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821A - 차량용 토션 댐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821A
KR20100136821A KR1020090055142A KR20090055142A KR20100136821A KR 20100136821 A KR20100136821 A KR 20100136821A KR 1020090055142 A KR1020090055142 A KR 1020090055142A KR 20090055142 A KR20090055142 A KR 20090055142A KR 20100136821 A KR20100136821 A KR 2010013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hub
vehicle
coupled
tors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113B1 (ko
Inventor
홍순석
장재덕
주인식
Original Assignee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배치되어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면서 플라이휠의 기능을 수행하며 누유차단부재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차량용 토션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토션 댐퍼는 엔진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제1 질량체, 제1 질량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변속기의 입력축에 결합되는 제2 질량체, 제1 질량체와 제2 질량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유닛, 그리고 제1 질량체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윤활용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질량체와 제2 질량체 사이에 탄성력에 의하여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누유차단부재를 포함하며, 누유차단부재는 내경이 탄성력에 의하여 가변되는 내경 가변 수단을 포함한다.
토션, 댐퍼, 질량체, 씰링, 커버, 조립성, 탄성력, 끼움홈

Description

차량용 토션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토션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배치되어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면서 플라이휠의 기능을 수행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변형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차량용 토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션 댐퍼("비틀림 진동 댐퍼", 또는 "이중 질량 플라이휠, Dual mass flywheel"이라고도 함)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질량체(101)와 제2 질량체(103), 그리고 댐핑 유닛(105, damping unit)을 포함한다. 제1 질량체(101)는 엔진의 출력축(107)에 연결되고, 제2 질량체(103)는 변속기의 입력축(109)에 연결된다.
제1 질량체(101)는 커버(111)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이 공간에 댐퍼 유닛(105)이 제공된다. 댐퍼 유닛(105)은 원주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코일 스프링(1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질량 체(101)와 제2 질량체(103)는 그 사이에 마찰수단(115)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질량체(103)는 변속기의 입력축(109)에 결합되는 스플라인 허브(117), 이 스플라인 허브(117)에 리벳이음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11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질량체(101)의 내부 공간에는 윤활 작용을 하는 윤활용 오일이 채워진다. 그리고 제2 질량체(103)에는 상술한 윤활용 오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박막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121)이 스플라인 허브(119)와 드라이브 플레이트(119)와 함께 리벳이음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다이어프램(117)은 그 외주면이 상술한 커버(111)의 일측에 밀착된다.
종래의 다이어프램(121)의 결합구조는 스플라인 허브(117)와 드라이브 플레이트(119)가 리벳이음으로 고정되는 공정에서 다이어프램(121)도 함께 결합이 되므로 조립성이 떨어져 자동화를 통한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누유차단부재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공장 자동화를 통한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토션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유차단부재를 조립한 후에도 양호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질량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차량용 토션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제1 질량체, 상기 제1 질량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변속기의 입력축에 결합되는 제2 질량체, 상기 제1 질량체와 상기 제2 질량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질량체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윤활용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질량체와 상기 제2 질량체 사이에 탄성력에 의하여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누유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유차단부재는 상기 제1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 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제공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며 내경이 탄성력에 의하여 가변되는 내경 가변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 댐퍼를 제공한다.
상기 내경 가변 수단은 상기 제2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축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띄워져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질량체에 제공되는 커버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들은 상기 제2 질량체에 제공되는 스플라인 허브의 끼움 홈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 홈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들과 상기 몸체부는 축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축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굴곡져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엔진의 출력 축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홈들이 제공된 제1 질량체, 상기 제1 질량체에 결합되어 챔버를 이루고 상기 제1 질량체에 제공된 홈들과 대응하는 또 다른 홈들이 제공된 커버, 상기 제1 질량체의 공간에 제공되며 원주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며 축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연장부가 제공된 커넥션 플레이트,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에 제공된 연장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질량체와 상기 커버에 제공된 홈들에 직렬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탄성부재들,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허브와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는 스플라인 허브, 그리고 상기 스플라인 허브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제공되고, 이 걸림부가 상기 쌍을 이루는 탄성부재들의 양단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질량체, 상기 스플라인 허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누유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유차단부재는 상기 제1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 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제공된 몸체부, 상기 제2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축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띄워져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 댐퍼를 제공한다.
상기 허브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 사이에는 일정한 구간에서만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가 제공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허브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 출부들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들이 제공되는 홈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누유차단부재가 스플라인 허브에 제공된 끼움 홈에 끼워질 때 그 연장부가 축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내경이 커져 끼워지고, 끼움 홈에 연장부들이 결합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리턴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누유차단부재가 스플라인 허브에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누유차단부재를 조립할 때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하여 자동화 공정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누유차단부재가 스플라인 허브에 조립된 후에도 연장부들이 탄성력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질량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차량용 토션 댐퍼("비틀림 진동 댐퍼" 또는 "이중 질량 플라이휠"이라고도 함)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차량용 토션 댐퍼는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와 가솔린을 사용하는 엔진을 함께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 량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양한 구동원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및 일반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차량용 토션 댐퍼는 제1 질량체(1), 제2 질량체(3), 그리고 댐퍼 유닛(5)을 포함한다.
제1 질량체(1)는 엔진의 출력축(7)에 결합되고, 제2 질량체(3)는 변속기의 입력축(9)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질량체(1)와 제2 질량체(3)는 정해진 구간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 질량체(1)는 엔진의 출력축(7)에 결합되는 허브(11)에 리벳 이음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질량체(1)의 외주면에는 스타트 모터(starting motor, 도시생략)에 연결되는 링기어(R)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질량체(1)는 일면에 커버(13)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면서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다. 제1 질량체(1)는 내부의 공간에 상술한 댐퍼 유닛(5)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질량체(1)의 일측면에 제2 질량체(3)가 배치된다.
제2 질량체(3)는 변속기의 입력축(9)에 연결되는 스플라인 허브(15)와 이 스플라인 허브(15)에 리벳 이음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17)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드라이브 플레이트(17)는 댐퍼 작용을 하는 역할도 겸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댐퍼 유닛의 일부로도 볼 수 있다. 또한 제2 질량체(3)는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플라이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질량체(1)는 그 내부 공간에 마찰 유닛(21)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1 질량체(1)는 내부 공간에 윤활을 위한 오일이 채워진다.
상술한 댐퍼 유닛(5)은 직렬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과 이들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 사이에 지지되는 커넥션 플레이트(47)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은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직렬로 배치된다. 즉, 상술한 전체의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 중에서 두 개씩 짝을 이루어 직렬로 배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들(31, 33, 35, 37, 39, 41, 43, 45)은 탄성부재 31과 33, 다른 탄성부재 35와 37, 또 다른 탄성부재 39와 41, 그리고 또 다른 탄성부재 43과 45로 쌍을 이루어 원주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은 제1 질량체(1)의 내부 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 홈(1a)들과 제1 질량체(1)의 홈(1a)들에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13)에 제공된 또 다른 홈(13a, 도 2에 도시하고 있음)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질량체(1)는 상술한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은 그 내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또 다른 탄성부재들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넥션 플레이트(47)는 상술한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의 외주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커넥션 플레이트(47)는 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7a)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연장부(47a)들은 각각 쌍을 이루는 탄성부재들 사이에 배치된다.
즉, 연장부(47a)들은 탄성부재 31과 33 사이, 탄성부재 35와 37 사이, 탄성부재 39와 41사이, 탄성부재 43과 45 사이에 배치된다. 즉, 각각 쌍을 이루는 탄성부재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질량체(3)의 드라이브 플레이트(17)는 축의 중심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7a)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드라이브 플레이트(17)의 걸림부(17a)들은 쌍을 이룬 탄성부재의 양 끝단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걸림부(17a, 임의로 하나를 정함)는 탄성부재 31의 일 끝단과 탄성부재 33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다른 걸림부(17a)들도 쌍을 이룬 다른 탄성부재들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걸림부(17a)는 제1 질량체(1)가 회전할 때 두 개의 탄성부재가 직렬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2 질량체(3)에 전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허브(11)에는 축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11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스플라인 허브(15)에는 상기 돌출부(11a)들에 대응하는 홈(15a, 도 2에 도시하고 있음)들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허브(11)에 제공된 돌출부(11a)와 이들 돌출부(11a)에 대응하는 홈(15a)들은 기계적인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된다. 즉, 제1 질량체(1)와 제2 질량체(3)가 서로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전이 이루어 지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구조는 차량용 토션 댐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질량체(1)의 내부 공간에는 윤활을 위한 오일(유체)이 채워진다. 그리고 스플라인 허브(15)와 커버(13)에는 상술한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누유차단부재(61, "씰링 커버" 라고도 함)가 끼움 결합으로 고정된다.
누유차단부재(61)는 박막의 탄성 플레이트인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유차단부재(61)는 가운데 부분에 구멍이 뚫어진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누유차단부재(61)는 내경 가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내경 가변 수단은 누유차단부재(61)를 조립할 때 내경이 커지고 조립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리턴하여 조립을 할 때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누유차단부재(6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주 부분을 이루며 축(변속기의 입력축(9)으로 이하 "축"이라 함)을 기준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61a), 몸체부(61a)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61b)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몸체부(61a)는 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굴곡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부(61a)는 축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61a)는 상술한 제1 질량체(1)에 연결된 커버(13)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61b)들은 일정한 간격이 띄워져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이러한 연장부(61b)들은 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연장되며 그 사이에는 공간(61c)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연장부(61b)들은 제2 질량체(3)의 스플라인 허브(15)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스플라인 허브(15)에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끼움홈(15a)이 제공된다. 이러한 끼움홈(15a)에 누유차단부재(61)의 연장부(61a)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누유차단부재(61)의 연장부(61b)들은 제2 질량체(3)의 스플라인 허브(15)에 끼워지고, 누유차단부재(61)의 몸체부(61a)는 제1 질량체(1)에 연결된 커버(13)에 끼워져 제1 질량체(1)의 내부에 있는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의 출력축(7)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은 제1 질량체(1)와 제2 질량체(3)가 일부 구간에서 상대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댐퍼 유닛(5)에 의하여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이 흡수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급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 질량체(1)와 제2 질량체(3)의 상대 회전이 커지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는 제1 질량체(1) 및 허브(11)에 대하여 드라이브 플레이트(17)가 큰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질량체(1)가 회전(예를 들면 도 1에서 실선 화살표 방향)하게 되면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도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이 회전하면서 드라이브 플레이트(19)의 걸림부(17a)들에 탄성력(또는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러면 드라이브 플레이트(19)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도 1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함)하면서 회전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면서 제2 질량체(3)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은 각각 쌍을 이루어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전각도가 기존에 비하여 대략 두 배로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1, 33, 35, 37, 39, 41, 43, 45)들의 직렬 연결은 댐퍼의 저 강성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의 작동 각이 증대되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NVH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 강성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부품의 수가 늘지 않아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누유차단부재(61)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질량체(1)와 제2 질량체(3)가 결합된 상태에서 누유차단부재(61)를 스플라인 허브(15)의 외주와 커버(13)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끼운다.
즉, 누유차단부재(61)를 스플라인 허브(15)에 제공되는 끼움 홈(15a)에 밀어 넣으면 연장부(61b)들이 축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내경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 연장 부(61b)들의 사이에 제공된 공간(61c)들은 연장부(61b)들이 이동할 때 방해를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플라인 허브(15)의 끼움 홈(15a)으로 연장부(61b)들이 삽입된다. 그리고 연장부(61b)들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원위치로 리턴되면서 초기의 내경의 크기를 유지하고 끼움 홈(15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몸체부(61a)는 커버(13)의 내경 부분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제1 질량체(1)의 내부에 있는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누유차단부재(61)의 연장부(61b)들은 스플라인 허브(15)에 제공된 끼움 홈(15a)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지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우수하여 자동화 생산에 적합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누유차단부재(61)의 구조는 제1 질량체(1)와 제2 질량체(3)의 진동 또는 상대 운동으로 인하여 그 위치가 가변되어도 각각의 연장부(61b)들이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끼움 홈(15a)에서 변형되는 일이 없어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누유차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토션 댐퍼를 축 방향으로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엔진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제1 질량체,
    상기 제1 질량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변속기의 입력축에 결합되는 제2 질량체,
    상기 제1 질량체와 상기 제2 질량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질량체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윤활용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질량체와 상기 제2 질량체 사이에 탄성력에 의하여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누유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유차단부재는
    상기 제1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 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제공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며 내경이 탄성력에 의하여 가변되는 내경 가변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 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경 가변 수단은
    상기 제2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축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띄워져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 댐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질량체에 제공되는 커버에 밀착되는 차량용 토션 댐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은
    상기 제2 질량체에 제공되는 스플라인 허브의 끼움 홈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차량용 토션 댐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 홈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차량용 토션 댐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은
    축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축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굴곡져 이루어지는 차량용 토션 댐퍼.
  7. 엔진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엔진의 출력 축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홈들이 제공된 제1 질량체,
    상기 제1 질량체에 결합되어 챔버를 이루고 상기 제1 질량체에 제공된 홈들과 대응하는 또 다른 홈들이 제공된 커버,
    상기 제1 질량체의 공간에 제공되며 원주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며 축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연장부가 제공된 커넥션 플레이트,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에 제공된 연장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질량체와 상기 커버에 제공된 홈들에 직렬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탄성부재들,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허브와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는 스플라인 허브, 그리고 상기 스플라인 허브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제공되고, 이 걸림부가 상기 쌍을 이루는 탄성부재들의 양단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질량체,
    상기 스플라인 허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누유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유차단부재는
    상기 제1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 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제공된 몸체부,
    상기 제2 질량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축의 중 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띄워져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 댐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 사이에는 일정한 구간에서만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가 제공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허브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들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들이 제공되는 홈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 댐퍼.
KR1020090055142A 2009-06-19 2009-06-19 차량용 토션 댐퍼 KR10103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42A KR101035113B1 (ko) 2009-06-19 2009-06-19 차량용 토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42A KR101035113B1 (ko) 2009-06-19 2009-06-19 차량용 토션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21A true KR20100136821A (ko) 2010-12-29
KR101035113B1 KR101035113B1 (ko) 2011-05-19

Family

ID=4351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42A KR101035113B1 (ko) 2009-06-19 2009-06-19 차량용 토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61B1 (ko) 2012-10-31 2014-04-14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안정적 f1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497344B1 (ko) * 2013-10-30 2015-03-0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누유 방지 기능이 강화된 이중 질량 플라이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4439B1 (fr) * 1993-12-23 1996-04-26 Valeo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à logement annulaire étanche.
DE19524100C1 (de) 1995-07-01 1996-07-11 Fichtel & Sachs Ag Schwungradvorrichtung mit einer Abdichtung für eine Fettkammer
JPH11257432A (ja) 1998-03-12 1999-09-21 Unisia Jecs Corp トルク伝達装置
KR20090023007A (ko) * 2007-08-31 2009-03-04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이중 질량 플라이휠의 윤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113B1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0483B2 (ja) 自動車のトルク伝達装置
KR101366107B1 (ko) 축진동 유압식 진동 댐퍼 겸용 유연 커플링
JP2017075694A5 (ko)
JP2017062029A (ja) 自動車の伝達システムのねじり振動減衰装置
WO2016103890A1 (ja) 動力伝達装置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KR20170012130A (ko) 진동 댐핑 장치
JP5960559B2 (ja) トルク変動低減装置
KR100921296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용 토셔널 댐퍼
US20200096050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035113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KR101072610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JPH04231756A (ja) 自動車の緩衝式二重フライホイール
CN110050145B (zh) 扭转阻尼装置
KR20000061945A (ko) 듀얼 매스 플라이 휠
US5730656A (en) Viscous resistance generation mechanism
JP6554819B2 (ja) 振動吸収装置
JP2011247425A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KR101552436B1 (ko) 토크 리미터 기능을 갖춘 듀얼 매스 댐퍼
KR10115560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션 댐퍼
JP7198145B2 (ja) 動力伝達装置
KR102141858B1 (ko) 축정렬형 듀얼매스 플라이휠
JP7170447B2 (ja) ダンパ装置
JP6587715B2 (ja) 動力伝達装置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4003678A (ja) 動力伝達装置
JP3789494B2 (ja) 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