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83A -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83A
KR20110002483A KR1020107025976A KR20107025976A KR20110002483A KR 20110002483 A KR20110002483 A KR 20110002483A KR 1020107025976 A KR1020107025976 A KR 1020107025976A KR 20107025976 A KR20107025976 A KR 20107025976A KR 20110002483 A KR20110002483 A KR 2011000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support
monitor
processing units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유키 스에오카
히토시 츠가와
스스무 노구치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39/04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arranged to operate simultaneously at different stations, e.g. with an annular work-table moved in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Abstract

본 발명의 생산장치는 워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복수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처리유닛(41 ~ 45), 워크를 복수의 처리유닛을 향하여 순차로 반송하는 반송유닛(30), 복수의 처리유닛에 있어서의 처리의 감시 및 처리에 관한 조정조작 또는 전체의 가동 및 정지에 관한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80, 90), 각각의 모니터 조작반을 복수의 처리유닛의 각각을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는 복수의 가동보지기구(60, 70)를 포함한다. 이것에 따르면, 모니터 조작반(80, 90)을 복수의 처리유닛을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기계부품 또는 전자부품 등을 생산할 때에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음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처리유닛에서 생긴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정조작 등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장치{PRODUCTION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처리에리어에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계부품 또는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독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을 구비한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반(操作盤)은 버튼식의 것으로부터 터치패널식으로 이행하여, 종래의 가동, 정지 등의 기능적인 조작 이외에도, 각종 센서나 연산장치에 관한 초기설정 또는 변경, 제어 소프트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기계부품 또는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생산장치에서도, 그러한 조작반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생산장치로서는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테이블 상에 배치된 프린트기판(워크)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실장헤드, 프린트기판의 영상을 포착하는 CCD센서, CCD센서의 영상데이터에 의해 프린트기판의 구멍위치를 계산하는 연산부, 연산부의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실장위치 데이타에 보정을 가하는(프린트 기판을 이동시키는 지령을 발하는) 보정용의 조작반, 영상 또는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액정패널 디스플레이(모니터) 등을 구비하여, 부품의 실장이라는 하나의 처리를 시행하는 전자부품 실장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생산장치에서, 조작반 및 액정패널 디스플레이는 본체 프레임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액정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할 때 또는 조작반의 조작을 행할 때에는, 조작반 및 액정패널 디스플레이의 전방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생산장치로서는,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상부 테이블 및 하부 테이블, 상부 테이블에 장착된 펀치, 하부 테이블에 장착된 다이, 선회아암을 거쳐서 본체 프레임에 부착된 조작반 등을 구비하여,워크에 대하여 굽힘가공을 시행할 때에, 작업자가 처리에 임하여 조작반의 누름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굽힘가공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장치에서는, 조작반이 선회아암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조작반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지만, 그 조절범위는 하나의 처리에리어에 있어서의 가공처리를 확인하면서 조작이 행해지는 소정범위에 한정되어 있다.
한편, 워크를 복수의 처리에리어에 순차(順次)로 반송하고, 워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복수의 처리를 시행하는 생산장치에, 상기와 같은 조작반 또는 모니터를 적용하면, 각각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를 획정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조작반 또는 모니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전체의 처리를 일 개소에서 감시할 수 없고, 각각의 처리에리어에 배치되는 조작반 및 모니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본 특허 공개 소63 - 232500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 - 69262 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도모하면서, 복수의 처리에리어에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계부품 혹은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생산장치에서, 특히,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처리에리어에서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작 등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는 조작반을 구비한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생산장치는 워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복수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처리유닛, 워크를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순차로 반송하는 반송유닛, 복수의 처리유닛에 있어서의 전체의 가동 및 정지에 관한 설정 및 감시기능 또는 각각의 처리에 관한 설정 및 감시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을 복수의 처리유닛의 각각으로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는 복수의 가동보지기구(可動保持機構)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워크가 반송유닛에 의해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순차 반송되면,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각각의 처리유닛에서 시행되는 생산장치에서, 작업자는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의 적어도 하나를 위주로 하여 장치의 가동 및 정지 등을 행할 때에 이용할 수 있고, 다른 모니터 조작반의 적어도 하나를 위주로 하여 각각의 처리유닛을 감시 또는 처리를 조정할(예를 들면, 불편이 생긴 때에 그 복구작업을 행하기 위해 조정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을 그 기능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이 가동보지기구에 의해 복수의 처리유닛을 향하여 각각 독립하여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인의 작업자가 하나의 모니터 조작반을 감시하면서 장치 전체의 가동상황을 확인하고, 또한 다른 작업자가 다른 모니터 조작반을 이동시켜서 각각의 처리유닛을 감시하여 불편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더욱이, 일인의 작업자가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을 함께 소정의 처리유닛으로 이동시켜서 불편의 복구작업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 조작반을 복수의 처리유닛을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기계부품 혹은 전자부품 등을 생산할 때에,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음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처리유닛에서 생긴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정작업 등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반송유닛은 워크를 보지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하고, 가동보지기구는 모니터 조작반을 회전테이블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인덱스식의 회전테이블에 의해 워크가 각각의 처리유닛에 간헐적으로 반송되면, 각각의 처리유닛에서,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일인의 작업자가 소정의 처리유닛에서, 예를 들면, 하나의 모니터 조작반에 의해 장치를 가동시키고, 또한 불편이 생긴 경우는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다른 작업자가 가동보지기구에 의해 다른 모니터 조작반을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처리유닛을 감시함과 함께 불편이 생긴 경우에는 그 처리유닛에서 복구를 위한 조정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반송유닛은 워크를 보지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가동보지기구는 모니터 조작반을 컨베이어를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직선적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에 의해 워크가 각각의 처리유닛으로 간헐적으로 반송되면, 각각의 처리유닛에서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일인의 작업자가 소정의 처리유닛에서, 예를 들면, 하나의 모니터 조작반에 의해 장치를 가동시키고, 또한 불편이 생긴 경우는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다른 작업자가 가동보지기구에 의해 다른 모니터 조작반을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처리유닛을 감시함과 함께 불편이 생긴 경우에는 그 처리유닛에서 복구를 위한 조정조작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처리유닛이 재치(載置)하여 고정되고 반송유닛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 베이스 상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축을 추가로 포함하고,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는 복수의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처리유닛 및 지지프레임이 고정되고 또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가동보지기구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로, 베이스를 반송유닛에 대하여 적절히 소망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연속하는 비교적 긴 반송유닛의 소망의 위치에 베이스를 위치시켜서 워크에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처리유닛 및 반송유닛이 재치하여 고정된 베이스, 베이스 상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입설(立設)된 복수의 지지축을 추가로 포함하고,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는 복수의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回動)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처리유닛과 반송유닛 및 지지프레임이 고정되고 또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가동보지기구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로 생산장치가 형성된다. 즉, 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기계부품을 집약화하고, 설치면적의 공간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는 생산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가동보지지구는 지지축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측 아암, 지지측 아암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선단측 아암, 선단측 아암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하(垂下)함과 함께 하단부에 모니터 조작반을 회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는 수하아암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동보지기구로서 지지측 아암과 선단측 아암 및 수하아암을 포함하는 다관절형 아암을 구성할 수 있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지지측 아암을 회동시키고, 지지측 아암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선단측 아암을 회동시키고, 선단측 아암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수하아암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모니터 조작반을 수평면 내의 소망의 위치에 또한 소망의 방향으로 방향을 부여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지지프레임은 문형(門型)프레임을 포함하고, 복수의 지지축은 문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이 문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상에 복수의 처리유닛 및 반송유닛이 재치되어 고정된 상태로, 구조의 간소화 및 기계부품의 집약화를 달성하면서,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를 선회가 자유롭게 지지할수 있고, 모니터 조작반을 복수의 처리유닛의 소망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지지축은 서로 높이가 상이한 위치에서 각각 지지측 아암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지지측 아암은 선단측 아암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높은 지지축에 지지된 가동보지기구는 다른 낮은 지지축의 제약을 받지 않고, 모니터 조작반을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자유롭게 선회이동시킬 수 있고, 한편, 낮은 지지축에 지지된 가동보지기구는 높은 지지축과 교차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모니터 조작반을 왕복운동 자유롭게 선회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지지축은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성부품의 집약화를 달성하면서,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가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지지축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가동보지기구가 서로 타방의 제약을 받지 않고 360도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장치에 따르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복수의 처리에리어에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계부품 혹은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생산장치에서, 특히,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처리에리어(처리유닛)에서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작 등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어서, 전체로서의 생산성을 행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생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생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생산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생산장치에 포함되는 제 1 가동보지기구(및 제 1 모니터 조작반) 및 제 2 가동보지기구(및 제 2 모니터 조작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생산장치에서, 통상의 가동시에 있어서의 제 1 모니터 조작반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생산장치에서, 소정의 처리에리어에서 불편이 발생한 경우 등에 있어서의 제 1 모니터 조작반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 사각형의 베이스(10), 베이스(10) 상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신장하는 문형프레임(20),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반송유닛으로서의 회전테이블(30), 베이스(10) 상에서 회전테이블(30)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처리에리어(A0, A1, A2, A3, A4, A5), 복수의 처리에리어에 각각 배치된 처리테이블(40), 복수의 처리에리어에 일부(후술하는 수작업처리에리어(A0))를 제외하고 배치된 복수의 처리유닛(41, 42, 43, 44, 45), 베이스(10) 상에 설치되어 전체를 덮는 약 직방체 형상의 커버케이스(50), 커버케이스(50)의 상방영역을 선회가 자유롭게 문형프레임(20)에 설치된 제 1 가동보지기구로서의 제 1 다관절형 아암(60) 및 제 2 가동보지기구로서의 제 2 다관절형 아암(70),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의 선단부(하단부)에 보지된 제 1 모니터 조작반(80),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선단부(하단부)에 보지된 제 2 모니터 조작반(9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문형프레임(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에 고정된 4개의 종프레임(21), 종프레임(21)의 상단부에 연결된 평판형의 횡프레임(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횡프레임(22)은 제 1 가동보지기구(60) 및 제 2 가동보지기구(7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테이블(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31), 워크(W)를 보지함과 함께 처리테이블(40)과의 사이에 워크(W)의 주고받기를 행하도록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보지이재(保持移載)유닛(32), 보지이재유닛(32)에 인접하여 배치된 워크(W)의 일부를 보지할 수 있는 6개의 재치부(33), 회전축(31)을 각도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보지이재유닛(32)은 복수의 처리에리어(A0, A1, A2, A3, A4, A5)에 배치된 처리테이블(40) 상으로 워크(W)를 주고받고 또한 처리테이블(40)로부터 워크(W)를 받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테이블(30)은 작업자(M)가 후술하는 수작업처리에리어(A0)의 처리테이블(40) 상에 재치한 워크(W)를 보지이재유닛(32)에 의해 들어올려서, 회전축(31) 주위에 소정의 각도(여기서는 약 60 도)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워크(W)를 후술하는 복수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를 향하여 순차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처리에리어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30)의 주위에 순차로 배열하여 획정되고, 작업자(M)가 워크(W)에 대하여 수작업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커버케이스(50)의 외측에 획정된 수작업처리에리어(A0), 워크(W)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커버케이스(50)의 내측에 획정된 5 개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작업처리에리어(A0)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테이블(40)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작업처리에리어(A0)의 근방에는 작업자(M)가 처리테이블(40) 상으로 이재하는 워크(W)를 미리 준비하여 재치하는 재치테이블(1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작업처리에리어(A0)에서는 작업자(M)가 미리 준비된 워크(W)에 대하여, 예를 들면, 자부품(子部品)의 가조립, 지그의 세트 등의 수작업에 따른 처리를 시행하고, 이 처리를 마친 워크(W)를 처리테이블(40) 상에 재치하는 작업 등이 행해진다.
또한, 수작업처리에리어(A0)에서는 작업자(M)가 통상의 상태에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근방에 위치시키고, 장치의 가동을 개시하는 조작 또는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조작을 행함과 함께, 전체의 처리상황을 감시하면서 수작업에 따른 상기 처리가 행해진다.
자동처리에리어(A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테이블(40), 처리유닛(41)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처리에리어(A1)에서는 처리유닛(41)에 의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복수의 비전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한 처리유닛(41)에 의해, 워크(W)의 상태가 촬영되고, 그 촬영데이타에 기하여 워크(W)의 상태가 OK인가 NG인가의 검사처리 등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자동처리에리어(A2)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테이블(40), 처리유닛(42)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처리에리어(A2)에서는 처리유닛(42)에 의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워크(W)에 대하여 가조립된 부품의 압입처리, 압입처리가 시행된 워크(W)의 상태가 OK인가 NG인가의 검사처리 등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자동처리에리어(A3)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테이블(40), 처리유닛(43)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처리에리어(A3)에서는 처리유닛(43)에 의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압입처리 후에 필요가 없어진 지그를 재치부(33)로 이동하는 이동처리 등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자동처리에리어(A4)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테이블(40), 처리유닛(44)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처리에리어(A4)에서는 처리유닛(44)에 의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워크(W)에 압입된 부품의 코킹처리 등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자동처리에리어(A3)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테이블(40), 처리유닛(45), 합격품 반출라인(46), 불합격품 반출라인(47)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처리에리어(A5)에서는 처리유닛(45)에 의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모든 처리가 완료한 워크(W)가 합격품(OK)인가 불합격품(NG)인가의 판정처리가 행해지고, 합격품은 합격품 반출라인(46)으로부터 반출되고, 불합격품이 불합격품 반출라인(47)으로부터 반출되는 반출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상류측의 처리에리어에서 이미 불합격품으로서 판정된 워크(W)는 자동처리에리어(A5)에서 판정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불합격품 반출라인(47)으로부터 반출되는 반출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커버케이스(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벽 및 천정벽을 획정하고 회전테이블(30) 및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를 수용하여 장치 전체를 덮도록 약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케이스(50)는 외부로부터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에 있어서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도록, 격자 또는 그물망형 혹은 아크릴수지판 등의 외벽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케이스(50)는 외부에 위치하는 수작업처리에리어(A0)로부터 내부의 자동처리에리어(A1)를 향하여, 또한 내부의 자동처리에리어(A5)로부터 외부에 위치하는 수작업처리에리어(A0)를 향하여 보지이재유닛(32) 및 재치부(33)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개구도어(51), 작업자(M)가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 내의 처리유닛(41, 42, 43, 44, 45) 등에 소정의 조정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처리에리어 마다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작업도어(5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은,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형프레임(20)의 횡프레임(22)의 중앙으로부터 소정량 벗어난 위치(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지지축(61), 제 1 지지축(6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제 1 지지측 아암(62), 제 1 지지측 아암(62)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선단측 아암(63), 제 1 선단측 아암(63)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하함과 함께 하단부에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보지하는 제 1 수하아암(64)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은 제 1 지지축(61)을 중심으로 제 1 지지측 아암(62)을 회동시키고, 제 1 지지측 아암(62)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제 1 선단측 아암(63)을 회동시키고, 제 1 선단측 아암(63)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제 1 수하아암(64)의 하단부에 보지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커버케이스(50)의 외측벽의 주위에서 수평면 내의 소망의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또한 소망의 방향으로 방향을 부여하여 위치시킬 수 있도록 보지하고 있다.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은,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형프레임(20)의 횡프레임(22)의 중앙으로부터 소정량 벗어남과 함께 제 1 지지축(61)에 인접한 위치(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2 지지축(71), 제 2 지지축(7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제 2 지지측 아암(72), 제 2 지지측 아암(72)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2 선단측 아암(73), 제 2 선단측 아암(73)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하함과 함께 하단부에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보지하는 제 2 수하아암(74)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은 제 2 지지축(71)을 중심으로 제 2 지지측 아암(72)을 회동시키고, 제 2 지지측 아암(72)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제 2 선단측 아암(73)을 회동시키고, 제 2 선단측 아암(73)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제 2 수하아암(74)의 하단부에 보지된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커버케이스(50)의 외측벽의 주위에서 수평면 내의 소망의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또한 소망의 방향으로 방향을 부여하여 위치시킬 수 있도록 보지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다관절형 아암(60)과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관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축(61)이 상하방향에서 제 2 지지축(71)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지지측 아암(62)은 제 1 선단측 아암(63)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 2 지지측 아암(72)은 제 2 선단측 아암(7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다관절형 아암(6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축(61)을 중심으로 커버케이스(50)의 외측벽의 주위에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360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축(71)을 중심으로 커버케이스(50)의 외측벽의 주위에서,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의 제 1 지지축(61)과 교차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왕복운동이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다관절형 아암(60)과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관계에서, 제 1 지지측 아암(62)이 제 2 지지측 아암(72)보다 길게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제 2 선단측 아암(73)이 접혀져 있으면,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은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제약을 받지 않고 360도 선회하여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측 아암(62)이 제 2 지지측 아암(72)과 마찬가지의 길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제 2 선단측 아암(73)이 접혀지고 또한 제 2 선단측 아암(73)이 외측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으면,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은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제약을 받지 않고 360도 선회하여,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가동보지기구 및 제 2 가동보지기구로서 다관절형 아암(60, 70)을 채용한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하면서,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각각 독립하여 수평면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복수의 처리에리어(A1, A2, A3, A4, A5)의 어느 곳에든 소망의 처리에리어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 1 수하아암(64)의 하단부와 제 2 수하아암(74)의 하단부는 상하방향에서 동일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모니터 조작반(80)과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 동일의 높이에 보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이 동일의 높이(작업자(M)의 목시근방)에 보지되는 것에 의해, 작업자(M)는 제 1 모니터 조작반(80)과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의 조작성이 좋게 되고, 양자를 접근시켜서 동시에 시인(視認) 및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다관절형 아암(60)에 보지되어 있고, 여러 종류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초기설정 및 변경설정 등의) 환경설정조작, 가동의 개시 및 정지의 설정조작, 정보확인을 위한 조작 등이 가능한 터치패널식의 표시부(81), 작업자(M)가 이동시킬 때에 쥐기 위한 그립부(8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은 적어도 장치 전체의 가동 및 정지에 관한 설정조작, 장치 전체의 가동상황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M)는 이 생산장치에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위주로 하여 장치의 가동 및 정지 등을 행할 때에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다관절형 아암(70)에 보지되어 있고, 여러 종류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각각의 처리유닛(41, 42, 43, 44, 45) 등에 관한 여러 종류의 설정조작 및 확인조작이 가능한 터치패널식의 표시부(91), 마찬가지로 설정조작 등이 가능한 조작버튼(92), 작업자(M)가 이동시킬 때에 쥐기 위한 그립부(9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은 적어도 각각의 처리에 관한 설정 및 감시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M)는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위주로 하여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를 감시 또한 처리를 조정(예를 들면, 불편이 생긴 때에 그 복구작업을 행하기 위한 조정)할 때에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모니터 조작반(80, 90)을 그 기능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이 제 1 다관절형 아암(60)에 의해 복수의 처리에리어(A0 ~ A5)를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고,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이 제 2 다관절형 아암(70)에 의해 복수의 처리에리어(A0, A1, A2, A3, A4, A5)를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즉, 2개의 모니터 조작반(80, 90)이 복수의 처리에리어(A0, A1, A2, A3, A4, A5)를 향하여 각각 독립하여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인의 작업자(M1)가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감시하면서 장치 전체의 가동상황을 확인하고, 또한, 다른 작업자(M2)가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이동시켜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를 감시하여 불편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더욱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인의 작업자(M3)가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함께 소정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로 이동시켜서, 불편의 복구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은 워크(W)의 처리에 관한 계층 분리된 동일의 정보를 공유함과 함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억세스하여 타방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2 모니터 조작반(90)에서 설정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 1 모니터 조작반(80)에 있어서의 설정정보의 변경 등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에서 설정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 2 모니터 조작반(90)에 있어서의 설정정보의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이 상호 타방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양방에 관계하는 여러 종류의 설정변경 등의 조작을 한 번에 행할 수 있고, 설정조작을 보다 원활하고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모니터 조작반(80)과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은 우선권의 설정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이 가동의 정지를 지시하고 있는 사이, 제 2 모니터 조작반(90)으로부터 가동지령을 행할 수 없는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장치에서는 작업자(M)는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수작업 처리에리어(A0)의 근방에 정지시켜서 장치를 가동시킴과 함께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고, 한편, 어느 곳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에서 불편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 1 모니터 조작반(80)에 의해 정지조작을 행함과 함께,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그 처리에리어까지 이동시켜서, 그 처리에리어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제 2 모니터 조작반(90)에 의해 복구를 위한 소정의 조정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가동상태에서는 다른 작업자(M)가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에 있어서의 처리상황을 감시할 수 있고, 불편이 생긴 경우에는 즉석에서 정지 및 복구를 위한 조정조작을 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복수의 처리에리어(A0, A1, A2, A3, A4, A5)를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기계부품 혹은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생산장치에서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음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에서 생긴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정조작 등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생산장치의 초기설정작업, 가동시 및 불편 발생시의 처리작업 등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수작업처리에리어(A0)의 근방에 위치시켜서 일인의 작업자(M1)가 생산을 개시하기 위해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작업을 행하고, 그 워크(W)를 처리테이블(40)로 이재하는 이재작업을 행한다.
한편, 다른 작업자(M2)가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로 순차로 이동시켜서, 각 자동처리에리어에 있어서의 처리유닛(41, 42, 43, 44, 45)에 관한 초기설정을 행한다.
상기 설정작업이 완료하면, 수작업처리에리어(A0)의 작업자(M1)가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조작하여 장치를 가동시킴과 동시에, 다른 작업자(M2)는 제 2 모니터 조작반(90)과 함께 커버케이스(50)의 외측벽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에 있어서의 처리상황을 확인하여, 최적인 가동상황이 되도록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처리유닛(41, 42, 43, 44, 45)의 설정정보를 조정하는 조정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모든 조정작업이 완료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인의 작업자(M1)가 수작업처리에리어(A0)에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에 의해 장치 전체의 가동상황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워크(W)를 반입하는 작업을 행하고, 다른 작업자(M2)가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이동시켜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A1, A2, A3, A4, A5)를 순차로 감시하여 불편의 유무를 확인한다.
여기서, 어느 곳의 자동처리에리어에서 불편이 발생한 경우는 수작업처리에리어(A0)의 작업자(M1)가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조작하여 가동을 정지시키고, 다른 작업자(M2)가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조작하여 그 불편의 복구작업을 행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인의 작업자(M3)가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함께 불편이 발생한 자동처리에리어로 이동시켜서 불편의 복구작업을 행한 후에, 그 자동처리에리어에서 장치를 가동시키고 복구작업 후의 가동상황(처리상황)을 확인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복구작업이 완료하면, 다시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돌아가, 일인의 작업자(M1)가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조작하여 장치의 가동을 재개시키고, 다른 작업자(M2)가 자동처리에리어 전체의 감시를 속행한다.
또한, 이 수순은 일례에 불과하며, 작업자(M)는 다른 수법에 의해 설정작업, 감시작업 등을 행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의 제 1 지지축(61)과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제 2 지지축(71)을 동축상에 배치한 이외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제 2 지지축(71)과 동축 상에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의 제 1 지지축(61')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제 1 선단측 아암(63)과 제 2 선단측 아암(73)이 충돌하지 않도록 양자 또는 일방을 굴곡시킨 상태로 제 1 다관절형 아암(60)을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제 1 모니터 조작반(80)을 36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을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36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생산장치에 따르면, 제 1 다관절형 아암(60) 및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이 서로 타방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선회가능하게 되고, 제 1 모니터 조작반(80) 및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각각 보다 자유롭게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복수의 처리에리어에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계부품 또는 전자부품 등을 생산할 때에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에서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작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어서, 전체로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생산장치는 상술한 회전테이블(30) 대신에 직선적으로 워크(W)를 반송하는 컨베이어(30')를 채용한 이외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베이스(10), 문형프레임(20), 컨베이어(30')를 따라서 배열되어 각각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처리에리어(A1, A2, A3, A4, A5, A6), 제 1 가동보지기구로서의 제 1 다관절형 아암(60), 제 2 가동보지기구로서의 제 2 다관절형 아암(70), 제 1 모니터 조작반(80), 제 2 모니터 조작반(9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문형프레임(20) 대신에 지주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컨베이어(30')는 평행하게 2개 배치되고, 도 9a에 도시하는 장치에서는 동일 방향으로 워크(W)를 반송하고, 도 9b에 도시하는 장치에서는 역방향으로 워크(W)를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생산장치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복수의 자동처리에리어에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계부품 또는 전자부품 등을 생산할 때에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에서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작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어서, 전체로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처리에리어로서 6개의 처리에리어를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의 처리에리어를 포함하는 생산장치에 본 발명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동보지기구 및 제 2 가동보지기구로서 다관절형 아암을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축서스펜션 아암을 채용해도 되고, 혹은 모니터 조작반을 삼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그 외의 가동보지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동보지기구 및 제 2 가동보지기구(제 1 다관절형 아암(60), 제 2 다관절형 아암(70))가 그 선단부에 모니터 조작반(80, 90)만을 보지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 조작반(80, 90)에 더하여 콘센트, LAN 등의 유틸리티기능을 갖도록 해도 되고, 또한, 휴대형의 노트북 컴퓨터 등을 모니터 조작반으로서 보지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다관절형 아암(60)과 제 2 다관절형 아암(70)의 관계에서 제 1 지지축(61)을 제 2 지지축(71)보다 높게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지지축(71)을 제 1 지지축(61)보다 높게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제 2 다관절형 아암(70)에 보지된 제 2 모니터 조작반(90)을 360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산장치는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복수의 처리에리어에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계부품 혹은 전자부품 등을 생산할 때에 작업자가 전체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자동처리에리어에서 불편의 복구작업 및 그를 위한 조작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부품, 전자부품 등을 취급하는 생산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그 외의 부품, 제품 등을 취급하는 생산분야에서도 유용하다.
W 워크
M, M1, M2, M3 작업자
A0 수작업처리에리어
A1, A2, A3, A4, A5, A6 자동처리에리어
10 베이스
20 문형프레임
21 종프레임
22 횡프레임
30 회전테이블(반송유닛)
30' 콘베이어(반송유닛)
31 회전축
32 보지이재유닛
33 재치부
40 처리테이블
41, 42, 43, 44, 45 처리유닛
46 합격품 반출라인
47 불합격품 반출라인
50 커버케이스
51 개구도어
52 작업도어
60 제 1 다관절형 아암(제 1 가동보지기구)
61, 61' 제 1 지지축
62 제 1 지지측 아암
63 제 1 선단측 아암
64 제 1 수하아암
70 제 2 다관절형 아암(제 2 가동보지기구)
71 제 2 지지축
72 제 2 지지측 아암
73 제 2 선단측 아암
74 제 2 수하아암
80 제 1 모니터 조작반
81 표시부
82 그립부
90 제 2 모니터 조작반
91 표시부
92 조작버튼
93 그립부

Claims (10)

  1. 워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복수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처리유닛,
    워크를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순차로 반송하는 반송유닛,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에 있어서의 전체의 가동 및 정지에 관한 설정 및 감시기능 또는 각각의 처리에 관한 설정 및 감시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
    상기 복수의 모니터 조작반을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의 각각으로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는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를 포함하는 생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워크를 보지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보지기구는 상기 모니터 조작반을 상기 회전테이블의 주위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워크를 보지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보지기구는 상기 모니터 조작반을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으로 향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이 재치하여 고정되고 상기 반송유닛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는 상기 복수의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유닛 및 상기 반송유닛이 재치하여 고정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입설된 복수의 지지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보지기구는 상기 복수의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지지구는 상기 지지축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측 아암, 상기 지지측 아암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선단측 아암, 상기 선단측 아암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하함과 함께 하단부에 상기 모니터 조작반을 회동이 자유롭게 보지하는 수하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문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축은 상기 문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축은 서로 높이가 상이한 위치에서 각각 상기 지지측 아암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측 아암은 상기 선단측 아암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축은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축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장치.
KR1020107025976A 2008-05-28 2008-05-28 생산장치 KR20110002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9771 WO2009144787A1 (ja) 2008-05-28 2008-05-28 生産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83A true KR20110002483A (ko) 2011-01-07

Family

ID=4137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976A KR20110002483A (ko) 2008-05-28 2008-05-28 생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30227B2 (ko)
JP (1) JP5091316B2 (ko)
KR (1) KR20110002483A (ko)
CN (1) CN102046326B (ko)
WO (1) WO2009144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3725B4 (de) * 2008-02-20 2013-10-17 Hirata Corp. Herstellungsvorrichtung
JP5534324B2 (ja) * 2010-04-12 2014-06-25 株式会社岡本工作機械製作所 工作機械の加工液飛散防止カバー装置
US8694160B2 (en) 2011-08-24 2014-04-08 Yamazaki Mazak Corporation NC machine tool system
CN104270708A (zh) * 2014-09-18 2015-01-07 湖北泰晶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音叉型谐振器素子晶片的导向梳板治具
USD753200S1 (en) * 2014-12-18 2016-04-05 Zapadoceska Universita V Plzni Headstock cover for a lathe
CN106392280A (zh) * 2016-10-21 2017-02-15 中国重汽集团柳州运力专用汽车有限公司 龙门自动焊控制盒旋臂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7634A (ja) 1985-02-16 1986-08-21 Showa Denko Kk 粒子流路制限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187634U (ko) * 1985-05-16 1986-11-22
JP2553546B2 (ja) 1987-03-20 1996-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機
JPS6451260A (en) * 1987-08-21 1989-02-27 Daido Metal Co Ltd Multistage simultaneous machining device for sliding bearing
FR2631869A1 (fr) * 1988-05-25 1989-12-01 Somex Sa Machine-outil modulaire comportant au moins une unite d'usinage
JPH0375942A (ja) 1989-08-18 1991-03-29 Pfu Ltd ファイルの編集履歴制御方式
JPH0375942U (ko) * 1989-11-27 1991-07-30
US5197590A (en) * 1991-04-30 1993-03-30 Prim Hall Enterprises Inc. Hopper loader
JPH0890367A (ja) * 1994-09-27 1996-04-09 Amada Co Ltd 工作機械の操作盤吊下げ装置
JP3297898B2 (ja) * 1995-04-26 2002-07-02 オークマ株式会社 操作盤支持装置
US6298531B1 (en) * 1997-06-17 2001-10-09 Witzig & Frank Gmbh Highly flexible machine tool
JP3504470B2 (ja) 1997-09-18 2004-03-08 日本放送協会 Afc回路、キャリア再生回路および受信装置
JPH11197995A (ja) * 1998-01-14 1999-07-27 Amada Co Ltd ペンダント操作部揺れ防止方法
IL143467A (en) * 1998-12-02 2005-05-17 Newport Corp Specimen holding robotic arm and effector
US6435397B2 (en) * 2000-04-18 2002-08-20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Robotic turntable
DE10101675A1 (de) * 2001-01-10 2002-07-18 Chiron Werke Gmbh Werkzeugmaschine mit verschwenkbarem Kommandopult
DE10135233B4 (de) * 2001-07-24 2012-01-19 Mauser-Werke Oberndorf Maschinenbau Gmbh Ringmaschine
NL1023776C2 (nl) * 2003-06-30 2005-01-03 Roboxis B V Robot.
JP2006102912A (ja) * 2004-10-08 2006-04-20 Murata Mach Ltd 制御盤付き工作機械
JP5131720B2 (ja) 2005-09-09 2013-01-30 株式会社アマダ 曲げ加工装置
US9437469B2 (en) * 2007-04-27 2016-09-06 Brooks Automation, Inc. Inertial wafer centering end effector and trans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6326A (zh) 2011-05-04
CN102046326B (zh) 2013-07-31
US8430227B2 (en) 2013-04-30
US20110073436A1 (en) 2011-03-31
WO2009144787A1 (ja) 2009-12-03
JPWO2009144787A1 (ja) 2011-09-29
JP5091316B2 (ja)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3024B (zh) 组装设备和生产系统
JP6470763B2 (ja) 生産システム
KR20110002483A (ko) 생산장치
JP6039187B2 (ja) 組立装置、把持ハンドおよび物品の組立方法
US5423648A (en)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and efficiently transferring a workpiece from a first station to a second station
KR101603912B1 (ko) 로봇 셀 장치 및 생산시스템
WO2020090809A1 (ja) 外部入力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072840A (ja) ハンドリング装置
JP2008155361A (ja) 多関節ロボット
US10814440B1 (en) Method of assembling an automated modular tool
US20160318179A1 (en) Robot system
JP2020146812A (ja) コネクタを含むワークを把持する作業ツールおよび作業ツールを備えるロボット装置
JP2004090186A (ja) クリーン搬送ロボット
CN106002986B (zh) 一种具体有双竖直滑座的码垛机器人
JP2007152416A (ja) 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装置及び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方法
JP6366665B2 (ja) ロボット装置、組立装置、把持ハンド、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JPH04115885A (ja) 走行ロボット及び走行ロボット付装置
JP6712114B2 (ja) リンク式多関節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US10449674B2 (en) Part suppor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CN212463659U (zh) 一种机器人柔性折弯装置
CN107825426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工业机器人运动控制装置
JP2000210889A (ja) 産業用ロボット
JP3974353B2 (ja) ジンバル機構及び関節機構
CN217256393U (zh) 工业机器人摇臂机构
DE102004007558B4 (de) Bewegungseinrichtung mit sinusförmigen Bewegungsablau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