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777U - 울타리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울타리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777U
KR20110001777U KR2020090010618U KR20090010618U KR20110001777U KR 20110001777 U KR20110001777 U KR 20110001777U KR 2020090010618 U KR2020090010618 U KR 2020090010618U KR 20090010618 U KR20090010618 U KR 20090010618U KR 20110001777 U KR20110001777 U KR 20110001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fixed
blocking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미선
Original Assignee
(합)현대철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현대철구산업 filed Critical (합)현대철구산업
Priority to KR2020090010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777U/ko
Publication of KR20110001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파이프의 외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부재를 끼움 결합시켜서 차단망 및 잡초 차단판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단망에 의해서 뱀이나 쥐 등의 야생동물이 도로쪽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잡초 차단판에 의해서는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면을 이루는 배면의 중심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된 지주파이프(10);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끼워져서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T형 결합홈(21)을 가지는 결합부재(20A); 머리가 직사각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상기 머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T형 볼트(B1); 야생동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지주파이프(10)의 하부를 차단하는 차단망(30); 및 상기 T형 볼트(B1)의 나사부가 상기 차단망(30)을 통과하여 너트(N)에 의해 결합되어서 상기 차단망(30)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결착판(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울타리, 결합 구조, 차단망, 잡초, 차단판.

Description

울타리의 결합 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FENCE}
본 고안은 지주파이프의 외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부재를 끼움 결합시켜서 차단망 및 잡초 차단판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단망에 의해서 뱀이나 쥐 등의 야생동물이 도로쪽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잡초 차단판에 의해서는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자전거 도로를 조성하고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자전거 도로에서 필요한 구역에 울타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주파이프의 외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 부재를 끼움 결합시켜서 차단망 및 잡초 차단판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단망에 의해서 뱀이나 쥐 등의 야생동물이 도로쪽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잡초 차단판에 의해서는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매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면을 이루는 배면의 중심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된 지주파이프(10);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끼워져서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T형 결합홈(21)을 가지는 결합부재(20A); 머리가 직사각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상기 머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T형 볼트(B1); 야생동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지주파이프(10)의 하부를 차단하는 차단망(30); 및 상기 T형 볼트(B1)의 나사부가 상기 차단망(30)을 통과하여 너트(N)에 의해 결합되어서 상기 차단망(30)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결착판(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상부를 따라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도록 상부 곡면을 가지면서 수직면으로 연장되며 가로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잡초 차단판(40)이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고정 된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T형 볼트(B1)에 의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의 하부에서 L자 형태로 수직면(45)과 바닥면(46)으로 형성된 차단판이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46)은 지면(W)과 접하도록 상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과 함께 지주파이프(10)에 고정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12)에서 일치된 위치에는 결합공(13)(14)이 형성되고, 정면과 배면에서 일치된 위치에 관통공(52)(53)이 형성된 연결파이프(50) 및 정면과 배면에서 일치된 위치에 관통공(62)(63)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정면에서 수평상태로 걸쳐지는 가로파이프(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파이프(60)는 상기 연결파이프(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로파이프(60)의 관통공(62)(63)과 상기 연결파이프(50)의 관통공(52)(53) 및 상기 지주파이프(10)의 결합공(13)(14)을 통과하여 볼트(B3)가 결합되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있는 결합공(14)을 통과한 상기 볼트(B3)의 선단부에 너트(N)가 체결되어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의 하부를 따라 차단망이 결합되어 있어 뱀이나 쥐 등의 야생동물이 도로쪽으로 침입하지 못하며, 필 요한 구역에서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따라 결합된 잡초 차단판에 의해서는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고, 울타리가 설치되는 주변에서 잡초 차단판의 바닥판에 의하여 잡초가 전혀 자랄 수 없다.
또, 가로파이프를 매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차단망, 잡초 차단판 및 가로파이프가 파손되었을 때에도 파손된 가로파이프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울타리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도면에서 도 1, 도 2, 도 3, 도 4는 지주파이프(10)의 배면부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지주파이프(10)의 '정면'은 울타리에 의해 구분한 곳의 바깥쪽에서 보이는 부위인 즉, 도로쪽에서 보이는 부위이고, 지주파이프(10)의 '배면'은 도로의 반대쪽인 안쪽에서 보이는 부위를 말하는 것임을 우선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차단망을 결합하는 모 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0)의 하부를 따라 야생동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망(30)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주파이프(10)는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공간(11)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외부면을 이루는 배면의 중심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이 이루고 있는 내측면에는 마주보고 끼움돌기(15a)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 내측면에서 한쪽에는 끼움돌기(15a)에서 떨어져서 앞쪽에 끼움홈(1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는 결합부재(20A)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0A)는 오목홈(12)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T형 결합홈(21)을 가지며 양측면에는 상기 오목홈(12)의 걸림돌기(15a)에 걸려지는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파이프(10)는 횡단면 형상에 있어서, 오목홈(12)이 이루고 있는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면을 하면서 정면쪽으로 나란하게 보강리브(16)(17)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하여 지주파이프(10)의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부재(20A)는 T형 결합홈(21)에 T형 볼트(B1를 이용하여 차단망(30)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T형 볼트(B1)는 주로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시킬 때에 사 용하는 것으로써, 볼트의 머리가 상기 T형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는 직사각체이면서 너트(N)로 고정할 때 T형 결합홈(21) 내부에서 90도 회전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T형 볼트(B1)의 머리를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밀어넣어 둔 상태에서, 차단망(30)을 결합부재(20A)에 밀착시키고 결착판(31)의 결합공(31a)을 통과시켜서 T형 볼트(B1)의 나사부에 너트(N)를 결합하여 조이면 T형 볼트(B1)의 머리가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 내에서 너트(N)를 돌리는 방향과 같이 회전하여 T형 결합홈(2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T형 볼트(B1)의 머리가 회전하여 걸려져서 고정되며, 최종적으로 너트(N)를 끝까지 돌려서 견고하게 차단망(30)을 고정시킨다.
상기 결착판(31)은 횡단면 형상이 차단망(30)을 향하여 열려진 'ㄷ'자형 이면서 상하방향에서 일정높이를 두고 결합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된 지주파이프(10)의 하부에서 결합부재(20A), 결착판(31) 및 T형 볼트(B1)에 의하여 차단망(30)을 양쪽 부위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주파이프(10)는 일반적으로 2M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차단망(30)은 지주파이프(10)와 지주파이프(10)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지주파이프(10) 마다 한쪽 차단망(30)의 끝과 연결하기 위한 다른 쪽 차단망(30)의 끝부분을 서로 겹쳐서 고정한다. 이렇게 지주파이프(10)의 하부를 따라 차단망(30)을 연속 반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차단망(30)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주파이 프(10) 3개 이상에 해당하는 범위의 길이를 갖는 것을 계속 연결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잡초 차단판을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적용하여 울타리를 연속 설치함에 있어, 잡초가 무성하거나 또는 잡초가 자랄 것이 예측되는 구역에서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주파이프(10)를 따라 잡초 차단판(40)을 결합하여 도로(예: 자전거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잡초 차단판(40)은 측면 형상으로 볼 때 상부가 덮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상부 곡면을 가지면서 수직면으로 연장되며 가로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것이다. 잡초 차단판(40)은 지주파이프(10)와 바로 이웃하는 지주파이프(10)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주파이프(10) 3개 이상에 해당하는 범위의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잡초 차단판(40)은 상부 곡면이 도로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울타리가 설치된 지역의 주변에서 잡초가 자라나면서 잡초 차단판(40)의 상부 곡면을 타고서 도로 반대쪽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상기 잡초 차단판(4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내충격성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잡초 차단판(40)을 지주파이프(10)에 결합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결합부재(20A)와 T형 볼트(B1)를 이용한다.
상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을 이루는 부위에서 양쪽 끝부위에는, 즉 지주파이프(10)와 지주파이프(10)의 사이에 맞는 위치에는 일정높이를 두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결합부재(20A)를 끼움 결합시키고,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T형 볼트(B1)의 머리를 끼워 놓고, T형 볼트(B1)의 나사부를 잡초 차단판(40)의 장공(41)을 통과시켜서 너트(N)로 고정하면 된다.
이렇게 잡초 차단판(40)을 바로 지주파이프(10)에 고정하여 무방하지만, 도 3에 나타나 있는 연결판(43)을 이용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는 잡초 차단판(40)을 연속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43)은 일정폭을 가지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과 곡면에 밀착되게 절곡시켜서 제작할 수 있으며, 잡초 차단판(40)의 장공(41)과 대응된 위치에 결합공(44)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판(43)은 잡초 차단판(40)의 장공(41)과 연결판(43)의 결합공(44)을 통해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고정되어 있는 T형 볼트(B1)의 나사부를 통과시켜서 너트(N)로 고정하며, 잡초 차단판(40)의 곡면과 맞대어진 연결판(43)의 곡면부위에서도 직결나사(B2)를 결합하여 잡초 차단판(40)과 연결판(43) 상호간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잡초 차단판(40)의 한쪽 끝부위는 연결판(43)의 중심부위에 배치된다. 이렇게 지주파이프(10)에 한쪽 잡초 차단판(40)을 고정하며 연결하기 위한 다른 잡초 차단판(40)을 연결판(43) 위에 올리고서 직결나사(B2)를 이용하여 잡초 차단판(40)을 연결판(4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잡초 차단판(40)을 지주파이프(10)에 고정함에 있어, 금속판인 연결판(43)과 함께 고정하면 연결판(43)에 의하여 잡초 차단판(40)의 양쪽 끝부위가 지주파이프(10)에서 보다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바람 등으로 인해서 잡초 차단판(40)이 흔들리지 않는 강한 보강력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보강대를 이용하여 차단망과 조밀망의 가로방향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차단망(30)은 격자 간격이 촘촘한 조밀망(32)을 겹쳐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밀망(32)은 작은 동물(예: 쥐, 다람쥐와 같은 설치류, 개구리, 두꺼비와 같은 양서류, 뱀과 같은 파충류 등)이 통과하지 못하게 이중망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망(30) 및 조밀망(32)이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서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주파이프(10)와 지주파이프(10) 사이의 하부를 연결하여 차단망(30)의 강도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보강대(33) 및 보조대(35)를 사용한다.
상기 보강대(33)와 보조대(35)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주파이프(10)와 지주파이프(10) 사이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보강대(33)와 보조대(35)는 측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 이며, 보강대(33)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대(35)는 조밀망(32)의 뒤에 배치되고, 보강대(33)는 차단망(30)의 앞에서 상기 보조대(35)와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차단망(30)과 조밀망(32)을 밀착시키고, 보강대(33)를 차단망(30)에 대고 보조대(35)는 보강대(33)와 마주하게 조밀망(32)에 대고서 보강대(33)의 오목홈(34)에 직결나사(B2)를 결합하여 보조대(35)를 관통시켜서 고정한다. 상기 직결나사(B2)는 차단망(30) 및 조밀망(32)의 격자 사이를 통과하여 결합되고 직결나사(B2)를 조여줌에 따라 보조대(35)와 보강대(34)가 밀착되어지면서 차단망(30)과 조밀망(32)을 눌러주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0)의 하부를 따라 차단망(30)이 결합되어 있는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고, 차단망(30)과 함께 필요한 해당 구역에서는 지주파이프(10)의 상부를 따라 잡초 차단판(40)을 결합하여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0)의 도로쪽에서 보이는 정면에서 가로파이프(60)가 수평상태로 걸쳐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주파이프(10)에서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 홈(12)에서 일치된 위치에 각각 결합공(13)(14)이 천공한다.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는 위에서 설명한 결합부재(20A)를 차단망(30)과 잡초 차단판(40)을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할 수 있고, 그 외의 구역에서는 커버(20B)를 결합해 둘 수 있다.
즉, 상기 커버(20B)는 위에서 설명한 차단망(30)과 잡초 차단판(40)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에서 오목홈(12)에 결합하여 오목홈(12)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지주파이프(10)의 외부면과 같게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B)는 지주파이프(10)의 외부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커버면(23)이 형성되고,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 내측면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15b)에 걸려지는 걸림돌기(32a)가 형성되며, 상기 다른쪽 끼움면(32b)에는 오목홈(12)의 걸림돌기(15b)에 걸려지는 끼움홈(3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50)는 지주파이프(10)의 정면에서 수평상태로 결합하는데, 정면과 배면에서 일치된 위치에 관통공(22)(23)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50) 및 가로파이프(60)는 각각 단면형상이 원형을 이루면서 정면과 배면에 있는 관통공(52)(53)(62)(63)의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부(51)(61)가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가로파이프(60)의 내부면과 연결파이프(50)의 외부면은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가로파이프(60)를 연결파이프(50)의 외부에 삽입하면, 가로파이프(60)의 내부면은 연결파이프(50)의 외부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좌,우 양편에서 각각 가로파이프(60)를 연속하여 연 결하는 경우에는 한쪽 가로파이프(60)의 선단부에는 그 정면과 배면에서 일치된 위치에 관통공(62)(63)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50)의 양측방향에서 양쪽 가로파이프(60)의 선단부를 연결파이프(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삽입시키고, 연결파이프(50)의 외부에 삽입된 양쪽 가로파이프(60)의 선단부 상호간은 맞대어지는 것이 좋다.
이렇게 연결파이프(50)의 외부에 가로파이프(6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한쪽 가로파이프(60)의 관통공(61)(62)과 연결파이프(50)의 일치된 관통공(52)(53)을 통해 볼트(B3)를 결합한다.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있는 결합공(14)을 통과한 볼트(B3)의 선단부에 너트(N)를 체결시켜서 고정한다.
여기서, 가로파이프(60)와 연결파이프(50)를 고정하는 볼트(B3)는 머리부위의 안쪽면이 연결파이프(50)의 오목부(5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커버(20B)를 끼움 결합한다.
상기 커버(20B)는 지주파이프(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홈(12)에 밀어서 끼우면 탄력적으로 오무렸다가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게 되면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20B)를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결합할 때, 커버(20B)의 한쪽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4)를 오목홈(12)의 끼움홈(15b)에 먼저 끼운 다음, 다른쪽 면을 오목홈(12)의 다른쪽 면에 맞댄 상태에서 커버(20B)를 밀어주면 오목홈(12)에 형성된 걸림돌기(15a)를 타게 되어 오무라들게 되고 끼움홈(22)이 걸림돌 기(15a)에 걸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주파이프(10)는 1 ~ 2M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고, 가로파이프(60)의 길이는 이웃하는 지주파이프(10)와 지주파이프(10) 사이에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지주파이프(10) 각각에 고정시키는 연결파이프(50)의 양쪽에서 연속하여 연결하기 위한 양쪽의 가로파이프(60)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한 것과 다르게 울타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주파이프(10)를 1 ~ 2M 간격으로 설치하면서, 가로파이프(60)는 6M 정도의 길이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가로파이프(60)는 6M이고, 지주파이프(10)와 지주파이프(10)의 설치간격은 2M이므로, 6M 길이 가로파이프(60)는 2M씩 간격을 두고 있는 지주파이프(10) 4개에 걸쳐지게 고정한다. 이때, 시작하는 쪽의 1번째에 위치하고 있는 지주파이프(10)에 연결파이프(50)에 가로파이프(60)의 시작 부위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2번째와 3번째에 위치하는 지주파이프(10)에서는 가로파이프(60)를 바로 고정하거나, 또는 2번째와 3번째 지주파이프(10)에서 연결파이프(50)를 통과시켜서 연결파이프(50)와 함께 고정할 수 있다. 4번째에 위치하는 지주파이프(10)에서는 가로파이프(60)의 끝 부위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가로파이프(60)에는 지주파이프(10)의 간격에 해당하는 위치에 관통공(62)(63)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을 통해 2번째와 3번째 지주파이프(10)에 가로파이프(60)를 바로 고정할 수 있고, 연결파이프(50)마다 형성된 관통공(51)(52) 과 가로파이프(60)의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공(52)(53)을 일치시켜서 볼트(B3)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4번째 지주파이프(10)에서는 6M 가로파이프(60)의 끝부분을 연결파이프(50)에 삽입하고, 또 다른 6M 가로파이프(60)의 시작 부위를 연결파이프(5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6M 가로파이프(6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지주파이프(10)에 결합하여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적용한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차단망(30)의 맨아래 부위가 지면(W)속에 일정깊이로 매립되도록 설치하여 야생동물이 지면(W)을 파고들어가서 나가게 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지면(W)에는 야생동물이 파고들어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시메트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잡초 차단판을 적용한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울타리가 연속 설치되는 구역에서 주변에 자라고 있는 잡초를 제초작업을 거쳐서 제거한 후, 울타리의 주변의 지면에서 잡초가 자랄 여지를 전혀 두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과 같이 잡초 차단판(40)에서 수직면에 L자 형태로 수직면(45)과 바닥면(46)으로 형성된 차단판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에 L자 차단판의 수직면에 형성된 장공을 일치시켜서 상호간을 결합하며, 이 결합부위는 지주파이프(10)의 결합부재(20A)에 T형 결합홈(21)에 고정된 T형 볼트(B1)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L자 차단판의 바닥판(46)은 지면(W)과 접하도록 하여 지주파이프(10)에 고정함으로써, 특히 자전거 도로에 설치하였을 때 울타리 주변의 지면에서 바닥면(46)으로 잡초는 자랄 수가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적용하여 설치된 울타리의 주변은 잡초가 존재할 수 없다.
도 6에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지주파이프(10)의 일정높이를 두고 가로파이프(60)를 연결하는데, 이때 지주파이프(10)의 일정높이마다 연결파이프(50)를 결합하여 가로파이프(60)를 해당하는 연결파이프(50)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파이프(60) 여러개가 지주파이프(10)의 일정높이를 두고 배열된 형태로 울타리가 이루어진다. 도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파이프(60)가 직선형이 아니라 가로파이프(60)를 원하는 형태(예: 물결형상이 반복되는 형태)로 절곡시킨 것 여러개가 일정높이마다 간격을 두고 배열된 형태로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속하여 설치된 지주파이프(10)에 가로파이프(60)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도 현저하게 단축됨에 따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울타리를 제작하는 공장에서 지주파이프(10), 연결파이프(50), 결합부재(20A), 커버(20B) 및 가로파이프(60) 별로 분체도장을 할 수 있으며, 울타리 시공현장에서는 분체도장된 것을 가지고서 지주파이프(10)에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정하므로, 분체도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서 각 부위별 분체도장에 의하여 도시 미관상 아름다운 외관을 가지는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울타리를 설치한 후에 가로파이프(60)의 일정부위가 파손되거나 휘어진 경우, 예컨대 외부 충격에 의해서 휘어진 경우에는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서 결합부재(20A) 또는 커버(20B)를 분리하고 너트(N)를 풀어서 볼트(B3)를 분리한 다음, 가로파이프(60)를 연결파이프(50)로부터 해체시켜서 새로운 가로파이프(60)로 교체하여 재결합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도 10은 본 고안에 구성된 지주파이프의 상단부에 이정표를 결합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을 적용함에 있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0) 중에서 알맞은 지역에 있는 지주파이프(10)는 높이를 높게 하여 그 상단부에 알려주고자 하는 이정표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의 (가)도면과 같이, 지주파이프(10)의 상단부에서 정면과 배면에 관통공을 천공하여 볼트(B4)에 의하여 이정표 알림판(7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볼트(B4)는 이정표 알림판(70)의 뒤면에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볼트(B4)를 지 주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정면과 배면에 천공시킨 관통공을 통해 결합하고 오목홈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의 (나)도면에서와 같이,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에 T형 볼트(B1)를 이용하여 이정표 알림판(70)을 고정해 놓을 수 있다. 도 10의 (나)도면에서 보여지듯이 이정표 알림판(70)은 도로쪽에서 보여지도록 방향의 면에 알림표시를 할 수 있다.
도 10의 (다)도면과 같이, 지주파이프(10)의 상단부에 이정표 알림판(70)을 끼울 수 있도록 이정표 알림판(70)의 하부에 측판(71)(72)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러한 측판(71)(72)을 지주파이프(10)에 끼워서 한쪽 측판(71)에서 볼트(B4)를 결합하여 다른쪽 측판(72)으로 빠져나온 볼트(B4)의 선단부에 너트(N)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정표 알림판(70)의 측판(71)(72)과 지주파이프(10)에는 볼트(B4)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천공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차단망을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잡초 차단판을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보강대를 이용하여 차단망과 조밀망의 가로방향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적용한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잡초 차단판을 적용한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도 6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구성된 지주파이프의 상단부에 이정표를 결합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지주파이프 12 : 오목홈
15a : 걸림돌기 15b : 걸림홈
20A : 결합부재 21 : T형 결합홈
22 : 걸림홈 30 : 차단망
31 : 결착판 32 : 조밀망
33 : 보강대 34 : 오목홈
35 : 보조대 40 : 잡초 차단판
41 : 장공 43 : 연결판
50 : 연결파이프 51, 61 : 오목부
52, 53, 54, 62, 63 : 관통공 55 : 오목부 안착와셔
60 : 가로파이프 B1 : T형 볼트
B2 : 고정나사 B3, B4 : 볼트
N : 너트 W : 지면
70 : 이정표 알림판

Claims (4)

  1. 외부면을 이루는 배면의 중심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된 지주파이프(10);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끼워져서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T형 결합홈(21)을 가지는 결합부재(20A);
    머리가 직사각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상기 머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T형 볼트(B1);
    야생동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지주파이프(10)의 하부를 차단하는 차단망(30); 및
    상기 T형 볼트(B1)의 나사부가 상기 차단망(30)을 통과하여 너트(N)에 의해 결합되어서 상기 차단망(30)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결착판(3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상부를 따라 도로쪽으로 잡초가 넘어들어오지 못하도록 상부 곡면을 가지면서 수직면으로 연장되며 가로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잡초 차단판(40)이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고정된 결합부재(20A)의 T형 결합홈(21)에 T형 볼트(B1)에 의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의 하부에서 L자 형태로 수직면(45)과 바닥면(46)으로 형성된 차단판이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46)은 지면(W)과 접하도록 상기 잡초 차단판(40)의 수직면과 함께 지주파이프(10)에 고정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12)에서 일치된 위치에는 결합공(13)(14)이 형성되고,
    정면과 배면에서 일치된 위치에 관통공(52)(53)이 형성된 연결파이프(50) 및 정면과 배면에서 일치된 위치에 관통공(62)(63)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정면에서 수평상태로 걸쳐지는 가로파이프(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파이프(60)는 상기 연결파이프(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로파이프(60)의 관통공(62)(63)과 상기 연결파이프(50)의 관통공(52)(53) 및 상기 지주파이프(10)의 결합공(13)(14)을 통과하여 볼트(B3)가 결합되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오목홈(12)에 있는 결합공(14)을 통과한 상기 볼 트(B3)의 선단부에 너트(N)가 체결되어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20090010618U 2009-08-14 2009-08-14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110001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18U KR20110001777U (ko) 2009-08-14 2009-08-14 울타리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18U KR20110001777U (ko) 2009-08-14 2009-08-14 울타리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77U true KR20110001777U (ko) 2011-02-22

Family

ID=4420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18U KR20110001777U (ko) 2009-08-14 2009-08-14 울타리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7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021B1 (ko) * 2011-04-20 2011-09-15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로드킬 방지를 위한 환경친화형 생태통로 유도펜스시설
KR20230049457A (ko) * 2021-10-06 2023-04-13 삼한기술홀딩스 주식회사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중앙형 펜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021B1 (ko) * 2011-04-20 2011-09-15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로드킬 방지를 위한 환경친화형 생태통로 유도펜스시설
KR20230049457A (ko) * 2021-10-06 2023-04-13 삼한기술홀딩스 주식회사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중앙형 펜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RU154895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секция огражд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664661B1 (ko) 동물보호휀스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US20150021532A1 (en) Barrier fence assembly
KR20110001777U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04504Y1 (ko) 동물의 이동이 방지되는 펜스
US20060255327A1 (en) Tubular post and rail fencing system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101067250B1 (ko) 조립식 휀스
JP4597594B2 (ja) 緑化屋根
KR200474866Y1 (ko) 메쉬휀스 설치구조
KR101204913B1 (ko) 조립식 휀스
AU2018223005B2 (en) Post attachment
KR10073089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조경용 방범울타리구조
KR100992055B1 (ko) 동물 안전 유도형 휀스
EP3775441A1 (en) Fence post with attaching means and a modular fencing system
KR101677493B1 (ko) 가드레일용 기능성 보조 펜스
KR200426568Y1 (ko) 능형망 울타리
KR102011492B1 (ko) 가로대의 연결구조가 개선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 조립체
KR100935929B1 (ko) 목재패널이 착탈되는 계단식 법면 블록
RU2005106474A (ru) Забор для защиты от воров
KR101926631B1 (ko) 철책용 식물 오름 방지 구조물
KR100727426B1 (ko) 축사용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