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568Y1 - 능형망 울타리 - Google Patents

능형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568Y1
KR200426568Y1 KR2020060017680U KR20060017680U KR200426568Y1 KR 200426568 Y1 KR200426568 Y1 KR 200426568Y1 KR 2020060017680 U KR2020060017680 U KR 2020060017680U KR 20060017680 U KR20060017680 U KR 20060017680U KR 200426568 Y1 KR200426568 Y1 KR 200426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fixed
fixing ba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건수
Original Assignee
이종현
이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이건수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060017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능형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이며, 그 구성은,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능형망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고정핀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지주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능형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배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면홈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T형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바는 길이방향 상부 측면에 상,하측으로 돌출된 상부결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바를 상기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 및 고정판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판은 중심부에 상기 고정바의 상부결착부의 하측이 걸려지도록 상측을 향해 꺽여진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T형 볼트의 머리가 지주의 T형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의 배면홈내에 밀착되고, 상기 체결판의 상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판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바의 상부결착부의 상측에 맞대어지며, 상기 체결판 및 고정판의 결합공에 결합된 각각의 T형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바가 지주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능형망, 울타리, 지주, 브라켓, T형 결합홈, T형 볼트.

Description

능형망 울타리{Diamond-shaped net fe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평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지주의 상부에 가시철망을 결합하는 구조를 보인 도면,
도 6은 지주의 하부에 보조지주를 결합하는 구조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구성되는 볼트의 일실시예로서, 고정되는 구조를 보인 도면,
도 8은 종래 능형망 울타리의 고정바 결합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11 : 배면홈
12 : T형 결합홈 13 : 능형망
14 : 고정핀 15 : 고정바
16 : 만곡부 17, 18 : 상,하부결착부
20 : 체결판 21a, 21b : 결합공
22a : 걸림부 22b : 만곡걸림부
25, 25A : 고정판 26 : T형 볼트
27 : 너트 10A, 10B : 상부지주
10C : 보조지주 30A, 30B : 연결봉
31 : 가시철망 32 : 덮개
33 : 경첩
본 고안은 특정한 지역에 대한 외부인 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그 지역 가장자리의 경계선을 따라 설치하는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형망을 견고하게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 시공이 간편한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능형망 울타리는 경계선을 따라 여러 개의 지주를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한 후, 이 지주들을 따라서 가는 철사를 그물형태로 엮어서 만든 능형망을 지주와 지주 사이에 고정하여 연결함으로써, 이렇게 각 지주에 결합된 능형망에 의해서 특정지역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울타리이다. 이러한 능형망 울타리는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잇점 때문에 외부인이나 동물 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능형망 울타리의 결합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형망(130)을 지주(100)에 고정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면이 "∩"형태로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양측 선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150)를 이용하여 지주(100)들의 상,하부에 대칭되게, 즉 지주(100)의 상부에는 "∩"형태로, 하부에는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능형망(130)의 상,하단부를 고정핀(140)으로 고정바(150)의 개방된 부위로 밀어넣어서 고정핀(140)의 하단부가 고정바(150)의 양측 만곡부(160)에 탄력적으로 걸려지게 되도록하여 능형망(130)을 고정바(150)의 내부에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능형망(130)을 고정한 고정바(150)를 지주(100)에 고정하는 구조는, 상기 고정바(15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선단부가 절곡된 ㄱ자형 볼트(200)를 지주(100)에 고정하기 위해 지주(100)의 외측면에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천공하는 작업을 하는데, 이때 고정바(150)를 수평상태로 지주(100)와 지주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각 지주(100)의 상,하부에 천공되는 관통공은 지면에서부터 동일한 높이에 천공되어야 하므로 줄자 등을 이용하여 지주(100)의 동일높이에 먼저 표시를 해두는 작업을 한 후, 그 표시부위에 전기드릴 등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하며, 이 관통공에 ㄱ자형 볼트(200)를 삽입하여 지주(100) 뒷편의 관통공으로 돌출되는 나사부위에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바(150)의 외측면을 ㄱ자형 볼트(200)의 만곡부위로 감싸는 구조로 지주(100)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능형망 울타리는, ㄱ자형 볼트(200)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지주(100)의 몸체 뒷편까지 천공작업을 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이 따랐고, ㄱ자형 볼트(200)의 절곡된 부위와 고정바(150)의 외측면과의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설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약한 외부충격에도 고정바(150)가 흔들리게 되고, 흔들리는 고정바(150)와 함께 ㄱ자형 볼트(200)도 같이 흔들리면서 너트가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능형망 울타리는, 지주의 상단부에 가시철망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주로 사용하는 원형파이프를 절단하여 그것을 지주의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하도록 용접하여 'ㄱ' 또는 'Y'형태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용접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지주 하부에서 지주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조지주를 지주 뒷편에 받쳐주는데, 이 보조지주는 지주와 일정거리 떨어진 지면에 매설하고 기울어지게 하여 선단부를 지주에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도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에 천공작업을 하지 않고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식으로 고정바를 고정할 수 있는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주의 상단부에 가시철망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지주를 용접방식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지주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지주 하부에서 지주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받쳐주는 보조지주를 지주에 용접방식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지주에 고정할 수 있는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10)와, 능형망(13)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고정핀(14)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지주(10)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바(15)로 이루어지는 능형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배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면홈(11)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T형 결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바(15)는 길이방향 상부 측면에 상,하측으로 돌출된 상부결착부(17)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바(15)를 상기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20) 및 고정판(25)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판(20)은 중심부에 상기 고정바(15)의 상부결착부(17)의 하측이 걸려지도록 상측을 향해 꺽여진 걸림부(22a)가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1a,21b)을 통해 T형 볼트(26)의 머리가 지주(10)의 T형 결합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10)의 배면홈(11)내에 밀착되고, 상기 체결판(20)의 상부에는 결합공(25a)이 형성된 고정판(25)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바(15)의 상부결착부(17)의 상측에 맞대어지며, 상기 체결판(20) 및 고정판(25)의 결합공에 결합된 각각의 T형 볼트(26)에 너트(27)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바(15)가 지주(1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바(15)는 지주(10)의 배면부에 밀착되는 일측 만곡부(16)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부결착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20)의 걸림부(22a)와 하측 결합공(21b)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15)의 하부결착부(18)가 상측에서 결착되도록 상측으로 절곡된 만곡걸림부(22b)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는,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하는 ㄱ형 또는 Y형의 연결봉(30A),(30B)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봉(30A),(30B)에는 상부지주(10A),(10B)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상부지주(10A),(10B)는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T형 결합홈(12) 위에 가시철망(31)이 놓여져서 고정판(25A)을 이용하여 T형 볼트(26)와 너트(27)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하부 배면측에서 상기 지주(10)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주(10C)를 기울어지게 결합하되, 상기 보조지주(10C)는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10) 및 보조지주(10C)의 T형 결합홈(12)에 T형 볼트(26)와 너트(27)에 의해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는 경첩(3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지주(10)의 배면부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지주(10)의 '전면부'는 능형망에 의해 구분되는 곳의 외측에서 보이는 부위인 즉, 지나가는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부위이고, 지주(10)의 '배면부'는 구분되는 곳의 안쪽에서 보이는 부위를 말하는 것임을 우선 밝혀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지면에 설치되 는 지주(10)와, 지주(10)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능형망(13), 상기 능형망(13)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고정핀(14)에 의해 결합하여 지주(10)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바(15)로 이루어지는 능형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5)를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20) 및 고정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10)의 배면부는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일정깊이로 배면홈(11)이 형성되고, 그 부위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15)는 종래의 고정바(15)의 형태와 거의 유사한데, 즉 단면이 "∩"형태로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양측 선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부(16)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는 동일하나, 지주(10)의 배면부에 밀착되는 상부 측면에는 길이방향 상,하측으로 돌출되게 상부결착부(17)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과, 내부 공간의 양측면에서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리브(도면 부호 미기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15)를 지주(10)의 배면홈(11)에 고정하기 위해서 체결판(20)을 이용하는데, 이 체결판(20)은 그 폭이 지주(10)의 배면홈(11)의 폭과 동일하고, 중심부에는 상측을 향해 꺽여진 걸림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부에는 결합공(21a,2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15)는 지주(10)의 배면부에 밀착되는 일측 만곡부(16)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부결착부(18)를 더 형성하며, 상기 체결판(20)에는 걸림부(22a)와 하측 결합공(21b) 사이에 상기 고정바(15)의 하부결착부(18)가 상측에서 결착되도록 그에 맞게 상측으로 개방되게 둥글게 절곡된 만곡걸림부(22b)를 더 형 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10)의 배면홈(11)의 깊이는 상기 체결판(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판(20)의 상부에 고정하게 되는 고정판(25)은, 체결판(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합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판(25) 및 체결판(20)을 지주(10)의 배면홈(11)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T형 볼트(26)를 사용하는데, T형 볼트는 주로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시킬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써, 볼트의 머리가 직사각형이며 너트(27)로 고정할 때 T형 결합홈(12) 내부에서 90도 회전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구조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체결판(20)의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공(21a,21b)의 뒷쪽에서 각각 T형 볼트(26)를 삽입하여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10)의 배면홈(11)내에 체결판(2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T형 볼트(26)의 머리를 지주(10)의 T형 결합홈(12)에 삽입한 후, 고정바(15)의 상부결착부(17)의 하측과 하부결착부(18)를 체결판(20)의 걸림부(22a)와 만곡걸림부(22b)에 맞추어서 위에서 아래로 결착시키면 그에 따라 상부 결착부(17)의 하측은 걸림부(22a)에 결착되고 하부결착부(18)는 만곡걸림부(22b)에 결착시킨다.
이와 같이 결착한 상태에서 체결판(20)의 하부에 있는 결합공(21b)를 통해 앞쪽으로 빠져나온 T형 볼트(26)의 나사부위에 너트(27)를 체결함과 동시에, 고정판(25)을 체결판(20)의 상부에 맞대어서 체결판(20)의 상부에 있는 결합공(21a)을 통해 고정판(25)의 결합공(25a)의 앞쪽으로 빠져나온 T형 볼트(26)의 나사부위에 너트(27)를 체결하여 T형 볼트(26)의 머리를 T형 결합홈(12)내에서 90도 회전하게 되면, 고정판(25)의 하단부와 체결판(20)의 걸림부(22a)에 의해 고정바(15)의 상부결착부(17)가 고정되고, 고정바(15)의 하부결착부(18)도 함께 체결판(20)의 만곡걸림부(22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체결판(20)은 지주(10)의 배면홈(11)내에 밀착되어 배면부의 표면과 일치하게 되며 배면홈(11)내에서 좌,우측로는 유동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고정바(15)의 상,하부결착부(17, 18)가 고정판(25)의 하단부와 체결판(20)의 걸림부(22a) 및 만곡걸림부(22b)에 의해서 결착되므로 그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되어 어떠한 외부충격에도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T형 볼트(26)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T형 볼트(26)의 머리를 지주(10)의 T형 결합홈(12)에 밀어넣은 상태에서 체결판(20)과 고정판(25)에서 너트(27)를 돌려서 조이면 T형 볼트(26)의 머리가 T형 결합홈(12) 내부에서 너트(27)를 돌리는 방향과 같이 회전하여 T형 결합홈(1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T형 볼트(26)의 머리가 회전하여 걸려져서 고정되며, 최종적으로 너트(27)를 끝까지 돌려서 확실하게 고정판(25)을 고정시키게 된다.(도 4 참조) 이하에서는 여러 부위에 적용하는 T형 볼트(26)의 결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고정바(15)를 체결판(20) 및 고정판(25)을 이용하여 지주(10)에 고정한 다음, 능형망(13)을 고정바(15)에 고정핀(14)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능형망 울타리의 설치가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고정바(20)들을 수평상태가 되도록 연결함에 있어, 고정판(25) 및 체결판(20)의 상,하측에 고정되어 있는 T형 볼트(26)의 너트(27)를 살짝 풀어주면, T형 볼트(26)가 T형 결합홈(12)내에서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위아래로 고정바(15)를 결착한 상태인 체결판(20)을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연속적으로 지주에 연결되는 고정바(15)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지주의 동일높이에 결합공을 천공하기 위해서 그곳에 표시를 하는 작업과 천공작업 등의 일렬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연속적으로 각 고정바의 수평상태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지주의 상부에 가시철망을 결합하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가 주요 보안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지주(10)의 상단부에 가시철망(31)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지주(10A),(10B)를 종래의 용접방식이 아닌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하는 ㄱ형 또는 Y형의 연결봉(30A),(30B)을 T형 볼트(26)에 의해 지주(10)에 고정하고, 상기 연결봉(30A),(30B)에는 상부지주(10A),(10B)를 삽입하는데, 상기 상부지주(10A),(10B)는 지주(10)로 사용하는 것 을 절단한 것으로 그 형태가 지주(10)와 동일한데, 즉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고, 이 T형 결합홈(12) 위에 가시철망(31)이 놓여져서 고정판(25A)을 이용하여 T형 볼트(26)와 너트(27)에 의해 가시철망(31)을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연결봉(30A),(30B)은 ㄱ형 또는 Y형으로 그 몸체가 일체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이러한 연결봉은 연결하게 되는 지주(10)와 상부지주(10A),(10B)의 외측면 형상에 맞게 그 내측면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를 좌,우 분할되는 형태로 제작하여 좌,우 분리된 몸체를 서로 맞대어서 볼트(B)로 고정함으로써 ㄱ형 또는 Y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시철망(31)을 고정하는 고정판(25A)은 상부지주(10A),(10B) 길이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개(도면에는 1개만 도시됨)를 고정하여 상부지주의 상측부를 따라 놓여지는 가시철망(31)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2)는 덮개로서, 빗물 등이 지주(10)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지주(10)의 하부에 보조지주(10C)를 결합하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지주(10)의 배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주(10C)를 종래의 용접방식이 아닌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 보조지주(10C)는 기울어지게 지면에 매설되어서 지주(10)의 일측에서 받쳐주는 것으로, 상기 보조지주(10C)도 상부지주(10A),(10B)와 마찬가지로 지주(10)로 사용하는 것을 절단한 것으로 그 형태가 지주(10)와 동일하다. 즉, 길이 방 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10)와 보조지주(10C)의 선단부 사이에는 경첩(33)이 결합되는데, 이 경첩(33)의 일측은 지주(10)의 T형 결합홈(12)에, 타측은 보조지주(10C)의 T형 결합홈(12)에 T형 볼트(26)와 너트(27)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경첩(33)을 사용하는 이유는, 기울어지게 지면에 매설을 한 상태인 보조지주(10C)의 기울기에 맞도록 경첩(33)을 절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리라, 그와 반대로 경첩(33)을 지주(10)와 보조지주(10C)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보조지주(10C)를 알맞는 기울기로 매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조지주(10C)의 기울기를 지주(10)의 T형 결합홈(12)에 결합된 T형 볼트(26)가 체결되어 있는 너트(27)를 살짝 풀어주면, 지주(10)의 T형 결합홈(12)내에서 위아래로 T형 볼트(26)를 이동시켜서 보조지주(10C)를 적정한 기울기가 되도록 하여 지면에 매설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구성되는 볼트의 일실시예로서, (가)는 분리사시도 (나)는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볼트는 상기 T형 볼트(26)와 같이 머리가 'T'형이 아니라 'ㄱ'형이며 꺽여진 걸림돌기(26b)가 형성된 볼트(26a)이고, 지주(10)의 결합홈(12a)도 상기 볼트(26a)의 형태와 같게 'ㄱ'형으로 형성되어 볼트(26a)의 머리가 결합홈(12a)내에서 회전하여 걸림돌기(26b)가 걸려질 수 있도록 일측에 걸림돌기(12b)가 형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에 별도의 천공 작업을 하지 않고도 조립식으로 고정바를 수평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지주에 고정바를 체결판 및 고정판에 의해서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지주의 상단부에 가시철망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지주를 용접방식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지주 하부에서 지주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주를 지주에 용접방식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지주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되는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렇게 능형망 울타리를 용접공정이 거의 없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이 짧아져 그에 따른 인건비를 낮출 수 있게 됨에 따라 시공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천공 및 용접에 필요한 장비 등이 시공 현장에 없으므로 보다 넓은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을 하는데 매우 편리한 잇점도 있다.

Claims (4)

  1.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10)와, 능형망(13)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고정핀(14)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지주(10)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바(15)로 이루어지는 능형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배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면홈(11)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T형 결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바(15)는 길이방향 상부 측면에 상,하측으로 돌출된 상부결착부(17)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바(15)를 상기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20) 및 고정판(25)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판(20)은 중심부에 상기 고정바(15)의 상부결착부(17)의 하측이 걸려지도록 상측을 향해 꺽여진 걸림부(22a)가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1a,21b)을 통해 T형 볼트(26)의 머리가 지주(10)의 T형 결합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10)의 배면홈(11)내에 밀착되고,
    상기 체결판(20)의 상부에는 결합공(25a)이 형성된 고정판(25)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바(15)의 상부결착부(17)의 상측에 맞대어지며,
    상기 체결판(20) 및 고정판(25)의 결합공에 결합된 각각의 T형 볼트(26)에 너트(27)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바(15)가 지주(1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5)는 지주(10)의 배면부에 밀착되는 일측 만곡부(16)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부결착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20)의 걸림부(22a)와 하측결합공(21b)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15)의 하부결착부(18)가 상측에서 결착되도록 상측으로 절곡된 만곡걸림부(22b)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는,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하는 ㄱ형 또는 Y형의 연결봉(30A),(30B)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봉(30A),(30B)에는 상부지주(10A),(10B)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상부지주(10A),(10B)는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T형 결합홈(12) 위에 가시철망(31)이 놓여져서 고정판(25A)을 이용하여 T형 볼트(26)와 너트(27)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상기 지주(10)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주(10C)를 기울어지게 결합하되,
    상기 보조지주(10C)는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10) 및 보조지주(10C)의 T형 결합홈(12)에 T형 볼트 (26)와 너트(27)에 의해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는 경첩(3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KR2020060017680U 2006-06-30 2006-06-30 능형망 울타리 KR200426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80U KR200426568Y1 (ko) 2006-06-30 2006-06-30 능형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80U KR200426568Y1 (ko) 2006-06-30 2006-06-30 능형망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568Y1 true KR200426568Y1 (ko) 2006-09-13

Family

ID=4177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80U KR200426568Y1 (ko) 2006-06-30 2006-06-30 능형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5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60B1 (ko) 2007-02-01 2008-03-17 주식회사 부창기술 능형망 처짐 방지 펜스
KR101003478B1 (ko) 2008-04-22 2010-12-30 정기관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KR101006388B1 (ko) 2007-12-10 2011-01-10 박준남 펜스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60B1 (ko) 2007-02-01 2008-03-17 주식회사 부창기술 능형망 처짐 방지 펜스
KR101006388B1 (ko) 2007-12-10 2011-01-10 박준남 펜스고정장치
KR101003478B1 (ko) 2008-04-22 2010-12-30 정기관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US6499725B2 (en) Fence rail and post assembly
KR200426568Y1 (ko) 능형망 울타리
US7389573B2 (en) Method of retrofit installation of a portable swimming pool barrier fence
US7216853B2 (en) Solid barrier system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101028861B1 (ko) 아치형 차양용 브라켓트와 이를 이용한 아치형 차양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US2327311A (en) Fence structure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200496837Y1 (ko) 철망 펜스 기둥 고정용 기초 구조체
KR102221830B1 (ko) 울타리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20130026895A (ko) 각도조절형 펜스
KR200427037Y1 (ko) 능형망 울타리
KR101990409B1 (ko)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KR200494417Y1 (ko) 거리 및 각도조절형 비계수평재
KR200370432Y1 (ko) 가설방음벽 및 휀스용 조립지주
KR20110001777U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254959Y1 (ko) 휴대용 조립식 방갈로
JP2000034731A (ja) 木 柵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537226B1 (ko) 철책
KR101172770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2156271B1 (ko) 울타리망 마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