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845U - 실외기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기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845U
KR20110002845U KR2020090012074U KR20090012074U KR20110002845U KR 20110002845 U KR20110002845 U KR 20110002845U KR 2020090012074 U KR2020090012074 U KR 2020090012074U KR 20090012074 U KR20090012074 U KR 20090012074U KR 20110002845 U KR20110002845 U KR 201100028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fastening
horizontal
bar
fasten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208Y1 (ko
Inventor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서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2020090012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0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24F1/62Wall-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고안에서 에어컨 실외기를 난간의 외향으로 안정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실외기 설치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난간 수평바(Bar)로 안착 및 체결되도록 'ㄷ' 형태를 갖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의 각 측면 사이로 구비되어 상기 난간 수평바를 수용 체결하는 체결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디의 상측면으로 설치되어 실외기를 수평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 회동축으로 이루어진 수평회동수단; 상기 수평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수평 회동홈을 갖고 상기 체결바디 상으로 안착되는 구동패널, 상기 구동패널의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수직 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동바디로 이루어진 수직회동수단; 및 상기 유동바디의 전면에 고정되어 실외기를 안착하기 위해 두 개의 수직 바를 갖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각 수직 바로 체결되어 상기 실외기를 수평 안착시키기 위한 유동지지대, 상기 각 유동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와 체결하기 위한 록킹장치, 상기 각 유동지지대의 측면으로 고정되는 핸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외기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 요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에어컨, 실외기, 설치, 장치, 회동, 발코니, 베란다, 2축, 실외기 설치대

Description

실외기 설치 장치{APPLIANCE FOR INSTALLATING OUT-DOOR MACHINE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 실외기 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 발코니 난간 외부로 설치되는 실외기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실외기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컨 난간용 실외기 설치대의 경우 앵글과 지지판을 조립하여 박스를 만들고 실외기를 재치시키는 형태의 실외기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실외기 설치를 위한 설치대는 다수 종류가 공지되어 있으며, 그 일 예로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실외기 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서 추락방지수단을 난간고정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 구조로서,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는 난간고정대(10), 실외기받침대(20), 보강프레임(30), 및 추락방지수단(40)을 포함한다. 난간고정대(10)는 아파트 베란다 난간이나 건물의 외벽 등에 고정되며, 양측면에는 슬롯삽입돌기(11)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실외기받침대(20)는 실외기(50)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난간고정대 (10)의 하부에 고정된다. 보강프레임(30)은 실외기(50)가 실외기받침대(20)에 위치될 경우 실외기받침대(20)와 난간고정대(10)의 결합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외기받침대(20)의 측면과 난간고정대(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30)의 양 측면에는 회동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추락방지수단(40)은 일단이 난간고정대(10)의 좌측면에 위치하고 타단은 난간고정대(10)의 우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컨 실외기(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추락방지수단(40)의 일단 및 타단에는 난간고정대(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롯삽입돌기(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롯(4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추락방지수단(40)을 슬롯삽입돌기(11)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 (b)와 같이 추락방지수단(40)을 난간고정대(10)의 상부까지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 도 2(c)와 같이 상기 추락방지수단(40)을 난간고정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난간고정대(10)의 상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수단(40)은 좌측 및 우측에 돌기삽입홈(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추락방지수단(40)를 회동시켜 도 2(a)와 같이 실외기(50)의 전방에 위치시킨 경우 회동결합돌기(31)은 돌기삽입홈(45)에 삽입된다. 따라서 추락방지수단(40)은 보강프레임(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실외기(5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인해, 추락방지수단(40)이 실외기(5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실외기(50)에 예기치 못한 힘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실외기(50)가 전방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 실외기 설치대는 실외기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구조이나, 현장에서의 실외기 설치 시 실외기를 설치대로 옮기는 과정이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 인지되어 있다. 즉, 설치대의 안정성을 고려하기 전에 설치대로 실외기를 옮기는 과정에서 인사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는 2인 1조로 구성된 작업 요원에 의해, 실외기를 난간에 거치시킨 후 설치대로 실외기를 안착시켜야 하기 과정에서 작업 요원의 신체 무게중심이 난간의 외부로 무리하게 이탈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무척 높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실외기 설치시 실외기를 안전하게 설치대로 안착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외기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 요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실외기 설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난간의 안측에서 실외기를 고정 설치한 후, 이를 난간의 외벽으로 설치된 설치대로 수직, 수평 회동시켜 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실외기 설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시켜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실외기 설치 작업 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실외기 설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실외기 설치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를 난간의 외향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난간 수평바(Bar)로 안착 및 체결되도록 'ㄷ' 형태를 갖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의 각 측면 사이로 구비되어 상기 난간 수평바를 수용 체결하는 체결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디의 상측면으로 설치되어 실외기를 수평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 회동축으로 이루어진 수평회동수단; 상기 수평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수평 회동홈을 갖고 상기 체결바디 상으로 안착되는 구동패널, 상기 구동패널의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수직 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동바디로 이루어진 수직회동수단; 및 상기 유동바디의 전면에 고정되어 실외기를 안착하기 위해 두 개의 수직 바를 갖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각 수직 바로 체결되어 상기 실외기를 수평 안착시키기 위한 유동지지대, 상기 각 유동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와 체결하기 위한 록킹장치, 상기 각 유동지지대의 측면으로 고정되는 핸들로 이루어진 실외기 안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개시되는 실외기 설치 장치는, 실외기를 난간 외벽의 설치대로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도록 실외기의 수직 이동, 수평 이동이 가능한 2차원 회동축을 구현함에 따라, 실외기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 요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실외기의 설치 작업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외기 설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난간 수평바(Bar)로 안착 및 체결되도록 'ㄷ' 형태를 갖는 체결바디(301), 상기 체결바디(301)의 각 측면 사이로 구비되어 상기 난간 수평바를 수용 체결하는 체결부(305), 체결홈(307)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디(301)의 상측면으로 설치되어 실외기를 수평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 회동축(303)으로 이루어진 수평회동수단(330); 상기 수평 회동축(303)을 중심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수평 회동홈(311)을 갖고 상기 체결바디(301) 상으로 안착되는 구동패널(309), 상기 구동패널(309)의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수직 회동축(313)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동바디(315)로 이루어진 수직회동수단(350); 상기 유동바디(315)의 전면에 고정되어 실외기를 안착하기 위해 두 개의 수직 바를 갖는 고정대(317), 상기 고정대(317)의 각 수직 바로 체결되어 상기 실외기를 수평 안착시키기 위한 유동지지대(319), 상기 각 유동지지대(319)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317)와 체결하기 위한 록킹장치(321), 상기 각 유동지지대(319)의 측면으로 고정되는 핸들(323)로 이루어진 실외기 안착수단(370)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다른 실외기 설치 장치는 베란다 또는 발코니 난간의 안측에서 외측으로 실외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실외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실외기 설치 공간이 마련된 아파트 구조에서 적용되거나, 실외기 설치 공간이 없는 아파트 구조에서 별도의 실외기 설치대가 장착된 상태에서 실외기 이동이 용이하도 록 구현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실외기 안착수단(370)은 실외기 설치대 구조를 갖거나, 실외기 설치대와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실외기 설치 공간을 갖는 아파트 구조를 제1 실시 예로 적용하고, 실외기 설치 공간이 없는 아파트 구조를 제2 실시 예로 적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또는 베란다(405)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난간 수직바(403)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난간 수평바(401)가 형성되고, 난간의 외향으로 상기 베란다(405)로부터 연장되는 실외기 설치공간(407)을 갖는다. 여기서, 실외기는 발코니(405) 상으로 이동 조립된 후, 실외기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 설치공간(407)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요원은 상기 체결바디(301)를 난간 수평바(401)의 상측면에서부터 안착시킨다. 상기 체결바디(301)는 난간 수평바(401)의 형상 예컨대, 단면이 원형 구조에서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각 모서리를 45도 각도로 구배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디(301)를 난간 수평바(401)와 체결할 때, 체결홈(307)이 안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301)가 안착된 후, 상기 체결부(305)가 난간 수평바(401)를 감싸도록 회절시켜 상기 체결홈(307)과 체결시킨다. 상기 체결부(305)는 소정 길이의 나사(409)의 일측 단으로 너트 구조의 체결핸들(4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409)는 체결바디(301)와 회동되도록 회동축(413)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 디(301)가 난간 수평바(401)를 수용하도록 안착된 후, 상기 나사(409)를 체결바디(301)의 전면으로 회동시켜, 체결핸들(411)을 이용하여 난간 수평바(401)와 체결시킨다.
이후, 상기 수직회동수단(350)을 체결바디(301)의 상측면으로 안착시키는데, 수평회동홈(311)으로 수평회동축(303)이 인입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회동홈(311)은 수평회동축(303)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을 적절하게 크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회동축(303)은 나사 구조를 갖도록 하여, 수평회동축(303)이 수평회동홈(311)으로 인입 설치되면, 구동패널(309)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회동축(303)으로 너트 구조의 캡으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유동지지대(319)는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대(317)를 수용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유동지지대(319)는 필요한 길이로 조절된 후, 록킹장치(321)에 의해 고정대(317)와 체결된다. 상기 고정대(317)는 록킹장치(321)와 대응하는 위치로 다수의 고정홈(415)이 구비되며, 록킹장치(321)의 고정버튼(417)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고정홈(415)과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각 유동지지대(319)는 고정버튼(417)에 의해 고정대(317)와 고정되며, 실외기를 수평 안착시키기 위한 수평안착대(419) 상으로 실외기가 안착된다.
이와 같이, 실외기 설치장치가 난간 수평바(401)로 고정되면, 상기 수평 안착대(419) 상으로 실외기가 작업요원에 의해 안착되며 도 5의 동작상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실외기 설치장치가 조립된 후, 실외기가 설치된 상태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전한 실외기 이동을 위해, 상기 수평 안착대(419)와 고정대(317) 사이로 고정 벨트를 체결하여, 안착된 실외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외기 설치장치로 실외기가 안착되면, 도 5b와 같이 작업요원은 실외기가 탑재된 고정대(317)를 수직회동 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동 지지대(319)는 고정대(317)와 고정 체결되고, 상기 고정대(317)는 유동바디(315)와 고정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유동바디(315)는 수직 회동축(31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외기는 수평 안착대(419)에 의해 안착된 후, 수직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대(317)에 의해 안착된다.
한편, 작업요원은 유동 지지대(319) 상으로 형성된 핸들(323)을 이용하여 안착된 실외기를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c는 실외기의 수평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작업요원에 의해 실외기가 수직 이동된 후, 난간 수평바(401)의 상단으로 안착되도록 수평 이동된다. 그리고, 도 5d와 같이, 실외기를 지속적으로 수평 이동시켜 실외기 설치 공간(407) 상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도 5e와 같이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실외기를 수직 하강 이동시킨다.
상기 작업요원은 소정 위치로 이송된 실외기를 실외기 설치 공간(407)으로 안착시킨다. 이후, 실외기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장치(321)를 해제하고, 상기 각 유동지지대(319)를 내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체결바디(301)를 고정한 체결부(305)를 해체하여 실외기 설치장치를 해당 위치에서 이탈시켜 실외기 이동을 완료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실외기 설치장치는 실외기 설치 공간(407)이 마련된 아파트 에서 사용되었으나, 실외기 설치 공간(407)이 존재하지 않는 아파트에서, 실외기 설치대가 존재할 경우에도 본 고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실외기 안착수단(370) 대신 실외기 설치대가 장착되어 실외기 설치대 및 실외기를 동시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바디(315) 상으로 실외기 설치대(601)가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실외기 설치장치는 실외기 설치대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실외기 설치 후 실외기 설치장치를 분류 해체하지 않는다.
상기 실외기 설치대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실외기 설치대(601)로 실외기를 안착시킨 후, 전술된 과정을 통해 실외기 설치대(601)를 난간 수평바(401)의 외향으로 회동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외기 설치대(601)를 난간의 난간 수평바(401) 및 난간 수직바(403)와 다수 곳에서 체결함으로써 실외기 고정의 안정성을 도모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파트 가구별로 설치되는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를 빠르고 안전하게 실현할 수 있어 산업적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기 설치 장치는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년 발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설치 및 설비 산업의 기반을 견고히 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실외기 설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외기 설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체결바디 303 : 수평 회동축
305 : 체결부 307 : 체결홈
309 : 구동패널 311 : 수평 회동홈
313 : 수직 회동축 315 : 유동바디
317 : 고정대 319 : 유동 지지대
321 : 록킹장치 323 : 핸들
330 : 수평회동수단 350 : 수직회동수단
370 : 실외기 안착수단 409 : 나사
411 : 체결핸들 413 : 회동축
415 : 고정홈 417 : 고정버튼
419 : 수평 안착대 601 : 실외기 설치대

Claims (4)

  1. 에어컨 실외기를 난간의 외향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난간 수평바(Bar)로 안착 및 체결되도록 'ㄷ' 형태를 갖는 체결바디(301), 상기 체결바디(301)의 각 측면 사이로 구비되어 상기 난간 수평바를 수용 체결하는 체결부(305), 체결홈(307)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디(301)의 상측면으로 설치되어 실외기를 수평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 회동축(303)으로 이루어진 수평회동수단(330);
    상기 수평 회동축(303)을 중심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수평 회동홈(311)을 갖고 상기 체결바디(301) 상으로 안착되는 구동패널(309), 상기 구동패널(309)의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수직 회동축(313)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동바디(315)로 이루어진 수직회동수단(350); 및
    상기 유동바디(315)의 전면에 고정되어 실외기를 안착하기 위해 두 개의 수직 바를 갖는 고정대(317), 상기 고정대(317)의 각 수직 바로 체결되어 상기 실외기를 수평 안착시키기 위한 유동지지대(319), 상기 각 유동지지대(319)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317)와 체결하기 위한 록킹장치(321), 상기 각 유동지지대(319)의 측면으로 고정되는 핸들(323)로 이루어진 실외기 안착수단(3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설치장치.
  2. 에어컨 실외기를 난간의 외향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난간 수평바(Bar)로 안착 및 체결되도록 'ㄷ' 형태를 갖는 체결바디(301), 상기 체결바디(301)의 각 측면 사이로 구비되어 상기 난간 수평바를 수용 체결하는 체결부(305), 체결홈(307)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디(301)의 상측면으로 설치되어 실외기를 수평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 회동축(303)으로 이루어진 수평회동수단(330);
    상기 수평 회동축(303)을 중심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수평 회동홈(311)을 갖고 상기 체결바디(301) 상으로 안착되는 구동패널(309), 상기 구동패널(309)의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수직 회동축(313)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동바디(315)로 이루어진 수직회동수단(350); 및
    상기 유동바디(315)의 전면에 고정되어 실외기를 안착하기 위해 실외기 설치대로 이루어진 실외기 안착수단(3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설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5)는 체결바디(301)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회동축(413)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409)와, 상기 나사(409)의 종단에서 상기 체결홈(307)과 나사(409)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핸들(4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설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회동축(303)는 종단부로 나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회동축 (303)이 상기 구동패널(309)의 수평회동홈(311)으로 인입된 후, 너트 구조의 캡이 수평 회동축(303)과 체결되어 상기 구동패널(309)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설치장치.
KR2020090012074U 2009-09-15 2009-09-15 실외기 설치 장치 KR200454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74U KR200454208Y1 (ko) 2009-09-15 2009-09-15 실외기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74U KR200454208Y1 (ko) 2009-09-15 2009-09-15 실외기 설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45U true KR20110002845U (ko) 2011-03-23
KR200454208Y1 KR200454208Y1 (ko) 2011-06-21

Family

ID=4420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074U KR200454208Y1 (ko) 2009-09-15 2009-09-15 실외기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0645A (zh) * 2018-09-20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安装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46B1 (ko) * 2016-07-06 2016-11-15 주식회사창대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성이 향상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623B1 (ko) 2008-01-09 2008-06-16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비상 대피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실외기 거치대
KR100888705B1 (ko) 2008-06-17 2009-03-16 박정필 에어컨 실외기의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0645A (zh) * 2018-09-20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安装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208Y1 (ko)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938B2 (en) Collapsible safety rail system
US20110260384A1 (en) Fix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door panels during painting and finishing
KR200426209Y1 (ko) 안전 작업대 설치용 클램핑 기구
KR200454208Y1 (ko) 실외기 설치 장치
WO2012142645A1 (en) Safety barricade system
JP2007327286A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JP5533040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
US7770336B2 (en) Multiple-level rotary work surface
KR102219815B1 (ko) 건물 옹벽 고정형 곤도라
EP2253778A2 (en) An advance guard rail
JP3200577U (ja) 室外機仮置き台
KR100529398B1 (ko)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20220023552A (ko) 옥외 작업용 외벽 거치형 안전 구조물
KR101672410B1 (ko)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EP3006648B1 (en) Guard rail
KR200482905Y1 (ko) 사다리용 반자동 안전 차단바
JP6836843B2 (ja) 足場用幅木搭載装置
KR102360830B1 (ko) 이동조작이 가능한 고공 작업대
JP5645042B1 (ja) 枠組足場
KR102180605B1 (ko)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102360825B1 (ko) 조립식 고공 작업대
KR102446201B1 (ko)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KR20110120158A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