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05B1 -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605B1
KR102180605B1 KR1020200024494A KR20200024494A KR102180605B1 KR 102180605 B1 KR102180605 B1 KR 102180605B1 KR 1020200024494 A KR1020200024494 A KR 1020200024494A KR 20200024494 A KR20200024494 A KR 20200024494A KR 102180605 B1 KR102180605 B1 KR 10218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horizontal
vertical
sliding memb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연
Original Assignee
박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연 filed Critical 박기연
Priority to KR102020002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가 개시된다. 상기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가로 프로파일과 세로 프로파일을 상호 직각 상태가 되도록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 단부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와, 적어도 1개 면 이상이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수평부의 승강공간에 분리된 형태로 내장되고, 상부 일측은 상기 수평부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 일측은 상기 수평부의 상기 승강공간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가로 고정부재;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 배치되고 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을 가지는 삽입부가 상기 수평부의 제 1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부의 나사홀과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로 고정부재; 및 상기 가로 고정부재와 상기 세로 고정부재를 상기 나사홀을 통해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를 조이면 상기 세로 고정부재가 상기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삽입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JOINT FOR PROFILE}
본 발명은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프로파일을 조립한 후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쉽게 프로파일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이 가능한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어,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표준화되어 경하중의 선반은 물론 중하중의 기계장치 프레임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고, 설치된 프로파일 선반이나 프레임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비교적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게 기능성의 유지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각종 설비의 구조물 제작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적어도 일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사각 프로파일의 경우, 4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로 배치되는 프로파일과 가로로 배치되는 프로파일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 후 직각이 되도록 연결하여 구조물로 조립된다.
이때, 세로 프로파일과 가로 프로파일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을 도입할 수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프로파일에 나사 구멍을 천공하여 볼트를 이용해 조립하는 방식이 있으며, 다양한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실내에 청정공기를 유지한 작업공간인 클린룸을 구축하기 위해 기초 구조물로서 프로파일이 사용되고 있다.
클린룸(Clean room)은 어떠한 구획의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전혀 없는 방을 의미하기 때문에 청정실(淸淨室)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클린룸은 초고정밀 집적 회로나 유전자 조작 및 청정한 상태에서 약품이나 화학약품 등을 취급하는 곳에서와 같이, 오염에 의하여 불량의 발생이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클린룸은 깨끗한 상태로 출입하게끔 작업자의 의복이나 신체 또는 외부에서 함께 유입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많은 클리닝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클린룸의 내부에도 지속적으로 먼지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 실내의 먼지를 함유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조기 등의 기류제어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클린룸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세로 프로파일과 가로 프로파일을 체결하기 위한 다양한 체결구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체결구는 프로파일의 조립 형태에 제약이 있거나, 조립 부위가 한정적이거나, 조립 강도가 충분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종래의 체결구를 사용하더라도 프로파일에 나사구멍을 천공하여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형태로, 대부분의 클린룸이 시공되기 때문에, 클린룸 작업 시 불량의 원인이 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 발생 및 낙하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가로 및 세로 프로파일을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로서 볼트와 너트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6842)'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고 있어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프로파일에 힘이 가해지거나 충격 및 진동에 의해 프로파일에 비틀림이 발생할 경우 쉽게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가 분리 이탈되면서 프로파일 구조물이 해체되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종래의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조립된 이후 비틀림에 의해 구조물이 해체될 수 있어 프로파일 구조물에 중량의 장치가 설치된 경우 인명피해를 비롯한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프로파일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ㄴ'자 형상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수평 프로파일과 수직 프로파일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ㄴ'자 형상의 브라켓을 설치하고 볼팅결합하여 프로파일을 조립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 경우 프로파일에 나사홀을 타공해야하는 번거로움과 프로파일을 손상시킴으로써 재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6842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파일에 홀을 타공하지 않고 프로파일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프로파일을 조립한 후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쉽게 프로파일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프로파일 구조물에 중량의 장치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가로 프로파일과 세로 프로파일을 상호 직각 상태가 되도록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 단부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와, 적어도 1개 면 이상이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수평부의 승강공간에 분리된 형태로 내장되고, 상부 일측은 상기 수평부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 일측은 상기 수평부의 상기 승강공간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가로 고정부재;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 배치되고 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을 가지는 삽입부가 상기 수평부의 제 1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부의 나사홀과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로 고정부재; 및 상기 가로 고정부재와 상기 세로 고정부재를 상기 나사홀을 통해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를 조이면 상기 세로 고정부재가 상기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삽입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공간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내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걸림되어 수직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 중심부분이 끼움되는 승강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공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 형상의 걸림편; 상기 걸림편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로 고정부재의 수평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걸림편과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홀에 끼움되는 중심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적어도 2개 면 이상이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안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공간의 일측 슬라이딩면은 상기 경사면 일측과 대응되도록 슬라이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경사면 일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면 일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삽입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걸림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걸림돌기가 서로 맞물려 걸림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삽입부가 전진하여 삽입됨에 따라 상측으로 상승한 이후 상기 삽입부가 후퇴할 경우 신속하게 최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부분의 너비는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 너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가압부를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돌출 형성된 회전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홈에는, 탄성수단에 돌출된 돌기가 구비된 탄성돌기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탄성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면에 상기 탄성돌기가 끼움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상기 탄성돌기가 걸림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 1 가이드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고정부재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세로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프로파일에 홀을 타공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어 제작시간 및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프로파일을 손상시키지 않아 해체 후 재사용이 가능하며, 프로파일을 조립한 후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쉽게 프로파일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프로파일 구조물에 중량의 장치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프로파일에 도 1의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동작 전,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의 슬라이딩부재가 적용된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
도 7은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
도 8은 결합돌기와 회전노브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
도 9는 탄성돌기와 걸림홈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
도 10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 고정부재의 사시도.도 10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세로 고정부재에 가이드부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에 홀을 타공하지 않고 프로파일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프로파일을 조립한 후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쉽게 프로파일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프로파일 구조물에 중량의 장치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로파일에 도 1의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동작 전,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크게 가로 고정부재(100), 세로 고정부재(200) 및 볼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 프로파일(1)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로 프로파일(1)과 접한 상태로 조립되는 세로 프로파일(4)을 상호 직각 상태가 되도록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이다.
먼저,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는 상기 가로 프로파일(1)에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는 크게 수평 배치되는 수평부(110), 상기 수평부(110) 내에 일부분이 내장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수평부(110) 외부로 노출되는 승강부(120) 및 상기 수평부(110) 일측과 연결되도록 수직 배치되는 수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10)는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 중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높이는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의 홈이 패인 깊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부(110)는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 내에 완전히 내장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110) 일측에는 일측은 폐쇄된 형태로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제 1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이드홈(111) 단부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후술하는 슬라이딩부재(121)가 승강하기 위한 공간인 승강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공간(112)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승강하면서 상하이동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일측이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면(1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승강부재(124)가 걸림되어 상하이동 및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부(110) 상부에 홀이 타공된 승강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면(113)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일측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후술하는 세로 고정부재(200)의 삽입부(210)의 수평이동에 의해 힘을 전달받아 최소한의 저항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113)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일측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면 충분하고, 슬라이딩부재(121)와 밀착되는 면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슬라이딩면(113)의 경사면은 슬라이딩부재(121)와 밀착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 의미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경사면은 상기 슬라이딩면(113)과 적어도 1곳 이상이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함은 물론 외주면 전체가 하나의 면으로서 다각이 아닌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는 후술하는 세로 고정부재(200)의 삽입부(210)의 밀림에 의해 상기 승강공간(112)에서 승강되고 일부는 상기 수평부(110) 외측으로 노출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가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120)는 크게 상기 승강공간(112) 내에서 승강하는 슬라이딩부재(121)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상부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승강동작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되 상기 수평부(110) 외부로 노출되는 승강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승강공간(112)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면(113)에 일측과 접촉되어 후술하는 세로 고정부재(200)의 삽입부(210)의 밀림에 의해 승강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삽입부(210)와 밀착되는 부분과 상기 슬라이딩면(113)과 밀착되는 부분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210)와 밀착되는 부분은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 또는 넓이가 작게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삽입부(210)의 경사진 단면과 밀착되어 삽입부(210)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서로 맞닿는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적어도 2개 면 이상이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121a)이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안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공간(112)의 일측 슬라이딩면(113)은 상기 경사면(121a) 일측과 대응되도록 슬라이딩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양측(또는 4방향의 측)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121a)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부(210)의 단면과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하측을 파고들어가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원활하게 상측을 향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경사면(121a)이 형성되는 부분을 양측 및 4방향의 측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상부에 비해 하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121a)이 형성되되 각이 없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124)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부재(121)의 승강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부분으로, 상기 승강공간(112) 내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접촉되고 상기 승강공간(11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 형상의 걸림편(125), 상기 걸림편(125)과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110)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고정되기 위해 체결홈(2) 주변을 가압하며, 상기 걸림편(125)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의 수평부(110)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압부(126) 및 상기 걸림편(125)과 상기 가압부(126)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부(110)의 승강홀(114)에 끼움되는 중심축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24)는 상기 승강홀(114)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가압부(126)와 걸림편(125)이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부(129)는 상기 승강홀(114)의 깊이보다 높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홀(114)에 삽입된 상태로 여유 폭을 가진 상태로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24)는 상기 중심축부(129)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126)를 잡고 회전시켜 설치된 위치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부(130)는 상기 수평부(110) 일측과 연결되도록 수직 배치되는 부분으로, 상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130)의 가로 너비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4) 체결홈(5)의 홈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수직부(130)가 상기 세로 프로파일(4) 외측에 위치되어 고정되기 위함으로 적어도 상기 세로 프로파일(4) 체결홈(5)의 홈 너비 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외측에 위치된 채로 고정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세로 고정부재(200)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4)에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는 크게 수평 배치되는 삽입부(210), 상기 삽입부(210) 일측과 연결되도록 수직 배치되는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0)는 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211)을 가지고 상기 수평부(110)의 제 1 가이드홈(111)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삽입부(210)의 후측 단부와 직각이 되도록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220)의 가로 너비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4) 체결홈(5)의 홈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부(220)가 상기 세로 프로파일(4) 내측, 즉, 체결홈(5) 내에 위치되어 고정되기 위함으로 적어도 상기 세로 프로파일(4) 체결홈(5)의 홈 너비 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체결홈(5) 내측에 위치된 채로 고정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220)에 형성된 나사홀(221)은 상기 수직부(130)에 형성된 나사홀(13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볼트(300)가 관통하여 서로 체결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볼트(300)는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와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를 상기 나사홀(131, 221)을 통해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볼트머리(310)와 상기 볼트머리(310)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300)는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와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를 상호간 체결하여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가 상기 세로 프로파일(4)에 고정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승강부(120)를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부(12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볼트(300)를 상기 나사홀(131, 221)에 체결하여 나사결합할 경우, 볼트(300)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가 수평상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4)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삽입부(210)가 삽입되어 결국 상기 승강부(120)의 승강 높이가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300)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에 밀착되는 체결력의 정도와 상기 승강부(120)의 승강된 높이가 정해지게 되어 상기 가로 프로파일(1)에 밀착되는 체결력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고, 결국 상기 볼트(300)를 체결함으로써 볼트(300)를 체결하는 하나의 동작에 의해 가로 프로파일(1)과 세로 프로파일(4)을 상호간 직각 상태가 되도록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볼트(300)를 조이면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가 세로 프로파일(4)의 체결홈(5)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삽입부(21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124)가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의 슬라이딩부재가 적용된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상기 경사면(121a) 일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걸림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경사면(211) 일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걸림돌기(212)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상기 삽입부(210)의 경사면(211)을 따라 승강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걸림돌기(122)와 상기 삽입부(210)의 걸림돌기(212)가 서로 맞물려 걸림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걸림돌기(122)와 상기 삽입부(210)의 걸림돌기(212)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단계적으로 상승됨은 물론, 한번 승강된 이후 자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또는 가로 프로파일(1)과 밀착됨에 따fms 반작용에 의해 전달된 역방향 압력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에 소정의 저항이 발생함으로써 필요치 않은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걸림돌기(122)는 슬라이딩부재(121)의 상기 삽입부(210)와 밀착되는 경사면(121a)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경사면(121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걸림돌기(122)와 상기 삽입부(210)의 걸림돌기(212)가 서로 어긋나게 돌기 사이를 걸쳐지듯 걸림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상기 삽입부(210)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돌기와 대응되도록 걸림돌기홈(미도시)으로 구성하여 걸림돌기가 걸림돌기홈에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상기 삽입부(210)의 경사면(211)과 접하는 경사면(121a)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도록 곡면(12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210)의 경사면(211)과 밀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접촉부분을 평면의 경사면으로 형성하지 않고 완만한 곡선을 그리도록 곡면(121b)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부(210)가 삽입되면 보다 원활하게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하측 부분을 파고들어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상승 시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부(210)의 경사면(211)과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곡면(121b)은 상호 마찰되는 마찰면적이 적어져 수평 이동간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상승시 필요한 힘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에는 상기 삽입부(210)가 전진하여 삽입됨에 따라 상측으로 상승한 이후 상기 삽입부(210)가 후퇴할 경우 신속하게 최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2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하부 일측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승강공간(112)에 탄성을 가지는 탄성수단(스프링 등)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상승하지 않은 위치를 기본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삽입부(210)에 의해 상승된 이후 다시 후퇴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상기 탄성부재(123)에 의해 강제로 하측 방향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신속하게 최최 기본 위치로 복원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를 이용하면 신속하게 프로파일을 조립하고 해체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결합돌기와 회전노브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126)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부분의 너비는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 너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26)는 최초 가로 프로파일(1)과 세로 프로파일(4)을 직각이 되도록 접한 상태에서 상호간 조립할 경우,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와 세로 고정부재(200)를 볼트(300)를 통해 볼트(300)를 일부 조립한 가조립 상태로 프로파일을 조립하고자 할 경우, 길이가 짧은 부분이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으로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가압부(126)의 위치를 정하고, 이후, 가압부(126)게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시 가압부(126)을 90도 방향 이내로 회전시키면 가압부(126)가 체결홈(2)으로 통과하지 않고 걸림됨으로써 가로 프로파일(1)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126)는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에 걸림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파일 조립 시 상기 가압부(126)가 체결홈(2)에 삽입하여 통과된 후 상기 결합돌기(128)가 걸림턱(3)에 걸림될 수 있도록 다시 가압부(126)를 회전시킨 상태로 조립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상기 가압부(126)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126)에는 상기 가압부(126)를 상기 가로 프로파일(1)의 체결홈(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돌출 형성된 회전노브(12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노브(127)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부(126)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노브(127)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든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9는 탄성돌기와 걸림홈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에는, 탄성수단(스프링 등)에 돌출된 돌기가 구비된 탄성돌기(111a)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210)에는, 상기 탄성돌기(111a)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면에 상기 탄성돌기(111a)가 끼움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213)에 상기 탄성돌기(111a)가 걸림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210)가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홈(213)에 상기 탄성돌기(111a)가 걸림되어 가로 고정부재(100)로부터 세로 고정부재(200)가 분리되지 않고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신속한 프로파일 조립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10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4)의 체결홈(5)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6)에 걸림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파일 조립 시 상기 고정부(220)가 체결홈(5)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돌기(222)가 걸림턱(6)에 걸림되어 조립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상기 고정부(22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세로 고정부재에 가이드부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130)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 2 가이드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가 안정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홈(132)은 상기 수직부(130)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상기 제 2 가이드홈(132)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230)에 의해 상기 가로 고정부재(100)와 세로 고정부재(200)가 상기 볼트(300)에 의해 체결된 후 상기 세로 고정부재(200)가 수평이동할 경우 가로 고정부재(100)와 세로 고정부재(200)가 위치변경 없이 서로 정확히 대응되도록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는, 프로파일에 홀을 타공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어 제작시간 및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프로파일을 손상시키지 않아 해체 후 재사용이 가능하며, 프로파일을 조립한 후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쉽게 프로파일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프로파일 구조물에 중량의 장치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가로 프로파일 2: 체결홈
3: 걸림턱 4: 세로 프로파일
5: 체결홈 6: 걸림턱
100: 가로 고정부재 110: 수평부
111: 제 1 가이드홈 111a: 탄성돌기
112: 승강공간 113: 슬라이딩면
114: 승강홀 120: 승강부
121: 슬라이딩부재 121a: 경사면
121b: 곡면 122: 걸림돌기
123: 탄성부재 124: 승강부재
125: 걸림편 126: 가압부
127: 회전노브 128: 결합돌기
129: 중심축부 130: 수직부
131: 나사홀 132: 제 2 가이드홈
200: 세로 고정부재 210: 삽입부
211: 경사면 212: 걸림돌기
213: 걸림홈 220: 고정부
221: 나사홀 222: 결합돌기
230: 가이드부 300: 볼트
310: 볼트머리 320: 나사산부

Claims (12)

  1. 가로 프로파일과 세로 프로파일을 상호 직각 상태가 되도록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 단부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와, 적어도 1개 면 이상이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수평부의 승강공간에 분리된 형태로 내장되고, 상부 일측은 상기 수평부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 일측은 상기 수평부의 상기 승강공간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가로 고정부재;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 배치되고 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을 가지는 삽입부가 상기 수평부의 제 1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부의 나사홀과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로 고정부재; 및
    상기 가로 고정부재와 상기 세로 고정부재를 상기 나사홀을 통해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를 조이면 상기 세로 고정부재가 상기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삽입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내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걸림되어 수직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 중심부분이 끼움되는 승강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공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 형상의 걸림편;
    상기 걸림편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로 고정부재의 수평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걸림편과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홀에 끼움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적어도 2개 면 이상이 사선으로 절단된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안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공간의 일측 슬라이딩면은 상기 경사면 일측과 대응되도록 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경사면 일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면 일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삽입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걸림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걸림돌기가 서로 맞물려 걸림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승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삽입부가 전진하여 삽입됨에 따라 상측으로 상승한 이후 상기 삽입부가 후퇴할 경우 신속하게 최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부분의 너비는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 너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가압부를 상기 가로 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돌출 형성된 회전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에는,
    탄성수단에 돌출된 돌기가 구비된 탄성돌기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탄성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면에 상기 탄성돌기가 끼움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상기 탄성돌기가 걸림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 1 가이드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로 프로파일의 체결홈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고정부재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세로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1020200024494A 2020-02-27 2020-02-27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102180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494A KR102180605B1 (ko) 2020-02-27 2020-02-27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494A KR102180605B1 (ko) 2020-02-27 2020-02-27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605B1 true KR102180605B1 (ko) 2020-11-19

Family

ID=7367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494A KR102180605B1 (ko) 2020-02-27 2020-02-27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6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015U (ja) * 1992-03-27 1993-10-26 日産車体株式会社 型材の結合構造
KR200463058Y1 (ko) * 2012-03-13 2012-10-1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프로파일 연결용 죠인트
KR101509920B1 (ko) * 2013-09-04 2015-04-08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2036842B1 (ko) 2017-09-07 2019-11-29 김동선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20200008865A (ko) * 2018-07-17 2020-01-29 박태열 무타공 프로파일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015U (ja) * 1992-03-27 1993-10-26 日産車体株式会社 型材の結合構造
KR200463058Y1 (ko) * 2012-03-13 2012-10-1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프로파일 연결용 죠인트
KR101509920B1 (ko) * 2013-09-04 2015-04-08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2036842B1 (ko) 2017-09-07 2019-11-29 김동선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20200008865A (ko) * 2018-07-17 2020-01-29 박태열 무타공 프로파일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276B2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80222990A1 (en) Fitting for a T-slot structure
PT918912E (pt) Andaime desmontavel de fachada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180605B1 (ko)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EP1815085B1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AU2013397509B2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481394Y1 (ko)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2018000063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JP2007321489A (ja) ジャッキ型ベース金具
WO2006086989A1 (en) Safety lock for scaffolding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JP2010196385A (ja) スロープ用支柱の取付構造
KR20180057092A (ko)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체결장치
KR200487857Y1 (ko) 거푸집 및 철근용 버팀대 전도방지장치
JP4669725B2 (ja) 仮柱構造、仮柱付き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KR200147555Y1 (ko) 구조물 지지용 지지대
KR200454208Y1 (ko) 실외기 설치 장치
EP3009042B1 (d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 wandelement einer schublade sowie wandstruktur und möbel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KR102362254B1 (ko) T형 앵커
EP4053358B1 (en) A telescopic edge protection post
KR101863008B1 (ko)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