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99A -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99A
KR20110005399A KR1020090062923A KR20090062923A KR20110005399A KR 20110005399 A KR20110005399 A KR 20110005399A KR 1020090062923 A KR1020090062923 A KR 1020090062923A KR 20090062923 A KR20090062923 A KR 20090062923A KR 20110005399 A KR20110005399 A KR 2011000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light
infrared beam
intrusion
det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717B1 (ko
Inventor
황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9006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9Multi-channel pho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38Pulsed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0/00Radiant energy
    • Y10S250/01Passive intrusion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의 투광장치는 복수의 투광부 별로 적외선 빔의 투광시점과 투광되는 적외선 빔의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한다. 이에 따라, 수광장치는 각 수광부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시점과 투광주파수를 토대로 설정된 수광시점과 수광주파수를 이용하여 유효 적외선 빔이 수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적외선, 투광, 수광, 시분할, 주파수, 침입

Description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vasion detection using IR beam}
본 발명은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경량벽, 창문, 출입문 등에 다단의 적외선 빔 투광기와 수광기를 설치하고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로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에서는 적외선 빔 간의 상호 간섭, 외부 광, 노이즈 등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여 감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침입 감지 시스템 설치 시, 투광기와 수광기 간의 적외선 빔의 광축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광부의 출력전압을 체크하여 투광기 및 수광기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 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감지성능을 향상시킨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주파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수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침입 발생을 판단하는 수광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시점을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시점에 대응하여 설정된 수광시점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존재 여부를 토대로 침입 발생을 판단하는 수광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시점 및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 시점 및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를 토대로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확인하고, 제1 기준시간 동안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수광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는지 확인하여 침입 발생을 판단하는 수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부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마주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둥 형태의 구조물에 투광부와 수광부가 번갈아 가며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복수의 투광부와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이 적외선 빔을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서로 다른 투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주파수를 토대로 설정된 수광주파수를 만족하는 유효 적외선 빔의 수광여부를 토대로 적외선 빔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 기준시간 동안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가 하나 이상 존재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적외선 빔, 외부 광, 노이즈 등의 간섭에 의한 침입 감지 시스템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투광장치에 포함된 투광부와 수광장치에 포함된 수광부의 개수가 각각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투광부 및 수광부의 개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투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투광부의 구성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빔 투광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투광장치(100)는 펄스 발생부(110) 및 복수의 투광부(제1 투광부, 제2 투광부, 제3 투광부, 제4 투광부)(120)를 포함한다.
펄스 발생부(110)는 복수의 투광부(120)의 적외선 빔 투광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신호(f1, f2, f3, f4)를 주기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펄스 발생부(110)는 적외선 빔 간의 간섭으로 인해 수광장치(미도시)가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투광부(120) 간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펄스신호의 출력 시간을 복수의 투광부(120) 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시분할(time division) 방식을 사용한다.
각각의 투광부(120)는 빔 투광부(121) 및 빔 구동부(122)를 포함한다.
빔 투광부(121)는 적외선(Infrared, IR) LED를 통해 적외선 빔을 투광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미도시) 및 투광 렌즈를 포함한다.
빔 구동부(122)는 펄스 발생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토대로 대응하는 적외선 LED가 적외선 빔을 투광하도록 해당 빔 투광부(121)를 제어한다.
여기서, 각 투광부(120)는 펄스 발생부(11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토대로 적외선 빔을 투광하므로, 적외선 빔이 투광되는 투광시점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20) 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적외선 빔의 투광주파수(f1, f2, f3, f4) 또한, 투광부(120) 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투광부(120) 별로 적외선 빔의 투광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투광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 함으로써, 투광부(120)에 포함된 광학렌즈의 수차에 의해 발생하는 적외선 빔 간의 간섭으로 인해 수광장치(미도시)가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수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광 판단을 위한 타이머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광부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축상태 표시부 및 침입발생 표시부의 설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광장치(200)는 복수의 수광부(제1 수광부, 제2 수광부, 제3 수광부, 제4 수광부)(210), 제어부(220), 광축상태 표시부(230) 및 침입발생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광부(210)는 빔 수광부(211) 및 증폭부(212)를 포함한다.
빔 수광부(211)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포토 다이오드(Infrared Photo Diode)를 포함하며, 적외선 포토 다이오드를 통해 수광되는 빔을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의 빔 수광부(211)에 포함된 적외선 포토 다이오드는 대응하는 빔 투광부(121)의 적외선 LED와 적외선 빔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된다.
증폭부(212)는 대응하는 빔 수광부(21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22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증폭하고 정형하여 출력한다.
제어부(220)는 각각의 수광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각 수광부(210)로 수광되는 유효 적외선 빔의 수광량을 확인하고, 수광량을 토대로 해당 수광부(210)의 광축조정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광축조정 상태에 따라 광축상태 표시부(2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유효 적외선 빔은 대응하는 투광부(120)로부터 투광되는 적외선 빔을 의미한다.
또한, 각 수광부(210)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로 침입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침입발생 표시부(2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광부(210) 별로 제1 기준시간 동안 유효 적외선 빔이 차단된 상태가 지속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광부(210)로부터 침입이 감지되면, 이를 표시하도록 침입발생 표시부(2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 별로 유효 적외선 빔이 수신되지 않으면,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하고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타이머가 제1 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다른 적외선 빔, 외부 광, 노이즈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머가 동작되고 제2 기준시간 안에 하나 이상의 유효 적외선 빔이 수신되면 타이머를 리셋시키도 재 동작시킨다.
한편, 각 수광부(21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투광부(120)에서 투광한 적외선 빔 이외에도 다른 투광부(120)에서 투광한 적외선 빔, 외부 광 등이 수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를 통해 수광되는 적외선 빔이 유효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대응하는 적외선 빔 이외의 빔에 의한 간섭을 제거한다.
우선,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에서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 시점을 토대로 다른 적외선 빔의 간섭을 제거한다. 여기서, 각 수광부(210)의 적외선 빔 수광시점은 대응하는 투광부(120)의 투광시점을 토대로 설정되며, 수광시점은 수광 부(210) 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이는, 투광장치(100)의 투광부(120) 별로 투광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에서 설정된 수광시점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을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그 외 시간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은 유효하지 않은 간섭 빔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에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수광주파수를 토대로 다른 적외선 빔의 간섭을 제거한다. 여기서, 각 수광부(210)의 수광주파수는 대응하는 투광부(120)의 투광주파수를 토대로 설정되며, 전술한 수광시점과 마찬가지로 수광부(210) 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에서 설정된 수광주파수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을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다른 주파수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은 유효하지 않은 간섭 빔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각 수광부(210) 별로 주파수 편차를 설정하고, 수광주파수로부터 주파수 편차(fa, fb, fc, fd) 내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주파수 편차를 설정하는 것은, 적외선 빔이 투광부(120)에서 투광되어 대응하는 수광부(21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투광부(120)와 수광부(210) 간의 거리에 의해 발생하는 파형의 틀어짐으로 인한 이상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광축상태 표시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각 수광부(210)의 광축조정 상태를 출력하며, 침입발생 표시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침입발생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광축상태 표시부(230) 및 침입발생 표시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며, LED를 이용하여 광축상태 또는 침입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축상태 표시부(230)는 제어부(220)에서 광축 조정 상태가 좋다고 판단된 수광부(210)에 대해서는 LED를 점등하여 광축상태가 양호함을 표시하고, 광축이 틀어졌다고 판단된 수광부(210)에 대해서는 LED를 점멸하여 재조정하도록 표시한다. 또한,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다고 판단된 수광부(210)에 대해서는 LED를 소등하여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음을 표시한다. 또한, 침입발생 표시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침입 발생에 따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LED를 점등하여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120) 및 수광부(210)의 설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120) 또는 수광부(210)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투광부(120)와 복수의 수광부(210)는 서로 다른 기둥 형태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복수의 투광부(120)가 설치된 기둥 형태의 구조물과 복수의 수광부(210)가 설치된 기둥 형태의 구조물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투광부(120) 및 수광부(210)는 광축이 일치하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반면에,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둥 형태의 구조물에 투광부(120)와 수광부(210)가 번갈아 가며 위치하며, 이 경우에도 두 개의 기둥 형태의 구조물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투광부(120) 및 수광부(210)는 광축이 일치하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한편, 투광부(120)와 수광부(21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키는 경우, 각 수광부(210)에서 수광 되는 빔에 포함된 유효하지 않은 빔 즉, 대응하는 투광부(120) 이외의 투광부(120)에서 투광되는 적외선 빔의 간섭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 및 도9에 도시된 기둥 형태의 구조물은 모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95ㅀ까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이는 침입 시스템의 설치 시 투광부(120)와 수광부(210) 간의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정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광장치(100)는 복수의 투광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적외선 빔을 투광한다(S101). 여기서, 투광장치(100)는 복수의 투광부(120) 별로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시간과 투광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수광장치(200)에서 적외선 빔 간의 간섭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수광장치(200)는 수광부(210)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120)의 투광시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수광시점에 유효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지에 따라 적외선 빔 차단 여부를 판단한다(S102). 여기서, 수광장치(200)는 각 수광부(210)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120)의 투광주파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수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이 수광되면 이를 유효 적외선 빔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수광장치(200)는 S102 단계에서 복수의 수광부(210) 중 하나의 이상의 수광부(21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는지 확인하고(S103), 일 정 시간 이상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210)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침입발생 표시부(210)를 통해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S10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광장치(200)가 각 수광부(210) 별로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광장치(200)는 각 수광부(210) 별로 기 설정된 수광시점에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지 확인한다(S201). 이는 투광장치(100)의 각 투광부(120) 별로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수광부(210) 별 수광시점은 대응하는 투광부(120)의 적외선 투광시점을 토대로 설정된다.
이후, 수광장치(200)는 기 설정된 수광시점에 적외선 빔이 수광되면, 해당 적외선 빔이 유효 적외선 빔인지 확인한다(S202). 즉, 수광부(210) 별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와 기 설정된 수광주파수의 차이가 주파수 편차 이내인지 확인하여 수광되는 적외선 빔이 유효한 빔인지 판단한다.
한편, 수광장치(200)는 각 수광부(210) 별로 기 설정된 수광시점에 기 설정된 수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이 수광되지 않으면, 대응하는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하고 타이머를 동작시킨다(S203).
타이머가 동작되면, 수광장치(200)는 제1 기준시간 동안 대응하는 수광부(210)에 대한 적외선 빔 차단이 지속되는지 확인한다(S204). 그리고, 제1 기준시간 동안 적외선 빔 차단이 지속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205), 침입발생 표시부(240)를 통해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수광부(210)로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 시점 및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기 설정된 수광시점 및 수광주파수와 비교하여 해당 수광부(210)의 적외선 빔 차단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본 발명은 둘 중 하나의 조건만을 비교하여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은 투광장치(100)에서 복수의 투광부(120) 별로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시점과 투광하는 적외선 빔의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고, 수광장치(200)에서는 각 수광부(210) 별로 기 설정된 수광시점 및 수광주파수를 만족하는 적외선 빔이 수광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적외선 빔이 수광여부를 판단하므로 다른 적외선 빔, 외부 광, 노이즈 등에 의한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투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투광부의 구성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빔 투광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수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광 판단을 위한 타이머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광부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축상태 표시부 및 침입발생 표시부의 설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 및 수광부의 설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 또는 수광부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광장치가 각 수광부 별로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21)

  1.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를 토대로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고,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가 하나 이상 존재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주파수가 서로 다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부는, 상기 펄스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토대로 상기 투광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장치는,
    침입발생을 표시하는 침입발생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에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주파수를 토대로 설정된 수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이 제1 기준시간 동안 수광되지 않는 수광부는 적외선 빔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가 하나 이상 존재하면 침입발생을 표시하도록 상기 침입발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4.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시점을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 시점을 토대로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고,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가 하나 이상 존재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시분할 방식으로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부는, 상기 펄스 발생부로부터 펄스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을 토대로 상기 투광시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장치는,
    침입발생을 표시하는 침입발생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에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시점을 토대로 설정된 수광시점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이 제1 기준시간 동안 수광되지 않는 수광부는 적외선 빔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하나 이상의 수광부의 적외선 빔이 차단되면 침입발생을 표시하도록 상기 침입발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7.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시점 및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 시점 및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를 토대로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확인하고, 제1 기준시간 동안 적외선 빔이 차단된 수광부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의 적외선 빔 투광을 제어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상기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시점 및 상기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다르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장치는,
    침입발생을 표시하는 침입발생 표시부; 및
    하나 이상의 수광부가 제1 기준시간 동안 대응하는 수광시점 및 수광주파수를 만족하는 유효 적외선 빔을 수광하지 못하면 침입발생을 표시하도록 상기 침입발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시점 및 수광주파수는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시점 및 투광주파수 를 토대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상기 유효 적외선 빔이 수광되지 않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타이머가 동작된 이후 제2 기준시간 내에 상기 유효 적외선 빔이 수광되면 상기 타이머를 리셋하여 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광축조정 상태를 출력하는 광축상태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수광되는 상기 유효 적외선 빔의 수광량을 토대로 광축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광축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광부와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마주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둥 형태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광부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마주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둥 형태의 구조물에 투광부와 수광부가 번갈아 가며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5. 적외선 빔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투광장치;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대응하는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는지 확인하여 침입 발생을 판단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부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마주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둥 형태의 구조물에 투광부와 수광부가 번갈아 가며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투광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고,
    상기 수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를 토대로 적외선 빔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적외선 빔의 투광시점을 다르게 하여 적외선 빔을 투광하고,
    상기 수광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적외선 빔이 수광되는 시점을 확인하여 적외선 빔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8. 복수의 투광부와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이 적외선 빔을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서로 다른 투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광부 별로 수광되는 적외선 빔의 주파수를 토대로 적외선 빔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 하나 이상의 수광부에서 기준시간 동안 적외선 빔이 차단되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빔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에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주파수를 토대로 설정된 수광주파수의 적외선 빔이 수광되지 않는 수광부는 적외선 빔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 별로 서로 다른 투광시점에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단계인 침입 감지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빔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에서 대응하는 투광부의 투광시점을 토대로 설정된 수광시점에 수광되는 적외선 빔이 존재하지 않는 수광부는 적외선 빔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침입 감지 방법.
KR1020090062923A 2009-07-10 2009-07-10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923A KR101064717B1 (ko) 2009-07-10 2009-07-10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923A KR101064717B1 (ko) 2009-07-10 2009-07-10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99A true KR20110005399A (ko) 2011-01-18
KR101064717B1 KR101064717B1 (ko) 2011-09-14

Family

ID=4361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23A KR101064717B1 (ko) 2009-07-10 2009-07-10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277B1 (ko) * 2018-12-10 2020-06-08 주식회사 에스원 적외선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851B1 (ko) 2018-07-19 2019-04-10 주식회사 아이뷰테크놀로지 카메라 내장형 복합 센서를 이용한 다중 침입 감지 시스템
KR102661428B1 (ko) 2020-11-12 2024-04-29 이투시스템주식회사 식별정보 산출형 적외선신호 송수신 기반 침입 경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815B1 (ko) * 2004-03-26 2007-01-16 주식회사 케이엠티 적외선 감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46396B1 (ko) * 2005-08-12 2006-11-14 최영헌 적외선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277B1 (ko) * 2018-12-10 2020-06-08 주식회사 에스원 적외선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717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717B1 (ko) 적외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035926A (zh) 光学传感器的测试方法
US9977148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 light grid
US20180267202A1 (en) Photoelectric sensor
EP3462216B1 (en) Optoelectronic sensor having plug-in unit for providing extended functionality
JP4869960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5022767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5982615B2 (ja) 赤外線防犯センサ
WO2007096964A1 (ja) 分離型感知器
JP2003091784A (ja) 多段式能動型赤外線センサ
JP2015162386A (ja) 光電センサの調整方法および光電センサ
JP386001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6089166B2 (ja) 赤外線防犯センサ
JP5713862B2 (ja) 光電式分離型煙感知器
JP4846325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投光器、及び受光器
KR101044925B1 (ko) 적외선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36671B2 (en) Fire detector
KR20180035124A (ko) 다광축 광전 센서
JP5747582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08158967A (ja) 多段式ビームセンサ
JP5026880B2 (ja) 統合判定システム
JP7080432B2 (ja) 光線式検知装置
US96977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mobile device
KR101469531B1 (ko)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방범장치
KR100914968B1 (ko) 적외선 감지기의 설치 위치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