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158A -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 Google Patents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158A
KR20110120158A KR1020100039708A KR20100039708A KR20110120158A KR 20110120158 A KR20110120158 A KR 20110120158A KR 1020100039708 A KR1020100039708 A KR 1020100039708A KR 20100039708 A KR20100039708 A KR 20100039708A KR 20110120158 A KR20110120158 A KR 2011012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evention net
pulley
ball bearing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030B1 (ko
Inventor
김영석
이정호
유현석
김주학
옥치을
태용호
이상호
박선주
최효성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0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물 방지망 펼침 작업 시 내부에서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난간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난간에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 브라켓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프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inner open method safety net with pully and ball bearing}
본 발명은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물 방지망 펼침 작업 시 내부에서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현장 작업자와 주변의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 추락방지망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추락방지망은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부재들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그 외벽의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추락과 부재 및 기구 등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추락방지망은 건축물의 외측 난간이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클램프로 하부 지지파이프를 결합시키고, 결합된 하부 지지파이프에 추락방지망이 펼쳐지도록 설치하고, 하부 지지파이프의 끝단에 상부 지지파이프가 결합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지지파이프 위에 펼쳐진 추락방지망은 건축물에서 낙하되는 작업부재 및 도구 등이 지면으로 떨어져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추락방지망이 건물 외벽에서 바깥쪽으로 20~30도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추락방지망 속에서 한 두 번 구르거나 건물 외벽면 쪽으로 튕겨져 혼절 또는 부상을 초래할 수 있고, 더구나 상부 지지파이프에 추락한다면 골절이나 척추 손상 등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추락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자가 건물의 난간이나 벽면에 브라켓을 고정하고, 고정된 브라켓에 하부 지지파이프를 클램프로 경사지게 결합시킨 후 하부 지지파이프를 따라 건물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추락방지망을 펼쳐 하부 지지파이프 끝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부 지지파이프는 강파이프를 두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조립한 후 상부 지지파이프와 다시 연결해야 하는 몇 단계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05-49440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지지바(1)는 시작단과 끝단이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길이가 긴 평행한 두개의 강파이프(11)(11') 사이에 각각의 보강부재(14)(14')(14")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보강부재(14)는 강파이프(11)(11') 사이의 끝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힌지대(12)의 양측이 하부 브라켓(3)에 제1연결구(2)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지지바(1)와 상부 브라켓(4)이 지지파이프(6)의 양측단에 설치된 제2연결구(27)(27')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 브라켓(4)에 고정된 고리(미도시)에 내측와이어(51)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바(1)의 끝단에 설치된 걸고리부(13)에 외측와이어(미도시)가 끼워져 추락방지망(5)이 펼쳐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0-2005-49440호에 기재된 기술은 건축공사 구조물 내부에서 설치 및 해체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줄이고 설치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나, 추락방지망(5)을 하부 브라켓(3)의 단부와 제2연결구(27)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난간에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여전히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대의 상단에 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도르래를 거쳐 낙하물 방지망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로프를 구비함으로써 제1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낙하물 방지망을 펼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낙하물 방지망의 상단부를 연결함으로써 낙하물 방지망을 용이하게 펼칠 수 있게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난간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난간에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 브라켓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프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에는 낙하물 방지망이 연결되는 이동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도르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는 제1망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는 이동부재가 설치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의 양측에 설치되는 외측봉과, 상기 중심봉과 외측봉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하부 브라켓과 연결되는 힌지축과, 중심봉과 외측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면에는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대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 설치된 제1와이어로프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에는 제2와이어로프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에는 제2와이어로프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제3와이어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과 힌지축은 강관클램프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의 상단에 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도르래를 거쳐 낙하물 방지망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로프를 구비함으로써 제1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낙하물 방지망을 펼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낙하물 방지망의 상단부를 연결함으로써 낙하물 방지망을 용이하게 펼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낙하물 방지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하부 브라켓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지지대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하부 브라켓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의 지지대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구조물의 상부 난간(600)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난간(700)에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200)과, 상기 하부 브라켓(200)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300)와, 상기 상부 브라켓(100)과 지지대(300)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프(520)와, 상기 지지대(300)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5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브라켓(100)은 일반적인 막대형상의 제1수평바(110)와, 상기 제1수평바(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바(120)와, 상기 제1수직바(12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수직바(130)와 가압부(1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직바(120)와 제2수직바(130)의 이격거리는 일반적인 아파트나 상가 등의 구조물에 형성되는 난간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여 구조물의 난간에 설치한 후 가압부(140)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제1수직바(120)에 설치되는데, 가압부(140)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바(120)에 전후로 이동하게 설치되는 나사축(144)과, 제1수직바(120)와 제2수직바(130) 사이로 돌출된 나사축(14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판(142)과, 상기 가압판(142)이 형성된 나사축(144)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핸들(146)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핸들(146)을 회전시켜 가압판(142)을 조여줌으로써 상기 제1수직바(120)와 제2수직바(130) 사이에 삽입된 난간에 상부 브라켓(10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브라켓(200)은 막대 형상의 제2수평바(210)와 상기 제2수평바(2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수직바(220)와, 상기 제3수직바(22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수직바(230)와 가압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240)는 상기 제3수직바(220)에 설치되는데, 가압부(240)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3수직바(220)에 전후로 이동하게 설치되는 나사축(244)과, 제3수직바(220)와 제4수직바(230) 사이로 돌출된 나사축(24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판(242)과, 상기 가압판(242)이 형성된 나사축(244)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핸들(246)로 구성된다.
그래서, 제3수직바(220)와 제4수직바(230) 사이에 구조물의 난간을 삽입하고, 가압부(240)를 조절하여 하부 브라켓(20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4수직바(230)와 제2수평바(210)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보강바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하부 브라켓(200)의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후술할 지지대(300)를 연결설치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대(3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200)은 한쌍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지지하게 되는데, 한쌍의 하부 브라켓(200)에 형성된 제2수평바(210)는 보강대(260)를 사용하여 연결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대(260)는 상기 제2수평바(210)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게 되며 용접 등의 고정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260)의 상면에는 와이어 고정고리(265)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1와이어로프(510)를 연결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는 봉 형상의 중심봉(310)과, 상기 중심봉(3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지지대(3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외측봉(320)과, 상기 중심봉(310)과 외측봉(320)의 하단을 연결하는 힌지축(330)과, 상기 중심봉(310)과 외측봉(3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바(3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330)의 양 단부는 강관클램프(360)을 사용하여 상기 하부 브라켓(200)의 제2수평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힌지축(3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40)에는 제2와이어 연결고리(346)가 형성되어 제2와이어로프(520)의 일측 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상부 브라켓(100)에는 제3와이어 연결고리(150)가 형성되어 상기 제2와이어로프(520)의 타측 단부가 연결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지지대(300)는 힌지축(33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와이어로프(520)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한 후 고정되게 되어 지지대(300)의 상단부를 지지하게 되고, 지지대(300)의 하단부는 하부 브라켓(2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300)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5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구조물에서 낙하하는 공구나, 작업자가 낙하물 방지망(500)에 추락하더라도, 추락시 발생되는 낙하 하중은 지지대(300)의 상단에 연결된 제2와이어로프(520)와, 지지대(300)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브라켓(200)으로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낙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330)의 상면 중심부에는 제2망연결고리(350)가 형성되어 낙하물 방지망(500)의 하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중심봉(310)에는 중심봉(3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400)가 설치되어 낙하물 방지망(500)의 상단이 고정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부재(40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낙하물 방지망(500)을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부재(400)의 외면에는 제1망연결고리(410)가 형성되어 상기 낙하물 방지망(500)의 상단부가 연결고정되고, 상기 제1망연결고리(410)의 측부에는 제1와이어 연결고리(420)이 형성되어 제1와이어로프(510)가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40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43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심봉(310)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바(340)에는 도르래(342)가 구비되는데, 상기 도르래(342)는 도르래 브라켓(344)에 의해 상기 연결바(340)에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부재(400)에 연결된 제1와이어로프(510)가 상기 도르래(342)를 거쳐 하부 브라켓(200)의 상부에 연결된 보강대(260)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고리(265)에 연결되어, 상기 제1와이어로프(510)을 당기거나 놓아줌으로써 제1와이어로프(5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이동부재(4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낙하물 방지망(500)도 이동되므로 용이하게 낙하물 방지망(50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40)에는 와이어 지지부(348)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어 지지부(348)에는 상기 제1와이어로프(510)가 삽입 설치되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제1와이어로프(510)가 흔들리더라도 도르래(34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또한, 낙하물 방지망(500)을 완전히 펼쳐진 후, 제1와이어로프(510)의 단부를 상기 와이어 고정고리(265)에 연결 고정하게 되면, 낙하물 방지망(500)에 낙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물 방지망 펼침 작업 시 내부에서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100 : 상부 브라켓 110 : 제1수평바
120 : 제1수직바 130 : 제2수직바
140,240 : 가압부 142,242 : 가압판
144,244 : 나사축 146,246 : 핸들
150 : 제3와이어 연결고리 200 : 하부 브라켓
210 : 제2수평바 220 : 제3수직바
230 : 제4수직바 260 : 보강대
265 : 와이어 고정고리 300 : 지지대
310 : 중심봉 320 : 외측봉
330 : 힌지축 340 : 연결바
342 : 도르래 344 : 도르래 브라켓
346 : 제2와이어 연결고리 350 : 제2망연결고리
360 : 강관클램프 400 : 이동부재
410 : 제1망연결고리 420 : 제1와이어 연결고리
430 : 볼베어링 500 : 낙하물 방지망
510 : 제1와이어로프 520 : 제2와이어로프

Claims (8)

  1. 상부 난간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난간에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 브라켓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프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낙하물 방지망이 연결되는 이동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도르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는 제1망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이동부재가 설치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의 양측에 설치되는 외측봉과,
    상기 중심봉과 외측봉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하부 브라켓과 연결되는 힌지축과,
    중심봉과 외측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면에는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대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 설치된 제1와이어로프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에는 제2와이어로프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에는 제2와이어로프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제3와이어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과 힌지축은 강관클램프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20100039708A 2010-04-28 2010-04-28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125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08A KR101253030B1 (ko) 2010-04-28 2010-04-28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08A KR101253030B1 (ko) 2010-04-28 2010-04-28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158A true KR20110120158A (ko) 2011-11-03
KR101253030B1 KR101253030B1 (ko) 2013-04-09

Family

ID=4539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08A KR101253030B1 (ko) 2010-04-28 2010-04-28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154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751A (ko) 2022-03-17 2023-09-2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부채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985A (ko) * 2006-11-24 2008-05-28 시잔 최앤 지레의 원리로한 활차식 낙하물 방지 장치
KR200445692Y1 (ko) * 2007-11-14 2009-08-26 아시아산업안전 주식회사 지지구조가 견고한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낙하물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154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030B1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WO2014080998A1 (ja)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JP6312109B1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JP2009108473A (ja) 高所構造物に対する吊り足場架設方法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JP2016089445A (ja) 安全ネットおよび足場の支持装置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102362725B1 (ko) 창호 시공용 낙하방지망 조립체
KR20110024153A (ko) 건축용 서포터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101364316B1 (ko) 보일러 천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매다는 비계 및 조립 방법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0631322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33208A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JP5914175B2 (ja) 解体防護部材と解体防護工法
KR100752031B1 (ko) 단층 설치식 가설구조용 추락방지대
KR100540338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KR100607681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060088083A (ko) 낙하물 방지망 구조
KR20100046867A (ko) 가설난간대
JP7414769B2 (ja) 設置具、及び、設置具を用いた載置台又は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