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208A -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208A
KR20080033208A KR1020080025165A KR20080025165A KR20080033208A KR 20080033208 A KR20080033208 A KR 20080033208A KR 1020080025165 A KR1020080025165 A KR 1020080025165A KR 20080025165 A KR20080025165 A KR 20080025165A KR 20080033208 A KR20080033208 A KR 2008003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e
rod
fix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110B1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08002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1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설공사현장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공사중에 낙하 되는 건설폐기물이나 공구 등으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지망을 건축물의 실내에서 방지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창틀 설치작업시에 도 철거 없이 창틀 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외벽(10)의 내측에 매설된 체결부재(50)와 나선 결합 될 수 있도록 내·외측으로 나선(101)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수공구를 이용한 견고한 조임이 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조임부(102)가 형성된 연결부재(100)와, 상기 연결부재(1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112)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클램프(111)가 안착 고정된 장착브라켓(110)과, 상기 장착브라켓(110)의 클램프에 장착되며, 길이가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고정봉(121)과 그 고정봉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가변봉(122)으로 구성되고, 고정봉과 가변봉의 일측으로 고정핀(123)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핀홀(124,124')이 각각 형성된 'I' 자형 지지봉(120)과, 상기 지지대 상호간에 견고한 지탱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봉, 고정봉, 가변봉, 와이어연결봉, 체결부재, 연결부재

Description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A supportor for falling object a safety net }
본 발명은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각종 건설공사현장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공사 중에 낙하 되는 건설폐기물이나 공구 등으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지망을 건축물의 실내에서 방지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창틀 설치 작업시에도 철거 없이 창틀 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고층건물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 1 내지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한다.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량물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건물의 외벽면에 고정시키고, 지지대가 고정되면 그물형태의 방지망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대가 돌출되는 길이는 약 3M 정도가 되는데 작업자가 일일이 지지대의 봉을 타고 지지대의 끝단부에 고정된 걸림고리(21)에 방지망(30)을 고정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지지대의 봉을 타고 방지망을 고정시키는 작업 자체만으로도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그리고 방지망을 설치하는 작업은 숙련된 작업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었으며, 숙련된 작업자가 없을 경우에는 방지망을 설치하는 작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는 건물의 외벽(10)에 도 1과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터앉은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향후 베란다 창틀을 설치할 때는 지지대의 전체를 철거한 후에 창틀을 운반하고 설치를 하여야 했었다.
물론 창틀을 설치하는 순간에도 방지망이 설치되어 있어야함은 당연한 것이지만 신속한 작업을 위해 방지망을 철거하면서 작업을 진행해야하는 위험요소가 난제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지지대의 끝단부 까지 기어가서 방지망을 걸어야하는 관계로 지지대(P)의 지지봉(20)은 통상 사다리의 형태로 제작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원가와 중량의 지지대를 운반과 외벽에 설치함에 있어 어려움이 뒤따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설치가 간편하고, 간단하고 가벼운 구조이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낙하물 방지망을 건물의 내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방지망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지망 설치시에 발생 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에 소요되는 제작원가를 대폭 절감시킴은 물론, 경량화 하여 운반과 지지대를 외벽에 설치함에 있어 보다 수월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후 창틀을 설치함에 있어 지지대를 철거하지 않고 안전한 작업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창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외벽(10)의 내측에 매설된 체결부재(50)와 나선 결합 될 수 있도록 내·외측으로 나선(101)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수공구를 이용한 견고한 조임이 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조임부(102)가 형성된 연결부재(100)와,
상기 연결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2)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클램프(111)가 안착 고정된 장착브라켓(110)과,
상기 장착브라켓(110)의 클램프에 장착되며, 끝단부에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고정봉(121)과, 그 고정봉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가변봉(122)으로 구성되고, 고정봉과 가변봉의 일측으로 고정핀(12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핀홀(124,124')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봉에서 부터 가변봉의 길이가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된 'I' 자형 지지봉(120)과,
상기 지지대 상호간에 견고한 지탱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I'자형 지지봉이 와이어에 의해 인접된 지지봉과 와이어에 의한 연결 및 지지가 될 수 있도록 'I'자형 지지봉의 와이어연결봉(128,128') 일측으로 연결홈(125,125',126,1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30)에 의한 견고한 결속이 될 수 있도록 와이어와 와이어간 또는 와이어와 고정고리(15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턴버클(140)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원가가 대폭 축소되며, 경량화되게 제작되기 때문에 운반과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함에 있어 수월함을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방지방을 건물의 실내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안전한 방지망 설치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창틀 설치작업시 지지대를 철거하지 않고 창틀 설치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창틀 설치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종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종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 중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P)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하술 한다.
먼저 도 3 및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용 클램프(111)를 복수개로 안착고정시킨 'L' 자형의 장착브라켓(110)을 준비한다.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측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홈(112)을 형성시킨다.
건축물의 외벽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가 매립되는데 이 체결부재(50)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연결부재(100)를 구비시키되, 연결부재의 내·외측으로 나선(101)을 형성시켜 체결부재와의 결합 및 상기 장착브라켓의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부재와의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조임부(102)를 형성시켜 연결부재가 체결부재와 먼저 결합이 되도록 하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고정된 연결부재에 장착브라켓을 삽입시켜 너트(103)를 결합하여 단단히 결속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지봉(120)은 'I' 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T' 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봉(121)의 와이어연결봉(128)을 장착브라켓의 클램프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봉에 삽입되어 길이가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도록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T'자형의 가변봉(122)을 구비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봉과 지지봉을 삽입 구성시키면 'I' 자형 지지봉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봉이 고정봉에서 길이가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도록 고정봉과 가변봉에는 각각 핀홀(124,124')을 형성시키고, 가변봉이 고정봉에서 고정을 시킬 때는 각각의 핀홀을 중첩시킨 다음 고정핀(123)을 삽입시켜주면 가변봉이 유동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확장 및 축소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봉의 끝단부에 방지망을 고정시킬 때는 가변봉을 완전히 축소시킨 상태가 되게 하여 건축물의 실내에서 방지망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와이어(130)에 의해 하향 쳐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는 고정봉의 와이어연결봉에 마련된 연결홈(127)에서 시작 및 고정한 후 지지봉을 관통하여 가변봉의 와이어연결봉에 마련된 연결홈(126)을 지나 위측에 마련된 고정고리(150)에 연결되어 지지봉의 단단한 결속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고정고리와의 연결은 와이어의 끝단에 턴버클(140)을 연결 구비시켜 고정고리와 연결을 하게 되면 안정적이고 수월한 연결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를 도 6 및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연결봉(128')에 형성된 연결홈(125)을 관통하여 타측 와이어연결봉(128)의 내측을 관통시키고, 이어서 와이어연결봉(128')의 연결홈(125')을 관통시키는 작업을 계속 실시하게 되면 건축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전체를 골고루 지탱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각각의 지지대를 와이어로 결속할 때는 소정간격을 두고 턴버클(140)을 구비시켜 보다 수월한 와이어 결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지지대(P)는 간소하면서도 경량화시키되 와이어를 이용하여 지지대 전체적으로 골고루 지탱할 수 있는 힘이 전달되도록 한 것이며,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걸터앉은 형태가 아니라 측면에 부착고정되기 때문에 창틀 설치작업에도 아무런 영향이 없다.
도면 부호 104는 와샤임.
도 1은 종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 중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지지대 10:외벽
20:지지봉 21:걸림고리
30:방지망 40:와이어
50:체결부재 100:연결부재
101:나선 102:조임부
103:너트 110:장착브라켓
111:클램프 112:결합홈
120:지지봉 121:고정봉
122:가변봉 123:고정핀
124,124':핀홀 125,125',126,127:연결홈
128,128'와이어연결봉 130:와이어
140:턴버클 150:고정고리

Claims (3)

  1. 외벽(10)의 내측에 매설된 체결부재(50)와 나선 결합 될 수 있도록 내·외측으로 나선(101)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수공구를 이용한 견고한 조임이 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조임부(102)가 형성된 연결부재(100);
    상기 연결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2)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클램프(111)가 안착 고정된 장착브라켓(110);
    상기 장착브라켓(110)의 클램프에 장착되며, 끝단부에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고정봉(121)과, 그 고정봉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와이어연결봉(128')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가변봉(122)으로 구성되고, 고정봉과 가변봉의 일측으로 고정핀(12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핀홀(124,124')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봉에서 부터 가변봉의 길이가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된 'I' 자형 지지봉(120);
    상기 지지대 상호간에 견고한 지탱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이 와이어에 의해 인접된 지지봉과 와이어에 의한 연결 및 지지가 될 수 있도록 'I'자형 지지봉의 와이어연결봉(128,128') 일측으로 연결홈(125,125',126,1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30)에 의한 견고한 결속이 될 수 있도록 와이어와 와이어간 또는 와이어와 고정고리(15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턴버클(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1020080025165A 2008-03-17 2008-03-1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10088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65A KR100885110B1 (ko) 2008-03-17 2008-03-1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65A KR100885110B1 (ko) 2008-03-17 2008-03-1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08A true KR20080033208A (ko) 2008-04-16
KR100885110B1 KR100885110B1 (ko) 2009-02-20

Family

ID=3957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165A KR100885110B1 (ko) 2008-03-17 2008-03-1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39B1 (ko) * 2009-02-12 2009-11-05 김주성 벽체용 피톤 및 이에 의한 벽체용 낙하방지시스템
KR20140118722A (ko) * 2014-02-12 2014-10-08 주식회사 조아세이프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258B1 (ko) 2018-05-30 2020-05-04 한선아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KR200491429Y1 (ko) * 2019-08-22 2020-04-06 한선아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07A (ko) * 2004-10-04 2006-10-31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0631322B1 (ko) * 2005-05-04 2006-10-04 주식회사 이산세이프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761558B1 (ko) * 2007-04-16 2007-09-28 이장주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39B1 (ko) * 2009-02-12 2009-11-05 김주성 벽체용 피톤 및 이에 의한 벽체용 낙하방지시스템
KR20140118722A (ko) * 2014-02-12 2014-10-08 주식회사 조아세이프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110B1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185Y1 (ko)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조립식 비계
KR100885110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JP2009108473A (ja) 高所構造物に対する吊り足場架設方法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KR101630129B1 (ko)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방법
KR20070112439A (ko) 가변 확장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101240317B1 (ko) 비계 안전망 설치장치
KR200389452Y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100631322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0752031B1 (ko) 단층 설치식 가설구조용 추락방지대
JP2013144873A (ja) 屋根上で命綱を固定するためのリードロープの布設システム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JP5977097B2 (ja) 簡易型防護柵
KR10071158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0607681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070035273A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지지틀
KR20100046867A (ko) 가설난간대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KR200367402Y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가설구조
KR100645108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CN217975522U (zh) 一种装修过程楼梯间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