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264U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264U
KR20110005264U KR2020090015085U KR20090015085U KR20110005264U KR 20110005264 U KR20110005264 U KR 20110005264U KR 2020090015085 U KR2020090015085 U KR 2020090015085U KR 20090015085 U KR20090015085 U KR 20090015085U KR 20110005264 U KR20110005264 U KR 201100052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insertion hole
inclined surface
lock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육남
Original Assignee
최육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육남 filed Critical 최육남
Priority to KR2020090015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264U/ko
Publication of KR20110005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내부 중심에 다단의 삽입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연에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외주연 양끝단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그 후방 외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면서 몸체부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암나사와 삽입공의 경계 부근에 제1경사면을 형성시킨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 시킬 수 있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의 제1경사면을 따라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가압부를 안내하거나 가압부의 유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부시로 구성한다.
관, 고정, 가압, 교체

Description

관 연결구{Coupling device of pipe}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의 이음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작업은 일정한 길이로 제조된 관을 설치 환경에 맞추어 다수개를 절단 및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작업이다. 상기와 같은 배관 작업에 있어서는 제한적인 관의 길이와 관로의 위치 변경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관 연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관은 주로 물의 이송을 위한 상.하수관이나 기름과 같은 유압라인 등과 같은 유체의 이송이나 가스등과 같은 기체 및 분말과 같은 각종 원료의 이송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관은 생산되는 길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이송라인 전체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중도에 다수의 연결부위를 가지게 된다. 이때, 이 연결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여 누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가지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인 관 연결장치는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관이 삽입되는 중공의 몸체 1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고정구 20와, 상기 고정구 20에 안치하되 그 내부에 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링 30과, 몸체 10에 지지링 30이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 10와 연결되는 관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 40와, 그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패킹부재 40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 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관 연결구는 몸체 10에 고정구 2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 20에는 상기 지지링 30을 통하여 고정구 20를 단속하여 지지 및 고정하고, 상기 로킹너트 50로 몸체 10와 체결된 후 관이 삽입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관 연결구는 관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해 연결구에서 관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기밀상태가 취약하여 관 내부로 압송되는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 관과 연결구의 취약한 연결상태에 의해 외부로 유체가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관을 몸체의 내부에 내입시킨 다음 몸체의 나사홈에 로킹너트를 체결하게 되나, 연결구 또는 관의 진동이나 장기간 결합상태를 방치할 경우 몸체와 로킹너트의 체결상태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관을 통한 유체의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관을 통해 전달되는 열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체결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기 위해 금속재질을 사용하게 되어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부와 체결부가 체결된 상태를 풀림현상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몸체부에 결합되면서 탄력적으로 모아지는 가압부를 통하여 연결구와 관과의 긴밀한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삽입공에 삽입된 오링과 관의 외주연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하여, 삽입공 내주연에 수납된 오링의 밀착 면적과 가압부와 관의 밀착면적이 넓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연결구에 삽입된 관을 교체시 잠금상태인 체결부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관을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해 체결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 중 단가가 저렴한 재질을 적용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관을 이음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 중심에 다단의 삽입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연에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외주연 양끝단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그 후방 외주연에 복수개의 잠금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삽입공의 경계 부근에 제1경사면을 형성시키고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잠금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 시킬 수 있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의 제1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제1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가압부를 안내하거나 가압부의 유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부시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잠금돌기와 걸림돌기는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경사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경사면의 꼭지점 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에 체결부를 체결시에는 경사면을 타고 체결되나 체결상태가 마감시 잠금돌기와 걸림돌기의 수직면이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부시는, 상기 걸림턱의 외주연에 제2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공에 수납되어 상기 제2경사면과 상호 대칭되게 접촉되는 제3경사면을 내측 단턱에 형성시켜 삽입공에 삽입된 오링과 관의 외주연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부시는, 상기 가압부의 일부가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도록 높이를 맞춘 부시를 삽입공에 삽입하여 가압부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의 재질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테레프탈산부틸렌, 폴리산화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몸체부에 체결부를 체결시 몸체부경사면을 타고 체결되나 체결상태가 마감시 잠금돌기와 걸림돌기의 수직면이 걸리도록 함으로 인해, 몸체부와 체결부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관과 연결구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의 제1경사면이 가압편의 외주면을 가압하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 인해, 연결구와 관과의 긴밀한 고정력을 유지시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고 보다 손쉽게 연결구에 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걸림턱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경사면이 삽입공에 수납된 부시의 제3경사면과 접촉되면서 가압함으로 인해, 삽입공에 삽입된 오링과 관의 외주연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하여, 삽입공 내주연에 수납된 오링의 밀착면적과 가압부와 관의 밀착면적이 넓어져 밀착력과 기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가압부의 일부가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도록 높이를 맞춘 부시를 삽입공에 삽입하여 가압부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연결구에 삽입된 관을 교체시 잠금상태인 체결부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관을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체결부의 재질을 열·충격·마모에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engineering plastic)을 적용함으로 인해, 관을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해 체결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 중 단가가 저렴한 재질을 적용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갖으면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6 내지 8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10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 내지 1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다른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 연결구 100는 이음 연결 대상인 한 쌍의 관 P 양측단을 통해 내부로 결합시켜 한 쌍의 관 P이 연통되도록 하는 몸체부 110와, 상기 몸체부 110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부 120와, 상기 몸체부 110 양단부에 결합되어 관 P의 외주연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가압부 130와, 가압부 130를 안내 및 유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부시 140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 110는 삽입공 111, 숫나사 113, 걸림돌기 127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 110는 내부 중심에 다단의 삽입공 111을 형성시키고 외주연 양끝단에는 숫나사 113를 형성시키며, 상기 숫나사 113의 후방 외주연에 복수개의 잠금돌기 115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공 111은 몸체부 110의 내부 중심에 지름이 각기 다른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장큰 지름의 삽입공 110에는 오링 119과 부시 140가 삽입 된다. 더불어, 그보다 작은 삽입공 110에는 관 P이 삽입된다.
이처럼, 삽입된 관 P은 삽입공 110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단턱 117의 위치까지만 삽입되게 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P의 길이가 짧더라도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단턱 117의 위치를 한쪽으로 배치시킨다. 더불어, 걸림단턱 11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 인해 삽입되는 관 P의 깊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잠금돌기 115는 연속적으로 돌출되나 부분적으로 끊어지도록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몸체부 1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아세탈(acetal)이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한편, 체결부 120는 암나사 121, 결합공 123, 제1경사면 125, 걸림돌기 127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숫나사 113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 12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111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 123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 110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 127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면서 몸체부 110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암나사 121와 삽입공 111의 경계 부근에 제1경사면 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경사면 125은 가압편 133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해 암나사 121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경사지도록 한다.
아울러, 몸체부 110의 잠금돌기 115와 체결부 120의 걸림돌기 127의 형상은 삼각형, 반호형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잠금돌기 115와 걸림돌기 127는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경사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경사면의 꼭지점 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더불어, 몸체부 110의 외주연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걸림편(미부호)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몸체부 110에 체결부 120의 체결시에는 경사면을 타고 체결되나 체결상태가 마감시 잠금돌기 115와 걸림돌기 127의 걸림 구조로 인해 몸체부 110과 체결부 12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특히, 외부환경으로 인해 관 P과 연결구 100와의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거나, 위험물질과 같이 절대로 관 P의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아야 하는 곳에 사용된다. 즉, 몸체부 110와 체결부 1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관 P과 연결구 100와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더불어, 체결부 120의 외주연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홈(미부호) 또는 돌기(미부호)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체결부 120의 재질은 열·충격·마모에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engineering plastic)이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기존의 플라스틱과는 달리 강도·탄성 외에 충격·마모·열·추위·약품·피로에 강하며,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테레프탈산부틸 렌(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폴리산화페닐렌(polyphenylene oxide/PPO) 중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이렇게 적용된 체결부 120는 강도·탄성·경도·신장·밀도·성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로 인해, 관 P을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해 체결부 1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갖으면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단가가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가압부 130는 받침단턱 131, 가압편 133, 절개홈 133a, 걸림턱 135, 가압공간 137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결합공 123에 내입 시킬 수 있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 131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 135이 형성된 가압편 133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 133a을 형성시켜 가압편 133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 137을 형성시켜 몸체부 110에 체결되는 체결부 120의 제1경사면 125이 걸림턱 135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 P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 135의 외주연이 제1경사면 125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 133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편 133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개홈 1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개홈 133a의 간격과 갯수를 조절하여 가압편 133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걸림턱 135은 가압편 133의 외주연 끝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 리고, 걸림턱 135의 외주연에는 제2경사면 135a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 135은 부시 14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부시 140는 삽입공 111에 삽입된 오링 119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수납된다. 그리고, 부시 140의 내측 단턱에는 제2경사면 135a과 상호 대칭되게 접촉되는 제3경사면 1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 110에 체결되는 체결부 120의 제1경사면 125이 가압편 133의 외주면을 가압하면 복수개의 가압편 133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 120를 계속 체결하게 되면 제2경사면 135a이 제3경사면 141과 접촉되면서 부시 140가 오링 119쪽으로 가압되어 오링 119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밀착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즉, 오링 119이 삽입공 111과 관 P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연결구 100의 누수 방지 기능을 보다 향상된다.
또한, 체결부 120를 계속 체결하게 되면 제2경사면 135a이 제3경사면 141과 접촉되면서 가압편 133과 관 P의 밀착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처럼, 걸림턱 135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경사면 135a이 부시 140의 제3경사면 141과 접촉되면서 가압함으로 인해, 삽입공 111에 삽입된 오링 119과 관 P의 외주연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하여, 삽입공 111 내주연에 수납된 오링 119의 밀착 면적과 가압부 130와 관 P의 밀착면적이 넓어져 밀착력과 기밀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부시 140를 삽입공 111에 삽입하여 가압부 130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유격이 발생된 가압부 130은 일부가 삽입공 111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 P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게 되면 관 P이 외부로 빠져나가려 한다. 이때, 관 P이 외부로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관 P의 외주연에 가압편 133 또는 파지편 139이 마찰되면서 가압부 130도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외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부 130의 걸림턱 135 외주연이 제1경사면 125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 133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관 P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관 P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 P을 교체시에 잠금상태인 체결부 120를 파괴하여야만 관 P의 교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부시 140를 삽입공 111에 삽입함으로 인해 가압부 130를 몸체부 110 쪽으로 가압하면 걸림턱 135의 외주면을 가압하던 제1경사면 125을 따라 탄성을 갖는 가압편 133이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가압편 133 또는 파지편 139이 벌어짐으로 인해 관 P의 외주연의 가압상태가 해제된다. 이처럼, 잠금상태인 체결부 120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가압상태가 해제된 관 P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향상된다.
이때, 부시 140는 관 P에 고온이 공급됨으로 인해 오링 119이 녹았을 경우 가압구 130쪽으로 오링 119이 침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편, 가압편 133의 내주연에 파지편 139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파지편 139은 가압편 133의 내주연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돌출된 파지편 139은 가압편 133이 관 P의 외주연을 가압시 관 P의 외주연 일부에 침투된다. 특히, 파지편 139의 재질은 관 P의 외주연으로 침투가 용이하도록 관 P의 재질 보다는 강도가 강한 금속류가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관 P의 외주연 일부에 침투된 파지편 139으로 인해 관 P이 연결구 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력이 향상된다.
나아가, 파지편 139의 돌출부분을 관 P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관 P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 인해 관 P의 이탈방향으로 힘이 집중되어 관 P이 이탈되는 것이 더욱 어렵게 하였다.
더불어,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 120를 L자 또는 T자형 연결구에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구 100를 통하여 배관 관 P를 이음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 110의 삽입공 111 내부에 오링 119을 수납하고 가압부 130를 장착한 체결부 120를 몸체부 110에 체결한다.
이때, 체결부 120의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잠금돌기 115를 체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돌기 127의 경사면이 타고 넘어가면서 체결된다.
더불어, 몸체부 110의 숫나사 113와 체결부 120의 암나사 121가 체결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잠금돌기 115와 걸림돌기 127의 수직면이 걸리도록 하여 몸체부 110과 체결부 12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더불어, 내부에서는 몸체부 110에 체결되는 체결부 120의 제1경사면 125이 가압편 133의 외주면을 가압하면 복수개의 가압편 133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한다.
이때, 체결부 120를 계속 체결하게 되면 제2경사면 135a이 제3경사면 141과 접촉되면서 부시 140가 오링 119쪽으로 가압되어 오링 119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밀착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즉, 오링 119이 삽입공 111과 관 P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연결구 100의 누수 방지 기능을 보다 향상된다.
또한, 체결부 120를 계속 체결하게 되면 제2경사면 135a이 제3경사면 141과 접촉되면서 가압편 133과 관 P의 밀착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처럼, 걸림턱 135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경사면 135a이 부시 140의 제3경사면 141과 접촉되면서 가압함으로 인해, 삽입공 111에 삽입된 오링 119과 관 P의 외주연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하여, 삽입공 111 내주연에 수납된 오링 119의 밀착 면적과 가압부 130와 관 P의 밀착면적이 넓어져 밀착력과 기밀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가압편 133이 관 P의 외주연을 가압시 관 P의 외주연 일부에 파지편 139이 침투된다. 이렇게, 관 P의 외주연 일부에 침투된 파지편 139으로 인해 관 P이 연결구 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력이 향상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부시 140를 삽입공 111에 삽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 P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게 되면 관 P이 외부로 빠져나가려 한다. 이때, 관 P이 외부로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관 P의 외주연에 가압편 133 또는 파지편 139이 마찰되면서 가압부 130도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외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부 130의 걸림턱 135 외주연이 제1경사면 125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 133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관 P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관 P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부시 140를 삽입공 111에 삽입함으로 인해 가압부 130를 몸체부 110 쪽으로 가압하면 걸림턱 135의 외주면을 가압하던 제1경사면 125을 따라 탄성을 갖는 가압편 133이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가압편 133 또는 파지편 139이 벌어짐으로 인해 관 P의 외주연의 가압상태가 해제된다. 이처럼, 잠금상태인 체결부 120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가압상태가 해제된 관 P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6 내지 8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내지 10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내지 1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다른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관 100 : 관 연결구
110 : 몸체부 111 : 삽입공
113 : 숫나사 115 : 잠금돌기
117 : 걸림단턱 119 : 오링
120 : 체결부 121 : 암나사
123 : 결합공 124 : 단턱
125 : 제1경사면 127 : 걸림돌기
130 : 가압부 131 : 받침단턱
133 : 가압편 133a : 절개홈
135 : 걸림턱 135a : 제2경사면
137 : 가압공간 139 : 파지편
140 : 부시 141 : 제3경사면

Claims (5)

  1. 관을 이음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 중심에 다단의 삽입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연에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외주연 양끝단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그 후방 외주연에 복수개의 잠금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삽입공의 경계 부근에 제1경사면을 형성시키고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잠금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 시킬 수 있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의 제1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제1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가압부를 안내하거나 가압부의 유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부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와 걸림돌기는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경사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경사면의 꼭지점 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에 체결부를 체결시에는 경사면을 타고 체결되나 체결상태가 마감시 잠금돌기와 걸림돌기의 수직면이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걸림턱의 외주연에 제2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공에 수납되어 상기 제2경사면과 상호 대칭되게 접촉되는 제3경사면을 내측 단턱에 형성시켜 삽입공에 삽입된 오링과 관의 외주연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가압부의 일부가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도록 높이를 맞춘 부시를 삽입공 에 삽입하여 가압부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재질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테레프탈산부틸렌, 폴리산화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2020090015085U 2009-11-20 2009-11-20 관 연결구 KR201100052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85U KR20110005264U (ko) 2009-11-20 2009-11-20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85U KR20110005264U (ko) 2009-11-20 2009-11-20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64U true KR20110005264U (ko) 2011-05-26

Family

ID=4929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085U KR20110005264U (ko) 2009-11-20 2009-11-20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26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00B1 (ko) * 2011-09-30 2012-02-24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WO2017126813A1 (ko) * 2016-01-18 2017-07-27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CN109778960A (zh) * 2019-03-15 2019-05-21 苏州快捷通建筑科技有限公司 无限调整水龙头出水口方向的连接件及连接头
CN114235364A (zh) * 2021-12-09 2022-03-2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用于外压试验装置内安装的试验台架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00B1 (ko) * 2011-09-30 2012-02-24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WO2013048039A2 (ko) * 2011-09-30 2013-04-04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WO2013048039A3 (ko) * 2011-09-30 2013-05-23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CN103328873A (zh) * 2011-09-30 2013-09-25 友情精密机电股份有限公司 管道连接装置和使用其的管道连接方法
US9546748B2 (en) 2011-09-30 2017-01-17 Woojung Mechatronics Co., Ltd Pip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ipe using the same
WO2017126813A1 (ko) * 2016-01-18 2017-07-27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CN108474508A (zh) * 2016-01-18 2018-08-31 友情精密机电股份有限公司 管连接组件
CN109778960A (zh) * 2019-03-15 2019-05-21 苏州快捷通建筑科技有限公司 无限调整水龙头出水口方向的连接件及连接头
CN109778960B (zh) * 2019-03-15 2024-04-09 苏州快捷通建筑科技有限公司 无限调整水龙头出水口方向的连接件及连接头
CN114235364A (zh) * 2021-12-09 2022-03-2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用于外压试验装置内安装的试验台架
CN114235364B (zh) * 2021-12-09 2023-11-1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用于外压试验装置内安装的试验台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557B1 (en) Pipe connection and combination of a connection and a detaching tool
EP2282101B1 (en) Male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EP2274550B1 (fr) Raccord de connecteur pour conduits de fluide avec un ressort en fil metallique
KR20110005264U (ko) 관 연결구
KR20100045379A (ko) 나사, 체결 시스템, 파이프 피팅 및 나사의 제조방법
JP2009517618A5 (ko)
EP1907746A2 (en) Coupling between two bodies
US20160327189A1 (en) Clamping Ring, Sliding Sleev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Non-Releasable Connection
JP4987520B2 (ja) 通水管の継手
WO2006112726A1 (en) Tube connector for flow lines
US20080290660A1 (en) Coupling Between Two Bodies Compris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Cutting Ring With a Screw Thread Forming Cutting Lips
KR101709723B1 (ko) 파이프 연결구
RU2644603C2 (ru) Жидкостная муфта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20100011061U (ko) 유압호스 연결용 커플링
KR101329279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KR200421698Y1 (ko) 배관연결구
KR200414093Y1 (ko) 관로 연결용 카트리지
JP2010096230A (ja) 管継手
JP5474382B2 (ja) 管継手
JP6294986B1 (ja) 直管パイプ用継手
KR100421693B1 (ko)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JP2010038259A (ja) 管継手
KR20170001061U (ko) 금형의 냉각파이프용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