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47A - 식물성 오일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성 오일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47A
KR20110005347A KR1020090062820A KR20090062820A KR20110005347A KR 20110005347 A KR20110005347 A KR 20110005347A KR 1020090062820 A KR1020090062820 A KR 1020090062820A KR 20090062820 A KR20090062820 A KR 20090062820A KR 20110005347 A KR20110005347 A KR 2011000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vegetable oil
oil
plant oil
tocoph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주동식
Original Assignee
한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병수
동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병수, 동해시 filed Critical 한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347A/ko
Publication of KR201100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코페롤(비타민 E)를 이용하여 마, 아마, 콩, 호두, 해조류, 해바라기씨, 참깨, 들깨, 아몬드 등의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오일의 산패(oxidative rancidity)를 방지함과 더불어 식물성 오일 자체의 효능과 함께 토코페롤의 효능을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식물에서 추출되는 오일 92~99wt%와 비타민E 1~8wt%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조성물을 제공하여, 유통기간을 3배 이상 연장하여 이용의 편의를 증진하고 식물성 오일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식물성 오일 고유의 기능성과 더불어 비타민E의 기능성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본 조성물 복용자의 건강증진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오일, 산패, 비타민E, 대마씨유

Description

식물성 오일 조성물{A COMPSITIOPN OF VEGETABLE OIL}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코페롤(비타민E)를 이용하여 마, 아마, 콩, 호두, 해조류, 해바라기씨, 참깨, 들깨, 아몬드 등의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오일의 산패(oxidative rancidity)를 방지함과 더불어 식물성 오일 자체의 효능과 함께 토코페롤의 효능을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오일 조성물에 관련된다.
식물성 오일은 보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산화작용이 급속하게 진행되므로 고유의 향이 변질되거나 때로는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산화작용은 오일에 함유된 각종 비타민, 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 등의 영양소를 파괴하며 독성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산패(oxidative rancidity)라고 한다.
산패현상은 일종의 열화현상(劣化現象)이며, 이것은 공기 속의 산소·빛·열·세균·효소·습기 등의 작용에 의하여 유지가 화학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생기는 현상으로, 화학변화 양식에 따라 가수분해형, 케톤형, 산화형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일의 산패현상을 방지하여 유통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각종 항산화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서늘한 곳에 저장하여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페놀을 비롯한 각종 화학물질들이 항산화제로 사용되고 있는데, 식용 용도로 활용되는 오일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여야 하므로 극히 제한적인 물질들만이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항산화제나 이를 함유한 식물성 오일 조성물들은 산패방지목적에만 치중하여 맛, 향 등의 변화를 유발하기도 하였고, 또한, 종래에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물질들 그 고유의 독자적인 기능성이 거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산패를 방지하여 유통기간을 연장함과 더불어 각종 식물성 오일 고유의 기능성과 함께 항산화제 자체의 기능성을 보강함으로써 인체에 더욱 유익한 작용을 할 수 있는 식물성 오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성 오일 조성물은 마, 아마, 콩, 호두, 해조류, 해바라기씨, 참깨, 들깨, 아몬드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되는 오일 92~99wt%와 비타민E 1~8wt%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타민E는 D-α토코페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오일 조성물은 유통기간을 3배 이상 연장하여 이용의 편의를 증진하고 식물성 오일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식물성 오일 고유의 기능성과 더불어 비타민E의 기능성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본 조성물 복용자의 건강증진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식물성 오일과 비타민E를 적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식물성 오일의 산패를 방지함과 동시에 식물성 오일 고유의 효능과 함께 토코페롤의 효능을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을 구현한다.
비타민E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써, 인체 내에서 생식기 및 근육의 기능 유지, 혈액순환 개선, 항산화기능에 관여하며, 특히, 비타민E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항(抗)산화제로서 세포 내에서 산화되기 쉬운 물질, 특히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막의 손상과 나아가서 조직의 손상을 막아주는 것이다. 만약 비타민E가 부족하면 생식기능저하, 무정자증, 유산, 불임증, 빈혈, 근육위축 등의 현상이 일어나며, 다른 지용성 비타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고, 다른 지용성 비타민의 경우 간에 저장되지만, 비타민E는 지방세포에 저장되므로 과잉에 따른 부작용은 낮은 편이다.
한편, 식품에는 네 종류의 토코페롤(tocopherol:α, β, γ, δ)과 네 종류의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α, β, γ, δ) 형태로 나타나는데, 항산화제로서의 효력은 δ-토코페롤이 가장 강하고 다음으로 α-, β-, γ-토코페롤 순서이며, α-토코페롤의 생체활성이 가장 강하며 가장 흔하게 존재하므로 비타민E의 대명사 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식물들로는 마, 아마, 콩, 호두, 해 조류, 해바라기씨, 참깨, 들깨, 아몬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식물 각각은 고유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용도로 사용되는 동시에 식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성 오일로써 마의 한 종류인 대마의 씨에서 추출된 오일 즉 대마씨유를 식물성 오일로 적용할 수 있다.
대마씨유는 대마씨에서 추출된 오일로써, 대마씨유에는 알파-리놀렌산(α-linolenic acid : Omega-3) 및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 : Omega-6) 등의 필수지방산(Essential Fatty Acids)이 매우 고품질이며 이상적인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필수지방산은 인체내부에서 세포막을 구성하는데, 필수지방산의 질이 좋아야만 생체전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이러한 생체전기의 원활한 흐름은 인체 내부의 다양한 기능들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예로써, 인슐린의 분비를 적절히 조정하여 당뇨병을 예방하고,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심장병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각종 암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마씨유는 면역작용에도 유익한 작용을 하며 근육의 피로를 회복하는데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식물성 기름은 식물을 볶은 후 가압하여 오일을 추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법으로 오일을 추출할 경우 각종 아미노산과 단백질이 파괴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짤 때 생즙으로 짜게 되면 추출되는 오일의 양 자체는 많아지지만 산패성이 강하여 쉽게 변질된다. 따라서 산패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볶아서 짜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상당부 분 파괴되어 기능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대마씨유를 추출할 때 가열하지 않고 순수 생즙을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유통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산패문제를 비타민E를 혼합함으로써 해결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식물성 오일과 비타민E의 혼합비율을 92~99 : 8~1 로 제시하였다.
식물성 오일과 비타민E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해본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1>
상기 식물성오일중 한종류인 식물성오일1과 비타민E를 아래의 비율로 혼합하여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에서 밀봉하여 20℃의 온도에서 보관하며 산화가 시작되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하였다.
시료번호 식물성오일1(wt%) 비타민E(wt%) 산화개시시점(일)
1 100.0 0.0 45
2 99.5 0.5 75
3 99.2 0.8 102
4 99.0 1.0 145
5 98.8 1.2 164
6 98.6 1.4 173
7 98.4 1.6 182
8 98.2 1.8 185
9 98.0 2.0 189
10 97.0 3.0 192
11 96.0 4.0 193
12 95.0 5.0 195
13 94.0 6.0 195
14 93.0 7.0 195
15 92.0 8.0 195
<실험예 2>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식물성오일2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시료번호 식물성오일2(wt%) 비타민E(wt%) 산화개시시점(일)
16 100.0 0.0 31
17 99.5 0.5 50
18 99.2 0.8 87
19 99.0 1.0 122
20 98.8 1.2 134
21 98.6 1.4 151
22 98.4 1.6 168
23 98.2 1.8 175
24 98.0 2.0 176
25 97.0 3.0 180
26 96.0 4.0 181
27 95.0 5.0 185
28 94.0 6.0 186
29 93.0 7.0 186
30 92.0 8.0 186
<실험예 3>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식물성오일2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시료번호 식물성오일3(wt%) 비타민E(wt%) 산화개시시점(일)
31 100.0 0.0 25
32 99.5 0.5 46
33 99.2 0.8 77
34 99.0 1.0 121
35 98.8 1.2 136
36 98.6 1.4 158
37 98.4 1.6 164
38 98.2 1.8 170
39 98.0 2.0 172
40 97.0 3.0 175
41 96.0 4.0 176
42 95.0 5.0 176
43 94.0 6.0 176
44 93.0 7.0 177
45 92.0 8.0 177
상기 3종류의 식물성오일에 대한 산화개시시점의 측정결과 비타민E의 함량이 1.0wt%가 될 때 산화개시시점이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8wt% 를 함유한 경우 비타민E의 함량증가가 산화개시시점의 연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결과를 토대로 분석해보면 비타민E의 함량대비 산화개시시점의 연장효과가 가장 큰 구간이 0.8wt%와 1.0wt% 사이였고, 4.0wt% 이상에서의 산화개시시점의 연장효과의 상승세는 비타민E의 함량증가에 비추어 볼 때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타민E의 함량은 1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비타민E는 복용자의 체중 대비 복용량이 과다하게 될 경우 구역, 장경련, 피로, 두통, 시야흔들림, 생식선기능저하, 크레아틴뇨증, 혈중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상승, 요중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의 상승, 혈청 티록신과 트리요오드티로닌의 수치가 저하되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비타민E의 독자적인 효능인 인체내에서 해로운 산화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의 노화를 지연시켜주며 심장질환을 비롯한 말초순환기능장애 등에 대한 치료효과 등도 비타민E의 복용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마씨유 등의 식물성 오일들은 섭취량이 많을 수록 좋다. 따라서 비타민E의 함량은 8wt%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해보면, 식물성오일을 최대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성오일이 갖는 독자적인 효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비타민E를 첨가함으로써 유통기한을 2~5배 이상 연장시켜 식물성오일 제품의 유통 및 보관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비타민E의 독자적인 효능효과까지도 적절하게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을 구현하기 위해서 최적의 비타민E 함량은 1wt%이상 8wt%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비타민E 가운데에서도 D-α토코페롤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토코페롤은 천연물질인 D타입과, 합성물질인 Di타입으로 구분되는데, 합성물질은 화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합성된 것이므로 천연물질에 비한다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항산화제로서의 효력은 δ-토코페롤이 가장 좋지만 생체 활성이 α-토코페롤에 비하여 너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식물성 오일의 산패를 방지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면 δ-토코페롤을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토코페롤 자체의 기능성을 활용하는 동시에 과다섭취에 의한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서는 α-토코페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Claims (2)

  1. 마, 아마, 콩, 호두, 해조류, 해바라기씨, 참깨, 들깨, 아몬드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되는 오일 92~99wt%와 비타민E 1~8wt%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E는 D-α토코페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조성물.
KR1020090062820A 2009-07-10 2009-07-10 식물성 오일 조성물 KR20110005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20A KR20110005347A (ko) 2009-07-10 2009-07-10 식물성 오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20A KR20110005347A (ko) 2009-07-10 2009-07-10 식물성 오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47A true KR20110005347A (ko) 2011-01-18

Family

ID=4361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20A KR20110005347A (ko) 2009-07-10 2009-07-10 식물성 오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9306A (zh) * 2012-05-05 2012-09-19 管天球 一种富维生素e茶油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9306A (zh) * 2012-05-05 2012-09-19 管天球 一种富维生素e茶油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073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s the active ingredient components from Salvia sclarea seed
Madhujith et al.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plants oils
RU2332445C2 (ru) Антиоксидантная жировая или мас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 стабильным вкусом
WO2010109737A1 (ja) 加熱調理用食用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89394A (ja) 油脂組成物
US1109028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fat
Aryee et al. Perspectives on preserving lipid quality and strategies for value enhancement
EP2285242B1 (en) Plant extract and pufa combinations
KR102379302B1 (ko) 고온 튀김용 유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3213640B1 (en)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acid-containing fat and food containing same
KR20110005347A (ko) 식물성 오일 조성물
RU2390158C1 (ru) Салатное масло
Tsiviki et al. Valorization of grape seeds
JPH0783677B2 (ja) 揚物用食用油及び生食用食用油
CN112438329A (zh) 一种添加天然抗氧化剂的食用油及其制备方法
CN111961529A (zh) 一种用于食用油脂的抗氧化剂配方
KR20050069963A (ko) 항산화효소을 이용한 다기능성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0142758B1 (ko) 유지의 산화방지 조성물
RU2803897C1 (ru) Салатное масло
RU277570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упажа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сел для беременных женщин
RU2423054C2 (ru) Пищевой эмульсионный продукт
Rahayu et al. Value-added of used cooking oil using noni (Morinda citrofilia) extract and bagasse
WO2006109340A1 (en) Enrichment and integration of single-seed and multi- seed vegetable oils, and palm coconut, argan and other oils, with organic antioxidant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RU2622693C2 (ru) Майонез с функциональ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RU2208940C2 (ru) Целебное масл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