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95B1 -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95B1
KR101959995B1 KR1020180110873A KR20180110873A KR101959995B1 KR 101959995 B1 KR101959995 B1 KR 101959995B1 KR 1020180110873 A KR1020180110873 A KR 1020180110873A KR 20180110873 A KR20180110873 A KR 20180110873A KR 101959995 B1 KR101959995 B1 KR 10195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utton
guide
pushe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배
Original Assignee
김건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배 filed Critical 김건배
Priority to KR102018011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에 형성되는 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상기 콘센트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서 노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 유닛;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단자홀들에 삽입될 때는 인입되고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할 때는 기계식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플러그를 가압하는 푸셔를 구비하는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Wall concealed type receptacle}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로 소요되는 동력 없이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하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이다.
콘센트는 전압, 주파수, 모양, 사이즈, 그리고 커넥터 타입에 따라 다르다.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타입은 A형부터 M형까지 그리고 IEC60906-1 등의 다양한 종류가 국가 기준에 따라 사용된다.
콘센트의 디자인은 각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호환되는 플러그만 꼽을 수 있으며, 플러그 핀의 위치나 각도 역시 서로 달라 호환되는 콘센트에만 결합된다. 서로 다른 규격들은 어댑터를 이용하여 콘센트와의 기계적인 호환이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콘센트는 대다수가 220V의 F형이다. 즉 플러그에 형성되는 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단자가 꼽힐 수 있게끔 콘센트는 원형으로 된 한 쌍의 단자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콘센트 중에서도 소위, 벽체 매립 콘센트라 불리는 것은 실내의 벽면에 매립되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전자제품에 마련되는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단자홀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의 단자를 콘센트의 단자홀에 삽입할 때는 정방향으로 다소 강하게 끼워야 하며, 그래야만 쇼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플러그가 콘센트에 강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반대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기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럴 때는 전선줄을 잡고 당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처럼 전선줄을 당기게 되면 전선줄에 단선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동 콘센트에 대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 현재 심사 중에 있다.
다만, 지난번 출원된 기술은 전동식이라는 점에서 다소 복잡할 수 있고, 또한 동력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번에는 전동식에서 벗어나 동력이 소요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대하여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357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250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05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67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소요되는 동력 없이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하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플러그에 형성되는 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상기 콘센트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서 노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 유닛;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단자홀들에 삽입될 때는 인입되고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할 때는 기계식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플러그를 가압하는 푸셔를 구비하는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버튼 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절곡형 버튼 바아;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이 상기 전면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콘센트 바디에 결합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절곡형 버튼 바아를 지지하면서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아 지지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은, 상기 푸셔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유닛 하우징; 상기 푸셔의 단부에 형성되는 푸셔 헤드에 마련되되 상기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상기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푸셔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유닛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는 궤적을 이루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플러그에 형성되는 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상기 콘센트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서 노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 유닛;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단자홀들에 삽입될 때는 인입되고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할 때는 기계식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플러그를 가압하는 푸셔를 구비하는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절곡형 버튼 바아;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이 상기 전면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콘센트 바디에 결합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절곡형 버튼 바아를 지지하면서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아 지지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은, 상기 푸셔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유닛 하우징; 상기 푸셔의 단부에 형성되는 푸셔 헤드에 마련되되 상기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상기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푸셔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푸셔가 인출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그 단부에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푸셔가 인입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는 궤적을 이루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형 버튼 바아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스토퍼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의 측벽에는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이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이웃된 상기 바아 지지용 가이드의 단부는 서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형 후크 헤드를 형성하며, 상기 콘센트 바디에는 상기 바아 지지용 가이드가 탑재되는 탑재용 덧살부와, 상기 바아 지지용 가이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로 소요되는 동력 없이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하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플러그가 꼽힌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시도로서 플러그가 꼽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플러그가 뽑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전면 커버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전면 영역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전면 영역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푸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버튼 유닛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배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반대편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처럼 플러그가 꼽힌 상태에서의 버튼 유닛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동작도이다.
도 12는 도 4처럼 플러그가 뽑힌 상태에서의 버튼 유닛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에 플러그가 꼽힌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시도로서 플러그가 꼽힌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플러그가 뽑힌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전면 커버를 분해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전면 영역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의 전면 영역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푸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9는 버튼 유닛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배치 상태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반대편에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처럼 플러그가 꼽힌 상태에서의 버튼 유닛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동작도, 그리고 도 12는 도 4처럼 플러그가 뽑힌 상태에서의 버튼 유닛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는 별도로 소요되는 동력 없이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가압하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는 도 1 및 도 3처럼 플러그(190)와 상호작용한다. 즉 전선줄(193)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러그(190)에는 한 쌍의 단자(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단자가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의 콘센트 바디(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홀(111)에 삽입되어 전자제품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플러그(190)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플러그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는 콘센트 바디(110), 전면 커버(120), 버튼 유닛(130), 그리고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 바디(110)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의 메인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플러그(190)에 형성되는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홀(111)을 포함해서 플러그(190)와의 전기적인 접점 구조가 형성되게 하는 전기 부품들이 내장된다. 이들 전기 부품들에 대해서는 통상의 것들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전면 커버(120)는 콘센트 바디(110)의 전면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120)는 콘센트 바디(11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0)가 콘센트 바디(11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여러 내장 부품들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버튼 유닛(130)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은 서로 조합되는 구성으로서, 도 3처럼 플러그(190)가 꼽힌 상태에서 도 4처럼 플러그(190)를 뺄 때, 좀 더 수월하게 플러그(190)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는 2개의 플러그(190)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라서 버튼 유닛(130)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이 두 쌍 존재한다. 두 쌍의 버튼 유닛(130)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은 구조가 동일하다.
물론, 플러그(190)가 1개 사용되는 콘센트든지 플러그(190)가 3개 이상 사용되는 콘센트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서로 조합되는 구성인 버튼 유닛(130)과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이 마련된다.
우선, 버튼 유닛(130)은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 절곡형 버튼 바아(132), 제1 탄성부재(133), 그리고 바아 지지용 가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은 막대형 구조로서 전면 커버(120)에서 노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은 플러그(190)를 분리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한다. 즉 도 3처럼 플러그(190)가 꼽힌 상태에서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가압하면 도 4처럼 플러그(190)가 용이하게 빠질 수 있다.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의 측벽에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이 전면 커버(1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 스토퍼(131a)가 마련된다. 탄성 스토퍼(131a)로 인해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이 전면 커버(120)의 전면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는다.
절곡형 버튼 바아(132)는 일단부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의 가이드 돌기(152)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절곡형 버튼 바아(132)의 단부는 도 10 내지 도 12처럼 가이드 그루브(155)의 스토퍼부(155b)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도 12처럼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Q1 방향으로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절곡형 버튼 바아(132)가 Q2 방향으로 전진되며, 스토퍼부(155b)에 위치되던 가이드 돌기(152)를 가압한다. 그러면 가이드 돌기(152)는 제2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부(155a)를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부(155a)의 단부에 배치된다. 그러면 푸셔(151)가 Q3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플러그(190)를 밀게 됨으로써 플러그(190)를 쉽게 빼낼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제1 탄성부재(133)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에 연결되며,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이 전면 커버(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제1 탄성부재(133)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바아 지지용 가이드(134)는 제1 탄성부재(133)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콘센트 바디(110)에 결합되며, 해당 위치에서 절곡형 버튼 바아(132)를 지지하면서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부재(133)에 이웃된 바아 지지용 가이드(134)의 단부는 서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형 후크 헤드(134a)를 형성한다. 따라서 절곡형 버튼 바아(132)를 지지하는데 유리하다.
바아 지지용 가이드(134)의 탑재를 위하여 도 2처럼 콘센트 바디(110)의 일측에는 바아 지지용 가이드(134)가 탑재되는 탑재용 덧살부(113)가 마련되고, 그 주변에는 바아 지지용 가이드(134)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릿(11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50)은 푸셔(151), 유닛 하우징(153), 가이드 돌기(152), 제2 탄성부재(154), 그리고 가이드 그루브(15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151)는 플러그(190)가 단자홀(111)들에 삽입될 때는 도 8의 상부 그림처럼 인입되고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가압할 때는 도 8의 하부 그림처럼 기계식으로 인출되면서 플러그(19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푸셔(151)는 막대형 구조를 갖는다.
유닛 하우징(153)은 푸셔(151)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외관 구조를 이룬다. 제2 탄성부재(154)는 유닛 하우징(153) 내에 배치된다.
가이드 돌기(152)는 푸셔(151)의 단부에 형성되는 푸셔 헤드(151a)에 마련되되 유닛 하우징(153)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가이드 돌기(152)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후술할 가이드 그루브(155)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제2 탄성부재(154)는 유닛 하우징(153) 내에 마련되며, 푸셔(15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제2 탄성부재(154) 역시,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그루브(155)는 유닛 하우징(153)의 측벽에 형성되되 한 쌍의 가이드 돌기(152)가 가이드되는 궤적을 이룬다. 이러한 가이드 그루브(155)는 푸셔(151)가 인출될 때 가이드 돌기(152)가 그 단부에 배치되는 경사부(155a)와, 경사부(155a)의 단부에 형성되되 푸셔(151)가 인입될 때 가이드 돌기(152)가 배치되는 스토퍼부(155b)를 포함한다.
이하,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처럼 플러그(190)를 꼽는다. 그러면 도 11처럼 플러그(190)를 꼽는 가압력에 의해 푸셔(151)가 P1 방향을 따라 유닛 하우징(153) 내로 인입되는데, 이때 제2 탄성부재(154)는 압축되고 가이드 돌기(152)는 가이드 그루브(155)의 경사부(155a)를 따라 이동 가이드되다가 스토퍼부(155b)에 위치되어 지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꼽힌 플러그(190)를 빼고자 하면 플러그(190)를 잡아 빼는 대신에 우선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가압한다.
도 12처럼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Q1 방향으로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절곡형 버튼 바아(132)가 Q2 방향으로 전진되며, 스토퍼부(155b)에 위치되어 지지되어 있던 가이드 돌기(152)를 가압한다.
그러면 가이드 돌기(152)는 제2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부(155b)를 빠져 나와 경사부(155a)를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부(155a)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이와 동시에 푸셔(151)가 Q3 방향으로 전진 가압됨에 따라 플러그(190)를 밀게 됨으로써 플러그(190)를 쉽게 빼낼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약한 힘으로도 손쉽게 플러그(190)를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소요되는 동력 없이 플러그 분리용 버튼(131)을 가압하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110 : 콘센트 바디
111 : 단자홀 113 : 탑재용 덧살부
114 : 가이드 슬릿 120 : 전면 커버
130 : 버튼 유닛 131 : 플러그 분리용 버튼
131a : 탄성 스토퍼 132 : 절곡형 버튼 바아
133 : 제1 탄성부재 134 : 바아 지지용 가이드
134a : 분할형 후크 헤드 150 :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151 : 푸셔 151a : 푸셔 헤드
152 : 가이드 돌기 153 : 유닛 하우징
154 : 제2 탄성부재 155 : 가이드 그루브
155a : 경사부 155b : 스토퍼부
190 : 플러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플러그에 형성되는 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상기 콘센트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서 노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 유닛;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단자홀들에 삽입될 때는 인입되고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을 가압할 때는 기계식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플러그를 가압하는 푸셔를 구비하는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절곡형 버튼 바아;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이 상기 전면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콘센트 바디에 결합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절곡형 버튼 바아를 지지하면서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아 지지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식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은,
    상기 푸셔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유닛 하우징;
    상기 푸셔의 단부에 형성되는 푸셔 헤드에 마련되되 상기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상기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푸셔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푸셔가 인출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그 단부에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푸셔가 인입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는 궤적을 이루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형 버튼 바아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스토퍼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의 측벽에는 상기 플러그 분리용 버튼이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이웃된 상기 바아 지지용 가이드의 단부는 서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형 후크 헤드를 형성하며,
    상기 콘센트 바디에는 상기 바아 지지용 가이드가 탑재되는 탑재용 덧살부와, 상기 바아 지지용 가이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KR1020180110873A 2018-09-17 2018-09-17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KR10195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73A KR101959995B1 (ko) 2018-09-17 2018-09-17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73A KR101959995B1 (ko) 2018-09-17 2018-09-17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995B1 true KR101959995B1 (ko) 2019-03-19

Family

ID=6590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73A KR101959995B1 (ko) 2018-09-17 2018-09-17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9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25A (ko) * 2019-05-02 2020-11-11 김창성 전원 공급 콘센트가 구비된 노출형 분전반
KR20210094768A (ko) * 2020-01-22 2021-07-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161Y1 (ko) * 1999-08-25 2000-03-15 박승기 전원 플러그 이탈수단을 가지는 콘센트
KR20060055284A (ko) * 2005-01-26 2006-05-23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20080002508U (ko) 2007-01-04 2008-07-09 박지용 벙어리 장갑모양 때밀이타월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11-01-18 박광현 운동장치
KR20110006733U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지워터웍스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KR20120104710A (ko) * 2011-03-14 2012-09-24 정문호 플러그 착탈 제어형 안전용 콘센트
KR101567801B1 (ko) * 2015-04-14 2015-11-12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JP2016117313A (ja) * 2014-12-18 2016-06-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リッド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161Y1 (ko) * 1999-08-25 2000-03-15 박승기 전원 플러그 이탈수단을 가지는 콘센트
KR20060055284A (ko) * 2005-01-26 2006-05-23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20080002508U (ko) 2007-01-04 2008-07-09 박지용 벙어리 장갑모양 때밀이타월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11-01-18 박광현 운동장치
KR20110006733U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지워터웍스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KR20120104710A (ko) * 2011-03-14 2012-09-24 정문호 플러그 착탈 제어형 안전용 콘센트
JP2016117313A (ja) * 2014-12-18 2016-06-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リッド開閉装置
KR101567801B1 (ko) * 2015-04-14 2015-11-12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25A (ko) * 2019-05-02 2020-11-11 김창성 전원 공급 콘센트가 구비된 노출형 분전반
KR102215567B1 (ko) 2019-05-02 2021-02-15 (주)위너스 전원 공급 콘센트가 구비된 노출형 분전반
KR20210094768A (ko) * 2020-01-22 2021-07-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KR102306788B1 (ko) 2020-01-22 2021-09-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639B1 (en) Safety electric connector
CN102150330A (zh) 锁紧电源连接器装置
TW201310793A (zh) 插座組合
KR101959995B1 (ko)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JP2010252543A (ja) アース線中継端子台及びこれを内部に備えた分電盤
CN201298644Y (zh) 电气组件
CN209233075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JP2010027246A (ja) 直流コンセント
US6447330B1 (en) Cord-reel assembly partially mounted within a wall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US20130344735A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CN213660771U (zh) 一种电连接盒
CN204927751U (zh) 一种挂式移动插座
CN209169506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KR101838258B1 (ko) 벽체 매립형 전동 콘센트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CN111064027A (zh) 带有插头固定结构的可拓展插座
CN221633031U (zh) 一种电力轨道、适配器及轨道式插座
CN219892485U (zh) 收缩数据线充电模块及插座
CN220106964U (zh) 一种插座结构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CN211719906U (zh) 插座及电源分配装置
KR200484362Y1 (ko)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CN218958179U (zh) 一种防误插结构及插头插座
CN211088684U (zh) 插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