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166B1 - 상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상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166B1
KR101164166B1 KR1020100091897A KR20100091897A KR101164166B1 KR 101164166 B1 KR101164166 B1 KR 101164166B1 KR 1020100091897 A KR1020100091897 A KR 1020100091897A KR 20100091897 A KR20100091897 A KR 20100091897A KR 101164166 B1 KR101164166 B1 KR 10116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bar
cush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821A (ko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범 filed Critical 김재범
Priority to KR102010009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66B1/ko
Priority to PCT/KR2010/006455 priority patent/WO2012036332A1/ko
Publication of KR2012002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63B21/4031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with parts of the bench moving against a resistanc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8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elbow j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쿠션이 끼움 고정되는 지지바가 일체로 결합된 제1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 한 쌍의 회동힌지편이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회동힌지편에 회동가능하게 회동바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걸림쿠션이 끼움 고정되는 걸림바가 포함되어 걸림쿠션쪽이 상하로 회동되되 회동힌지편과 회동바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결합되면 회동바의 회동이 제한되는 회동부와, 상기 제1프레임에 접철가능하게 제2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받이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는 쿠션부와, 상기 지지부와 회동부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굴림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에 교차되게 걸림되며 양 끝단이 회동바와 제1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가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가 포함된 텐션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이 결합됐을 경우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에 다리를 고정시켜 싯업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핀을 제거하면 밴드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운동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동작의 변화나 운동기구의 교체없이 손쉽게 단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체운동기구{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상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의 운동기구로 복부뿐만 아니라 팔, 가슴과 같이 상체를 골고루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상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복잡 다변화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매연, 소음 등과 같은 주위환경적 요인으로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이 나약해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렇게 쌓인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술이나 담배 등과 같은 기호식품을 지나치게 가까이하게 되는데 이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육체나 정신에 더욱 손상을 입히는 역효과를 초래하였다.
그렇다고 산책이나 조깅 등 다른 운동을 하기에는 시간이나 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헬스장이나 운동시설 등과 같이 실내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기구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 몸짱 열풍을 불러일으키며 식스팩 복근을 갖기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복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좁은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많이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복근을 강화하는 운동기구로는 싯업운동기구(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가 있다. 이러한 싯업운동기구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패널형 등받이에 등을 대고 발등을 쿠션에 거치하여 지지한 다음에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허리를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면서 복근등과 같은 신체 근육을 단련하는 기구이다.
위와 같이 헬스장이나 운동시설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종래의 상체운동기구 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금을 받쳐주는 지지쿠션 3이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을 고정하는 걸림쿠션 5이 하부에 설치된 지지바 7와, 상기 지지바 7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9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싯업운동기구는 복근 전체 특히 상복부를 단련하는 운동기구로 하복부를 단련하기 어려워 하복부를 단련하기 위해서는 다른 운동기구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장소가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근력이 약한 사용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지지쿠션과 걸림쿠션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와 같은 싯업운동기구는 단순히 복근만을 강화하는 운동기구이므로 다른 부분에는 별로 운동효과가 없고, 또한 다리운동만 하는 단순 반복운동이기 때문에 흥미 유발이 되지 않아 운동을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걸림쿠션과 지지쿠션이 고정된 프레임과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접철되지 않아 실내에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싯업운동을 통해 복근 전체 특히 상복부의 단련뿐만 아니라 간단한 작동만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싯업운동시 등받이의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근력이 약한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순히 복근만을 강화할 수 있지 않고 가슴과 팔 등과 같이 상체를 골고루 단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프레임과 등받이가 접철가능하도록 하여 실내에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금을 받쳐주는 지지쿠션이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을 고정시키는 걸림쿠션이 하부에 설치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가 포함된 상체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쿠션이 끼움 고정되는 지지바가 일체로 결합된 제1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 한 쌍의 회동힌지편이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회동힌지편에 회동가능하게 회동바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걸림쿠션이 끼움 고정되는 걸림바가 포함되어 걸림쿠션쪽이 상하로 회동되되 회동힌지편과 회동바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결합되면 회동바의 회동이 제한되는 회동부와, 상기 제1프레임에 접철가능하게 제2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받이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는 쿠션부와, 상기 지지부와 회동부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굴림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에 교차되게 걸림되며 양 끝단이 회동바와 제1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가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가 포함된 텐션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이 결합됐을 경우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에 다리를 고정시켜 싯업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핀을 제거하면 밴드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운동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된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위치되며 각도조절수단이 마련되어 단계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시킨 힌지관에 상기 등받이의 하부면에 결합된 U자형의 제3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프레임의 사이에는 조절바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절바의 타측은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에 마주보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편과 조절바를 관통하는 조절핀을 삽입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편을 복수개 마련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및 걸림바의 외주연과 지지쿠션 및 걸림쿠션의 내주연의 지름을 대응되게 형성시켜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동바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조절편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밴드의 선단에 마련된 끼움부재가 복수개의 조절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밴드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프레임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장력벨트가 마련되고, 상기 장력벨트의 상부에는 링손잡이를 장착하여 운동자의 팔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에 삽입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푸쉬업바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푸쉬업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프레임의 배면에는 제2프레임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철힌지편이 형성되되, 상기 접철힌지편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내측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체운동기구는 고정핀의 결합유무에 따라 밴드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의 회동이 가능함으로 인해, 싯업운동을 통해 복근 전체 특히 상복부의 단련뿐만 아니라 간단한 작동만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동작의 변화나 운동기구의 교체 없이 손쉽게 단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는 안장과 등받이로 이루어진 쿠션부 중에서 등받이의 하부에 각도조절수단이 마련되어 등받이를 단계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함으로 인해, 싯업운동 또는 레그업운동시 등받이의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근력이 약한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는 지지바 및 걸림바의 외주연과 지지쿠션 및 걸림쿠션의 내주연의 지름을 대응되게 형성시켜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다리길이가 길거나 짧더라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는 탄성을 갖는 장력벨트를 통하여 이두근육을 자극하여 팔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며, 양측에 설치한 푸쉬업바를 통하여 대흉근 근육을 자극하여 가슴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서, 단순히 복근만을 강화할 수 있지 않고 가슴과 팔 등과 같이 상체를 골고루 단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는 고정수단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내측으로 접철이 가능함으로 인해, 실내에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여, 보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싯업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레그업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싯업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시 사용자에 따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푸쉬업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가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싯업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레그업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싯업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시 사용자에 따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푸쉬업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상체운동기구가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체운동기구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지지쿠션 120이 끼움 고정되고 한 쌍의 회동힌지편 115이 마련된 지지부 100와, 상기 회동힌지편 1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쿠션 220이 끼움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부 200와, 상기 제1프레임 110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340를 포함하는 쿠션부 300와, 상기 회동부 200가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 420가 포함된 텐션부 400로 이루어져, 싯업운동과 레그업운동이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체운동기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금을 받쳐주는 지지쿠션 3이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을 고정시키는 걸림쿠션 5이 하부에 설치된 지지바 7와, 상기 지지바 7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9가 포함된 상체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쿠션 120이 끼움 고정되는 지지바 113가 일체로 결합된 제1프레임 110이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 110에 한 쌍의 회동힌지편 115이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 100와, 상기 회동힌지편 115에 회동가능하게 회동바 210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 2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걸림쿠션 220이 끼움 고정되는 걸림바 211가 포함되어 걸림쿠션 220쪽이 상하로 회동되되 회동힌지편 115과 회동바 210를 관통하는 고정핀 230이 결합되면 회동바 210의 회동이 제한되는 회동부 200와, 상기 제1프레임 110에 접철가능하게 제2프레임 310이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 3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받이 34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는 쿠션부 300와, 상기 지지부 100와 회동부 20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 410가 굴림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 410에 교차되게 걸림되며 양 끝단이 회동바 210와 제1프레임 110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 200가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 420가 포함된 텐션부 400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 230이 결합됐을 경우 지지쿠션 120과 걸림쿠션 220에 다리를 고정시켜 싯업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핀 230을 제거하면 밴드 420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 200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운동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기구는 먼저, 지지부 100는 제1프레임 110, 지지바 113, 회동힌지편 115, 지지쿠션 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 110은 내부가 중공이고 길이를 갖는 단면이 사각형상이다. 이러한 제1프레임 11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봉형상의 지지바 113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지지바 113는 제1프레임 111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그래야 동일한 크기의 지지쿠션 120을 끼울 수 있다.
더불어, 제1프레임 110의 하부면에는 수직으로 받침프레임 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프레임 111은 제1프레임 110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바 113의 양측에는 지지쿠션 120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쿠션 120은 운동시 오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스펀지 재질이 적합하다.
그리고 제1프레임 110의 전면 상부에 한 쌍의 회동힌지편 115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힌지편 115에는 상기 회동바 210의 측면에 관통된 고정공 215과 힌지공 217과 연통되는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2프레임 310의 배면에는 제2프레임 310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철힌지편 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철힌지편 117은 하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부면에 고정수단 323이 관통되는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한편, 회동부 200는 회동바 210, 걸림바 211, 걸림쿠션 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회동바 210는 내부가 중공이고 길이를 갖는 단면이 사각형상이다. 이러한 회동바 210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봉형상의 걸림바 211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걸림바 211는 회동바 210를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그래야 동일한 크기의 걸림쿠션 220을 끼울 수 있다.
또한, 걸림바 211의 양측에는 걸림쿠션 220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걸림쿠션 220은 운동시 발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스펀지 재질이 적합하다.
결국,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바 113 및 걸림바 211의 외주연과 지지쿠션 120 및 걸림쿠션 220의 내주연의 지름을 대응되게 형성시켜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 120a과 걸림쿠션 220a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 120a과 걸림쿠션 220a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다리길이가 길거나 짧더라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바 210의 측면 상부에 힌지공 217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 217의 하부에 고정공 215이 관통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공 217은 한 쌍의 회동힌지편 115의 사이 회동바 210를 위치시키고 회동힌지편 115과 힌지공 217을 제1힌지핀 219이 관통하여 회동바 2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회동힌지편 115과 고정공 215을 관통하는 고정핀 230을 삽입시 회동바 210의 회동이 제한된다. 즉, 걸림쿠션 220쪽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나 회동힌지편 115과 회동바 210를 관통하는 고정핀 230이 결합되면 회동바 210의 회동이 제한된다.
특히, 제1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완충고무 600을 마련하여 회동바 210가 복귀시 회동부 200와 지지부 100가 충돌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여 소음이 줄어들고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한편, 쿠션부 300는 제2프레임 310, 안장 330, 등받이 34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2프레임 310은 제1프레임 110에 형성된 접철힌지편 117의 개구된 하부로 결합되고 접철힌지편 117과 제2프레임을 관통하는 핀이 결합되어 접철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 310은 내부가 중공이고 길이를 갖는 단면이 사각형상이다. 이때, 제2프레임 310은 접철힌지편 117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프레임 310의 끝단에는 상기 제1프레임 110에 결합된 받침프레임 111과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하는 받침프레임 111이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제2프레임 3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받이 34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한다.
특히, 등받이 340는, 상기 제2프레임 310의 상부면에 고정된 안장 330과 상기 안장 330의 하부에 위치되며 각도조절수단 350이 마련되어 단계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3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도조절수단 350은 상기 제2프레임 31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시킨 힌지관 353에 상기 등받이 340의 하부면에 결합된 U자형의 제3프레임 351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 351의 사이에는 조절바 357의 상부면에 결합된 회동관 358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더불어, 조절바 357의 타측은 상기 제2프레임 310의 상부면에 마주보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편 355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편 355과 조절바 357를 관통하는 조절핀 359을 삽입시켜 등받이 340의 각도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편 355을 복수개 마련하여 등받이 34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힌지관 351에는 제2힌지핀 351a으로 결합되고, 회동관 358은 제3힌지핀 357a으로 결합된다.
결국, 안장 330과 등받이 340로 이루어진 쿠션부 300 중에서 등받이 340의 하부에 각도조절수단 350이 마련되어 등받이 340를 단계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함으로 인해, 싯업운동 또는 레그업운동시 등받이 340의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근력이 약한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증가된다.
한편, 텐션부 400는 롤러 410, 밴드 4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롤러 410는 지지부 100와 회동부 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처럼 복수개의 롤러 410가 굴림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롤러 410를 지지부 100와 회동부 200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장공 4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410에 교차되게 걸림되며 양 끝단이 회동바 210와 제1프레임 110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 200가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 420가 포함된다.
특히, 회동바 210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조절편 213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편 213은 끼움부재 421의 끼움이 가능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밴드 420의 선단에는 끼움부재 421를 마련되고 끝단에는 고정부재 423가 마련된다. 이때, 고정부재 423는 제1프레임 110의 배면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끼움부재 421를 복수개의 조절편 213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밴드 420의 장력이 조절한다.
결국,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 230이 결합됐을 경우 지지쿠션 120과 걸림쿠션 220에 다리를 고정시켜 싯업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핀 230을 제거하면 밴드 420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 200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운동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다.
즉, 고정핀 230의 결합유무에 따라 밴드 420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 200의 회동이 가능함으로 인해, 싯업운동을 통해 복근 전체 특히 상복부의 단련뿐만 아니라 고정핀 230의 결합을 해제하는 간단한 작동만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동작의 변화나 운동기구의 교체없이 손쉽게 단련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근, 다리 운동 이외에도 장력벨트 500를 이용하여 팔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 110에 결합된 받침프레임 111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장력벨트 500가 마련되고, 상기 장력벨트 500의 상부에는 링손잡이 501를 장착하여 운동자의 팔 운동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 340에 등을 내고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링손잡이 501를 파지하여 미는 운동으로 장력벨트 500의 탄성력으로 대흉근 근육이 발달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 340를 세운상태에서 안장 330에 착석한 후 링손잡이 501를 파지하여 팔을 구부려 이두근육을 발달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프레임 310의 양측면에 결합관 3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 311에 삽입되는 삽입관 321을 포함하는 푸쉬업바 3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푸쉬업운동이 가능하다.
특히, 삽입관 321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삽입관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된 걸림돌기 323가 결합관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 313에 결착하게 됨으로 인해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돌기 323는 반구형상으로 푸쉬업바 320을 당기는 것만으로도 해제가 가능하여 실내에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여, 보관성이 향상된다.
결국, 장력벨트 500를 통하여 이두근육을 자극하여 팔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며, 양측에 설치한 푸쉬업바를 통하여 대흉근 근육을 자극하여 가슴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서, 단순히 복근만을 강화할 수 있지 않고 가슴과 팔 등과 같이 상체를 골고루 단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 310의 배면에는 제2프레임 310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철힌지편 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철힌지편 117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 3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수단 323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수단 32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제1프레임 110과 제2프레임 310이 내측으로 접철이 가능하다. 즉, 실내에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여, 보관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그리고 앞서 도시된 회동 또는 회전되는 구성품의 결합은 끈부분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된 핀이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핀의 결합은 반대쪽으로 일부가 돌출된 핀의 나사부분에 너트를 결합시켜 결합하는 구성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체운동기구
100 : 지지부 110 : 제1프레임
111 : 받침프레임 113 : 지지바
115 : 회동힌지편 117 : 접철힌지편
120 : 지지쿠션 200 : 회동부
210 : 회동바 211 : 걸림바
213 : 조절편 220 : 걸림쿠션
230 : 고정핀 300 : 쿠션부
310 : 제2프레임 311 : 결합관
320 : 푸쉬업바 321 : 삽입관
323 : 고정수단 330 : 안장
340 : 등받이 350 : 각도조절수단
351 : 제3프레임 353 : 힌지관
355 : 고정편 357 : 조절바
359 : 조절핀 400 : 텐션부
410 : 롤러 420 : 밴드
421 : 끼움부재 500 : 장력벨트
501 : 링손잡이

Claims (7)

  1. 오금을 받쳐주는 지지쿠션이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을 고정시키는 걸림쿠션이 하부에 설치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가 포함된 상체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쿠션이 끼움 고정되는 지지바가 일체로 결합된 제1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 한 쌍의 회동힌지편이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회동힌지편에 회동가능하게 회동바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걸림쿠션이 끼움 고정되는 걸림바가 포함되어 걸림쿠션쪽이 상하로 회동되되 회동힌지편과 회동바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결합되면 회동바의 회동이 제한되는 회동부와,
    상기 제1프레임에 접철가능하게 제2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받이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는 쿠션부와,
    상기 지지부와 회동부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굴림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에 교차되게 걸림되며 양 끝단이 회동바와 제1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가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가 포함된 텐션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이 결합됐을 경우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에 다리를 고정시켜 싯업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핀을 제거하면 밴드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회동부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운동으로 레그업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 개의 운동기구로 상복부 및 하복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된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위치되며 각도조절수단이 마련되어 단계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시킨 힌지관에 상기 등받이의 하부면에 결합된 U자형의 제3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프레임의 사이에는 조절바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절바의 타측은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에 마주보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편과 조절바를 관통하는 조절핀을 삽입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편을 복수개 마련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및 걸림바의 외주연과 지지쿠션 및 걸림쿠션의 내주연의 지름을 대응되게 형성시켜 다른 외경을 갖는 지지쿠션과 걸림쿠션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조절편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밴드의 선단에 마련된 끼움부재가 복수개의 조절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밴드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상체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프레임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장력벨트가 마련되고, 상기 장력벨트의 상부에는 링손잡이를 장착하여 운동자의 팔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상체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에 삽입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푸쉬업바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푸쉬업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상체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배면에는 제2프레임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철힌지편이 형성되되, 상기 접철힌지편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내측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기구.
KR1020100091897A 2010-09-17 2010-09-17 상체운동기구 KR10116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97A KR101164166B1 (ko) 2010-09-17 2010-09-17 상체운동기구
PCT/KR2010/006455 WO2012036332A1 (ko) 2010-09-17 2010-09-17 상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97A KR101164166B1 (ko) 2010-09-17 2010-09-17 상체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21A KR20120029821A (ko) 2012-03-27
KR101164166B1 true KR101164166B1 (ko) 2012-07-11

Family

ID=4583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897A KR101164166B1 (ko) 2010-09-17 2010-09-17 상체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4166B1 (ko)
WO (1) WO20120363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056B1 (ko) * 2012-09-05 2014-05-27 주식회사 런텍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KR101410686B1 (ko) 2013-04-17 2014-06-24 (주)이노아이 복합운동기구
KR101905367B1 (ko) 2018-06-01 2018-10-05 구경식 스쿼트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876B1 (ko) * 2012-04-30 2014-04-30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운동 장치
KR200465649Y1 (ko) * 2012-06-29 2013-03-06 장성자 운동기구
CN202724561U (zh) * 2012-08-18 2013-02-13 中山生动力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转换机构及伏地挺身收腹机
KR101315367B1 (ko) * 2013-04-16 2013-10-08 주식회사 에스스포츠 윗몸일으키기 운동 기구
CN203329269U (zh) * 2013-06-07 2013-12-11 庄进成 健身器
WO2017205923A1 (en) * 2016-06-02 2017-12-07 Isometric Stretching Machines Pty Ltd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CN107812354B (zh) * 2017-12-07 2023-09-08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使用状态的仰卧板
KR200490597Y1 (ko) 2018-10-18 2019-12-04 백승국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
CN209519286U (zh) * 2019-01-24 2019-10-22 浙江雷神科技有限公司 多功能健身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3548A1 (en) 2002-11-12 2004-05-27 Clifford Graves Exercise apparatus
US20070225135A1 (en) 2005-03-05 2007-09-27 Webber Randall T Exercise bench
WO2010056959A2 (en) 2008-11-14 2010-05-20 Tessema Dosho Shifferaw Compact weight bench with lifting as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434A (en) * 1995-12-28 1999-11-09 Webber; Randall T.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roller pads
KR20090010715U (ko) * 2008-04-17 2009-10-21 조규만 무릎 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3548A1 (en) 2002-11-12 2004-05-27 Clifford Graves Exercise apparatus
US20070225135A1 (en) 2005-03-05 2007-09-27 Webber Randall T Exercise bench
WO2010056959A2 (en) 2008-11-14 2010-05-20 Tessema Dosho Shifferaw Compact weight bench with lifting assist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056B1 (ko) * 2012-09-05 2014-05-27 주식회사 런텍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KR101410686B1 (ko) 2013-04-17 2014-06-24 (주)이노아이 복합운동기구
KR101905367B1 (ko) 2018-06-01 2018-10-05 구경식 스쿼트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21A (ko) 2012-03-27
WO2012036332A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166B1 (ko) 상체운동기구
US9713745B2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JP4630877B2 (ja) エクササイズ抵抗ケーブルを使用するエクササイズ・システム
US20170340916A1 (en) Fitness training units
US7361128B2 (en) Exercising apparatus
JP5793797B2 (ja) アイソメトリックエクササイズ器具および収納ラック
TR201815907T4 (tr) Taşınabilir, çok amaçlı tüm vücut egzersiz cihazı.
KR20100100756A (ko) 비탄성 스트랩 및 상호교환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는 운동기구
US20070243982A1 (en) Machine for Training Various Kinds of Abdominal and Lumbar Muscles
AU201727291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US6616580B1 (en) Collapsible combination waist and leg exerciser
KR101390876B1 (ko) 운동 장치
US20060205575A1 (en)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101873869B1 (ko) 바벨 거치식 안전 헬스 기구
CN106730621B (zh) 一种便携式全身拉力器
KR101035491B1 (ko) 헬스 및 재활의료기구용 의자구조체
US6620082B1 (en) Exercise device
KR200389132Y1 (ko) 다목적 종합근력 강화운동기구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KR101347402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CN211383672U (zh) 一种家用综合训练机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16676856U (zh) 一种健身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