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62Y1 -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62Y1
KR200484362Y1 KR2020170003107U KR20170003107U KR200484362Y1 KR 200484362 Y1 KR200484362 Y1 KR 200484362Y1 KR 2020170003107 U KR2020170003107 U KR 2020170003107U KR 20170003107 U KR20170003107 U KR 20170003107U KR 200484362 Y1 KR200484362 Y1 KR 200484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wall
pusher
outlet
pres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배
Original Assignee
김건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배 filed Critical 김건배
Priority to KR2020170003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단자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콘센트 바디에서 상기 플러그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Wall concealed type receptacle}
본 고안은,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이다.
콘센트는 전압, 주파수, 모양, 사이즈, 그리고 커넥터 타입에 따라 다르다.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타입은 A형부터 M형까지 그리고 IEC60906-1 등의 다양한 종류가 국가 기준에 따라 사용된다.
콘센트의 디자인은 각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호환되는 플러그만 꼽을 수 있으며, 플러그 핀의 위치나 각도 역시 서로 달라 호환되는 콘센트에만 결합된다. 서로 다른 규격들은 어댑터를 이용하여 콘센트와의 기계적인 호환이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콘센트는 대다수가 220V의 F형이다. 즉 플러그에 형성되는 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단자가 꼽힐 수 있게끔 콘센트는 원형으로 된 한 쌍의 단자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콘센트 중에서도 소위, 벽체 매립 콘센트라 불리는 것은 실내의 벽면에 매립되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전자제품에 마련되는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단자홀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의 단자를 콘센트의 단자홀에 삽입할 때는 정방향으로 다소 강하게 끼워야 하며, 그래야만 쇼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플러그가 콘센트에 강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반대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기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럴 때는 전선줄을 잡고 당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처럼 전선줄을 당기게 되면 전선줄에 단선이 발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플러그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끔 하는 신개념의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357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250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05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6733호
본 고안의 목적은,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플러그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단자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콘센트 바디에서 상기 플러그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은, 상기 플러그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콘센트 바디의 출입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 상기 콘센트 바디 내에 형성되는 유닛 배치 공간부;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벽체를 이루며, 상기 콘센트 바디와 결합되는 벽체 플레이트; 양단부가 상기 벽체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삽입 플랜지와, 상기 삽입 플랜지에 연결되되 아크(arc) 형상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아크형 탄성부를 구비하는 판스프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판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판스프링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과 접하는 상기 푸셔의 단부는 라운딩처리된 라운딩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콘센트 바디의 출입공 영역에는 내측 걸림턱과 외측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푸셔에는 상기 내측 걸림턱과 상기 외측 걸림턱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되되 상기 내측 걸림턱과 상기 외측 걸림턱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와 플러그의 배치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플러그를 삽입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서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서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서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와 플러그의 배치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플러그를 삽입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는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콘센트 바디(110)와, 콘센트 바디(110)에 마련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는 도 1처럼 플러그(190)와 상호작용한다. 즉 전선줄(193)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러그(190)에는 한 쌍의 단자(19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단자(191)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의 콘센트 바디(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홀(111)에 삽입되어 전자제품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플러그(190)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플러그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콘센트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의 외관을 이룬다.
콘센트 바디(110)에는 플러그(19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191)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홀(1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플러그(19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1개의 플러그(190)만 결합되거나 혹은 3개 이상의 플러그(190)가 결합될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미도시)에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20)은 콘센트 바디(110)에서 한 쌍의 단자홀(111) 사이에 마련되되 콘센트 바디(110)에서 플러그(19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플러그(190)를 빼고자 할 때,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90)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플러그(19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20)이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 따른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20)은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플러그(19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120)은 푸셔(130), 유닛 배치 공간부(140), 베이스 플레이트(142), 스프링 지지대(146), 벽체 플레이트(144), 판스프링(150), 그리고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130)는 플러그(190)의 일면(A, 도 1 참조)에 접촉되는 접촉면(131)을 구비하며, 플러그(190)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콘센트 바디(110)의 출입공(1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푸셔(130)의 접촉면(131)은 도 1에서 플러그(190)의 전면에 형성된 A 영역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 도 1에서 한 쌍의 단자(191) 사이에 형성되는 면(A)이 푸셔(130)의 접촉면(131)에 접촉 가압된다.
이러한 푸셔(130)의 접촉면(131)은 플러그(190)의 일면(A)에 잘 접촉 지지되게 평평한 면을 이룬다.
하지만, 판스프링(150)에 접하는 푸셔(130)의 단부는 라운딩처리된 라운딩부(132)를 형성한다. 푸셔(130)의 단부가 라운딩부(132)를 이루어 판스프링(150)에 접하기 때문에 판스프링(150)의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콘센트 바디(110)의 출입공(112) 영역에는 걸림턱(113)과 외측 걸림턱(114)이 형성되는데, 푸셔(130)에는 내측 걸림턱(113)과 외측 걸림턱(114)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되되 내측 걸림턱(113)과 외측 걸림턱(114)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스토퍼(134)가 마련된다.
유닛 배치 공간부(140)는 콘센트 바디(110) 내에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이다. 이러한 유닛 배치 공간부(140) 내에 베이스 플레이트(142), 스프링 지지대(146), 벽체 플레이트(144), 판스프링(150), 그리고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 등의 구성들이 갖춰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2)는 유닛 배치 공간부(140)의 개구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이다. 유지보수 시 베이스 플레이트(142)를 열고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42)는 개폐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대(146)는 베이스 플레이트(142)의 저부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스프링 지지대(146)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의 위치를 잡는 역할을 한다.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의 일단부는 스프링 지지대(146)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벽체 플레이트(144)는 베이스 플레이트(142)의 벽체를 이루며, 콘센트 바디(110)와 결합된다. 벽체 플레이트(144)는 콘센트 바디(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판스프링(150)은 양단부가 벽체 플레이트(144)에 삽입되는 삽입 플랜지(151)와, 삽입 플랜지(151)에 연결되되 아크(arc) 형상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아크형 탄성부(152)를 구비한다.
판스프링(150)은 그 구조적인 특징에 의한 일정한 탄성한계를 갖는다. 즉 도 2와 도 4처럼 일정한 탄성한계를 벗어나면 변형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2처럼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도 4에 약간의 힘을 제공하면 복원력에 의해 도 2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좀 더 부연한다. 도 2의 초기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처럼 판스프링(150)의 아크형 탄성부(152)를 가압하면 아크형 탄성부(152)가 초기 상태의 반대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하지만, 도 5에서 판스프링(150)의 아크형 탄성부(152)를 반대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었던 아크형 탄성부(152)가 도 6처럼 초기 상태로 급격하게 탄성변형되면서 푸셔(130)에 강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힘을 이용해서 플러그(190)를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은 베이스 플레이트(142)와 판스프링(150)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부는 스프링 지지대(146)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판스프링(150)에 배치된다.
이러한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은 도 5처럼 압축된 상태에서 도 6처럼 급격히 팽창되면서 판스프링(150)을 강하게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플러그(190)의 단자(191)들이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의 단자홀(111)에 배치되도록 한 후, 플러그(190)를 서서히 밀어 넣는다. 그러면 도 3 및 도 4처럼 푸셔(130) 역시 플러그(190)에 의해 밀리면서 P1, P2 방향으로 이동된다.
플러그(190)의 단자(191)들이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의 단자홀(111)에 완전히 삽입되면 푸셔(130)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판스프링(150)의 아크형 탄성부(152)는 일정한 탄성한계를 벗어나 도 2에서 도 4처럼 초기 상태의 반대 상태로 변형이 된다. 도 4의 경우가 플러그(19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다.
한편, 도 4의 상태, 즉 플러그(190)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190)를 빼고자 할 때는 종전처럼 플러그(190)를 단순히 빼지 않고 일단은 플러그(190)를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 쪽으로 한 번 강하게 민다.
플러그(190)를 강하게 밀면 도 5의 P3 방향으로 푸셔(130)가 순간적으로 판스프링(150)의 아크형 탄성부(152)를 강하게 가압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플러그(190)를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100) 쪽으로 한 번 강하게 민 후에 힘을 제거하면 작용반작용에 의한 반력에 의해, 또한 판스프링(150)의 아크형 탄성부(152)가 탄성한계를 벗어나 원래 상태로 돌아오려는 복원력 성질에 의해 판스프링(150)에 강한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발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었던 아크형 탄성부(152)는 도 6처럼 초기 상태로 급격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는데 이때에 파생되는 힘과, 압축 상태에서 급격히 팽창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의 힘이 더해져 푸셔(130)에 강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푸셔(130)는 도 6의 P4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강하게 전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힘을 이용해서 플러그(190)를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 없이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전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서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200) 역시, 콘센트 바디(110)와, 콘센트 바디(110)에 마련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220)은 푸셔(130), 유닛 배치 공간부(140), 베이스 플레이트(142), 스프링 지지대(146), 벽체 플레이트(144), 판스프링(150), 그리고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푸셔(130)의 접촉면(131) 영역에는 푸셔(130)의 접촉면(131)보다 넓은 면적으로 플러그(190)의 전면에 형성된 A 영역(도 1 참조)이 배치될 수 있게끔 하는 접촉면적 증가용 플레이트(235)가 더 결합된다.
본 실시예처럼 접촉면적 증가용 플레이트(235)가 결합되면 플러그(190) 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플러그(190)를 분리하는 데에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서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300) 역시, 도 7과 마찬가지로 콘센트 바디(110)와, 콘센트 바디(110)에 마련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320)은 푸셔(130), 유닛 배치 공간부(140), 베이스 플레이트(142), 스프링 지지대(146), 벽체 플레이트(144), 판스프링(350a,350b), 그리고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푸셔(130)의 접촉면(131) 영역에 접촉면적 증가용 플레이트(235)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접촉면적 증가용 플레이트(235)에는 절연기능을 가지면서도 플러그(190)와의 미끄러짐이 저지되고 밀착이 강화될 수 있는 절연용 밀착패드(335)가 더 마련된다.
그리고 판스프링(350a,350b)은 이중 판스프링(350a,350b)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플러그(190)를 분리시킬 때 보다 많을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에서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400) 역시, 콘센트 바디(110)와, 콘센트 바디(110)에 마련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420)은 푸셔(430), 유닛 배치 공간부(140), 베이스 플레이트(142), 스프링 지지대(146), 벽체 플레이트(144), 판스프링(150), 그리고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푸셔(430)에는 내부에 나사홀(431)이 형성되는데, 이 나사홀(431)에 별도의 착탈식 장식캡(480)이 더 결합된다. 착탈식 장식캡(480)은 나사홀(43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식 샤프트(482)와, 나사식 샤프트(482)의 일단부를 이루는 헤드(4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481)의 색상이 다양할 수 있는데, 이처럼 헤드(481)의 색상을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9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줄(193)을 잡고 빼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단선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110 : 콘센트 바디
111 : 단자홀 112 : 출입공
113 : 내측 걸림턱 114 : 외측 걸림턱
120 :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 130 : 푸셔
131 : 접촉면 132 : 라운딩부
134 : 가이드 스토퍼 140 : 유닛 배치 공간부
142 : 베이스 플레이트 144 : 벽체 플레이트
146 : 스프링 지지대 150 : 판스프링
151 : 삽입 플랜지 152 : 아크형 탄성부
160 :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 190 : 플러그
191 : 단자 193 : 전선줄

Claims (4)

  1. 삭제
  2. 플러그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홀을 구비하는 콘센트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단자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콘센트 바디에서 상기 플러그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가압력 제공유닛은,
    상기 플러그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콘센트 바디의 출입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
    상기 콘센트 바디 내에 형성되는 유닛 배치 공간부;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벽체를 이루며, 상기 콘센트 바디와 결합되는 벽체 플레이트;
    양단부가 상기 벽체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삽입 플랜지와, 상기 삽입 플랜지에 연결되되 아크(arc) 형상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아크형 탄성부를 구비하는 판스프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판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판스프링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과 접하는 상기 푸셔의 단부는 라운딩처리된 라운딩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바디의 출입공 영역에는 내측 걸림턱과 외측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푸셔에는 상기 내측 걸림턱과 상기 외측 걸림턱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되되 상기 내측 걸림턱과 상기 외측 걸림턱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KR2020170003107U 2017-06-16 2017-06-16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KR200484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07U KR200484362Y1 (ko) 2017-06-16 2017-06-16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07U KR200484362Y1 (ko) 2017-06-16 2017-06-16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62Y1 true KR200484362Y1 (ko) 2017-08-29

Family

ID=6062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07U KR200484362Y1 (ko) 2017-06-16 2017-06-16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6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10Y1 (ko) 2004-12-16 2005-03-23 양광섭 매립형 직류/교류 전원 콘센트
KR100666036B1 (ko) * 2005-07-08 2007-01-09 위점복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80002508U (ko) 2007-01-04 2008-07-09 박지용 벙어리 장갑모양 때밀이타월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11-01-18 박광현 운동장치
KR20110060042A (ko) * 2009-11-30 2011-06-08 김금택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110006733U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지워터웍스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KR20130000116U (ko) * 2011-06-27 2013-01-04 안송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10Y1 (ko) 2004-12-16 2005-03-23 양광섭 매립형 직류/교류 전원 콘센트
KR100666036B1 (ko) * 2005-07-08 2007-01-09 위점복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80002508U (ko) 2007-01-04 2008-07-09 박지용 벙어리 장갑모양 때밀이타월
KR20110000548U (ko) 2009-07-10 2011-01-18 박광현 운동장치
KR20110060042A (ko) * 2009-11-30 2011-06-08 김금택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110006733U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지워터웍스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KR20130000116U (ko) * 2011-06-27 2013-01-04 안송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554B2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0940510B1 (ko) 분리형 플러그를 가지는 헤어드라이기의 아크방지장치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9281617B2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with elongate clamping surfaces
AU2012305707B2 (en) Secure electrical receptacle
US7862370B1 (en) Connector for sturdily connecting flexible circuit boards
US20240030654A1 (en)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programmable release
US10297958B2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with elongate clamping surfaces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0633363B1 (ko)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EP2240983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200484362Y1 (ko)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KR101959995B1 (ko)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US2810115A (en) Connectors for lamp cords
KR20150100224A (ko) 안전 콘센트
KR101500577B1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CN213692520U (zh) 一种按动式插拔的插线板
KR101838258B1 (ko) 벽체 매립형 전동 콘센트
US9509090B2 (en) Plug comprising an internal pullout mechanism
US20190273344A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with elongate clamping surfaces
JP3183461U (ja) コンセント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102089993B1 (ko)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전원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