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13A -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13A
KR20110005113A KR1020090062643A KR20090062643A KR20110005113A KR 20110005113 A KR20110005113 A KR 20110005113A KR 1020090062643 A KR1020090062643 A KR 1020090062643A KR 20090062643 A KR20090062643 A KR 20090062643A KR 20110005113 A KR20110005113 A KR 20110005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value
alarm
install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248B1 (ko
Inventor
조성엽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248B1/ko
Priority to CN2010101584399A priority patent/CN101951468B/zh
Priority to CN2012104932538A priority patent/CN103065375A/zh
Priority to US12/799,596 priority patent/US20110006891A1/en
Publication of KR2011000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차량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값을 획득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 수행부; 및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설치 상태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설정 정보를 만족하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감지영역별 변화량을 측정하고,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이 수행되도록 상기 알람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표시부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일지라도 적절한 대상 영역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여 즉시 설치 상태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영상, 녹화, 차량, 설치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Video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and installation state info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 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 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 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즉,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타입과 촬영되는 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해당 장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타입들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저장 장치(110)는 프로그램 저장부(120), 영상 입력부(125), 인코딩/디코딩부(130), 영상 저장부(135), 표시부(140), 정보 제공부(145), 정보 저장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20)에는 영상 저장 장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5), 인코딩/디코딩부(13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 유지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25)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인코딩/디코딩부(130)는 영상 입력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하거나,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영상 저장부(135)는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표시부(140)는 영상 저장 장치(110)의 동작 상태,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 정보로서 출력한다.
정보 제공부(145)는 GPS 수신 정보(예를 들어, 위치 좌표 등) 및/또는 차량 엔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정보 저장부(150)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제어부(155)는 영상 저장 장치(110)의 각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와 달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최초 설치된 후 영상 입력부(카메라부)가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예를 들어, 주행 방향의 중앙)나 각도의 영상을 입력 받아 저장하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로 옮겨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한번 설치하면 차량 사고가 현실화되기 이전에는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잘 확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차량 운행중의 충격(예를 들어, 차량 사고 이외의 충격으로 과속방지턱 통과, 차량 진동 등)이나, 사용자의 실수 또는 부주의(예를 들어 차량 청소, 영상 저장 장치의 키 조작 등)로 인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가 변경(예를 들어, 영상 입력부의 영상 입력 각도 변경)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그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위치나 입력 각도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본연의 목적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일지라도 적절한 대상 영역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을 수행하여 즉시 설치 상태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최적의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중요한 순간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녹화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의식적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차량 이용 상황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능동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표시부를 필수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통지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차량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값을 획득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 수행부; 및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설치 상태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설정 정보를 만족하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감지영역별 변화량을 측정하고,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이 수행되도록 상기 알람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영상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대상 영역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대해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하한 속도값인 주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주행 한계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 정보는 상한 속도값인 서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서행 한계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영역별 변화량은 모션벡터의 변화, 휘도의 변화, 채도의 변화, 주파수 성분의 변화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측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 수행부; 및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픽셀별 색상값을 측정하고, 차량 내부의 차체 색상으로 미리 저장된 색상값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색상값을 가지고 인접한 픽셀들에 의한 영역의 면적값을 연산하며, 상기 면적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이 수행되도록 상기 알람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의 존재 방향을 더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및/또는 그 방법을 실행하는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 수행되는 설치 상태의 통지 방법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값이 상기 설치 상태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족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감지영역별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영상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대상 영역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대해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하한 속도값인 주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주행 한계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 정보는 상한 속도값인 서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서행 한계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영역별 변화량은 모션벡터의 변화, 휘도의 변화, 채도의 변화, 주파수 성분의 변화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측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 수행되는 설치 상태의 통지 방법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픽셀별 색상값을 측정하는 단계; 차량 내부의 차체 색상으로 미리 저장된 색상값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색상값을 가지고 인접한 픽셀들에 의한 영역의 면적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면적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의 면적값을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역의 존재 방향이 더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일지라도 적절한 대상 영역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을 수행하여 즉시 설치 상태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최적의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중요한 순간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녹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의식적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차량 이용 상황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능동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표시부를 필수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프로그램 저장부(220), 영상 입력부(225), 음성 녹음부(230), 압축 처리부(235), 정보 제공부(240), 알람 수행부(245), 데이터 저장부(250) 및 제어부(255)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예를 들어 입력부, 전원 공급부 등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음성 녹음부(230) 등의 구성 요소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각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로 분리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20)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5), 압축 처리부(235)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225)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는 압축 처리부(235)에 의한 압축 처리 및/또는 제어부(255)에 의한 설치 상태 분석을 위해 미리 지정된 신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렌즈,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다채널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압축 처리부(235)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음성 녹음부(23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 주변의 소리(sound)를 입력받아 전기 신호(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압축 처리부(235)로 입력한다. 음성 녹음부(230)는 예를 들어 가청음을 전기적인 에너지 변환기나 로 전달하여 를 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녹음부(230)는 변환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압축 처리부(235)로 입력할 수도 있다.
압축 처리부(235)는 영상 입력부(2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또는 음성 녹음부(230)로부터 수신한 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압축 처리부(235)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압축 처리부(235)에 의해 생성된 압축 데이터(또는 데이터 파일)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임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실시간 저장된 후 데이터 저장부(250)로 이동 저장될 수도 있다.
압축 처리부(235)는 영상 신호와 소리 신호를 각각 압축한 압축 데이터들을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압축 데이터들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JPEG 등의 정지 영상 압축 방식 또는/및 비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MPEG4, H.263, H.264, WMV, DIVX, XVID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실시간 압축될 수 있고, 소리 신호(또는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AAC, MP3, MP2, WMA, OGG, G.729, 713, AMR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실시간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압축 처리부(235)는 영상신호 및 소리 신호를 압축한 하나의 통합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압축 데이터는 MPEG 4 파일 등의 파일 포맷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부가 정보(예를 들어, GPS 수신 정보, 차량 엔진 정보, 센서 정보 등 중 하나 이상)가 통합 압축 데이터의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압축 처리부(235)는 압축되어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파일이 표시부(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스피커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압축 해제(디코딩)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될 부가 정보(예를 들어, GPS 수신 정보, 차량 엔진 정보, 센서 정보 등 중 하나 이상)를 제어부(255) 또는/및 압축 처리부(235)로 제공한다. 정보 제공부(240)는 예를 들어 차량 정보 기록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센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GPS 수신기, 가속도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55) 또는 압축 처리부(235)는 제공받은 부가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독립적으로 저장하거나, 통합 압축 데이터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알람 수행부(245)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비정상적 설치 상태를 인식한 제어부(245)의 제어에 의해 알람을 수행한다. 알람의 수행은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음성 안내 멘트의 출력, 경고음의 출력, LED의 점멸 등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음성 안내 멘트 등은 임의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에는 영상 신호 및/또는 소리 신호가 미리 지정된 방식에 의해 압축 처리된 각각 압축 데이터, 또는 각각의 압축 데이터가 통합되어 생성된 통합 압축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50)에는 부가 정보가 더 저 장되거나, 부가 정보가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 통합 압축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255)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각 구성 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255)는 압축 처리부(235)와 물리적 또는/및 개념적으로 통합된 제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5)는 데이터 저장부(250)에 부가 정보의 저장, 데이터 파일 내에 부가 정보의 삽입,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부(250)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한 제어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5)는 영상 입력부(2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해석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설치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신호를 해석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설치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정상적인 설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 입력된 영상 내의 각 픽셀의 색상값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차체(예를 들어, 대쉬보드, 좌우 차축 등)에 해당되는 색상값을 가지는 픽셀들의 분포를 해석하여 정상 설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차체가 촬영된 영상 부분은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색상값을 가지는 픽셀들이 연속적으로 존재할 것이고, 해당 픽셀들의 분포를 해석함으로써 입력된 영상 중 어느 영역이 차체 내부가 촬영된 것인지 해석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차체 내부를 지시하기 위한 색상값이 사전 지정될 필요는 있을 것이며, 동일한 색상값으로 인식되기 위한 오차범위는 실험적, 통계적 방법 등으로 미리 지정되어야 할 것이다.
제2 실시예로서, 차량의 주행 중에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정상 설치 여부가 인식될 수도 있다. 정상 설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 속도값은 입력되는 영상간에 충분한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한 속도값인 주행 한계속도를 지정하는 방법과 비정상 설치 상태를 조속히 교정할 수 있고 운전자의 안전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상한 속도값은 서행 한계속도를 지정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주행 한계속도 이상인 고속 주행 속도 범위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정상 설치 여부가 판단될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서행 한계속도 이하인 저속 주행 속도 범위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정상 설치 여부가 판단될 것이다.
이외에도,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가 입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정상적 설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주행 한계속도를 지정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정상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입력 영상의 구획 설정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전원 인가 등의 방식으로 동작 개시(단계 310)된 후, 사용자로부터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단계 320). 만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동작 개시 후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라면 단계 320은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설치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 한계속도(예를 들어, 20km/h), 입력된 영상(즉, 대상 영역)의 구획 설정을 위한 격자 형태 등일 수 있다. 주행 한계속도의 지정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가 입력받는 순차적인 영상들간에 충분한 변화가 발생하여 이를 이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가 출력하는 음성 안내 멘트 등을 참조하여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 조정 등의 방법으로 주행 한계속도나 격자 형태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a)는 대상 영상의 해석을 위한 격자 형태가 4x4로 지정된 경우(즉, 16개의 감지영역으로 분할된 경우)로서 정상적인 설치 상태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예시한 것이다. 물론 격자 형태는 4x4로 제한되지 않고, mxn(m과 n은 각각 임의의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m과 n는 입력 영상의 해석을 위한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최대 격자 크기 이내의 범위에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대상 영상을 해석하기 위한 구획 형태가 격자무늬로 제한되지 않음도 당연하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4x4의 격자들(16개의 감지영역들) 중 최하단의 4x1 격자들(4개의 감지영역들) 내에는 차량의 주행 여부에 관계없이 변화되지 않는 외부 영상(예를 들어 대쉬보드 영상)이 표시되고, 상단의 4x3 격자들 내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변화되는 외부 영상(예를 들어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전방 영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최하단부에 일렬로 위치된 감지영역들 내에만 변화되지 않는 외부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가 모든 감지영역들에서 차량 주행시 변화되는 외부 영상이 표시되어야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라면, 도 4(a)의 예시의 경우에도 비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외부 영상의 입력 각도를 현재보다 상향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33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현재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한다. 주행속도에 관한 정보는 정보 제공부(240) 또는/및 차량에 구비된 속도측정기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측정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설정된 주행 한계속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행 한계속도를 만족하지 않으면, 단계 330으로 다시 진행한다. 즉, 주행 한계속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사고 등에 대한 증거자료 확보를 위한 외부 영상(예를 들어 차량 외부 도로 상황 등)의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주행 한계속도를 만족하면 단계 350으로 진행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감지영역별 변화량을 측정한다. 주행 한계속도를 만족하면 외부 영상의 촬영 동작뿐 아니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정상적 설치 여부에 대한 판단시 촬영되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이 이용된다.
여기서, 감지영역은 입력된 영상에 의해 표현되는 모든 영역에 대해 분포될 수도 있고, 도 4의 (a)와 같이 전체 대상 영역 중 상부측에 배치된 영역들을 감지영역들로 구획할 수도 있으며, 대상 영역의 테두리 부분에 감지영역들이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외에도 감지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지영역에 대한 영상 변화량 측정은 예를 들어 모션벡터, 휘도, 채도, 주파수 성분 등의 변화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측정일 수 있으며, 영상 변화량 측정을 위해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감지영역에 대해 측정된 영상 변화량을 참조하여, 측정된 영상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변화량 설정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측정된 영상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변화량 설정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계 33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측정된 영상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변화량 설정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단계 370으로 진행하여,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른 알람 처리 를 수행한다. 알람의 수행은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음성 안내 멘트의 출력, 경고음의 출력, LED의 점멸 등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음성 안내 멘트 등은 임의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a)와 같은 영상 입력이 정상적임을 가정(예를 들어, 감지영역이 상부 4x3 격자들로 한정)할 때, 도 4의 (b) 내지 (d)의 영상 입력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4의 (b)의 경우 하부 4x2 격자들에 해당하는 감지영역들은 외부 영상이 변화하지 않거나 변화량이 적어 지정된 설정값 이하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영상 입력 각도가 아래로 틀어져 차량의 차체(예를 들어 대쉬보드)가 촬영되는 영역이 추가로 발생된 것이며, 이는 주행시 입력되는 영상 중 아래쪽 영상이 변화하지 않거나 적은 변화량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경고음 또는 음성 멘트의 출력이나 LED 점멸 등의 방식으로 비정상적 설치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특정 방향으로 틀어졌음을 안내하는 음성 멘트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설치 상태 조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의 경우에는 좌측 1x4 격자들에 해당하는 감지영역들은 외부 영상이 변화하지 않거나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도 4의 (d)의 경우에는 우측 1x4 격자들에 해당하는 감지영역들이 외부 영상이 변화하지 않거나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의 영상 입력 각도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져 차량의 차체가 촬영되는 영역이 추가로 발 생된 것이며, 이는 주행시 입력되는 영상 중 해당 방향쪽 영상이 변화하지 않거나 적은 변화량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경고음 또는 음성 멘트의 출력이나 LED 점멸 등의 방식으로 비정상적 설치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특정 방향으로 틀어졌음을 안내하는 음성 멘트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설치 상태 조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사고 영상을 저장을 저장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는 대부분 차량 내부의 앞 유리창 중앙 상단에 관절(예를 들어, 힌지, 회전 고정장치 등)이 있는 브라켓 등으로 설치되어 촬영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한번 설치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사고 또는 특별한 일이 발생되지 않는 한 그 설치 상태를 잘 확인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처리의 수행을 통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210)가 정상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입력 영상의 구획 설정 예.

Claims (19)

  1.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차량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값을 획득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 수행부; 및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설치 상태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설정 정보를 만족하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감지영역별 변화량을 측정하고,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이 수행되도록 상기 알람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영상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대상 영역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대해 분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하한 속도값인 주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주행 한계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한 속도값인 서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서행 한계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별 변화량은 모션벡터의 변화, 휘도의 변화, 채도의 변화, 주파수 성분의 변화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측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7.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 수행부; 및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픽셀별 색상값을 측정하고, 차량 내부의 차체 색상으로 미리 저장된 색상값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색상값을 가지고 인접한 픽셀들에 의한 영역의 면적값을 연산하며, 상기 면적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이 수행되도록 상기 알람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의 존재 방향을 더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 의 점멸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10.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 수행되는 설치 상태의 통지 방법으로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값이 상기 설치 상태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족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감지영역별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감지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영상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대상 영역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대해 분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하한 속도값인 주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주행 한계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한 속도값인 서행 한계속도이고, 상기 속도값이 상기 서행 한계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별 변화량은 모션벡터의 변화, 휘도의 변화, 채도의 변화, 주파수 성분의 변화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측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6.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 수행되는 설치 상태의 통지 방법으로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해 픽셀별 색상값을 측정하는 단계;
    차량 내부의 차체 색상으로 미리 저장된 색상값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색상값을 가지고 인접한 픽셀들에 의한 영역의 면적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면적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비정상 설치 상태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면적값을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역의 존재 방향이 더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음의 출력, 미리 저장된 음성 멘트의 출력, LED 표시 소자의 점멸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설치 상태 통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062643A 2009-07-09 2009-07-09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KR101039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43A KR101039248B1 (ko) 2009-07-09 2009-07-09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CN2010101584399A CN101951468B (zh) 2009-07-09 2010-04-28 车辆图像记录装置及其安装状态通知方法
CN2012104932538A CN103065375A (zh) 2009-07-09 2010-04-28 车辆图像记录装置及其安装状态通知方法
US12/799,596 US20110006891A1 (en) 2009-07-09 2010-04-28 Image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informing user of installation state of the image recor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43A KR101039248B1 (ko) 2009-07-09 2009-07-09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13A true KR20110005113A (ko) 2011-01-17
KR101039248B1 KR101039248B1 (ko) 2011-06-07

Family

ID=4342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43A KR101039248B1 (ko) 2009-07-09 2009-07-09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06891A1 (ko)
KR (1) KR101039248B1 (ko)
CN (2) CN10195146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25B1 (ko) * 2013-08-13 2014-07-1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영상 블랙박스 촬영 범위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418726B1 (ko) * 2013-08-13 2014-07-1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영상 블랙박스 촬영범위 설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0288B2 (ja) * 2012-10-30 2015-10-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画像処理装置
US9975485B2 (en) * 2014-04-25 2018-05-22 Komatsu Ltd. Surroundings monitoring system, work vehicle, and surroundings monitoring method
US20160093215A1 (en) * 2014-09-26 2016-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ert systems and methods using a transparent display
CN104766392A (zh) * 2015-04-17 2015-07-08 巫立斌 一种基于云端存储的行车记录监控装置
US9767680B1 (en) * 2015-09-30 2017-09-19 Alarm.Com Incorporated Abberation detection technology
DE102017200915A1 (de) * 2017-01-20 2018-07-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eines Hinweises für einen Anwender und Arbeitsvorrichtung
CN108447146B (zh) * 2017-02-16 2020-11-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拍摄方向偏移检测方法及装置
CN111867891B (zh) 2018-03-28 2022-09-20 克里奥株式会社 一种冲突可视化装置以及记录媒介
JP7325308B2 (ja) * 2019-11-19 2023-08-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7351805B2 (ja) * 2020-07-01 2023-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車載装置及び車両
CN113851002B (zh) * 2021-10-15 2022-04-22 江阴市人人达科技有限公司 异位设施交互同步系统及方法
CN114743376B (zh) * 2022-04-20 2023-09-05 深圳市旗扬特种装备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非灯控路口智能交通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7111C3 (de) * 1976-04-17 1986-02-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zum Feststellen einer Bewegung im Überwachungsbereich einer Fernsehkamera
AU2003244949A1 (en) * 2002-07-25 2004-0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ewing system
US9311540B2 (en) * 2003-12-12 2016-04-12 Careview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patient falls
CN2706807Y (zh) * 2004-05-24 2005-06-29 柳溪立 汽车行驶事故记录及预警控制装置
CN100517746C (zh) * 2005-02-09 2009-07-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监控摄像机装置、使用其的监控系统及监控图像传送方法
CN2781462Y (zh) * 2005-03-08 2006-05-17 顾东升 一种车载视频记录设备
TW200740210A (en) * 2006-04-06 2007-10-16 Winbond Electronics Corp A method of image blurring reduction and a camera
JP4124246B2 (ja) * 2006-06-30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カメラ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及び警告情報伝送方法
JP2008123498A (ja) 2006-10-15 2008-05-29 Fujitsu Ten Ltd 車両用情報記録装置
CN101165723A (zh) * 2006-10-17 2008-04-23 王仁坤 Gps定位车辆安全行驶记录仪
TWI320547B (en) * 2006-11-30 2010-02-11 Ind Tech Res Inst Method for adjusting and calibrating region of interest for imaging processing and vehicle safety warning system using thereof
CN201035630Y (zh) * 2007-05-21 2008-03-12 李卫中 出租车专用视频安保监控装置
CN101098466B (zh) * 2007-07-18 2010-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监控设备前端云台故障的自动监测方法和装置
JP4706672B2 (ja) * 2007-08-01 2011-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外部信号供給装置
JP2009100342A (ja) 2007-10-18 2009-05-07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校正装置及び方法、並びに、車両
CN101426080B (zh) * 2007-10-29 2012-10-17 三星电子株式会社 监控系统中检测并抑制相机移动产生的影响的设备和方法
CN101231764A (zh) * 2007-11-06 2008-07-30 赵志 汽车图像视频记录系统
US8243166B2 (en) * 2009-01-20 2012-08-1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of blocked field-of-view in camera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25B1 (ko) * 2013-08-13 2014-07-1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영상 블랙박스 촬영 범위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418726B1 (ko) * 2013-08-13 2014-07-1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영상 블랙박스 촬영범위 설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1468A (zh) 2011-01-19
CN101951468B (zh) 2013-09-25
CN103065375A (zh) 2013-04-24
KR101039248B1 (ko) 2011-06-07
US20110006891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248B1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설치 상태 통지 방법
JP6499514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データ記録システム、データ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9852176U (zh) 驾驶员辅助系统和交通工具
US20090058622A1 (en) Method for predicting lane line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18119860A1 (zh) 车辆预警方法、装置及系统
JP2008176550A (ja) 道路交通情報のドライバレコーダ付受信装置
JP2009075695A (ja) 危険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9318799B (zh) 汽车、汽车adas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55847B1 (ko)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고기능 겸용 차량운행기록장치
JP2020205108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
JP5882682B2 (ja) 車載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50291095A1 (en)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method in combination with driving behavior
JP6962712B2 (ja) 車載画像記録装置
JP2018055369A (ja) 車両運転支援装置
KR20120046645A (ko) 차량 운행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50022260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JP2007172462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6367531B2 (ja) 車載器
JP2013175032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666343B1 (ko) 차량의 초음파 센서와 영상 센서의 데이터 통합처리 시스템
KR102255429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6473337B2 (ja) 車載装置、車載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速度警告システム
JP2008108135A (ja) 障害物検出システム、及び障害物検出方法
KR101829005B1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제한속도구간 인지 가능한 차량용 단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74059B2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