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079U -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 Google Patents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079U
KR20110004079U KR2020090013580U KR20090013580U KR20110004079U KR 20110004079 U KR20110004079 U KR 20110004079U KR 2020090013580 U KR2020090013580 U KR 2020090013580U KR 20090013580 U KR20090013580 U KR 20090013580U KR 20110004079 U KR20110004079 U KR 201100040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sieve
tea
protrusion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279Y1 (ko
Inventor
안지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13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27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급이 간편하여 각종 패스트 푸드점은 물론, 각종 차(茶)를 판매하는 판매점에서 흔히 사용하는 텀블러용 거름망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형 테두리부재의 일측으로는 하향 돌출된 투입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재의 타측으로는 배출공을 형성하되, 투입홈부과 배출공의 사이에는 테두리부재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텀블러의 내측으로 거름망체를 삽입하거나 텀블러의 내부로부터 거름망체를 분리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거름망체의 선단에 형성된 상향 돌출부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한 파지가 이루어져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의 상향 돌출부는 거름망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텀블러 내의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거름망체 내의 차 잎이 음용 토출부로 넘어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므로 거름망체가 삽입된 상태에서라도 편리한 음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텀블러, 거름망체, 투입홈부, 배출공, 돌출부, 파지

Description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Strainer of tumbler having upward protrusion}
본 고안은 취급이 간편하여 각종 패스트 푸드점은 물론, 각종 차(茶)를 판매하는 판매점에서 흔히 사용하는 텀블러용 거름망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 내측으로 삽입 안치되는 거름망체에 있어, 상기 거름망체에 상향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의해 거름망체를 안정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시키거나, 음용시 거름망체 내의 차 잎이 음용을 위한 배출홈부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찻잎을 이용하여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에는 찻잎을 거름망체 안에 넣고, 찻잎이 넣어진 거름망체를 뜨거운 물에 담가 찻잎으로부터 차(茶)를 우려내어 마시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찻잎을 우려내어 차(茶)를 마실 수 있도록 된 기존의 거름망체는 예전 그대로의 형태 즉, 용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가지는 것이 거름망체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거름망체는 정적인 장소에서 의 사용이 용이한 반면, 동적인(이동 중)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거름망체를 동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차(茶)를 우려낸 후, 우려내어진 차(茶)를 찻잔에 부어 음용하기 위해서는 거름망체를 차(茶)가 우려내어진 용기로부터 분리해낸 다음 우려낸 차(茶)를 따라 마셔야 하는 구조적 결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로부터 거름망체를 분리해내야 하는 까닭은 우려낸 차(茶)를 찻잔에 따르기 위해 용기를 기울였을 때 거름망체가 이탈되어지는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거름망체에 넣어진 찻잎이 우려낸 차와 함께 찻잔으로 흘러들어오게 되는 문제점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찻잎을 이용한 차(茶) 음용을 언제 어디에서나 손쉽게 우려내어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많은 용량의 음용수 수납이 가능한 텀블러(tumbler: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에 차 잎이 넣어진 거름망체를 적용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출원인은 200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0011901호와 같이, 부담없이 휴대 사용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음용수 수용이 가능한 텀블러에 차 잎을 넣어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된 거름망체를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우려낸 차(茶)를 음용할 때 우려낸 차(茶)를 차 배출요홈을 통해 배출시켜 마실 수 있는 것이어서 차(茶)를 우려내고 난 차 잎이 거름망체로부터 흘러나오지 않아 거름망체를 텀블러로부터 분리해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 소함과 더불어 텀블러를 사용함으로써 동적인 상황에서의 차 잎에 의해 우려진 차(茶)의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거름망체를 구비한 텀블러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거름망체를 구비한 텀블러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개구부(111)에서 바닥면(112)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텀블러(110)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텀블러(110)의 벽체(113)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이룬 테두리벽(122)를 가지되, 상기 테두리벽(122)의 일측에 차 잎으로부터 우려진 차(茶)를 배출시킬 수 있는 차배출요홈(122a)이 형성된 거름망체(1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텀블러용 거름망체는 상광하협의 테이퍼상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의 거름망체를 텀블러 내에 삽입하거나 텀블러 내부로부터 이를 꺼내는 과정이 순조롭지 못한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로 된 거름망체를 텀블러 내부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거름망체의 테두리 또는 측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를 텀블러 내측으로 삽입하여야 하므로 손가락으로부터 세균이나 이물질이 거름망체를 통해 음용수 내에 혼합될 수 있어 위생상 좋지 못한 것이고, 텀블러 내부로부터 거름망체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텀블러 내벽에 밀착된 상태의 거름망체는 별도의 파지부 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물기에 의해 밀착된 상태의 거름망체를 꺼내는데에 상당한 곤란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거름망체가 안치 삽입된 상태에서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거름망체 내에 삽입된 차 잎이 텀블러의 기울어짐에 따라 거름망체를 타고 넘 어가 음용부로 쏟아지게 되므로 상기의 거름망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차를 음용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뒤따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텀블러용 거름망체가 갖는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름망체의 손쉬운 삽입과 분리는 물론 거름망체 내의 차 잎이 음용과정에서 넘어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환형 테두리부재의 일측으로는 하향 돌출된 투입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재의 타측으로는 배출공을 형성하되, 투입홈부과 배출공의 사이에는 테두리부재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투입홈부에 의해서는 차 잎을 넣어 우러나게 하고, 배출공에 의해서는 우러난 차를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게 하며, 돌출부에 의해서는 파지부와 차 잎 차단부의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텀블러용 거름망체가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텀블러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상광하협의 테이퍼상 측면을 갖는 환형의 테두리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부 일측에는 바닥면에 관통공이 배열된 하향 돌출의 투입홈부를 형성하고, 테두리부재의 내부 타측에는 수직 관통의 배출공을 형성하되, 상기 투입홈부와 배출공의 사이에는 상향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돌출부는 양측면이 테이퍼상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 용기의 내측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돌출부는 상단 일측으로 투입홈부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텀블러의 내측으로 거름망체를 삽입하거나 텀블러의 내부로부터 거름망체를 분리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거름망체의 선단에 형성된 상향 돌출부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한 파지가 이루어져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의 상향 돌출부는 거름망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텀블러 내의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거름망체 내의 차 잎이 음용 토출부로 넘어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므로 거름망체가 삽입된 상태에서라도 편리한 음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가 텀블러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는 텀블러의 내측에 삽입하여 차를 우려냄과 동시에 상기의 거름망체가 텀블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우려낸 차를 음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거름망체는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상광하협의 테이퍼상 측면(11)을 갖는 환형의 테두리부재(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부 일측에는 바닥면(12)에 다수의 관통공(13)이 배열 형성된 투입홈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부 타측에는 관통의 배출공(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투입홈부(14)와 배출공(15)의 사이에는 테두리부재(10)의 상측을 향하는 돌출부(16)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16)의 양측면은 테두리부재(10)의 테이퍼상 측면(11)과 일치하여 연장되는 상향 경사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거름망체를 텀블러(2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테두리부재(10)의 테이퍼상 측면(11)이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16)의 양측면이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거름망체를 텀블러(20) 내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돌출부(16)를 파지하여 간편하게 삽입하면 되는 것이고, 텀블러(20) 내부에 위치한 거름망체의 투입홈부(14) 내에 다양한 종류의 차 잎을 투입시킨 후, 온수를 부어 도 4의 도시와 같은 상태에서 차 잎이 우러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텀블러(20) 내에 미리 온수를 부어 둔 상태에서 본 고안의 거름망체를 삽입하여 안치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상기의 텀블러(20)는 별도의 개폐캡(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일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온수를 부어 둔 상태에서 개폐캡을 닫아 차 잎이 충분히 우러날 동안 온수가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이동성에도 탁월한 유리함을 갖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투입홈부(14)의 관통공(13)을 통해 온수가 투입홈부(14)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투입홈부(14) 내측의 차 잎이 충분히 우러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텀블러(20)로부터 개폐캡을 분리 제거한 후 상기의 텀블러(20)를 기울어 내부의 차를 음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차는 텀블러(20)의 내부로부터 테두리부재(10)의 배출공(15)을 통해서 배출될 것이므로 상기의 거름망체가 삽입된 상태라 할지라도 음용에 아무런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텀블러(20)를 기울여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거름망체 내의 차 잎이 음용부로 넘어들어와 불편함이 뒤따랐으나 본 고안에서의 테두리부재(10)에 형성된 상향의 돌출부(16)는 상기의 차 잎이 음용부인 배출공(15)을 향하여 넘어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방지턱의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넘어들어오는 차 잎으로 인한 음용시의 불편함 역시 합리적으로 해소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돌출부(16)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테이퍼상 측면(11)과 일치하는 경사각을 갖고 있어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의 돌출부(16) 측면과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 사이에는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상기의 차 잎이 측부 틈새를 통해 음용시 배출공(15)을 향하 여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거름망체는 상기의 돌출부(16)에 의해 텀블러(20)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 안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텀블러(20) 내부로부터 거름망체를 분리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돌출부(16)를 파지하여 이를 손쉽게 꺼내어 분리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거름망체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돌출부(16)의 일측 즉, 투입홈부(14)를 향하는 돌출부(16)의 선단에는 일체의 걸림턱(17)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걸림턱(17)을 통해 파지력의 강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텀블러(20) 내부의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투입홈부(14) 내의 차 잎이 돌출부(16)를 넘어가 배출공(15)으로 유입되려는 것을 보다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거름망체가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 및 작용과 효과를 더욱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텀블러 및 거름망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가 텀블러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가 삽입된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테두리부재 11 : 테이퍼상 측면
12 : 바닥면 13 : 관통공
14 : 투입홈부 15 : 배출공
16 : 돌출부 17 : 걸림턱
20 : 텀블러 21 : 내측 경사면

Claims (3)

  1.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을 따라 상광하협의 테이퍼상 측면(11)을 갖는 테두리부재(10)를 구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부 일측에는 바닥면(12)에 관통공(13)이 배열된 하향 돌출의 투입홈부(14)를 형성하고, 테두리부재(10)의 내부 타측에는 수직 관통의 배출공(15)을 형성하되,
    상기 투입홈부(14)와 배출공(15)의 사이에는 상향의 돌출부(16)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2.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16)는 양측면이 테이퍼상 측면(11)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16)는 상단 일측으로 투입홈부(14)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7)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KR2020090013580U 2009-10-19 2009-10-19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KR200460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80U KR200460279Y1 (ko) 2009-10-19 2009-10-19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80U KR200460279Y1 (ko) 2009-10-19 2009-10-19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79U true KR20110004079U (ko) 2011-04-27
KR200460279Y1 KR200460279Y1 (ko) 2012-05-15

Family

ID=4420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580U KR200460279Y1 (ko) 2009-10-19 2009-10-19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2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45A (ko) 2019-06-21 2020-12-30 이재현 다기능 거름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034A (ja) * 1997-05-15 1998-12-02 Kyoto Miyamori Kk ドリップバッグ
JP3084458U (ja) * 2001-09-03 2002-03-22 漢川 林 フィルター付ポット構造
JP3930029B2 (ja) 2005-03-15 2007-06-13 片岡物産株式会社 ドリップ式コーヒー濾過器
KR20090000674U (ko) * 2007-07-19 2009-01-22 (주)아모레퍼시픽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45A (ko) 2019-06-21 2020-12-30 이재현 다기능 거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279Y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60910A1 (en) Beverage container
US20140291236A1 (en) Multifunction Strainer and Bowl
RU2011129072A (ru) Детский горшок
KR200460279Y1 (ko)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KR20090000673U (ko)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0436053Y1 (ko) 병 뚜껑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20090089640A (ko) 찻잔
KR200457212Y1 (ko) 탈부착의 냄비용 국물배출기
JP3212035U (ja) じょうごと濾し器
JP5430374B2 (ja) 油ポット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JP7350032B2 (ja) 茶こし付き飲用ボトル
JP3044665U (ja) 油こし器
KR20090000674U (ko)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KR20160059924A (ko) 물병
KR200396708Y1 (ko) 얼음컵 홀더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JP3133626U (ja) 蓋付注出容器
KR100806757B1 (ko) 보조출구와 보조손잡이가 설치된 광구 용기
JP3113841U (ja) オイルポット
KR200470203Y1 (ko)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JP3175357U (ja) 急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