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924A - 물병 - Google Patents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924A
KR20160059924A KR1020140163147A KR20140163147A KR20160059924A KR 20160059924 A KR20160059924 A KR 20160059924A KR 1020140163147 A KR1020140163147 A KR 1020140163147A KR 20140163147 A KR20140163147 A KR 20140163147A KR 20160059924 A KR20160059924 A KR 20160059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water bottle
tea
water
tea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2014016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924A/ko
Publication of KR2016005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 물병의 몸체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고, 또한 차를 우리기 위한 찻잎이나 티백을 하부몸체의 바닥부위로 안정적으로 침강시키기 위한 침강부재를 상부와 하부몸체 사이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도록 한 물병을 제안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병은, 몸체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리되고, 상부몸체의 하부 내측과 하부몸체의 상부 외측으로는 나사 형태의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부 상단과 하부몸체의 상단 사이에 안착되어 티백을 하부몸체의 하측으로 침강시키기 위한 침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침강부재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판체 형태로 된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안착되며, 몸체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하부연장바가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연장바의 하단에는 찻잎을 수용하기 위한 망체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물병{BOTTLE}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세척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찻잎이나 티백을 물속으로 안정적으로 침강시킬 수 있도록 한 물병에 관한 것이다.
물병은 물을 담아 휴대하면서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부에 물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유출구는 물병의 구경보다 훨씬 작아 물병의 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20-0437860(다기능 위생물통)에서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물통몸체(10)는 상부몸체(10-1)와 하부몸체(10-2)로 나뉘어 이루어져 상호 나사결합되고, 내면 하부에는 끼움홈(10b)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0b)으로 걸름망(40)이 설치되며, 외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표시부(50)가 형성되고; 손잡이(30)는 상기 상부몸체(10-1)와 하부몸체(10-2)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하나로 형성되되, 분리되는 물통 몸체(10)의 경계부분과 수평선상으로 동일한 위치가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통몸체(10)는 내측 하부에 내주면을 따라 "ㄷ"자 형태로 끼움홈(10b)이 형성되고, 이러한 끼움홈(10b)에 걸름망(40)이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40)은 직물로 이루어진 망(40a)과, 상기 망(40a)의 외측 둘레가 소정부분 안쪽으로 접혀져, 상기 접혀진 부분의 안쪽으로 탄성링(40b)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상기 끼움홈(10b)에 탄성링(40b)을 접어서 끼워넣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끼움홈(10b)에서 빼내어 소정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이때, 상기 탄성링(40b)은 탄성력을 갖는 얇은 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끼움홈(10b)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물통몸체(10)에 도2에서와 같이 녹차잎 또는 감잎, 둥글레잎 등과 같은 잎 중 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넣은 다음, 걸름망(40)을 설치한 후, 입구(10a)를 통해 뜨거운 물을 넣어 차를 우려먹을 수 있는 것으로, 컵에 우려진 차를 따를 경우 잎이 유입되지 않고 액체만 유입되어 차를 먹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하부몸체(10-2)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끼움홈(10b)에 형성된 구조로서, 사출성형시에 사실상 성형이 불가능한 구조이며, 또한, 걸림망(40)을 끼움홈(10b)에 끼우거나 또는 끼워진 걸름망(40)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구조이다.
그리고, 끼움홈(10b)에 이물질이 낀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기가 수월치 않아 위생상에도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병의 몸체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고, 또한 차를 우리기 위한 찻잎이나 티백을 하부몸체의 바닥부위로 안정적으로 침강시키기 위한 침강부재를 상부와 하부몸체 사이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도록 한 물병을 제안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병은,
몸체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리되고, 상부몸체의 하부 내측과 하부몸체의 상부 외측으로는 나사 형태의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부 상단과 하부몸체의 상단 사이에 안착되어 티백을 하부몸체의 하측으로 침강시키기 위한 침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침강부재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판체 형태로 된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안착되며, 몸체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하부연장바가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연장바의 하단에는 찻잎을 수용하기 위한 망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병의 몸체가 상하로 분리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또한, 상하로 분리된 몸체 사이에 단순한 구조의 침강부재를 손쉽게 고정시켜 찻잎이나 티백을 안정적으로 물속에 침강시키도록 하며, 몸체를 분리시키면 침강부재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몰통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2는 도1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물병 구조의 분해도.
도4는 도3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3 및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물병의 분해도로서, 몸통은 상부몸통(110)과 하부몸통(130)으로 분리되며, 상부몸통(110)의 상측에는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111)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1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몸통(110)과 하부몸통(130)은 수평선상으로 동일한 위치가 절단되어 상호가 나사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부몸체(110)의 하부 내측에 나사 형태의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또한 하부몸체(130)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 형태의 결합부(131)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몸체(130)에 찻잎이나 티백을 안정적으로 물속에 침강시키기 위하여 침강부재(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침강부재(140)는 몸체(141)가 원판 형태로 되어 상하방향으로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공(1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가장자리 둘레로는 걸림턱(14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41)는 하부몸체(130)의 내경에 꼭 맞는 크기를 가지며, 걸림턱(142)은 몸체(14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부몸체(130)의 상단에 걸리되, 하부몸체(13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몸체(141)의 중심부위로부터 하측으로는 하부연장바(14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부연장바(144)의 하단에는 찻잎이나 티백을 수용하기 위한 망체(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망체(150)는 내부에 찻잎이나 티백을 수용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상하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하부연장바(144)와 망체(150)는 하부몸체(130)의 바닥 위치에 근접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부몸체(11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결합부(112)와 내측벽면 사이에는 턱부(113)가 형성되고, 또한 하부몸체(130)의 결합부(131)와 외측벽면 사이에도 턱부(1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가 서로 결합될 때 그 턱부(113)와 하부몸체(130)의 상단 사이에 침강부재(140)의 걸림턱(142)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부몸체(110)의 결합부(112)는 내측벽면보다 바깥쪽에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턱부(113)가 형성되며, 또한 하부몸체(130)의 결합부(131)는 외측벽면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턱부(132)가 형성됨으로써 턱부(113)의 하단과 하부몸체(130)의 상단 사이에 걸림턱(14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찻잎이나 티백을 망체(150)에 수용시킨 침강부재(140)를 하부몸체(130)의 상단에 올려 놓은 다음 상부몸체(110)의 하부몸체(130)이 결합시키게 되면 침강부재(140)가 고정되면서 망체(150)가 하부몸체(130)의 바닥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침강부재(140)의 걸림턱(142)이 하부몸체(130)의 상단에 놓이면서 몸체(141)가 하부몸체(1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좌우로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유출구(111)를 통하여 물을 넣게 되면, 망체(150)에 의해 찻물이 우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를 분리시키게 되면, 침강부재(140)를 들어올려 손쉽게 제거가 가능함으로써 망체(150)로부터 찻잎이나 티백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내부 세척이 용이해진다.
110 : 상부몸통 111 : 유출구
112 : 결합부 113 : 턱부
130 : 하부몸통 131 : 결합부
132 : 턱부 140 : 침강부재
141 : 몸체 142 : 걸림턱
143 : 통공 144 : 하부연장바
150 : 망체

Claims (3)

  1. 물을 담기 위한 몸체와, 상부에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와 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로 구성된 물병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리되고, 상부몸체의 하부 내측과 하부몸체의 상부 외측으로는 나사 형태의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부 상단과 하부몸체의 상단 사이에 안착되어 티백을 하부몸체의 하측으로 침강시키기 위한 침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침강부재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판체 형태로 된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안착되며, 몸체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하부연장바가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연장바의 하단에는 찻잎을 수용하기 위한 망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부는 내측벽면보다 바깥쪽에 형성되어 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몸체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KR1020140163147A 2014-11-19 2014-11-19 물병 KR20160059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47A KR20160059924A (ko) 2014-11-19 2014-11-19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47A KR20160059924A (ko) 2014-11-19 2014-11-19 물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924A true KR20160059924A (ko) 2016-05-27

Family

ID=5610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147A KR20160059924A (ko) 2014-11-19 2014-11-19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369A (ko) * 2020-11-13 2022-05-20 박진영 음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369A (ko) * 2020-11-13 2022-05-20 박진영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3869A1 (en) Lid with cap for beverage receptacle
US9352901B2 (en)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US9486392B2 (en) Infant bottle assembly having a vented nipple
WO2012011089A4 (en) Drinking apparatus
JP5896980B2 (ja) 密封容器
KR20160059924A (ko) 물병
US7472647B2 (en) Egg separators
CN204378738U (zh) 新型吸管杯
KR101933634B1 (ko) 휴대용 정수 물병
CN214484129U (zh) 一种方便饮用的单口茶水分离杯
CN205076222U (zh) 一种压动出水的不漏瓶嘴组件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WO2013192371A2 (en) Variable size washable baby bottle
KR200460279Y1 (ko)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
CN209950940U (zh) 内塞、容器盖及容器
KR200472225Y1 (ko) 배수구의 이물질 거름도구
WO2011095971A1 (en) Collar for baby bottle
KR100806757B1 (ko) 보조출구와 보조손잡이가 설치된 광구 용기
CN104843308A (zh) 可自动打开和关闭的不漏嘴盖
CN204606533U (zh) 一种可自动关闭出水口的不漏容器
CN208658585U (zh) 可分离茶水的杯子
KR200466300Y1 (ko) 파우치 마개
KR200420581Y1 (ko) 고리가 구비된 음료수용 병마개
KR200478806Y1 (ko) 용기 뚜껑
JP2016135263A (ja) 密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