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는 암레스트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는 암레스트의 의도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는 암레스트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는 암레스트의 개폐 동작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암레스트(10)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등 탑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S)이 마련된다.
일 예로, 차량의 도어에 마련되는 암레스트(10)에도 수납공간(S)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암레스트(10)는 내측에 수납공간(S)을 구비하는 본체부(11)와, 수납공간(S)을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는 도어트림과 구별되는 부품요소로 마련되어 도어의 패널이나 내장부품에 장착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12)는 본체부(11)의 일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수납공간(S)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커버부(12)는 평상 시 닫힌 상태로 탑승객의 팔을 거치하다가, 소지품의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필요한 경우 개방된다. 한편, 차량의 운행 중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암레스트(10)가 개방될 수 있는데, 암레스트(10)의 개방 시 탑승객의 상해 정도가 더욱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 200)는 탑승객이 커버부(12)의 개방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 200)는 커버부(12)의 개방을 위한 조작부의 위치 또는 조작 방향에 따라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와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가 도어트림의 측벽 등에 배치되어 탑승객이 수평 방향으로 조작부를 가압하여 커버부(12)를 개방시키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암레스트 잠금장치(100)와, 조작부가 암레스트(10)의 팔 거치면 등에 배치되어 탑승객이 상하 방향으로 조작부를 가압하여 커버부(12)를 개방시키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암레스트 잠금장치(200)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는 커버부(12)에 마련되는 걸림턱(110)과, 걸림턱(110)이 걸리는 걸림후크(120)와, 걸림후크(120)를 걸림턱(110)에 체결 및 이격시키는 락킹유닛(130)과, 걸림후크(120) 및 락킹유닛(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140)과, 모듈화된 잠금장치(100)를 제공하도록 내측에 각종 부품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10)은 커버부(12)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거나, 커버부(12)의 외면 상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0)은 커버부(12)의 안정적인 잠금 상태 유지를 위해, 커버부(12)가 힌지 결합된 부위의 측부 또는 반대측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110)에는 후술하는 걸림후크(120)가 전진함으로써 체결되어 걸림턱(110) 및 커버부(12)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걸림후크(120)가 후퇴함으로써 이격되어 걸림턱(110) 및 커버부(12)의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하우징(150)은 내부에 각종 부품요소가 수용되는 설치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부품요소가 진입 및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되되 개방된 부위는 하우징커버(미도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하우징(150)은 사출 성형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나, 해당 제조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50)은 내부에 후술하는 걸림후크(120), 락킹유닛(130) 및 탄성유닛(140)을 수용 및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되, 외부에는 복수의 체결플랜지가 마련되어 도어트림 등 지지 가능한 고정물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50)에 걸림후크(120), 락킹유닛(130) 및 탄성유닛(140)을 조립 및 장착시켜 모듈화한 후 차량의 도어트림 등 차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및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걸림후크(120)는 걸림턱(110)이 걸리도록 마련되되, 본체부(1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후크(120)는 후술하는 탄성유닛(140)에 의해 전진하여 걸림턱(110)을 체결시킴으로써 걸림턱(110)이 마련되는 커버부(1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락킹유닛(130)에 의해 후퇴하여 걸림턱(11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걸림턱(110)이 마련되는 커버부(12)의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걸림후크(120)는 걸림턱(11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링크부재(13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커버부(12)가 폐쇄를 위해 하강 시, 걸림후크(120)의 돌출 구조에도 불구하고 커버부(12)가 닫힘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걸림후크(120)의 상단은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락킹유닛(130)은 본체부(11) 측에 마련되어 걸림후크(120)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락킹유닛(130)은 탑승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측부가 실내공간 등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재(131)와, 일단이 버튼부재(131)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후크(120)에 연결되며 중간부위에 제1 힌지축(161)에 의해 본체부(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재(131)는 일측부가 차량의 실내공간 등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탑승객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마련된다. 버튼부재(131)는 가압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버튼부재(131)의 타측부는 링크부재(13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재(131)의 타측부에는 후술하는 탄성유닛(140)이 마련되어 버튼부재(131)를 비 작동 위치 또는 작동 전 위치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링크부재(132)는 버튼부재(131)와 걸림후크(120) 사이에 배치되어 버튼부재(131)의 동작을 걸림후크(120)의 전진 및 후퇴 동작으로 전달 및 전환할 수 있다. 링크부재(132)는 일단(도 3 및 도 5 기준 하단)이 버튼부재(131)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도 3 및 도 5 기준 상단)이 걸림후크(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제1 힌지축(161)이 마련되어 본체부(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링크부재(132)의 일단은 제2 힌지축(162)에 의해 버튼부재(131)의 타측부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부재(132)의 타단은 제3 힌지축(163)에 의해 걸림후크(120)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객이 커버부(12)의 개방을 위해 버튼부재(131)의 가압 시, 버튼부재(131)의 타측부와 링크부재(132)의 일단이 일 방향으로 이동(도 5 기준 우측 방향)하고, 링크부재(132)가 일 방향으로 회전(도 5 기준 반시계 방향)하며 링크부재(132)의 타단과 걸림후크(120)가 후퇴(도 5 기준 좌측 방향)함으로써, 걸림턱(110)으로부터 걸림후크(120)가 이격되어 커버부(12)의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탄성유닛(140)은 걸림후크(120)와 락킹유닛(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탄성유닛(140)은 버튼부재(131)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141)과, 걸림후크(12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41)은 일단이 버튼부재(131)의 타측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하우징(150)에 지지되되, 버튼부재(131)를 비 작동 위치 또는 작동 전 위치 측(도 5 기준 좌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탑승객이 버튼부재(131)의 가압 후, 제1 스프링(141)에 의해 버튼부재(131)가 원 위치로 복귀하여 후속적인 조작을 준비할 수 있다. 제2 스프링(142)은 일단이 걸림후크(120)에 지지되고, 타단이 하우징(150) 또는 내장트림에 마련되는 지지구조물(13)에 지지되며, 걸림후크(120)를 걸림턱(110)을 향해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개방된 커버부(12)가 닫힘 위치로 복귀 시, 걸림후크(120)가 제2 스프링(142)에 의해 걸림턱(110) 측으로 진입하여 커버부(1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를 나타내는 서로 다른 방향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는 조작부가 암레스트(10)의 팔 거치면 등에 배치되어 탑승객이 상하 방향으로 조작부를 가압하여 커버부(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200)는 커버부(12)에 마련되는 걸림턱(210)과, 걸림턱(210)이 걸리는 걸림후크(220)와, 걸림후크(220)를 걸림턱(210)에 체결 및 이격시키는 락킹유닛(230)과, 걸림후크(220) 및 락킹유닛(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240)과, 모듈화된 잠금장치를 제공하도록 내측에 각종 부품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10)은 커버부(12)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거나, 커버부(12)의 외면 상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커버부(12)의 안정적인 잠금 상태 유지를 위해, 커버부(12)가 힌지 결합된 부위의 측부 또는 반대측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210)에는 후술하는 걸림후크(220)가 전진함으로써 체결되어 걸림턱(210) 및 커버부(12)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걸림후크(220)가 후퇴함으로써 이격되어 걸림턱(210) 및 커버부(12)의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하우징(250)은 내부에 각종 부품요소가 수용되는 설치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부품요소가 진입 및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되되 개방된 부위는 하우징커버(미도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하우징(250)은 내부에 후술하는 걸림후크(220), 락킹유닛(230) 및 탄성유닛(240)을 수용 및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되, 외부에는 복수의 체결플랜지가 마련되어 도어트림 등 지지 가능한 고정물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250)에 걸림후크(220), 락킹유닛(230) 및 탄성유닛(240)을 조립 및 장착시켜 모듈화한 후 차량의 도어트림 등 차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및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50)은 사출 성형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나, 해당 제조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후크(220)는 걸림턱(210)이 걸리도록 마련된다. 걸림후크(220)는 후술하는 락킹유닛(230)에 의해 전진하여 걸림턱(210)을 체결시킴으로써 걸림턱(210)이 마련되는 커버부(1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락킹유닛(230)에 의해 후퇴하여 걸림턱(21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걸림턱(210)이 마련되는 커버부(12)의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걸림후크(220)는 걸림턱(21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링크부재(232)와 일체로 마련되어 단일의 부품요소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커버부(12)가 폐쇄를 위해 하강 시, 걸림후크(220)의 돌출 구조에도 불구하고 커버부(12)가 닫힘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걸림후크(220)의 상단은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락킹유닛(230)은 본체부(11) 측에 마련되어 걸림후크(220)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락킹유닛(230)은 탑승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측부가 실내공간 등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재(231)와, 일단이 버튼부재(231)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후크(220)에 연결되며 중간부위에 힌지축(261)에 의해 본체부(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재(231)는 일측부가 차량의 실내공간 등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탑승객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마련된다. 버튼부재(231)는 가압에 의해 하방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버튼부재(231)의 타측부는 링크부재(232)의 일단에 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재(231)의 타측부에는 후술하는 탄성유닛(240)이 마련되어 버튼부재(231)를 비 작동 위치 또는 작동 전 위치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링크부재(232)는 버튼부재(231)와 걸림후크(220) 사이에 배치되어 버튼부재(231)의 동작을 걸림후크(220)의 전진 및 후퇴 동작으로 전달 및 전환할 수 있다. 링크부재(232)는 일단(도 6 및 도 9 기준 좌측 하단)이 버튼부재(231)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도 6 및 도 9 기준 우측 상단)에는 걸림후크(220)가 일체로 절곡 및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힌지축(261)이 마련되어 본체부(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링크부재(232)의 일단은 버튼부재(231)의 타측부에 접하여 서로 연동될 수 있으며, 링크부재(232)의 타단에는 걸림후크(220)가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링크부재(232)는 버튼부재(231)와 연결되는 일단과 힌지축(261)이 마련되는 중간부위 사이의 제1 부분(232a), 힌지축(261)이 마련되는 중간부위와 걸림후크(220)가 절곡되는 타단 사이의 제2 부분(232b)으로 구분되고, 제2 부분(232b)은 버튼부재(231)의 가압 또는 작동방향에 나란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객이 커버부(12)의 개방을 위해 버튼부재(231)의 가압 시, 버튼부재(231)의 타측부와 링크부재(232)의 일단이 하강(도 9 기준 하측 방향)하고, 링크부재(232)가 일 방향으로 회전(도 9 기준 반시계 방향)하며 링크부재(232)의 타단인 걸림후크(220)가 후퇴(도 9 기준 좌측 방향)함으로써, 걸림턱(210)으로부터 걸림후크(220)가 이격되어 커버부(12)의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탄성유닛(240)은 락킹유닛(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탄성유닛(240)은 버튼부재(231)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241)과, 링크부재(232)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241)은 일단이 버튼부재(231)의 타측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하우징(250)에 지지되되, 버튼부재(231)를 비 작동 위치 또는 작동 전 위치 측(도 9 기준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탑승객이 버튼부재(231)의 가압 후, 제1 스프링(241)에 의해 버튼부재(231)가 원 위치로 복귀하여 후속적인 조작을 준비할 수 있다. 제2 스프링(242)은 일단이 힌지축(261)에 지지되고, 타단이 링크부재(232)에 지지되며, 걸림후크(220)를 걸림턱(210)을 향해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링크부재(23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개방된 커버부(12)가 닫힘 위치로 복귀 시, 걸림후크(220)가 제2 스프링(242)에 의해 걸림턱(210) 측으로 진입하여 커버부(1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 200)는 암레스트(10) 커버부(12)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의도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100, 200)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암레스트(10) 수납공간(S)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를 낮추고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100, 200: 암레스트 잠금장치 110, 210: 걸림턱
120, 220: 걸림후크 130, 230: 락킹유닛
131, 231: 버튼부재 132, 232: 링크부재
140, 240: 탄성유닛 141. 241: 제1 스프링
142, 242: 제2 스프링 150, 250: 하우징

Claims (9)

  1.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후크;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체결 및 이격시키도록 전진 및 후퇴시키는 락킹유닛;
    상기 걸림후크 및 상기 락킹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유닛은
    탑승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측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재와,
    일단이 상기 버튼부재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후크에 연결되며, 중간부위가 제1 힌지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과 중간부위 사이의 제1 부분과, 중간부위와 타단 사이의 제2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제2 힌지축에 의해 상기 버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제3 힌지축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내측에 부품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비 작동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림후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체결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링크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내측에 부품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비 작동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체결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KR1020210145192A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KR10262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92A KR102623775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92A KR102623775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705A true KR20230060705A (ko) 2023-05-08
KR102623775B1 KR102623775B1 (ko) 2024-01-11

Family

ID=8638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92A KR102623775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77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034Y1 (ko) * 2003-05-26 2003-08-19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이동형 콘솔의 시건장치
KR20050045430A (ko) * 2003-11-11 2005-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50114936A (ko) * 2004-06-02 2005-12-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콘솔의 잠금장치
KR20060007594A (ko) * 2004-07-20 2006-01-2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거잭 케이스
KR100756962B1 (ko) * 2006-09-15 2007-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콘솔 개폐구조
KR101694052B1 (ko) * 2015-09-07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KR20180005917A (ko) * 2016-07-07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링크 노브 적용 암 레스트와 이를 이용한 암 레스트 콘솔 및 차량
JP2020147160A (ja) * 2019-03-13 2020-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ケース
KR20210072924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암레스트 및 확장형 볼스터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20210118276A (ko) * 2020-03-19 2021-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034Y1 (ko) * 2003-05-26 2003-08-19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이동형 콘솔의 시건장치
KR20050045430A (ko) * 2003-11-11 2005-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50114936A (ko) * 2004-06-02 2005-12-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콘솔의 잠금장치
KR20060007594A (ko) * 2004-07-20 2006-01-2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거잭 케이스
KR100756962B1 (ko) * 2006-09-15 2007-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콘솔 개폐구조
KR101694052B1 (ko) * 2015-09-07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웨빙 구속장치
KR20180005917A (ko) * 2016-07-07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링크 노브 적용 암 레스트와 이를 이용한 암 레스트 콘솔 및 차량
JP2020147160A (ja) * 2019-03-13 2020-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ケース
KR20210072924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암레스트 및 확장형 볼스터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20210118276A (ko) * 2020-03-19 2021-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775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446B2 (en)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 tray
US7621559B2 (en) Pillar ramp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curtain airbag
WO2013070905A1 (en) Snap in driver side airbag module assembly
US6003925A (en) Overhead console with drop-down door
US8528949B2 (en) Door handle stroke change structure
EP2940706B1 (en) Retrofittable switch guard
EP2813652B1 (en) Vehicle door latch release device
JP3388161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US20180099590A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US10352069B2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20230060705A (ko)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JP4164106B2 (ja) トレイ開放防止機構
EP1762435B1 (en) Lid apparatus
US20170072862A1 (en) Console assembly
US20030157830A1 (en) Connector holding structure
EP1882611B1 (en) Compartment opening prevention mechanism
EP2676849A2 (en) Control unit for vehicle door
CN214189510U (zh) 用于车辆的储物箱格总成
JP4146870B2 (ja) トレイ開放防止機構
US20180291656A1 (en) La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02180722A (ja) 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ラッチ
JP2005533703A (ja) ハンドル用の固定装置
CN215706013U (zh) 存储控制台
KR100836436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열림 방지구조
KR102681921B1 (ko) 관성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