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686B1 - 복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686B1
KR101410686B1 KR1020130042487A KR20130042487A KR101410686B1 KR 101410686 B1 KR101410686 B1 KR 101410686B1 KR 1020130042487 A KR1020130042487 A KR 1020130042487A KR 20130042487 A KR20130042487 A KR 20130042487A KR 101410686 B1 KR101410686 B1 KR 10141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backrest
saddl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현
Original Assignee
(주)이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아이 filed Critical (주)이노아이
Priority to KR102013004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3B2022/0079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with a pulling c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운동기구는,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는 무릎 지지바가 구비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를 갖는 제 1몸체;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 발목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 1결합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운동부;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에는 안장고정부와 등받이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 2몸체; 상기 안장 고정부에 결합되는 안장; 상기 등받이 고정부에 결합되는 등받이;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상하운동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지지대를 가지고 그 양단에 회전가능한 페달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상기 제 1프레임의 전면 상부의 제 2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운동기구{COMBINATION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부 와 하체운동을 하나의 기구에서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신체의 한 부위 운동에 적합하도록 특화되어 있다. 팔운동을 위한 아령, 허리운동을 위한 트위스트 운동기, 복원력을 이용한 복부 운동기, 하체운동을 위한 자전거 등 하나의 기구로 하나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운동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다양해져 소비자는 두가지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운동기구를 선호하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이 가장 운동이 필요한 부위로 복부와 하체를 꼽는데, 이 부위는 장시간에 걸쳐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운동을 지속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운동을 위해 별도의 시간과 장소를 내기 어려운 현대인들은 가정용 운동기구를 선호한다. 무겁고 부피가 큰 운동기구는 이동이 불편하고 장소를 많이 차지해 가정용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처럼,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부피가 크지 않으면서, 비 사용시에는 부피를 최소할 수 있도록 수납이 용이한 운동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부와 하체 운동이 한 기구에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개별 실시할 수 있는 복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운동기구의 비사용 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는 무릎 지지바가 구비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를 갖는 제 1몸체,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 발목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 1결합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운동부,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에는 안장고정부와 등받이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 2몸체, 상기 안장 고정부에 결합되는 안장; 상기 등받이 고정부에 결합되는 등받이,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상하운동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지지대를 가지고 그 양단에 회전가능한 페달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상기 제 1프레임의 전면 상부의 제 2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회전운동부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제 1프레임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운동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운동부는 회전력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받이를 미는 동작에 의해 탄성체로부터 복원력을 인가받아 최초 위치로 손쉽게 복원하게 되고, 페달을 회전시킴으로써 복근운동과 하체운동이 한 운동기구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호 작용하지 않도록 작동구조를 분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동시 또는 개별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운동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운동기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운동기구(100)는, 제 1몸체(110)와, 제 2몸체(120), 상하운동부(130), 탄성부재(140), 안장(160), 등받이(170) 및 회전운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몸체(110)는, 제 1프레임(111), 제 1결합부(112), 제 2결합부(113) 및 무릎 지지바(114)를 포함한다.
제 1프레임(110)은 하부가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된 상부에는 제 1결합부(112)와 제 2결합부(113)가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그 양쪽으로는 무릎 지지바(114)가 구비되고, 제 1프레임(110)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116) 구비된다.
또한, 제 1프레임(111)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상체운동을 할 수 있게 장력벨트(11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결합부(112)에는 회전운동부(150)의 지지대(151)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다. 이때 제 1결합부(112)에는 하나의 메인고정홀(112a)과 메인고정홀(112a)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서브고정홀(112b)을 마련한다. 사용자는 지지대(151)의 상부홀(미도시)을 메인고정홀(112a)에 핀고정하고, 복수개의 서브고정홀(112b) 중 하나를 선택해 지지대(151)의 하부홀(미도시)과 핀고정함에 따라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회전운동부(150)는 제 1결합부(112)에 결합된 지지대(151)와, 지지대(151)의 일단부에 마련된 회전력 조절부(153)와 회전력 조절부(153)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페달(152)로 구성된다.
지지대(151)는 길이 방향으로 제 1결합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메인프레임(151c)과, 지지대 메인프레임(15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서브프레임(151d)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대 메인프레임(151c)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메인관통홀(151e)이 형성되고, 지지대 서브프레임(151d)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는 하나의 서브관통홀(151f)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메인관통홀(151e) 중 하나와 서브관통홀(151f)을 일치시켜 핀고정 함으로써 길이를 조정한다.
회전력 조절부(153)는 회전력 조절부(153)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력 조절볼트(153a)로 회전마찰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결합부(113)에는 주고정홀(113a)에 한쌍의 상하운동부(130)가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 비사용시에는 고정할 수 있도록 제 2결합부(113)에 보조고정홀(113b)를 구비하여 상하운동부(130)와 핀결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운동부(130)는 대칭되는 형상의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주고정홀(113a)과 핀결합되는 홀(미도시)과, 보조고정홀(113b)에 핀결합되는 홀(미도시)이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하운동부(130)는 길이방향의 하단에는 발목지지바(131)로 구성된다.
탄성부재(140)는, 제 1프레임(111)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하운동부(130)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마련된 고정부(132)에 결합된다.
이때, 탄성부재(140)의 제 1프레임(111)의 양측면 하부에 마련된 롤러(117)를 경유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복수개의 고리(116) 중 어느 하나에 선택해 탄성부재(140)를 부착함으로써 상하운동장치(130)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몸체(120)는 제 2프레임(121)과 안장 고정부(122)와 등받이 고정부(123)로 구성된다.
제 2프레임(121)은 하부가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된 상부는 제 1프레임과 결합되고, 하단에는 스프링 부착을 위한 걸림고리(124)를 마련한다.
안장 고정부(122)는 상부에 형성된 안장 회전홀(122a)과 안장 회전홀(122a)의 수직 측면에 마련된 안장 고정홀(122b)로 구성되어 안장을 결합시킨다.
안장(160)은 하단에 고정결합된 회전핀(161)으로 안장 회전홀(12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안장 고정홀(122b)에 구비된 볼트를 조이면 볼트가 회전핀(161)을 누름으로써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등받이 고정부(123)은 안장 고정부(122)의 후측에 구비되고, 폭방향으로 등받이 회전홀(123a)과 등받이 회전홀(123a)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등받이 고정홀(123b)로 구성되어 등받이(170)를 결합시킨다.
등받이(170)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홀(미도시)을 등받이 회전홀(123a)과 일치시켜 핀고정하면 등받이(170)는 자유롭게 회전한다.
또 등받이 고정홀(123b) 중 하나에 핀을 삽입하면 등받이(170)가 핀에 의해 걸림으로써 회전이 제한되고, 등받이 고정홀(123b)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고정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등받이(170)는 등지지대(171), 등지지대(171)의 상부에 구비된 머리지지대(172), 등지지대(171)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 조절부(173)를 포함한다.
등지지대(171)는 등받이 고정부(123)에 결합된다.
탄성조절부(173)는 등지지대(171)의 하단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173a)가 마련되어 스프링(174)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프레임(121)의 걸림고리(124)와 등지지대(171)의 탄성조절부(173)는 스프링(174)으로 상호연결되고, 등지지대(171)를 후방으로 밀면 등받이 회전홀(123a)에 결합된 핀을 중심으로 탄성조절부(173)가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스프링(174)에 의해 복원력을 받는다.
이때, 사용자가 탄성조절부(123c)의 복수개의 돌기(173a) 중 어느 하나의 돌기를 선택해 스프링(174)을 부착함으로써 등받이(170)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복합운동기구(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돕는다.
먼저, 제 2결합부(113)의 홀과 상하운동부(130)의 홀에 핀을 삽입하여 상하운동부(130)를 고정한다. 상하운동장치(1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발목 지지바(131)에 사용자의 발목을 위치시키고, 무릎지지바(114)에 사용자의 무릎 안쪽을 위치시킨 후 윗몸 일으키기를 통해 복근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2결합부(113)의 홀과 상하운동장치(130)의 홀에 삽입된 핀을 제거한 후 발목 지지바(131)에 지지된 사용자의 발목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하체를 강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 1프레임(111)의 복수개의 고리(116)중 하나에 탄성부재(140)를 부착함으로써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장력 벨트(115)의 당김 작업을 통해 상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또다른 하체운동으로써, 사용자는 회전운동부(150)를 제 1결합부(112)의 메인고정홀(112a)과 서브고정홀(112b)에 핀결합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회전운동부(150)의 페달(152)에 발을 삽입하여 회전함으로써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회전력 조절부(153)의 조절 볼트(153a)를 이용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운전부(150)는 핀을 제거하면 분리가 가능해 비사용시에는 분리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운동기구(10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 근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운동기구(100)는, 복부와 하체 운동 장치를 한 기구에 마련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개별 실시할 수 있으며, 비사용시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 1몸체 140: 탄성부재
111: 제 1프레임 150: 회전운동부
112: 제 1결합부 151: 지지대
113: 제 2결합부 152: 페달
114: 무릎 지지바 153: 회전력조절부
115: 장력벨트 160: 안장
116: 고리 161: 회전핀
117: 롤러 170: 등받이
120: 제 2몸체 171: 등지지대
121: 제 2프레임 172: 머리지지대
122: 안장 고정부 173: 탄성 조절부
123: 등받이 고정부 174: 스프링
124: 걸림고리
130: 상하운동부
131: 발목 지지바
132: 고정부

Claims (5)

  1.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는 무릎 지지바가 구비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를 갖는 제 1몸체;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 발목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 1결합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운동부;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에는 안장고정부와 등받이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 2몸체;
    상기 안장 고정부에 결합되는 안장;
    상기 등받이 고정부에 결합되는 등받이;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상하운동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지지대를 가지고 그 양단에 회전가능한 페달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상기 제 1프레임의 전면 상부의 제 2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제 1프레임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회전력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KR1020130042487A 2013-04-17 2013-04-17 복합운동기구 KR10141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87A KR101410686B1 (ko) 2013-04-17 2013-04-17 복합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87A KR101410686B1 (ko) 2013-04-17 2013-04-17 복합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686B1 true KR101410686B1 (ko) 2014-06-24

Family

ID=5113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487A KR101410686B1 (ko) 2013-04-17 2013-04-17 복합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87Y1 (ko) 2014-12-05 2015-11-16 문건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N107625617A (zh) * 2017-11-03 2018-01-26 河南科技大学第附属医院 一种神经内科检查及锻炼用的椅子
KR101864064B1 (ko) * 2017-01-06 2018-06-01 구경식 다기능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57B1 (ko) 2009-08-06 2012-05-03 김재범 상하체 운동이 가능한 헬스 자전거
KR101164166B1 (ko) 2010-09-17 2012-07-11 김재범 상체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57B1 (ko) 2009-08-06 2012-05-03 김재범 상하체 운동이 가능한 헬스 자전거
KR101164166B1 (ko) 2010-09-17 2012-07-11 김재범 상체운동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87Y1 (ko) 2014-12-05 2015-11-16 문건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101864064B1 (ko) * 2017-01-06 2018-06-01 구경식 다기능 운동기구
CN107625617A (zh) * 2017-11-03 2018-01-26 河南科技大学第附属医院 一种神经内科检查及锻炼用的椅子
CN107625617B (zh) * 2017-11-03 2019-07-09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神经内科检查及锻炼用的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445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160346598A1 (en) Exercise apparatus
US881476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100783744B1 (ko) 하체운동기구
US20110294633A1 (en) Exercise apparatus
US9789347B2 (en) Folding exercise chair for resistance training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US10272289B2 (en)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US9474928B1 (en) Treadmill with folding overhead handlebar assembly
TWM522050U (zh) 腰腹運動健身椅
US9907994B1 (en) Treadmill with folding overhead handlebar assembly
AU201727291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KR101410686B1 (ko) 복합운동기구
KR20090094588A (ko)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KR101390876B1 (ko) 운동 장치
KR101410899B1 (ko) 힙업 운동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351985B1 (ko) 힙업 운동기구
US6733429B2 (en) Multi-mode exerciser
KR101870101B1 (ko) 로만 체어로 변형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CN111790097A (zh)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1325388B1 (ko) 맴돌이 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스트레칭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