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254B1 - T형 앵커 - Google Patents

T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254B1
KR102362254B1 KR1020210081210A KR20210081210A KR102362254B1 KR 102362254 B1 KR102362254 B1 KR 102362254B1 KR 1020210081210 A KR1020210081210 A KR 1020210081210A KR 20210081210 A KR20210081210 A KR 20210081210A KR 102362254 B1 KR102362254 B1 KR 10236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bolt
marbles
nut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철식
Original Assignee
문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철식 filed Critical 문철식
Priority to KR102021008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볼트의 나사산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고, 와셔에 볼트의 홈에 들어갈 돌기를 형성하고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에 의해 및 너트 조임시에 볼트의 판형 삼각형 헤드의 회전을 제한하여 인접 대리석들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절 돌기에 의해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T형 앵커가 제공된다. T형 앵커는 나사선에 수직으로 양 방향에 한쌍의 홈이 형성되고, 인접 대리석들 사이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바닥에 밀착되는 판형 삼각형 헤드가 하부에 구비되는 볼트; 중심에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 삽입구의 방향으로 한쌍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볼트의 한쌍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와셔;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고, 너트 조임시에 상기 볼트의 상기 판형 삼각형 헤드의 회전을 일정 각도 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어 너트 조임시에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돌기; 및 상기 와셔의 상단에 상기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T형 앵커{T SHAPED ANCHOR}
본 발명은 T형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면의 표면에 부착되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T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대리석은 석회암이 높은 열과 강한 압력을 받아서 변질된 돌. 보통은 백색이나 여러 가지 색이나 무늬가 있다. 단단하고 표면이 매끄러워 조각이나 건축 재료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측 표면에는 외관을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각종 외장재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외장재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대리석이다.
상기 대리석은 중량체로서, 건축물의 표면에 부착시킬 때 접착제를 사용함과 함께 상기 대리석의 상/하면을 지지하여 대리석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사용된다.
종래의 고정구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1)에는 고정볼트(50)가 삽입되는 고정공(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벽면에 대리석(32)을 부착할 때에는 고정볼트(50)를 매개로 상기 고정구(1)를 벽면에 견고히 부착시킨 후 상기 고정구(1)의 상면에 대리석(32)의 저면을 안착시킴으로서, 대리석(32)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천정면에 대리석(32)을 부착할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볼트(50)를 매개로 상기 고정구(1)를 천정면에 견고히 부착시킨 후 고정구(1)에 형성된 고정공(2)의 내부에 와이어(5)를 삽입하되, 상기 와이어(5)의 양단부는 고정구(1)의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5)의 상면에 대리석(32)을 안착시키되, 상기 대리석(32)은 천정면(31)에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1)는 단순히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 중량의 대리석(32)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어느 정도 지지할 수는 있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고정구(1)가 변형되어 대리석(32)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대리석(32)이 낙하되므로 파손으로 인한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음은 물론, 고 중량의 대리석(32)이 낙하됨에 따라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등록 번호 제 20-0334803 호{등록일: 2003년 11월 20일}
본 발명은 볼트의 나사산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고, 와셔에 볼트의 홈에 들어갈 돌기를 형성하고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에 의해 및 너트 조임시에 볼트의 판형 삼각형 헤드의 회전을 제한하여 인접 대리석들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절 돌기에 의해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T형 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형 앵커는 나사선에 수직으로 양 방향에 한쌍의 홈이 형성되고, 인접 대리석들 사이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바닥에 밀착되는 판형 삼각형 헤드가 하부에 구비되는 볼트; 중심에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 삽입구의 방향으로 한쌍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볼트의 한쌍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와셔;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고, 너트 조임시에 상기 볼트의 상기 판형 삼각형 헤드의 회전을 일정 각도 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어 너트 조임시에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돌기; 및 상기 와셔의 상단에 상기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는 화살표 형상을 갖고, 상기 나사선 보다 작은 직경 및 상기 대리석의 높이 보다 일정 길이 더 긴 길이를 갖는 로드부, 상기 나사선과 상기 로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수평 돌기와 수직 돌기가 교차한 열십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돌기의 폭은 상기 인접 대리석들 간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수직 돌기의 일단은 상기 돌기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의 타단은 상기 와셔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의 타단의 두께는 상기 수평 돌기 및 상기 수직 돌기의 일단 및 중간 부위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조절 돌기의 두께는 상기 수직 돌기의 타단을 제외한 상기 이탈 방지부의 부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의 나사산의 세로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와셔를 직사각형으로 제작하며 상기 볼트의 홈에 들어갈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에 의해 및 너트 조임시에 상기 볼트의 상기 판형 삼각형 헤드의 회전을 180° 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는 조절 돌기에 의해 너트 조임시에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T형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볼트의 사진 도면이다.
도 4는 와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이탈 방지부 및 조절 돌기가 와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볼트를 인접 대리석들 사이에 밀어 넣은 후 90°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인접 대리석들의 바닥에 밀착하게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볼트에 이탈 방지부 및 조절 돌기가 부착된 와셔를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너트를 와셔의 상단에 볼트에 나사 체결한 T형 앵커를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용 대리석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형 앵커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T형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형 앵커는 볼트(100), 와셔(300), 이탈 방지부(500), 조절 돌기(700), 및 너트(9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볼트의 사진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볼트(100)는 나사선(110)에 수직으로 양 방향에 한쌍의 홈(112)이 형성되고, 인접 대리석들(10) 사이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인접 대리석들(10)의 바닥에 밀착되는 판형 삼각형 헤드(130)가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볼트(100)는 화살표 형상을 갖고, 상기 나사선(110)보다 작은 직경 및 대리석(10)의 높이 보다 (5 mm 일정 길이) 더 긴 길이를 갖는 로드부(150), 상기 나사선(110)과 로드부(150)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170)를 포함한다.
도 4는 와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셔(30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중심에 볼트 삽입구(3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 삽입구의 방향으로 한쌍의 돌기(330)가 돌출되어 상기 볼트의 한쌍의 홈(112)에 각각 삽입된다.
도 5는 이탈 방지부 및 조절 돌기가 와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탈 방지부(500)는 상기 와셔(300)의 하면에 형성되고, 너트 조임시에 상기 볼트의 상기 판형 삼각형 헤드(500)의 회전을 일정 각도, 즉 180°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2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부(500)는 수평 돌기(510)와 수직 돌기(560)가 교차한 열십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돌기(510)의 폭은 상기 인접 대리석들(19) 간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수직 돌기(560)의 일단(562)은 상기 돌기(33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510)의 타단(564)은 상기 와셔(300)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510)의 타단(564)의 두께는 상기 수평 돌기 (510) 및 상기 수직 돌기(560)의 일단 및 중간 부위 보다 더 크다.
조절 돌기(700)는 상기 와셔(300)의 하면에 형성되어 너트 조임시에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한다.
너트(900)는 상기 와셔(300)의 상단에 상기 볼트(100)에 나사 체결된다.
이하, T형 앵커를 대리석 구조물인 인접 대리석 사이에 설치하는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볼트(100)를 인접 대리석들(10) 사이에 밀어 넣은 후 90°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인접 대리석들의 바닥에 밀착하게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가 판형 삼각형 헤드(500)가 인접 대리석들(20)에 대해 수평하도록 볼트(100)를 인접 대리석들(20) 사이에 밀어 넣고 90°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판형 삼각형 헤드(500)의 좌우상면이 상기 인접 대리석들(20)의 바닥에 각각 접근하여 밀착하도록 위치된다.
도 8은 도 7의 볼트(100)에 이탈 방지부(500) 및 조절 돌기(700)가 부착된 와셔(300)를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와셔(300)의 한쌍의 돌기(330) 및 이탈 방지부(500)의 수직 돌기(560)의 일단(562)이 상기 볼트(100)의 한쌍의 홈(112)에 삽입하도록 결합하고 한쌍의 조절 돌기(700)가 상기 인접 대리석들(10)의 상면에 밀착하도록 와셔(300)를 상기 볼트(100)에 삽입한다.
도 9은 도 8의 너트를 조이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 스프링 와셔 및 너트(900)를 상기 와셔(300) 상에 삽입하여 조이면, 판형 삼각형 헤드(500)의 좌우상면이 상기 인접 대리석들(20)의 바닥에 각각 밀착한 상태에 너트(900)는 상기 와셔(300)의 상단에 상기 볼트(100)에 나사 체결된다. 이 경우 너트 조임시에 이탈 방지부(500)는 상기 볼트(100)의 상기 판형 삼각형 헤드(500)의 회전을 일정 각도(180°) 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2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500)에서, 상기 수평 돌기(510)의 폭은 상기 인접 대리석들(10) 간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수직 돌기(560)의 일단(562)은 상기 돌기(33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510)의 타단(564)은 상기 와셔(300)의 외주에 위치하고 두께(높이)가 상기 수평 돌기 및 상기 수직 돌기의 일단 및 중간 부위 보다 더 크므로, 상기 볼트(100)가 회전하더라고 상기 이탈 방지부(500)의 한쌍의 수평 돌기(510)가 인접 대리석들(20)의 각 측벽에 걸려 상기 볼트(100)의 판형 삼각형 헤드(130)의 회전을 일정 각도 (180°) 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2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대리석
100: 볼트
110: 나사선
112: 홈
130: 판형 삼각형 헤드
150: 로드부
170: 경사부
300: 와셔
310: 볼트 삽입구
330: 돌기
500: 이탈 방지부
510: 수평 돌기
560: 수직 돌기
700: 조절 돌기
900: 너트

Claims (5)

  1. 나사선에 수직으로 양 방향에 한쌍의 홈이 형성되고, 인접 대리석들 사이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바닥에 밀착되는 판형 삼각형 헤드가 하부에 구비되는 볼트;
    중심에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 삽입구의 방향으로 한쌍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볼트의 한쌍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와셔;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고, 너트 조임시에 상기 볼트의 상기 판형 삼각형 헤드의 회전을 일정 각도 미만으로 제한하여 상기 인접 대리석들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상기 와셔의 하면에 형성되어 너트 조임시에 상기 인접 대리석들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와셔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돌기; 및
    상기 와셔의 상단에 상기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수평 돌기와 수직 돌기가 교차한 열십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돌기의 폭은 상기 인접 대리석들 간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수직 돌기의 일단은 상기 돌기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의 타단은 상기 와셔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돌기의 타단의 두께는 상기 수평 돌기 및 상기 수직 돌기의 일단 및 중간 부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화살표 형상을 갖고, 상기 나사선 보다 작은 직경 및 상기 대리석의 높이 보다 일정 길이 더 긴 길이를 갖는 로드부, 상기 나사선과 상기 로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T형 앵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T형 앵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 돌기의 두께는 상기 수직 돌기의 타단을 제외한 상기 이탈 방지부의 부위의 두께와 동일한 T형 앵커.
KR1020210081210A 2021-06-22 2021-06-22 T형 앵커 KR10236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10A KR102362254B1 (ko) 2021-06-22 2021-06-22 T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10A KR102362254B1 (ko) 2021-06-22 2021-06-22 T형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254B1 true KR102362254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210A KR102362254B1 (ko) 2021-06-22 2021-06-22 T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03Y1 (ko) 2003-09-16 2003-11-28 유창수 건축용 대리석 고정구
JP2012107724A (ja) * 2010-11-18 2012-06-07 Takigen Mfg Co Ltd パネル材の隣接固定金具
KR101440058B1 (ko) * 2013-12-19 2014-09-17 (주)라이프트레이딩 앵커 펙
KR20210037220A (ko) * 2019-09-27 2021-04-0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티볼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03Y1 (ko) 2003-09-16 2003-11-28 유창수 건축용 대리석 고정구
JP2012107724A (ja) * 2010-11-18 2012-06-07 Takigen Mfg Co Ltd パネル材の隣接固定金具
KR101440058B1 (ko) * 2013-12-19 2014-09-17 (주)라이프트레이딩 앵커 펙
KR20210037220A (ko) * 2019-09-27 2021-04-0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티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175B2 (en) Stud
KR102336055B1 (ko) 시공성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천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362254B1 (ko) T형 앵커
EP1314833B1 (en) Bar system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JPH0420889Y2 (ko)
KR200397233Y1 (ko)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66105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US20220341573A1 (en) Adapter assembly for luminaire
KR20190000657U (ko) 스프링 볼트
JP2588332B2 (ja) 家屋ユニットの据付け調整治具
KR101152930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위치설정장치
KR100537170B1 (ko) 마감패널 회전 부착구
JPH0237936Y2 (ko)
KR200406716Y1 (ko) 등기구의 설치구조
JP3778502B2 (ja) 床束
KR200209779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110002804U (ko) 케이블 받침대
KR200246812Y1 (ko) 델타판넬 시스템
KR200436525Y1 (ko) 바닥 구조물용 지지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