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201B1 -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201B1
KR102446201B1 KR1020220019755A KR20220019755A KR102446201B1 KR 102446201 B1 KR102446201 B1 KR 102446201B1 KR 1020220019755 A KR1020220019755 A KR 1020220019755A KR 20220019755 A KR20220019755 A KR 20220019755A KR 102446201 B1 KR102446201 B1 KR 10244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uffer
binding
connectio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김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원 filed Critical 김진원
Priority to KR102022001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흙막이벽과, 비계모듈을 작업환경에 맞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비계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civil engineering scaf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계모듈을 작업환경에 맞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비계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설현장, 건축 공사현장, 조선소 등의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을 가리키며, 작업자가 각종 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비계는 일반비계와 시스템 비계로 구분하게 되는데, 일반비계는 보통 비계용 파이프라 불리우는 강관과 연결철물을 조립해 만드는 것으로 강관비계라 불리기도 하며, 건축물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이 아니다 보니 설치시에 소홀한 경향이 있어 안전 발판이나 계단, 난간등의 안전장치가 부족하거나 불완전한 구조로 인한 붕괴사고가 끝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일반 비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스템 비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 수평재, 계단,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철물을 규격화하고 안전 발판과 계단설치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 비계에 비해 견고하고 안전한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3989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29661호
본 발명은 수직재에 수평재가 용접되어 일체형 모듈로 형성되는 비계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시공의 편리함을 갖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계모듈을 작업환경에 맞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는 비계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계구조체는, 작업발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지면에서 수직으로 작업발판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연결바와, 작업발판 각 모서리에 위치되는 수직연결바를 수평방향에서 고정시켜주며, 작업발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연결바와, 작업발판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안전바와, 작업자의 이동시 무게를 지지하도록 수평연결바 상에 안착 형성되는 작업발판과, 작업발판을 수평연결바에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발판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발판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계구조체는, 바연결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연결바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바연결부재와, 수직연결바에 삽입시 작업발판의 위치에 따라 승하강되며, 위치결정시 수직연결바에 고정되는 바연결패널과, 패널지지대가 삽입되어 모듈연결바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바연결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삽입홈과, 수직연결바에 바연결부재 삽입시 삽입될 위치를 지정해주기 위해 수직연결바 둘레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패널지지대와, 작업발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의 바연결패널에 각각 결합된 바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모듈연결바와, 모듈연결바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작업발판이 모듈연결바 상에 고정되도록 작업발판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발판고정돌기와, 발판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모듈연결바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계구조체는,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간의 텐션을 조절하여 진동이나 강풍에 의해 비계구조체가 붕괴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텐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텐션수단은, 수직연결바에서 탈부착 될 수 있도록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결속부재와, 수직연결바에 결합시 결속바가 삽입되어 수직연결바에 바결속부재가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바결속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홈과, 결속바가 바홈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바결속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결속힌지와, 결속힌지에 연결되어 바홈 측으로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결속힌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속바와, 바홈에 결속바 삽입시 결속바를 바결속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속바에서 나사결합으로 형성되는 고정너트와,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간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이 바결속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완충바가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며, 이완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완충스프링을 압축시키기 위해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과, 완충바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완스프링과 완충스프링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조절스크류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수직연결바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있도록 완충단과 완충하우징 내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이완스프링과, 수직연결바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있도록 완충단과 완충하우징 내부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일측이 완충하우징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텐션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크류와,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스크류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사이 중앙 측에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체형 모듈로 형성되는 비계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제공하며, 시공의 편리함을 갖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 비계구조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은 비계구조체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연결텐션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3은 비계구조체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무게분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5는 비계구조체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안전바승하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 흙막이벽이 시공될 현장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 비계구조체가 시공될 현장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 비계구조체(5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계구조체(500)는 비계모듈을 작업환경에 맞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계구조체(500)는 수직연결바(510), 수평연결바(511), 수평안전바(512), 작업발판(513), 발판연결부재(514), 바연결부재(515), 바연결패널(516), 바삽입홈(517), 패널지지대(518), 모듈연결바(519), 발판고정돌기(520), 돌기삽입홈(5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연결바(510)는 작업발판(513)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연결바(510)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작업발판(513)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연결바(511)는 작업발판(513) 각 모서리에 위치되는 수직연결바(510)를 수평방향에서 고정시켜주며, 작업발판(513)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안전바(512)는 작업발판(513)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발판(513)은 작업자의 이동시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발판(513)은 수평연결바(511) 상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연결부재(514)는 작업발판(513)을 수평연결바(511)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판연결부재(514)는 작업발판(513)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연결부재(515)는 바연결패널(5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연결부재(515)는 모듈연결바(519)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연결패널(516)은 수직연결바(510)에 삽입시 작업발판(513)의 위치에 따라 승하강되며, 위치결정시 수직연결바(5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삽입홈(517)은 패널지지대(518)가 삽입되어 모듈연결바(519)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삽입홈(517)은 바연결부재(5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지지대(518)는 수직연결바(510)에 바연결부재(515) 삽입시 삽입될 위치를 지정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지지대(518)는 수직연결바(510) 둘레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연결바(519)는 작업발판(513)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듈연결바(519)는 일측과 타측의 바연결패널(516)에 각각 결합된 바연결부재(5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고정돌기(520)는 모듈연결바(519)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홈(521)에 삽입되어 작업발판(513)이 모듈연결바(519)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판고정돌기(520)는 작업발판(513)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삽입홈(521)은 발판고정돌기(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삽입홈(521)은 모듈연결바(519)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비계구조체(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연결텐션수단(6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텐션수단(600)은 비계구조체(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텐션수단(600)은 일측의 수직연결바(510)와 타측의 수직연결바(510) 간의 텐션을 조절하여 진동이나 강풍에 의해 비계구조체(500)가 붕괴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텐션수단(600)은 바결속부재(610), 바홈(611), 결속힌지(612), 결속바(613), 고정너트(614), 완충바(615), 완충단(616), 완충하우징(617), 이완스프링(618), 완충스프링(619), 조절스크류(620), 텐션조절부재(6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결속부재(610)는 수직연결바(510)에서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결속부재(610)는 완충바(6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홈(611)은 수직연결바(510)에 결합시 결속바(613)가 삽입되어 수직연결바(510)에 바결속부재(610)가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홈(611)은 바결속부재(6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힌지(612)는 결속바(613)가 바홈(611)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힌지(612)는 바결속부재(6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바(613)는 결속힌지(612)에 연결되어 바홈(611) 측으로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바(613)는 결속힌지(6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너트(614)는 바홈(611)에 결속바(613) 삽입시 결속바(613)를 바결속부재(6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너트(614)는 결속바(613)에서 나사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바(615)는 일측의 수직연결바(510)와 타측의 수직연결바(510) 간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하우징(617) 내부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바(615)는 일측이 바결속부재(6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하우징(617)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단(616)은 완충바(615)가 완충하우징(617)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며, 이완스프링(618)을 압축시키거나 완충스프링(619)을 압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단(616)은 완충바(6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하우징(617)은 완충바(615)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완스프링(618)과 완충스프링(619)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하우징(617)은 조절스크류(6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완스프링(618)은 수직연결바(510)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바(615)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616)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완스프링(618)은 완충단(616)과 완충하우징(617) 내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619)은 수직연결바(510)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바(615)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616)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619)은 완충단(616)과 완충하우징(617) 내부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스크류(620)는 일측의 수직연결바(510)와 타측의 수직연결바(51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스크류(620)는 일측이 완충하우징(617)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텐션조절부재(621)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621)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스크류(620)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부재(621)는 일측의 수직연결바(510)와 타측의 수직연결바(510) 사이 중앙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비계구조체(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무게분산수단(7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게분산수단(700)은 비계구조체(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무게분산수단(700)은 작업발판(513)에서 이동하는 작업자의 무게가 치우치지 않도록 작업발판(513) 전체에 가해지는 무게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분산수단(700)은 센서안착부재(710), 무게감지센서(711), X측모터(712), X측이송스크류(713), X측스크류지지대(714), X측와이어고정대(715), X측와이어부재(716), X측이송와이어, X측무게추 Y측모터(717), Y측이송스크류(718), Y측스크류지지대(719), Y측와이어고정대(720), Y측와이어부재(721), Y측이송와이어, Y측무게추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안착부재(710)는 수직연결바(510)에 결합되는 발판연결부재(514) 하측방향인 수직연결바(5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711)는 작업자가 이동한 측의 수직연결바(510)에 결합되는 발판연결부재(514)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711)는 센서안착부재(7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모터(712)는 X측이송스크류(713)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모터(712)는 작업발판(513) 하면 수평방향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이송스크류(713)는 X측모터(712)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이송스크류(713)는 일측이 X측모터(712)에 연결되고, 타측이 X측스크류지지대(71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스크류지지대(714)는 X측이송스크류(713)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스크류지지대(714)는 작업발판(513) 하면 수평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와이어고정대(715)는 X측이송와이어의 일측과 타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와이어고정대(715)는 X측스크류지지대(714)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와이어부재(716)는 X측이송스크류(713)의 회전시 X측이송와이어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와이어부재(716)는 X측이송스크류(713)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이송와이어는 X측이송스크류(713)의 회전시 X측와이어부재(716)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이송와이어는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X측와이어고정대(715) 간의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측무게추는 작업발판(513) 상의 무게를 전체면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X측무게추는 X측와이어부재(716)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모터(717)는 Y측이송스크류(718)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모터(717)는 작업발판(513) 하면 수직방향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이송스크류(718)는 Y측모터(717)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이송스크류(718)는 일측이 Y측모터(717)에 연결되고, 타측이 Y측스크류지지대(71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스크류지지대(719)는 Y측이송스크류(718)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스크류지지대(719)는 작업발판(513) 하면 수직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와이어고정대(720)는 측이송와이어의 일측과 타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와이어고정대(720)는 Y측스크류지지대(719)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와이어부재(721)는 Y측이송스크류(718)의 회전시 Y측이송와이어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와이어부재(721)는 측이송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이송와이어는 Y측이송스크류(718)의 회전시 Y측와이어부재(721)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이송와이어는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Y측와이어고정대(720) 간의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측무게추는 작업발판(513) 상의 무게를 전체면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Y측무게추는 측와이어부재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비계구조체(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안전바승하강수단(8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도 1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승하강수단(800)은 비계구조체(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안전바승하강수단(800)은 작업자의 키높이에 맞게 일측의 수직연결바(510)와 타측의 수직연결바(510)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안전바(5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바승하강수단(800)은 승하강하우징(810), 롤러지지대(811), 구동롤러(812), 구동모터(813), 구동기어부재(814), 가이드롤러(815), 롤러고정대(816), 높낮이감지센서(817), 센서감지부재(8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하우징(810)은 수직연결바(510) 상에 구동롤러(812)와 가이드롤러(815)에 의해 밀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지지대(811)는 구동롤러(812)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지지대(811)는 일측이 구동롤러(812)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승하강하우징(810) 내부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롤러(812)는 롤러지지대(811)에 결합되며, 구동모터(813)에 의해 회전되어 수직연결바(510) 둘레 일측에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813)는 구동롤러(8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813)는 승하강하우징(810)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부재(814)는 구동모터(813)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축과 구동롤러(812) 간의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815)는 롤러고정대(816)에 결합되며, 구동모터(813)에 작동으로 회전되는 구동롤러(812)에 의해 승하강시 수직연결바(510) 둘레 타측에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고정대(816)는 가이드롤러(815)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대(816)는 일측이 가이드롤러(815)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승하강하우징(810) 내부 타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감지센서(817)는 센서감지부재(818)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구동모터(813)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감지센서(817)는 수평안전바(5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감지부재(818)는 높낮이감지센서(817)가 작업자의 키높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감지부재(818)는 작업자의 안전모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0 : 비계구조체
510 : 수직연결바 511 : 수평연결바
512 : 수평안전바 513 : 작업발판
514 : 발판연결부재 515 : 바연결부재
516 : 바연결패널 517 : 바삽입홈
518 : 패널지지대 519 : 모듈연결바
520 : 발판고정돌기 521 : 돌기삽입홈
600 : 연결텐션수단 610 : 바결속부재
611 : 바홈 612 : 결속힌지
613 : 결속바 614 : 고정너트
615 : 완충바 616 : 완충단
617 : 완충하우징 618 : 이완스프링
619 : 완충스프링 620 : 조절스크류
621 : 텐션조절부재
700 : 무게분산수단 710 : 센서안착부재
711 : 무게감지센서 712 : X측모터
713 : X측이송스크류 714 : X측스크류지지대
715 : X측와이어고정대 716 : X측와이어부재
717 : Y측모터 718 : Y측이송스크류
719 : Y측스크류지지대 720 : Y측와이어고정대
721 : Y측와이어부재
800 : 안전바승하강수단 810 : 승하강하우징
811 : 롤러지지대 812 : 구동롤러
813 : 구동모터 814 : 구동기어부재
815 : 가이드롤러 816 : 롤러고정대
817 : 높낮이감지센서 818 : 센서감지부재

Claims (3)

  1. 비계모듈을 작업환경에 맞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는 비계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비계구조체는,
    작업발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지면에서 수직으로 작업발판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연결바와,
    작업발판 각 모서리에 위치되는 수직연결바를 수평방향에서 고정시켜주며, 작업발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연결바와,
    작업발판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안전바와,
    작업자의 이동시 무게를 지지하도록 수평연결바 상에 안착 형성되는 작업발판과,
    작업발판을 수평연결바에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발판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발판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계구조체는,
    바연결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연결바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바연결부재와,
    수직연결바에 삽입시 작업발판의 위치에 따라 승하강되며, 위치결정시 수직연결바에 고정되는 바연결패널과,
    패널지지대가 삽입되어 모듈연결바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바연결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삽입홈과,
    수직연결바에 바연결부재 삽입시 삽입될 위치를 지정해주기 위해 수직연결바 둘레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패널지지대와,
    작업발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의 바연결패널에 각각 결합된 바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모듈연결바와,
    모듈연결바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작업발판이 모듈연결바 상에 고정되도록 작업발판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발판고정돌기와,
    발판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모듈연결바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비계구조체는,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간의 텐션을 조절하여 진동이나 강풍에 의해 비계구조체가 붕괴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텐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텐션수단은,
    수직연결바에서 탈부착 될 수 있도록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결속부재와,
    수직연결바에 결합시 결속바가 삽입되어 수직연결바에 바결속부재가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바결속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홈과,
    결속바가 바홈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바결속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결속힌지와,
    결속힌지에 연결되어 바홈 측으로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결속힌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속바와,
    바홈에 결속바 삽입시 결속바를 바결속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속바에서 나사결합으로 형성되는 고정너트와,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간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이 바결속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완충바가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며, 이완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완충스프링을 압축시키기 위해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과,
    완충바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완스프링과 완충스프링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조절스크류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수직연결바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있도록 완충단과 완충하우징 내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이완스프링과,
    수직연결바의 흔들림 발생시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단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있도록 완충단과 완충하우징 내부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일측이 완충하우징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텐션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크류와,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스크류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의 수직연결바와 타측의 수직연결바 사이 중앙 측에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9755A 2022-02-15 2022-02-15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KR10244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55A KR102446201B1 (ko) 2022-02-15 2022-02-15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55A KR102446201B1 (ko) 2022-02-15 2022-02-15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201B1 true KR102446201B1 (ko) 2022-09-21

Family

ID=8345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755A KR102446201B1 (ko) 2022-02-15 2022-02-15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61B1 (ko) 2017-03-17 2018-03-29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 및 이를 구성하는 단위 비계 모듈
KR101939892B1 (ko) 2016-09-06 2019-01-18 (주)한국에어로테크 해체가 용이하도록 다단의 흙막이벽을 서로 다른레일에 배치하는 흙막이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081452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일체형 비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스마트 시스템 비계
KR20220015664A (ko) * 2020-07-31 2022-02-08 이상선 조립식 비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892B1 (ko) 2016-09-06 2019-01-18 (주)한국에어로테크 해체가 용이하도록 다단의 흙막이벽을 서로 다른레일에 배치하는 흙막이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1829661B1 (ko) 2017-03-17 2018-03-29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 및 이를 구성하는 단위 비계 모듈
KR102081452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일체형 비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스마트 시스템 비계
KR20220015664A (ko) * 2020-07-31 2022-02-08 이상선 조립식 비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352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US11332940B2 (en) Moveable stair systems and methods
JP4966977B2 (ja) 改良された建設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2446201B1 (ko) 토목공사용 비계구조체
EP1700973B1 (en) Ladder support bracket
JP5456837B2 (ja) エスカレータ
KR102172875B1 (ko) 수평조절 및 처짐방지가 가능한 교량 점검로
JP2018168587A (ja) 免震構造物用の外部足場
KR10232639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KR102118725B1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101541044B1 (ko)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
KR102272396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KR102219814B1 (ko) 수직벽면 앙카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곤도라 지지대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102167512B1 (ko) 모듈형 비계
JPH0829905B2 (ja) 昇降路足場装置
GB2347453A (en) Scaffold system mountable on window sill or ledge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JP302892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装置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102638725B1 (ko) 각도 조절 난간 어셈블리
CN219758918U (zh) 脚手架失稳即时报警装置
KR102659597B1 (ko)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비계의 지지장치
JP20050891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