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816A -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816A
KR20100137816A KR1020090056038A KR20090056038A KR20100137816A KR 20100137816 A KR20100137816 A KR 20100137816A KR 1020090056038 A KR1020090056038 A KR 1020090056038A KR 20090056038 A KR20090056038 A KR 20090056038A KR 20100137816 A KR20100137816 A KR 20100137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uck
sensor
supply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057B1 (ko
Inventor
박효찬
김선광
정주환
Original Assignee
일림나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림나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림나노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5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2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peeling bars or tubes by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72Tub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54Method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진행방향으로 하향경사져 가공하고자 하는 다수개의 소재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착되어 이송되는 공급부와, 상기 너트가 안착 고정되어, 가공이 이루어지는 척과,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척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공급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푸싱하여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로딩부와, 상기 척에 고정된 소재를 가공하는 절삭부와, 상기 척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부와, 상기 공급부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1센서와, 상기 로딩부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2센서와, 상기 이송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 3센서; 그리고, 상기 척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4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 승강부, 절삭부

Description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A Cylindrical Matter Automatic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방형의 원통형구조를 가지는 니플 등의 가공물이 손상없이 자동으로 가공되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제품인 스페이서, 리테이너 또는 특수볼트, 니플 등에는 그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그 선단에 슬로트홈 또는 테이퍼 가공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슬로트홈, 테이퍼 가공방법은 선반 등에서 가공이 완성된 가공물을 밀링머시인 등의 가공대에 장착구를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이에 절삭공구로 슬로트홈, 테이퍼 등을 가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가공될 소재를 작업자가 각각 직접 세팅한 후 절삭공구에 의해 가공해야 하므로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세팅시 수작업으로 인한 오차로 인해 불량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소재인 니플 등을 작업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은, 진행방향으로 하향경사져 가공하고자 하는 다수개의 소재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착되어 이송되는 공급부와, 상기 너트가 안착 고정되어, 가공이 이루어지는 척과,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척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공급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푸싱하여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로딩부와, 상기 척에 고정된 소재를 가공하는 절삭부와, 상기 척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부와, 상기 공급부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1센서와, 상기 로딩부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2센서와, 상기 이송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 3센서; 그리고, 상기 척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4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와 상기 로딩부는 그 층을 달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로딩부 사이에서 상기 소재를 이동시키는 승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소재의 외주면 중 일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맞물려 상기 소재의 외주면을 상방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는 랫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소재의 외주면 중 일부를 양측에서 픽업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핑거와, 상기 소재를 상기 척 방향으로 미는 푸시로드; 그리고, 상기 이송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푸시로드를 상기 소재 방향으로 미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하강할 때, 하방으로 힘을 제공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수직방향의 힘을 상기 푸시로드의 수평방향의 힘으로 전환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공 전의 니플을 가공부로 자동으로 안내하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외부로 반송하며, 각각의 장치들의 동작이 센서들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가공성과 생산성이 높아져 전체적인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방향으로 하향경사져 가공하고자 하는 다수개의 소재(n)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착되어 이송되는 공급부(10)와, 상기 소재(n)가 안착 고정되어, 가공이 이루어지는 척(50)과,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받은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척(50)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30)와, 상기 공급부(10)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n)를 길이방향으로 푸싱하여 상기 이송부(30)로 이송시키는 로딩부(20)와, 상기 소재(n)를 가공하는 절삭부(60)와, 상기 척(50)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m)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에는, 상기 공급부(10)에 상기 소재(n)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1센서(82)와, 상기 로딩부(20)에 상기 소재(n)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2센서(84)와, 상기 이송부(30)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 3센서(86)와, 상기 척(50)에 상기 소재(n)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4센서(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는, 가공하기 위한 소재(n)를 본 가공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0)가 마련된다. 상기 공급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n)를 순차적으로 가공 시스템 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부(10)는, 상기 소재(n)가 순차적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n)가 시스템 내부로 자중에 의해 안내되도록 진행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부(10)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소재(n)들은 상기 로딩부(20)로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상의 소재들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상기 공급부(10)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0)에는 승강부(90)가 마련되다. 상기 승강부(90)는 상기 공급부(10)의 경사가이드(14)로부터 안내되는 소재(n)를 아래에서 설명될 로딩부(2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부(9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92)와, 상기 소재(n)의 외주면 중 일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안착홈(94a)이 마련되는 지지부(94)와, 상기 지지부(94)와 맞물려 상기 소재(n)의 외주면을 상방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홈(94a)에 대응되는 홈(96a)이 마련되는 랫치(9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승강부(90)에는 프레임부(92)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부(9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에 대해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92)는, 상기 공급부(10)의 경사가이드(14)를 따라 상기 소재(n)가 지지부(94)의 안착홈(94a)으로 상기 소재(n)가 안내되는 위치와, 안착홈(94a)에 안내된 상기 소재(n)가 로딩부(20)로 안내될 수 있는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92)가 이동하는 수단은 모터 또는 피스톤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으나, 도 6에 따르면, 피스톤(98)으로 구성된 다.
상기 프레임부(92)에는 가공대상물인 소재(n)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94)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9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94a)이 마련되어, 상기 소재(n)가 상기 경사가이드(14)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안착홈(94a) 내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94)의 상방에는 랫치(96)가 마련된다. 상기 랫치(96)는 상기 지지부(94)와 맞물려, 상기 소재(n)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랫치(96)는 피스톤(98)에 의해 상기 랫치(96)가 상기 지지부(94)에 인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랫치(96)에는 상기 지지부(94)의 안착홈(94a)에 대응되는 홈(96a)이 마련된다. 즉, 상기 홈(96a)은 상기 랫치(96)가 상기 지지부(94)에 맞물릴 때, 상기 안착홈(94)과 상기 홈(96a) 사이에 소재(n)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94)의 안착홈(94a)과 상기 랫치(96)의 홈(96a) 사이에 상기 소재(n)가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9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소재(n)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부(10)의 일단에는 로딩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로딩부(20)는, 상기 소재(n)가 하나씩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부(30)로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딩부(2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딩부(20)는, 전원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소재(n)의 측면을 일정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키는 피스톤(22)과, 상기 피스톤(22)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n)의 측면을 길이방향으로 미는 푸시(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딩부(20)는 상기 공급부(10)와 그 층을 달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딩부(20)와 상기 공급부(1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딩부(20)와 상기 공급부(10)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승강부(90)가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부(90)에 의해 소재(n)가 로딩부(20)의 푸시(24) 전면에 안착되면, 상기 피스톤(22)에 전원 또는 유압이 인가되어, 상기 피스톤(22)이 구동하여, 상기 푸시(24)를 상기 소재(n)의 측면 즉 상기 소재(n)를 길이방향으로 밀어, 상기 소재(n)의 일단이 이송부(30)의 핑거(34)의 위치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가공 시스템에는 이송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소재(n)를 픽업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척(5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부(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32)와, 상기 소재(n)의 외주면 중 일부를 양측에서 픽업하는 핑거(34)와, 상기 소재(n)를 상기 척(50) 방향으로 미는 푸시로드(42)와, 상기 프레임부(32)가 하강하면서 상기 푸시로드(42)를 소재(n) 방향으로 미는 연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송부(30)에는 프레임부(32)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부(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부(20)에 대해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32)는, 상기 로딩부(20)에 아래에서 설명될 핑거(34)로 상기 소재(n)가 안내되는 위치와, 핑거에 안내된 상기 소재(n)가 상기 척(50)에 고정될 수 있는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2)가 이동하는 수단은 모터 또는 피스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2)에는 가공대상물인 소재(n)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핑거(34)가 마련된다. 상기 핑거(34)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부(32)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핑거(34)가 상기 프레임부(32)를 중심으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재(n)를 픽업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픽업된 소재(n)를 제거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부(40)가 마련된다. 상기 푸싱부(40)는 상기 핑거(34) 사이에 안착되는 소재(n)를 아래에서 설명될 척(50) 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푸싱부(40)에는 푸시로드(42)가 마련된다. 상기 푸시로드(42)는 상기 핑거(34) 사이에 안착된 소재(n)를 이탈되도록 미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로드(42)는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핑거(34)의 홈(34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로드(42)는 상기 소재(n)의 측면을 밀어 상기 소재(n)가 상기 핑거(34)의 사이에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42)를 동작시키는 연동부(44)가 더 마련된다. 상기 연동부(44)는, 하방으로 힘을 제공하는 피스톤(46)과, 상기 피스톤(46)의 수직방향으로의 힘을 상기 푸시로드(42)의 수평방향의 힘으로 전환하는 링크(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48)는, 상기 피스톤(46)의 수직방향으로 힘을 수평방향의 힘으로 전환시켜 상기 푸시로드(4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48)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48)는,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의 모서리(48a)가 상기 프레임부(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의 모서리(48b)는 상기 푸시로드(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48)의 다른 일단의 모서리(48c)에는 상기 피스톤(46)의 힘이 전달된다.
즉, 상기 피스톤(46)의 힘이 상기 링크(48)로 전달되면, 상기 링크(48)는 상기 프레임부(32)와 결합된 모서리(48a)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푸시로드(42)를 상기 소재(n)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42)가 상기 소재(n)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푸시로드(42)와 힌지 결합되는 부분(48b)은 힌지축(c)에 대해 힌지공(d)이 여유롭도록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공 시스템에는 척(50)이 마련된다. 상기 척(50)은, 가공을 위한 상기 소재(n)가 안정적으로 가공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척(50)에는 상기 소재(n)가 고정되도록 조우(5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척(50)에 안착된 소재(n)를 가공하기 위한 절삭부(60)가 마련된다. 상기 절삭부(60)는, 상기 소재(n)를 소정의 모양으로 가공되도록 하는 절삭날(62)이 마련된다. 상기 절삭날(62)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소재(n)의 가공에 맞게 각각의 절삭날(62)이 교체되면서 절삭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척(50)의 하방에는 배출부(70)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부(70)는, 상기 척(50)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m)를 본 발명인 가공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부(70)는, 상술한 기능을 하도록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부(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50)이 설치되는 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실린더(72)와, 상기 회전실린더(72)의 회전축(74)과 연결되어 가공된 상기 가공품(m)를 배출시에 회전하여 상기 척(50)의 하방에서 수납함(76)까지 안내하는 슈트(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척(50)에 소재(n)가 가공중일 때, 상기 슈트(78)는 수납함(76)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하다가, 상기 소재(n)의 가공이 완료되어, 상기 척(50)에서 이탈되어, 상기 슈트(78)로 떨어지면, 상기 회전실린더(72)에 전원 또는 유압이 인가되어, 상기 슈트(78)가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되고, 상기 가공품(m)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납함(76)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가공 시스템에는 센서부(80)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부(80)는 상술한 시스템 구성이 자동으로 안정된 동작을 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공급부(10)에 제 1센서(8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센서(8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 중 상기 로딩부(20)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부(20)로 안내되는 공급부(10)에 상기 소재(n)가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센서(82)는 상기 공급부(10)에 가공이 필요한 소재(n)를 더 공급해야할 지 여부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20)에는 제 2센서(8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센서(8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부(20)의 푸시(24)가 이동하는 위치 즉 상기 공급부(10)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로딩부(20)에 소재(n)가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30)에 제 3센서(86)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공급부(10)의 일단과 상기 척(50) 사이를 이동하는데, 상기 이송부(30)의 위치를 센싱하여 그 위치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센서(86)가 상기 이송부(30)가 상기 공급부(10)의 일단에 위치할 때,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상기 제 3센서(86)에서 신호를 생성할 때는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경사가이드(14)의 일단에 위치하여, 가공할 소재(n)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기상태임을 판단하게 한다. 물론, 상기 제 3센서(86)에서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는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척(50)에 위치됨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척(50)에는 제 4센서(87)가 마련된다. 상기 제 4센서(87)는 상기 척(50)에 상기 소재(n)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30)의 핑거(34)에는 제 5센서(8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5센서(88)는 상기 핑거(34)에 소재(n)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90)의 지지부(94)에는 제 6센서(8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6센서(89)는 상기 지지부(94)의 안착홈(94a)에 소재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가공 시스템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80)의 신호를 전달받아,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가공하고자하는 소재(n)를 공급부(1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소재(n)들인 니플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0)는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재(n)들이 자중에 의해 승강부로 안내된다.
상기 승강부(90)의 지지부(94)의 안착홈(94a)에 상기 소재(n)가 안착되면, 제 6센서(89)가 상기 소재(n)가 있다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90)의 피스톤(98)에 동작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피스톤(98)이 구동하 여 렛치(96)가 상기 지지(94)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재(n)를 렛치(96)와 지지부(94) 사이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90)는 상승하여, 로딩부(20)의 푸시(24)의 위치까지 상기 소재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2센서(84)가 상기 소재(n)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소재(n)가 존재하면 상기 소재(n)가 존재한다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부(20)의 피스톤(22)을 구동하도록 하여, 푸시(24)가 동작하여 상기 소재(n)가 이송부(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민다. 즉, 상기 이송부(30)의 핑거(34) 사이로 안내된다.
상기 이송부(30)의 핑거에 상기 소재(n)가 안착되면, 제 5센서(88)가 상기 소재(n)가 있다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30)의 피스톤(38)에 동작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피스톤(38)이 상기 핑거(34)가 상기 소재(n)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재(n)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30)는 하강하여, 상기 소재(n)를 척(50)의 위치시킨다. 그러면, 연동부(44)의 피스톤(46)이 구동하여 링크(48)의 모서리(48c)를 밀어, 상기 링크(48)가 상기 프레임부(32)와 결합된 모서리(48a)를 축으로 회전하여, 푸시로드(42)를 상기 소재(n)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푸시로드(42)가 계속 이동하여 상기 소재(n)를 상기 척(50)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척(50)은 상기 소재(n)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부(30)는 다시 상승하면서, 상기 로딩부(20)의 푸시(24)의 이동경로 끝단에 상기 핑거(34)의 홈(34a)이 위치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다시 상술한 과정에 의해, 다음의 가공전의 소재(n)가 상기 지지부(34)와 랫치(36)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척(50)에 소재(n)가 고정되면, 절삭부(60)가 구동되어, 상기 소재(n)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재(n)를 가공한다. 이때, 상기 절삭부(60)의 절삭날(62)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환되면서 상기 소재(n)를 가공한다.
상기 소재(n)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절삭부(60)가 원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척(50)을 고정하던 조우(52)가 해제되어,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m)이 배출부(70)의 슈트(78)로 이동시킨다. 상기 슈트(78)로 상기 가공품(m)이 이동되면, 회전실린더(72)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슈트(78)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된다.
상기 슈트(78)가 경사지면, 상기 슈트(78)를 따라 수납함(76)으로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m)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척(50)에 소재(n)가 없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너트(n)를 고정하고 있는 이송부(30)를 상기 척(50)으로 이동시켜, 상술한 과정이 다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진 공급부(10)를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가공전의 소재(n)는 상기 공급부(10)에 설치된 제 1센서(82)에 의해 상기 공급부(10)에 가공전의 소재(n)가 있는지 여부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공급부(10)에 소재(n)를 보충해야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급부 및 승강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승강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출부와 절삭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도 7의 배출부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급부 20: 로딩부
22: 피스톤 24: 푸시
30: 이송부 32: 프레임부
34: 핑거 34a: 홈
40: 푸싱부 42: 푸시로드
44: 연동부 46: 피스톤
48: 링크 50: 척
52: 조우 60: 절삭부
62: 절삭날 70: 배출부
72: 회전실린더 74: 회전축
76: 수납함 78: 슈트
80: 센서부 82: 제 1센서
84: 제 2센서 86: 제 3센서
87: 제 4센서 88: 제 5센서
89: 제 6센서 90: 승강부
92: 프레임부 94: 지지부
96: 랫치 98: 피스톤

Claims (5)

  1. 진행방향으로 하향경사져 가공하고자 하는 다수개의 소재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착되어 이송되는 공급부;
    상기 너트가 안착 고정되어, 가공이 이루어지는 척;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척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공급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푸싱하여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로딩부;
    상기 척에 고정된 소재를 가공하는 절삭부;
    상기 척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부;
    상기 공급부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1센서;
    상기 로딩부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2센서;
    상기 이송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 3센서; 그리고,
    상기 척에 상기 소재의 유무를 센싱하는 제 4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로딩부는 그 층을 달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로딩부 사이에서 상기 소재를 이동시키는 승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소재의 외주면 중 일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맞물려 상기 소재의 외주면을 상방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는 랫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소재의 외주면 중 일부를 양측에서 픽업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핑거;
    상기 소재를 상기 척 방향으로 미는 푸시로드; 그리고,
    상기 이송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푸시로드를 상기 소재 방향으로 미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하강할 때, 하방으로 힘을 제공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수직방향의 힘을 상기 푸시로드의 수평방향의 힘으로 전환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KR1020090056038A 2009-06-23 2009-06-23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KR10113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38A KR101130057B1 (ko) 2009-06-23 2009-06-23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38A KR101130057B1 (ko) 2009-06-23 2009-06-23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16A true KR20100137816A (ko) 2010-12-31
KR101130057B1 KR101130057B1 (ko) 2012-03-28

Family

ID=4351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038A KR101130057B1 (ko) 2009-06-23 2009-06-23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5740A (zh) * 2013-09-23 2014-01-08 芜湖市泰美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消防栓阀杆自动加工装置
KR101877201B1 (ko) * 2018-03-05 2018-07-11 최복기 캠 샤프트 가공 시스템
CN112846249A (zh) * 2021-01-05 2021-05-28 刘巧茹 一种高精密型卧式数控车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844B1 (ko) * 2018-07-24 2019-03-27 (주)에스와이나노텍 소재 자동공급유닛을 구비한 가공설비
KR102257434B1 (ko) * 2021-02-18 2021-05-31 티아이씨(주) 유성롤러스크류용 스크류 랩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10B1 (ko) * 2005-07-06 2006-08-22 김영근 보울트헤드 자동 탭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5740A (zh) * 2013-09-23 2014-01-08 芜湖市泰美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消防栓阀杆自动加工装置
KR101877201B1 (ko) * 2018-03-05 2018-07-11 최복기 캠 샤프트 가공 시스템
CN112846249A (zh) * 2021-01-05 2021-05-28 刘巧茹 一种高精密型卧式数控车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057B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74963A1 (zh) 自动化生产线及电机转子生产线
KR101130057B1 (ko)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KR200424966Y1 (ko) Cnc 선반의 오토로더
CN103551551B (zh) 车轮产品自动去冒口系统
KR20160139157A (ko) 핸들 조립용 홀 개공기
JP2018039083A (ja) 加工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CN113352469A (zh) 数控石墨电极与接头精密加工检测组装及包装自动线
KR101815250B1 (ko) 자동 태핑 장치
KR20110032173A (ko)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CN209758301U (zh) 一种送料装置及其系统
CN105537626A (zh) 一种拉伸试棒自动化生产系统及方法
KR101130058B1 (ko) 너트 자동 가공 시스템
CN203805071U (zh) 一种全自动多工位管材立体冲压设备
JP2012139757A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160049418A (ko) 로봇 시스템을 구비한 씨엔씨 공작기계
JPS62188652A (ja) トランスフア加工装置
CN217452943U (zh) 智能化石油钢管接箍生产线
KR100943997B1 (ko) 공작기계의 가공개시높이 설정장치
KR101508206B1 (ko) 씨앤씨(cnc) 선반의 중량물 자동 공급 및 인출장치
JP6469540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
CN106914790B (zh) 加工定位装置、加工机床及加工方法
KR101306178B1 (ko) 자동공급장치가 구비된 수차식 가공기
KR102416720B1 (ko) 공작기계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93758B1 (ko) 수차식 가공기용 피가공품 자동 이송장치
JP3911441B2 (ja) ワーク受渡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