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548U -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548U
KR20110000548U KR2020090008996U KR20090008996U KR20110000548U KR 20110000548 U KR20110000548 U KR 20110000548U KR 2020090008996 U KR2020090008996 U KR 2020090008996U KR 20090008996 U KR20090008996 U KR 20090008996U KR 20110000548 U KR20110000548 U KR 201100005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xercise
guide pulley
coupl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박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현 filed Critical 박광현
Priority to KR2020090008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548U/ko
Publication of KR20110000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운동기구는 단순하게 한 방향으로 반복 동작을 행하는 운동에 불과하여 운동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팔의 운동을 행하되 그 팔을 변경 가능한 각도에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하고,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운동 강, 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운동기구, 운동 장치, 헬스기구, 상체 운동기구, 팔 운동기구.

Description

운동장치{A Physical outfits}
본 고안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팔을 포함한 상체를 효과적으로 운동하기 위한 상체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 센타 또는 가정에서 운동을 하기 위한 여러가지 종류의 운동기구가 선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상체, 하체등으로 나누어진 운동기구와 또상, 하체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단순하게 한 방향으로 반복 동작을 행하는 운동에 불과하여 운동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팔을 통한 상체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팔을 한 방향으로 만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행하기 때문에 운동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팔의 운동을 행하되 그 팔을 변경 가능한 각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하여 운동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하고,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운동 강, 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에 발 운동을 포함한 하체 운동을 행하기 위한 하체 운동기구에 팔을 포함한 상체 운동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운동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가능하였다.
이는 앉거나 운동 누은 자세에서 다리와 하체 운동을 행하는 하체 운동기구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동바를 구성하되, 이 회동바는 원호방향을 따라 삽입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있는 각도조절판에 축 결합하여 상기 어떤 삽입공을 선택하는 가에 따라 회동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팔 운동각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줄을 느슨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거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운동장치는 운동하고자 하는 팔 각도의 변경을 행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운동 각도의 변경 즉, 팔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 운동 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또한 운동의 강, 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선택적인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받침대(5)와 후방받침대(6)사이에 연결대(7)로 고정하고, 상기 연결대(7)에 결합된 받침대(11)에는 머리 받침대(3), 등받이(1) 및 의자(2)를 결합하고 있으면서 상기 의자(2)의 전방에 한쌍의 발걸이대(4)를 고정하고, 상기 전방받침대(5)의 상부는 힌지(8)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9)의 하단에 한쌍의 발걸이대(10)가 결합된 하체 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호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삽입공(21)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각도조절판(20)을 각각 고정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판(20)에는 회동축(22)을 설치하여 상기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회동바(23)를 축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동바(23)의 일단에는 조절손잡이(50)와 결합된 작동바(51)가 상기 회동바(23)을 관통하여 끝단(51-1)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51)의 중간에는 걸림바(52)가 설치되어서 상기 걸림바(52)와 상기 회동바(23)의 내측을 지지 하도록 스프링(53)이 설치되어 상기한 스프링(53)은 상기 삽입공(21)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23)의 일측면에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조절공(80)이 형성하고, 상기 회동바(23)의 일측면 하단에는 회동가능한 제1회전안내도르레(6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안내도르레(60)의 이면 상단에는 회동가능한 제2회전안내도르레(61)와 상기 회전안내도르레(60)의 이면에는 힌지축(62)에 의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도르레커버(63)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제3회전안내도르레(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줄(72)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줄(72)을 상기 제1회전안내도르레(60)와 상기 회동바(2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회전안내도르레(61) 및 제3회전안내도르레(64)를 통과하도록한 상태에서 그 한단에는 손잡이(70)와 타단에는 걸림고리(71)를 각각 고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걸림고리(71)는 상기 다수의 조절공(80)을 선택하여 걸리게 하고,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도르레커버(63)에 걸리도록 하여 한방향으로 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운동법 즉,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손을 사용하여 팔운동을 겸하여 상체 운동을 행하는 것이여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구성은 모두 한쌍으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고, 아래의 작동에서는 그 한쪽에 대하여 설명하여도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충분할 것이므로 어느 한쪽의 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운동을 행하기 위하여 어떠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운동을 행할 것인가를 선택한 다음, 상기한 조절손잡이(50)을 당기게 되면, 이에 결합된 상기 작동바(51)가 걸림바(52)와 함께 스프링(53)을 상기 회동바(23)의 내측을 압압 수축되면서 후진하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바(51)의 걸림끝단(51-1)이 상기 회동바(23)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각도조절판(20)에 구성된 다수개의 삽입공(21)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상기에서 당기고 있는 조절손잡이(50)을 놓게되면 상기에서 수축하고 있던 스프링(53)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상기한 걸림끝단(51-1)이 상기에서 선택한 삽입공(21)에 삽입되게 된다.
즉, 운동자가 어떠한 각도에서 운동을 행하는가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전체적으로 보면, 상기한 회동바(23)가 각도조절판(20)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동자가 상기 의자(2)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등받이(1) 및 머리는 머리 받침대(3)에 두고, 팔을 벌려서 각각의 손잡이(70)을 잡고 당기는 운동을 행한다.
이렇게 손잡이(70)을 당기게 되면, 이에 결합된 상기 탄성줄(72)을 늘리는 작용을 행하게 되고, 또한 이를 놓게 되면 늘어난 탄성줄(72)이 줄어들게 하고 다시 당기는 운동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운동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운동자의 운동 체력에 따라 상기한 탄성줄(72)을 느슨하게 하거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운동의 강, 약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운동체력이 떨어지는 운동자 또는 가벼운 운동을 행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탄성줄(72)를 느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운동을 행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탄성줄(72)의 한단에 고정된 걸림고리(71)를 상기 다수의 조절공(80)에서 탄성줄(72)의 길이를 따라 상기 손잡이(70)와 가까운 것을 선택하면 상기 탄성줄(72)는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운동을 행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강한 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탄성줄(72)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운동을 행하여야 하므로 상기 다수의 조절공(80)에서 탄성줄(72)의 길이를 따라 상기 손잡이(70)와 멀리 위치한 조절공(80)을 선택하여 걸림고리(71)을 걸면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즉, 손잡이(70)를 잡고 탄성줄(72)을 당기거나 놓게 되면, 상기한 탄성줄(72)은 상기 제1회전안내도르레(60), 상기 회동바(23)의 내부, 상기 제2안내도르레(61)와 제3회전안내도르레(64)의 안내와 이들을 통과하면서 운동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제1회전안내도르레(60), 상기 제2안내도르레(61)와 제3회전안내도르레(64)는 탄성줄(72)이 왕복으로 이동하면서의 회동바(23)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 방향이 전환되므로 이를 위하여 용이하게 방향전환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회동바(23)의 내부를 통과시키는 것은 탄성줄(72)의 길이를 최대로 길게하여 운동자의 운동 강, 약 선택폭을 늘리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운동은 첨부한 도면에서와 같이, 한쌍의 회동바(23)의 각도를 각도조절판(20)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삽입공(21)중에서 어떠한 것을 선택하여 고정하는 가에 따라 그 각도의 변경을 행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운동 각도의 변경 즉, 팔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 운동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을 알 수 있고, 또한 운동의 강, 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선택적인 운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종래의 운동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전체 개략도,
도 3 내지 도 7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참고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각도에 따라 운동을 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이 설명〉
1 : 등받이 2 : 의자
10 : 발걸이대 11 : 받침대
20 : 각도조절판 23 : 회동바
50 : 조절손잡이 50 : 조절공
70 : 손잡이 71 : 걸림고리

Claims (4)

  1. 전방받침대(5)와 후방받침대(6)사이에 연결대(7)로 고정하고, 상기 연결대(7)에 결합된 받침대(11)에는 머리 받침대(3), 등받이(1) 및 의자(2)를 결합하고 있으면서 상기 의자(2)의 전방에 한쌍의 발걸이대(4)를 고정하고, 상기 전방받침대(5)의 상부는 힌지(8)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9)의 하단에 한쌍의 발걸이대(10)가 결합된 하체 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호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삽입공(21)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각도조절판(20)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판(20)에는 회동축(22)을 설치하여 상기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회동바(23)를 축 결합하고,
    상기 회동바(23)의 일단에는 각각 조절손잡이(50)와 결합된 작동바(51)가 상기 회동바(23)을 관통하여 끝단(23-1)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작동바(51)의 중간에는 걸림바(52)가 설치되어서 상기 걸림바(52)와 상기 회동바(23)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스프링(53)이 설치되어 상기한 스프링(53)은 상기 삽입공(21)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바(23)의 일측면에는 조절공(80)을 형성하여 상기 조절공(80)에 걸림고리(71)가 고정되면서 타단에 손잡이(70)를 결합하고 있는 탄성줄(72)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공(80)은 회동바(23)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3)의 일측면 하단에는 회동가능한 제1회전안내도르레(6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안내도르레(60)의 이면 상단에는 회동가능한 제2회전안내도르레(61)와 상기 회전안내도르레(60)의 이면에는 힌지축(62)에 의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도르레커버(63)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제3회전안내도르레(6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72)이 제1회전안내도르레(60)와 상기 회동바(2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회전안내도르레(61) 및 제3회전안내도르레(64)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KR2020090008996U 2009-07-10 2009-07-10 운동장치 KR201100005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96U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09-07-10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96U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09-07-10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48U true KR20110000548U (ko) 2011-01-18

Family

ID=4420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996U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09-07-10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54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62Y1 (ko) 2017-06-16 2017-08-29 김건배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KR101959995B1 (ko) 2018-09-17 2019-03-19 김건배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62Y1 (ko) 2017-06-16 2017-08-29 김건배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KR101959995B1 (ko) 2018-09-17 2019-03-19 김건배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700B2 (en) Waist twisting station
TWM522050U (zh) 腰腹運動健身椅
TWM460690U (zh) 運動拉繩結構
JP2008508928A (ja) シットアップボード
US8617038B2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32040A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110000548U (ko) 운동장치
CN108905079A (zh) 基于恒转矩控制的电机配重式上肢健身器械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101410686B1 (ko) 복합운동기구
US20110015047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110016539A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0953501B1 (ko) 운동기구
WO2014139336A1 (zh) 运动拉绳结构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KR100856072B1 (ko) 전신 운동기구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20160028714A (ko) 다기능 운동기구
CN111111104A (zh) 用于健美操训练的韧带拉伸装置
KR101481598B1 (ko) 강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