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008B1 -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008B1
KR101863008B1 KR1020170178912A KR20170178912A KR101863008B1 KR 101863008 B1 KR101863008 B1 KR 101863008B1 KR 1020170178912 A KR1020170178912 A KR 1020170178912A KR 20170178912 A KR20170178912 A KR 20170178912A KR 101863008 B1 KR101863008 B1 KR 10186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frame
bolt fastening
fastening hole
building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민
Original Assignee
김봉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민 filed Critical 김봉민
Priority to KR102017017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 가설물을 형성하는 건축용 비계장치에 사용되는 네모프레임 사이에 거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발판부, 발판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 및 발판부의 타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는 발판부에서 제1길이(D1)만큼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상면에 거치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SAFE PLATE FOR USING RECTANGLE SCAFFOLD}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 비계가 사용된다. 종래 비계는 원형프레임으로 뼈대를 세우고, 원형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 비계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먼저, 원형프레임은 강철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무겁고 다루기 어려웠다. 또한, 강철은 부식되기 때문에 내구성에도 문제가 많았다. 또한, 원형프레임을 고정하는 클램프가 조금만 헐거워져도 원형프레임의 무게 때문에 비계가 붕궤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우면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네모비계를 이용하는 건축용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모비계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체결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비계장치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는 건축용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핀을 포함하는 안전발판을 제공하여 비계장치에서 이탈하지 않는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 가설물을 형성하는 건축용 비계장치에 사용되는 네모프레임 사이에 거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발판부;
발판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 및 발판부의 타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는
발판부에서 제1길이(D1)만큼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상면에 거치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지지판의 일부가 제2길이(D2)만큼 더 연장되는 제1파트 및 지지판의 일부가 제2길이(D2)만큼 삭제된 제2파트를 포함하고,
제1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1파트는 제2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2파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1파트는 제1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2파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인접한 두 개의 안전발판이 네모프레임에 설치될 때 제1파트와 제2파트가 서로 위아래로 겹쳐지지 않고 측면에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변의 길이가 볼트체결구멍의 직경보다 길고 단변의 길이가 볼트체결구멍의 직경 이하인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헤드부,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티볼트를 더 포함하고,
티볼트는 헤드부가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나사부가 네모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나사부가 너트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되어 네모프레임과 안정발판을 고정하며,
티볼트의 헤드부는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되어 체결됨으로서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티볼트는 나사부의 말단에서 헤드부의 장변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표시부는 헤드부의 장변방향을 표시함으로서 티볼트가 네모프레임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파트 및 제2파트의 하방에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두께(D3)는 볼트체결구멍의 직경의 절반 또는 절반 이하로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안전발판에 형성된 끼워맞춤부가 하나의 네모프레임에 형성된 볼트체결구멍에 동시에 끼워맞춰지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네모비계를 이용하는 건축용 비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축용 비계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강관비계에 비해 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중량에 의한 붕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모비계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체결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비계장치의 붕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모비계 자체에 미끄럼방지홈을 마련함으로서, 클램프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더라도 비계장치가 붕괴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모비계에 최적화된 안전발판을 제공하여 안전발판이 비계장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발판을 이어서 연결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발판을 네모프레임에 고정하는 티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모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네모프레임 및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축용 비계장치는 건설 중 사용되는 임시가설물뿐 아니라 특유의 안정성에 의해 건축물의 골조 또는 물건의 뼈대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건축용 비계장치, 비계장치라는 의미는 임시가설물뿐 아니라, 건축물의 골조 또는 물건의 뼈대를 만드는 용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네모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는 네모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물의 골조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장치는 네모프레임(200), 연결부재(300), 및 안전발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비계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있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하면골조와 복수의 하면골조를 연결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높이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면골조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을 연결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 가로프레임을 설치하고,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 세로프레임을 설치한 후,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부재(300)로 연결하면 하면골조를 제작할 수 있다. 복수의 하면골조를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배치한 후 높이프레임과 연결하면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비계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다.
네모프레임(200)은 비계장치(100)의 골조를 형성한다. 네모프레임(200)은 사각의 외부골격과 체결홈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다. 보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연결부재(300)는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을 연결한다. 종래 원형프레임을 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에서는 원형프레임을 고정하는 클램프가 조금만 헐거워져도 원형프레임의 무게 때문에 비계가 붕궤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결부재(300)는 일단에 네모프레임(20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을 결합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미끌어지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 원형프레임과 클램프 체결기술의 기술적 불이익을 극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연결부재(3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네모프레임(200)과 연결부재(300)는 알루미늄으로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70%, 아연 30%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알루미늄 70%, 아연 30%의 합금을 사용하면 강철보다 무게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용이성이 증가하고, 중량으로 인한 붕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강도가 높아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안전발판(400)은 하면골격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지지대이다. 본 발명의 안전발판(400)은 하면골격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안전발판(400)은 발판부(410), 체결부재(420)를 포함한다.
발판부(410)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 가설물을 형성하는 건축용 비계장치에 사용되는 네모프레임 사이에 거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체결부재(420)는 발판부(410)의 양측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네모프레임에 체결된다. 체결부재(420)는 발판부(410)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 및 발판부(410)의 타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한다.
체결부재(420)는 지지판(430) 및 끼워맞춤부(440)를 포함한다.
지지판(430)은 발판부(410)에서 제1길이(D1)만큼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상면에 거치된다.
지지판(430)은 제1파트(431), 제2파트(433), 및 관통홀(435)을 포함한다.
제1파트(431)는 지지판의 일부가 제2길이(D2)만큼 더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2파트(433)는 지지판의 일부가 제2길이(D2)만큼 삭제된 부분이다. 관통홀(435)은 제1파트(431) 및 지지판(430)에 형성된 홀이다. 제1파트(431) 및 제2파트(433)의 하방에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길이(D1)는 네모프레임의 길이의 절반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판(430)의 말단은 네모프레임의 중앙에 정렬된다.
끼워맞춤부(440)는 지지판(430)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된다. 끼워맞춤부(440)의 두께(D3)는 볼트체결구멍의 직경의 절반 또는 절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부(440)의 길이는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 및 볼트체결중공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발판을 이어서 연결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네모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두 개의 안전발판(400-1, 400-2)이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안전발판(400-1)의 제1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1파트(431-1)는 우측 안전발판(400-2)의 제2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2파트(433-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위아래로 겹치지 않고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좌측 안전발판(400-1)의 제1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2파트(433-1)는 우측 안전발판(400-2)의 제2체결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제1파트(43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위아래로 겹치지 않고 맞물린다.
한편, 끼워맞춤부(440-1, 440-2)의 두께(D3)는 볼트체결구멍(225)의 직경의 절반 또는 절반 이하로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안전발판에 형성된 끼워맞춤부(440-1, 440-2)가 하나의 네모프레임(200)에 형성된 볼트체결구멍(225)에 동시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발판을 네모프레임에 고정하는 티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티볼트(450)는 헤드부(451), 나사부(453), 표시부(455)를 포함한다.
헤드부(451)는 장변의 길이가 볼트체결구멍의 직경보다 길고 단변의 길이가 볼트체결구멍의 직경 이하인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나사부(453)는 헤드부(451)에서 연장되며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455)는 나사부(453)의 말단에서 헤드부(451)의 장변방향을 표시한다. 표시부(455)는 헤드부(451)의 장변방향을 표시함으로서 티볼트(450)가 네모프레임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안전발판이 안전하게 네모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지 작업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티볼트(450)는 헤드부가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나사부가 네모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나사부가 너트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되어 네모프레임과 안정발판을 고정한다.
도 4의 (a)는 티볼트(450)가 잠금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티볼트의 헤드부는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되어 체결됨으로서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4의 (b)는 티볼트(450)가 해제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티볼트의 헤드부가 헤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면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모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네모프레임(200)은 내부골격(210), 외부골격(220),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내부골격(210)은 내부중공(205)이 형성되어 속이비어 있는 구조이다. 내부골격(210)은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내부골격(210)을 원형으로 형성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외부골격(220)은 네모프레임(2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골격이다. 외부골격(220)은 내부골격(210) 보다 더 큰 직경이며 내부골격(21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외부골격(220)은 사각으로 형성된다.
흡수중공(221)은 외부골격(220)과 지지부(230)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흡수중공(221)은 소정의 내부중공으로서 외부골격(220)의 모서리에 인가되는 외부 충격 또는 압력을 흡수하고 지지한다.
미끄럼방지홈(223)은 외부골격(220)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미끄럼방지홈(223)은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홈으로서, 외부골결(220)에 체결되는 장치(예를 들어 종래 방식의 클램프 또는 새로운 방식의 클램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미끄럼방지홈(223)에 형성된 오목부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볼트체결구멍(225)은 외부골격(220)의 면에 형성된다. 볼트체결구멍(225)은 외부골격(220)을 구성하는 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구멍(225)을 형성하면 외부골격(220)과 내부골격(230) 사이의 빈공간이 노출된다. 이 빈공간을 볼트체결중공(227)이라 한다.
볼트체결중공(227)은 입구 부분인 볼트체결구멍(225)의 직경 보다 내부의 공간이 더 큰 구조이다. 따라서, T자형 볼트를 네모프레임의 길이방향인 세로방향으로 배치한 후 볼트체결구멍(225)을 통과하도록 하여 삽입한 후, T자형 볼트를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T자형 볼트가 볼트체결구멍(225)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므로, T자형 볼트를 외부골격(220)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T자형 볼트를 볼트체결구멍(225)에 체결하는 방식은 네모프레임의 양단이 모두 막혀있는 상태, 즉 비계장치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네모프레임을 분해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T자형 볼트를 이용하여 다른 구조물, 다른 네모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네모프레임과 네모프레임을 매우 자유롭게 연결하고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가한다.
지지부(230)는 내부골격(210)과 외부골격(220)을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부(230)는 내부골격(210)의 모서리에서 외부골격(220)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네모프레임(200)에는 서로 90도만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지지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a) 및 (b)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데, 이하에서는 도 6 (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연결부재(300)는 베이스(310)와 연결핀(320)을 포함한다.
베이스(310)는 내부골격(311), 외부골격(312), 지지부(313)를 포함한다.
내부골격(311)은 내부중공이 형성되어 속이 비어 있는 구조이다. 내부골격(311)은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내부골격(311)을 원형으로 형성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외부골격(312)은 베이스(31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골격이다. 외부골격(312)은 내부골격(311) 보다 더 큰 직경이며 내부골격(311)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외부골격(312)은 사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313)는 내부골격(311)과 외부골격(312)을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부(313)는 내부골격(311)의 모서리에서 외부골격(312)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베이스(310)에는 서로 90도만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지지부(313)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지지부(314)는 내부골격(311)과 외부골격(312)을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조지지부(314)는 내부골격(311)의 일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외부골격(312)의 일면 중앙을 지지한다.
미끄럼방지홈(315)은 외부골격(312)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미끄럼방지홈(315)은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홈으로서, 외부골결(312)에 체결되는 장치(예를 들어 종래 방식의 클램프 또는 새로운 방식의 클램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미끄럼방지홈(315)에 형성된 오목부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볼트체결구멍(316)은 외부골격(312)의 면에 형성된다. 볼트체결구멍(316)은 외부골격(312)을 구성하는 4면 중 어느 일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구멍(316)을 형성하면 외부골격(312)과 내부골격(311) 사이의 빈공간이 노출된다. 이 빈공간을 볼트체결중공(317)이라 한다.
볼트체결중공(317)은 입구 부분인 볼트체결구멍(316)의 직경 보다 내부의 공간이 더 큰 구조이다. 따라서, T자형 볼트를 길이방향인 세로방향으로 배치한 후 볼트체결구멍(316)을 통과하도록 하여 삽입한 후, T자형 볼트를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T자형 볼트가 볼트체결구멍(316)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므로, T자형 볼트를 베이스(310)와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T자형 볼트를 볼트체결구멍(316)에 체결하는 방식은 베이스의 양단이 모두 막혀있는 상태, 즉 비계장치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손쉽게 T자형 볼트를 이용하여 다른 구조물, 다른 네모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네모프레임과 네모프레임을 매우 자유롭게 연결하고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가한다.
연결핀(3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형태이며 외주면의 형태는 사각일 수 있다. 연결핀(320)은 내부골격(311)의 내부중공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베이스(310)는 연결핀(320)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연결핀(320)의 양단은 끝이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는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네모프레임 및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양단에 각각 네모프레임(200)을 삽입한다. 연결부재의 연결핀의 직경은 네모프레임의 내부골격의 내부중공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7의 (b)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양단에 각각 네모프레임(200)의 삽입을 완료하면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이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네모프레임(200)을 결합하면 네모프레임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재(300)의 베이스의 외부골격의 직경은 네모프레임(200)의 외부골격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외부골격의 직경을 형성하면, 네모프레임(200)에서 미끌어지는 클램프 등과 같은 부재들을 멈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 가설물을 형성하는 건축용 비계장치에 사용되는 네모프레임 사이에 거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발판부;
    발판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 및 발판부의 타측단에서 연장되어 네모프레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는
    발판부에서 제1길이(D1)만큼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상면에 거치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네모프레임의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장변의 길이가 볼트체결구멍의 직경보다 길고 단변의 길이가 볼트체결구멍의 직경 이하인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헤드부,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티볼트를 더 포함하고,
    티볼트는 헤드부가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나사부가 네모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나사부가 너트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되어 네모프레임과 안정발판을 고정하며,
    티볼트의 헤드부는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되어 체결됨으로서 네모프레임의 볼트체결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인,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볼트는 나사부의 말단에서 헤드부의 장변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표시부는 헤드부의 장변방향을 표시함으로서 티볼트가 네모프레임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인,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5. 삭제
  6. 삭제
KR1020170178912A 2017-12-23 2017-12-23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KR10186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912A KR101863008B1 (ko) 2017-12-23 2017-12-23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912A KR101863008B1 (ko) 2017-12-23 2017-12-23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433A Division KR20190077212A (ko) 2018-03-02 2018-03-02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008B1 true KR101863008B1 (ko) 2018-05-30

Family

ID=6229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912A KR101863008B1 (ko) 2017-12-23 2017-12-23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0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90B1 (ko) * 2006-03-08 2007-04-2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공사용 디딤 발판 조립체.
KR200476580Y1 (ko) * 2013-10-25 2015-03-12 주식회사 신영스틸 비계발판
KR101654483B1 (ko) * 2015-11-19 2016-09-09 조성주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90B1 (ko) * 2006-03-08 2007-04-2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공사용 디딤 발판 조립체.
KR200476580Y1 (ko) * 2013-10-25 2015-03-12 주식회사 신영스틸 비계발판
KR101654483B1 (ko) * 2015-11-19 2016-09-09 조성주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86911A1 (en) Scaffol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080244996A1 (en) Telescoping Shoring Post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US20100000822A1 (en) Scaffolding system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US20180119435A1 (en) Support member for joinable scaffolding planks
KR101905363B1 (ko)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US7836656B2 (en) Tower module, system and method
KR101863008B1 (ko)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KR102032305B1 (ko) 접이식 시스템 비계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20190077212A (ko)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JP2011074659A (ja) 貯槽用足場部材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JP6984864B2 (ja) 親綱支柱及びその設置方法
KR102348243B1 (ko) 거푸집 작업 발판용 지지대
ITRM20080631A1 (it) Parapetto per ponteggi modulari.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KR101978756B1 (ko)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건축용 비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9896848B1 (en) Collapsible safety railing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JPH0557218U (ja) 組立式手摺り
JP4183654B2 (ja) 手摺り支柱用ブラケット、先行手摺り組立セット、枠組足場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JP6962837B2 (ja) 作業用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