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779U - 보조백미러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조백미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779U
KR20110003779U KR2020090013214U KR20090013214U KR20110003779U KR 20110003779 U KR20110003779 U KR 20110003779U KR 2020090013214 U KR2020090013214 U KR 2020090013214U KR 20090013214 U KR20090013214 U KR 20090013214U KR 20110003779 U KR20110003779 U KR 201100037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mirror assembly
coupled
mirro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2020090013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779U/ko
Publication of KR20110003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백미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미러와, 주미러가 전면이 노출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백미러조립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핀; 결합핀에 연결되고, 주미러 앞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미러틀; 미러틀의 전면에 결합되는 보조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가 제공된다.
주미러, 하우징, 결합핀, 미러틀, 보조미러, 접착

Description

보조백미러조립체{AUXILIARY REAR VIEW MIRROR ASSEMBLY}
본 고안은 보조백미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미러의 반사면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백미러조립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백미러조립체 등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결합이 가능하며,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백미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안전한 차량 운전을 위해서는 운전 중 전방을 항상 주시하여야 하며, 아울러 차량의 주변상황을 주의 깊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운전자가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를 확인하면서 자신이 운전하는 자동차의 차선을 변경하는 등,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후방 상황의 신속한 파악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선 변경이나 주차 등의 경우에는 특히 차량의 측면 내지는 후방 상황이 함께 파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차량 내·외부에 백미러(back mirror, rear view mirror)가 구비된다.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러한 백미러에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백미러(사이드미러, side mirror)와, 실내에 설치되어서 운전자가 후사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룸미러 등이 설치된 다.
다만, 이와 같은 백미러가 운전하고 있는 차량의 측면 내지는 후방 상황을 모두 표시할 수는 없으며, 시야에 노출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형성되게 된다.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는 백미러에 의하더라도, 운전 차량의 양측면에 인접하여 운행되는 다른 차량을 식별할 수 없는 운전 사각지대가 생긴다.
이러한 사각지대에 진입한 차량을 파악하지 못하고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특히 운전 경험이 부족한 초보운전자들의 경우에는, 주변상황에 대한 파악 능력이 더욱 떨어지며 그러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또한 부족하여 교통사고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미러와 별도로 보조백미러가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보조백미러는 백미러에서 파악되지 않는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며, 더욱 넓은 범위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보조백미러는 차량에서의 결합위치, 형상, 모양, 크기 등이 다르게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보조백미러는 백미러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백미러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조백미러는, 백미러의 거울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거울 면상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착 형태의 보조백미러와, 백미러의 거울면을 가리지 않고 백미러의 테두리에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돌출 형태의 보조백미러가 일반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백미러의 거울면에 직접 접촉하여 거울면의 일부를 필연적으로 가리게 되며, 본래의 백미러에 의해 확보되어야 하는 시야가 크게 감소하며 회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등의 경우에는 보조백미러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거울면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으며, 거울면에 남아있는 접착제는 미감을 해치고 시야 확보를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본래의 백미러에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차량의 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돌출 형태의 보조백미러를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된 형태의 보조백미러를 결합하는 경우 다른 물체와의 접촉 가능성이 더욱 크게 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운전시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차량의 고속 주행중에는 보조백미러에 가해지는 공기 저항성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보조백미러가 백미러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주미러의 반사면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백미러조립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백미러조립체 등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결합이 가능하며,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는, 주미러와, 상기 주미러가 전면이 노출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백미러조립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핀; 상기 결합핀에 연결되고, 상기 주미러 앞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미러틀; 상기 미러틀의 전면에 결합되는 보조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에는, 판 형상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굴곡진 판 형상의 끼움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에는 접착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접착부가 분리형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 바깥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되,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분리가 저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접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러틀은 상기 결합핀을 상대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 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체; 및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미러틀과 결합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끼움부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체에는, 상기 제1회전축부가 삽입되는 제1회전홈부와, 상기 제1회전홈부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제2회전축부가 끼워지는 제2회전홈부와, 상기 제2회전홈부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미러틀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복형성된 멈춤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홈부는 일측이 절개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멈춤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멈춤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부는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결합핀이 하우징의 테두러에 결합되고, 보조미러가 결합되는 미러틀이 하우징의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테두리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백미러조립체의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고, 주미러의 전면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 본래의 외관유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결합핀을, 접착면이 형성된 밀착부, 끼움부 및 제1회전축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셋째, 밀착부의 중앙을 구성하는 접착부가 외측방향으로만 분리·결합 가능하고, 접착부에 내측면에 접착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밀착부를 포함한 다른 구성이 접착부의 분리 없이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을 보장하고, 접착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장치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넷째, 미러틀이 결합핀을 상대로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별적인 차량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한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다.
다섯째, 서로 회동결합되는 회동체와 연결체를 결합함에 있어서 멈춤돌기와 멈춤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임의 각도에서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섯째, 체결홈부를 다수개로 형성되도록 하여, 미러틀 및 보조미러의 결합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2(a)와 도 2(b)는 도 1에서 도시된 보조백미러조립체(1)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주미러(110)와, 상기 주미러(110)의 전면이 노출되게 수용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백미러조립체(1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핀(10); 상기 결합핀(10)에 연결되고, 상기 주미러(110) 전방에 위치하는 미러틀(20); 상기 미러틀(20)의 전면에 결합되는 보조미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10)에는, 판 형상의 밀착부(11)와, 상기 밀착부(11)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굴곡진 판 형상의 끼움부(12)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백미러조립체(1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백미러조립체(100)에 의한 사각지대의 형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백미러조립체(100)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차량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통상의 백미러(back mirror, 사이드미러)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주미러(110)는 백미러의 거울에 해당하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주미러(110)를 감싸고 지지하며 차량에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주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20)의 안쪽에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주미러(110)의 전면만이 노출되도록 상기 주미러(110)를 지지 한다. 상기 주미러(110)는 그 테두리가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밀착되지는 않으며, 통상의 백미러에서와 같이, 양자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백미러조립체(100)에서 상기 주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20)에 완전히 고정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20)을 상대로 각도조정을 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미러(110)는 그 테두리가 상기 하우징(120)에 밀착되지 않으며, 양자 사이에 일정한 틈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핀(10)은 본 고안인 보조백미러조립체(1)가 상기 백미러조립체(10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결합핀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좌,우 어느 쪽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가 인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미러틀(20)은 상기 결합핀(10)에 연결되며, 상기 주미러(11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미러틀(20)은 상기 보조미러(3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보조미러(30)가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미러틀(20)은 상기 결합핀(10)에 직접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체(40) 및 연결체(50)를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미러(30)는 거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미러(110)에 의한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미러(30)는 상기 주미러(110) 보다는 더욱 볼록한 볼록거울 형태로 형성되며, 굴곡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러틀(20)은 상기 보조미러(30)의 배면이 밀착되어 결합되 는 구성이므로, 상기 보조미러(30)와 같은 굴곡면을 형성하며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결합부분이 백미러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120)의 어느 쪽에서도 결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차량에 운행에 있어서 사각지대에 따른 문제는, 조수석 쪽 백미러보다는 운전석 쪽 백미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1)는 운전석 쪽 백미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백미러조립체(100)가 차량에 연결되는 부분의 하단은, 사실상 외부와의 접촉가능성이 가장 낮은 부분이며, 차량과의 연결부분에 따른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차량에 연결되는 부분의 하단, 즉 운전석 백미러조립체(100)의 우측 하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상기 결합핀(10)이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기본적으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미러(110)의 전면, 즉 거울면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주미러(110)에 의한 반사면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주미러(110)의 전면 접착에 따른 문제점(외관손상, 시야 확보 어려움 등) 발생 염려가 없게 된다.
아울러, 상기 주미러(110)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미러틀(20)이 상기 하우 징(120)의 테두리 안쪽에 대부분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형 변형이 크지 않고 외부 물체와의 접촉 가능성이 감소하여 손상의 위험성이 줄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조백미러장치는, 상기 주미러(110)의 면상에 부착되어 결합되는 형태 또는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 바깥에 결합되는 형태가 일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주미러(110)의 면상에 결합되는 보조백미러는 결합되는 면적만큼 주미러(110)의 면이 상실되게 되어, 주미러(110)의 기본적인 기능 또한 그만큼 상실되게 된다.
후자의 경우, 보조백미러는 하우징(120)의 외측으로 완전히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와의 접촉 가능성이 커 손상의 우려가 커지게 되며, 차량의 외적인 미감이 강조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차량 본래의 외형을 해치는 등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상기 결합핀(10)이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미러(30)를 포함하여 상기 미러틀(20)이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 앞쪽 내지는 상기 주미러(11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주미러(110)의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 바깥으로 돌출되는 부분 역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를 사용함으로써, 주미러(110)를 가리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외부와의 접촉 가능성도 줄이게 되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핀(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핀(10)은 넓은 판형상의 밀착부(11)와, 상기 밀착부(11)에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진 끼움부(12) 및 상기 끼움부(12)의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1회전홈부(41)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핀(10)은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성 내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결합핀은 차량의 백미러(상기 백미러조립체, 10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긁힘 등으로 인한 차량의 도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11)는 일체로 이루어진 넓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폭이 좁은 다수의 판이 연속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부(12)는 상기 밀착부(11)에서 굴곡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핀(10)은 상기 하우징(12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12)의 내측면으로 상기 하우징(12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12)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120)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굴곡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20)의 걸림이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후술할 상기 제1회전축부(13)는 상기 끼움부(12)의 외측면에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11)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축부(13)는 회동체(40)가 회전함에 있어서 회전축이 되는 제1회전축(200)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축부(13)는 상기 회동체(40)의 원활한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원기둥 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만, 단부에는 상기 회동체(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3a)이 돌출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보조백미러조립체(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보조백미러조립체(1)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보조백미러조립체(1)의 배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에서, 상기 결합핀(10)에는 접착면(15)이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11)의 내측면에 접착면(1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10)은, 상기 밀착부(11)가 상기 주미러(110)와 하우징(1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밀착부(11)의 내측면(상기 끼움부(12)를 향하는 면)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결합핀(10)은, 상기 밀착부(11)가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120)과의 결합력을 더욱 확실히 보장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11)의 내측면에 접착면(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핀(10)은, 상기 밀착부(11)가 밖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120)의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밀착부(11)의 내측면이 상기 하우징(12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에도 역시, 상기 하우징(12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접착면(15)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11)의 내측면에 접착면(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핀(10)이 상기 하우징(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면(15)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유동 등에 따른 충격에도 이탈이 방지되며, 분실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상기 밀착부(11)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접착부(14)가 분리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4)는 상기 밀착부(11)의 외측면 바깥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되,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분리가 저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면(15)은 상기 접착부(14)의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대체적인 형상이 단일의 사각판 형태가 아니라, 중앙 부분에 상기 접착부(14)가 결합되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부(11)에 상기 접착부(14)가 결합되어 사각판의 형태를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1)와 접착부(14)의 연결부분에는 서로 끼워질 수 있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11)와 접착부는(14)는 결합방향 이외의 방향, 특히 결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분리 및 결합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14)의 좌우측 단부는 상기 밀착부(1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밀착부(11)와 접착부(14)의 결합면 상에 턱이 형성되어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리될 수 없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부(14)의 내측면(상기 결합핀(10)의 내측면 방향)에는 상기 접착면(15)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14)를 포함한 상기 결합핀(10)이 상기 하우징(12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14)를 상기 밀착부(11)와 분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착부(14)를 제외한 다른 구성이 상기 백미러조립체(100)에 우선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면(15)이 형성된 상기 접착부(14)를 상기 밀착부(11)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20)에, 상기 접착면(15)을 이용한 접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러틀(20)은 상기 결합핀(1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핀(10)이 상기 백미러조립체(100)에 고정되는 부분인 것과 달리, 상기 미러틀(20) 및 보조미러(30)는 상기 백미러조립체(100)를 상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미러틀(20)은 상기 결합핀(10)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보조백미러조립체(1)의 결합위치와는 별도로, 차량의 조건 내지는 운전자의 조건에 가장 적합하게 다양한 경사각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상기 결합핀(10)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00)을 형성하고, 상기 제1회전축(20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체(40); 및 상기 회동체(40)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300)을 형 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30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미러틀(20)과 결합되는 연결체(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축(200)과 제2회전축(300)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10)에는, 상기 끼움부(12)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1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전축부(13)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체(40)에는, 상기 제1회전축부(13)가 삽입되는 제1회전홈부(41)와, 상기 제1회전홈부(41)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300)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전축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50)에는, 상기 제2회전축부(42)가 끼워지는 제2회전홈부(51)와, 상기 제2회전홈부(51)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부(52)가 구비되며, 상기 미러틀(20)에는, 상기 체결부(5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홈부(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상기 결합핀(10)과 미러틀(20) 사이에 결합형성되는 상기 회동체(40) 및 연결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체(40)와 연결체(50)는 상기 미러틀(20)이 상기 결합핀(10)을 상대로 좌우 및 상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동체(40)는, 상기 제1회전축부(13)에 끼워지는 제1회전홈부(41)와 상기 제1회전축부(13)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전축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홈부(41)는 대체로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부(13)에 꼭 맞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회전축부(13)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 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내측면 상에 상기 이탈방지턱(13a)의 이동통로로서 사용되는 긴 골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축부(42)는 상기 제1회전축부(13)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대체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부(42)는 상기 회동체(40)를 기준으로 좌우균등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축부(42)는 상기 연결체(50)가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부(42)에 의하여 제2회전축(30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체(50)는 상기 제2회전축부(42)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제2회전홈부(51)와 상기 미러틀(20)에 결합되는 체결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홈부(51)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는 상기 제2회전홈부(51)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러틀(20)의 체결홈부(21)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에서, 상기 제2회전축부(42)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복형성된 멈춤돌기(42a)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홈부(51)는 일측이 절개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멈춤돌기(42a)와 대응되게 형성된 멈춤홈(51a)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는, 상기 밀착부(11)가 상기 주미러(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백미러조립체(10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회전축부(13)는 수직방향, 상기 제2회전축부(42)는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부(42)와 상기 제2회전홈부(51)간에는 충분한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미러틀(20)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미러틀(20)의 각도 조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부(42)와 제2회전홈부(51)간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억지끼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부(42)에 멈춤돌기(42a)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홈부(51)에 멈춤홈(51a)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멈춤돌기(42a)는 상기 제2회전축부(42)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반복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홈부(51)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멈춤홈(51a)은, 상기 멈춤돌기(42a)와 꼭 맞도록 대응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홈은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부(42)를 상대로 회전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멈춤돌기(42a) 및 멈춤홈(5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러틀(20)을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조백미러조립체(1)의 각도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1)에서, 상기 체결홈부(21)는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부(21)는 상기 체결부(52)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체결홈부(21)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백미러조립체(100)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인 보조백미러조립체(1)의 위치가 결정된다. 차량 내지는 상기 백미러조립체(100)의 형태, 특성 및 운전자의 조건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결합되어야 하며, 결합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홈부(21)는 상기 미러틀(20)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체(50)는 상기 회동체(4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부분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홈부(21)는 주로 상기 미러틀(20)의 상하방향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홈부(21)는 좌우 대칭의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상기 체결홈부(21)에 두 개의 상기 체결부(52)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정된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백미러조립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a)와 도 2(b)는 도 1에서 도시된 보조백미러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보조백미러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보조백미러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보조백미러조립체의 배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조백미러조립체 10 : 결합핀
11 : 밀착부 12 : 끼움부
13 : 제1회전축부 14 : 접착부
15 : 접착면
20 : 미러틀 21 : 체결홈부
30 : 보조미러 40 : 회동체
41 : 제1회전홈부 42 : 제2회전축부
42a : 멈춤돌기 50 : 연결체
51 : 제2회전홈부 51a : 멈춤홈
52 : 체결부
100 : 백미러조립체 110 : 주미러
120 : 하우징
200 : 제1회전축 300 : 제2회전축

Claims (9)

  1. 주미러와, 상기 주미러가 전면이 노출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백미러조립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핀;
    상기 결합핀에 연결되고, 상기 주미러 앞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미러틀;
    상기 미러틀의 전면에 결합되는 보조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에는, 판 형상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굴곡진 판 형상의 끼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에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접착부가 분리형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 바깥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되,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분리가 저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접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틀은 상기 결합핀을 상대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체; 및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미러틀과 결합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끼움부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체에는, 상기 제1회전축부가 삽입되는 제1회전홈부와, 상기 제1회전홈부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제2회전축부가 끼워지는 제2회전홈부와, 상기 제2회전홈부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미러틀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복형성된 멈춤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홈부는 일측이 절개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멈춤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멈춤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백미러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백미러조립체.
KR2020090013214U 2009-10-12 2009-10-12 보조백미러조립체 KR201100037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14U KR20110003779U (ko) 2009-10-12 2009-10-12 보조백미러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14U KR20110003779U (ko) 2009-10-12 2009-10-12 보조백미러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79U true KR20110003779U (ko) 2011-04-20

Family

ID=4420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14U KR20110003779U (ko) 2009-10-12 2009-10-12 보조백미러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7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832A (zh) * 2017-09-06 2017-12-01 滕文龙 辅助视镜
CN112124205A (zh) * 2020-10-28 2020-12-25 杨克群 一种新能源汽车用后视镜的便捷式安装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832A (zh) * 2017-09-06 2017-12-01 滕文龙 辅助视镜
CN107415832B (zh) * 2017-09-06 2023-10-27 滕文龙 辅助视镜
CN112124205A (zh) * 2020-10-28 2020-12-25 杨克群 一种新能源汽车用后视镜的便捷式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9098B1 (en) Electric folding device for outside rear-view mirror of vehicle
JP6511136B2 (ja) 車両用ミラー
KR20110003779U (ko) 보조백미러조립체
US6076934A (en) Vehicle blind spot mirror
US8757820B2 (en) Vehicle rear viewing device
KR20120002878U (ko) 보조백미러조립체
US8876186B2 (en) Breakaway visor retention check
US6824282B1 (en) Rearview mirror redirecting system
US20110134527A1 (en) Foldable delineator
EP3508382B1 (en) Vehicle system
JP2004196218A (ja) 車体側部視認構造
US20020186481A1 (en) Lateral-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WO2005068235A1 (en) Dashboard cover for car
KR200366712Y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US20190023184A1 (en) Side mirror assembly with integrated spotter mirror
KR200416115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2344508B1 (ko)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KR100285417B1 (ko) 자동차용 미러장치
KR20040088712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363624Y1 (ko) 각도 보정 보조 백미러
JP3042074U (ja) 自動車用ミラー
JPH0726250U (ja) サイドミラー
KR200391566Y1 (ko) 자동차용 후방감지거울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KR200226200Y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