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630A -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630A
KR20100134630A KR1020107021848A KR20107021848A KR20100134630A KR 20100134630 A KR20100134630 A KR 20100134630A KR 1020107021848 A KR1020107021848 A KR 1020107021848A KR 20107021848 A KR20107021848 A KR 20107021848A KR 20100134630 A KR20100134630 A KR 2010013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adhesive
less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214B1 (ko
Inventor
다카시 이가와
신이치 오노
아키라 마츠다
토오루 이마이
다다시 니시
Original Assignee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6Presence of ethen-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09J2453/005Presence of block co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표면에 점착층 및 이형층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며, 상기 이형층 표면의 평균 조도 SRa가 0.200 ㎛ 이하이고, 상기 필름의 점착층 표면의 평균 조도 SRa가 0.030 ㎛ 이하이고, 명세서 중에서 정의하는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이 90 % 이상, 100 % 이하이고, 필름 헤이즈가 1 내지 4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이 점착 필름은 롤 상태로 보관한 후에도 블록킹이 적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접합한 후 고온에서 처리하여도 발포되기 어렵고, 투명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점착 필름{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본 발명은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합성 수지판, 화장 합판, 금속판 및 도장 강판과 같은 물품의 표면에 이것을 접착함으로써, 물품의 표면을 먼지의 부착이나 손상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이며, 인쇄 기판의 땜납 침지시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점착 필름"이란 용어는 점착 시트나 점착 테이프도 의미한다.
종래부터 피복체의 표면 보호를 목적으로 한 점착 필름은 건축 자재나 전기, 전자 제품, 자동차 등의 가공, 보관, 수송시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착 필름은 양호한 점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사용 후에는 각 표면을 점착제로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가소화 염화비닐 수지를 기재로 한 점착 필름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로 하는 점착 필름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로 한 점착 필름은, 주로 EVA,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저결정성 또는 비정질성의 점착층이나 SIS, SEBS 등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기재층과 공압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점착 필름은 접합체가 놓이는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쉽고, 특히 고온 환경하에서는 극단적인 경시(經時)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점착력이 상승하여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곤란해지거나 점착제가 잔존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사용 온도 범위에 관계없이 저온 환경하에서나 고온 환경하에서도 극단적인 경시 변화가 없고, 바람직한 점착성을 유지하는 점착제로서, 비정질성 올레핀 중합체와 특정한 에틸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3 등 참조).
그러나, 상기한 점착 필름에서도 보관에 따라 블록킹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점착층의 반대쪽면에 특정한 표면 조도를 갖는 표면층을 설치하여, 내블록킹성을 향상시킨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참고문헌 4 참조).
그러나, 이 필름도 성능면에서는 충분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631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90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71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68564호 공보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측정 시료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착 필름끼리의 블록킹이 적고, 특히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한 후에도 블록킹이 적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접합한 후 고온에서 처리하여도 발포되기 어렵고,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점착 필름끼리 중첩시킨 경우 점착층 표면은 그 반대쪽면의 영향을 받기 쉽고, 점착력의 저하나 접합시에 피착체와 필름 사이에 작은 기포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한쪽면에 점착층을, 반대쪽면에 이형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며, 상기 이형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200 ㎛ 이하이고, 상기 점착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030 ㎛ 이하이고, 명세서 중에서 정의하는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이 90 % 이상, 100 % 이하이고, 필름 헤이즈가 1 내지 4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 필름끼리의 블록킹이 적고, 특히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한 후에도 블록킹이 적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접합한 후 고온에서 처리하여도 발포되기 어렵고,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의 보관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점착력의 경시 변화가 적은 점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태크성이 우수하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점착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만을 포함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이형층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점착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0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기재층, 점착층 및 이형층이 복수의 압출기로부터 공압출법에 의해 용융 압출 적층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롤은, 폭 450 mm 이상, 길이 300 m 이상의 필름 롤인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점착 필름끼리의 블록킹이 적고, 특히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한 후에도 블록킹이 적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접합한 후 고온에서 처리하여도 발포되기 어렵고, 투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기재층)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필요로 하고, 여기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소량의 α 올레핀의 랜덤 공중합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통상적인 압출 성형 등에서 사용하는 n-헵탄 불용성의 이소택틱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60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헵탄 불용성이란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1982년 2월 후생성 고시 제20호에 의한 n-헵탄 불용성(25 ℃에서 60분간 추출했을 때의 용출분이 150 pPm 이하(사용 온도가 100 ℃를 초과하는 것은 30 PPm 이하))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α-올레핀, 예를 들면 에틸렌 또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C4 이상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에 상기 예시한 α-올레핀을 1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얻어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 MFR)는 0.1 내지 1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g/10분의 범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부텐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필름의 탄성이 부드러워지고 태크성이 양호해져, 접촉 면적 비율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점착층)
또한, 본 발명의 요건인 점착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한쪽면에 점착층을 적층하는 관계상, 올레핀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층간 강도를 높이거나 박리 후 피착체로의 점착층의 잔존을 방지하는 의미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요건인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 비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점착층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하기 (1) 또는 (2)에 예시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매트릭스에 올레핀계 고무를 미분산시킨 중합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기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것.
예를 들면, 미쯔비시 가가꾸(주) 제조 "제라스 MC707", "제라스 MC717"을 예시할 수 있다.
(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만을 포함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하기에 예시하는 수지를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 혼합한 것.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1-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4-메틸-1-펜텐 공중합체이며, JIS K 7162(시험편: 1A형, 척(chuck) 사이: 115 mm, 속도: 1 mm/분)에서의 탄성률이 600 MPa 이하인 중합체.
또한, 용융 흐름 속도는 1 내지 10 g/10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만을 포함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서 결정 융해 열량 및 결정화 열량이 40 J/g 이하가 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결정 융해 열량 및 결정화 열량이 10 J/g 이상이 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만을 포함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타프셀렌 H3522A", 미쓰이 가가꾸(주) 제조 "노티오 PN3560"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타프셀렌 H3522A"는 완전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혼합체를 포함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이지만, 완전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점착층에서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점착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는 0.030 ㎛ 이하일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0.02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 ㎛ 이하이고, 특히 0.0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0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체와 접합할 때 접촉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점착력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점착력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로서, 접합된 필름이 접촉하고 있는 각각의 표면에서는 물질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 즉 반데르발스력이 기능하고 있으며, 이 힘이 점착력의 근원이 된다. 여기서, 접촉 면적이 적다는 것은, 접합된 필름 표면과 피착체 표면 사이에서의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고, 점착력이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점착층 표면을 가능한 한 평면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첨가제는 최대한 첨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를 0.010 ㎛ 미만으로 하는 것은, 첨가제 무첨가의 연신 필름에서도 사실상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필름 제조시의 권취 방향에 대하여 직행하는 방향인 가로 방향의 두께 변동률이 2.0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두께 변동률이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체에 점착 필름을 가압 접착할 때 장소에 따른 압력의 불균일이 발생하여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두께 변동률을 2.0 % 미만으로 억제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JIS-Z-0237 점착 테이프ㆍ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피착체와의 접촉면성을 측정한 경우, 그 값이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80 ℃×24 시간의 조건으로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발포되기 어렵고, 접착된 필름의 아크릴판으로부터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피착체와 필름의 계면에 존재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가 제거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때, 상기 필름의 50 ℃에서의 초기 점착력과 23 ℃에서의 초기 점착력의 차가 10 cN/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cN/25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고온에서의 점착력이 상온의 경우에 비해 변화가 작으면 점착력의 경시 변화가 적다.
본원의 점착 필름의 점착력은 23 ℃에서 3 내지 50 cN/25 cm의 범위인 것이 피착체의 보호 성능 및 박리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점착력은 점착층의 수지의 비정질 성분의 양, 조성 등의 제어에 의해 점착력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공지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윤활제, 블록킹 방지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내충격 개량제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단, 점착층 표면의 저분자량 물질을 1 mg/m2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층 표면의 저분자량 물질의 측정은 다음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점착층 표면을 에탄올 등의 점착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침식하지 않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세정한 후, 그 세정액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증발기 등으로 제거하고, 그 잔사를 칭량하여 구한 수치를 세정한 점착층 표면의 표면적으로 나누어 구하였다. 여기서, 잔사가 1 mg/m2 이상 존재하면 점착층 표면과 피착체 표면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어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반데르발스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점착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고분자형 등의 첨가제를 선택하거나 첨가 방법을 검토하여 점착층으로의 이행, 전사가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형층)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기재층의 한쪽면에 적층된 점착층과는 반대쪽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점착 필름끼리 중첩하여도 점착 필름끼리의 블록킹이 적고, 특히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한 후에도 블록킹이 적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다.
이 경우, 그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를 0.05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순히 이형층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이형층의 표면 요철이 점착층의 표면에 전사되어, 점착력 또는 상술한 접착 면적이 저하되거나 피착체에 접합한 직후와 경시 후에 점착력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평균 표면 조도 SRa를 0.2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블록킹성과 피착체의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이형층의 표면 요철은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로 0.150 ㎛ 이하가 되는 표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60 ㎛ 이상, 0.13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80 ㎛ 이상, 0.130 ㎛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나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나, 프로필렌 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매트상으로 표면이 거칠어진 층을 적층할 수 있다.
매트상의 표면을 얻는 데 바람직한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 선알로머(주) 제조 "PC480A"나 "PC523A" 등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표면의 평균 조도 SRa를 크게 하는 관점에서는 선알로머(주) 제조 "PC523A"가 유리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하면 표면 조도가 지나치게 커진다.
(점착 필름)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헤이즈값은 1 내지 40의 범위인 것이 특히 광학용 피착체에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이다.
본 발명의 점착층의 두께는 1 ㎛ 이상, 3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점착에 문제가 있으며, 30 ㎛ 이상이면 점착층 표면의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 점착력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그의 점성을 고려하여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두께가 크면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쉽고, 특히 단단한 수지를 점착층에 사용했을 때 유효하다.
점착층의 두께는 블록킹의 면에서 2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 1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 ㎛ 이상, 5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층의 두께는 5 ㎛ 이상, 10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 25 ㎛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탄성이 약해져 주름이 생기거나, 점착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으며, 100 ㎛ 이상이면 비용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태크성이란 순간 접착력을 의미하며, 접착 초기시의 접착 용이함의 지표이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롤의 형태로 하는 것이 취급상 바람직하다.
필름 롤의 폭 및 권취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취급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는 폭 1.5 m 이하, 권취 길이는 필름 두께가 45 ㎛인 경우 6000 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 코어로서는, 통상적으로 3인치, 6인치, 8인치 등의 플라스틱 코어나 금속제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적성을 이유로 길이 300 m 이상, 폭 450 mm 이상의 치수로 권취한 필름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특히 합성 수지판(예를 들면, 광학용 부재용, 건축 자재용), 스테인레스판(예를 들면, 건축 자재용), 알루미늄판, 화장 합판, 강판, 유리판, 가전 제품, 정밀 기계 및 제조시의 자동차 바디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물품을 중첩, 보관, 수송하거나, 제조 공정에서 반송할 때의 손상으로부터 방지, 물품을 이차 가공할(예를 들면, 굽힘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 때의 손상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의 물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결정 융해열 및 결정화 열량
폴리올레핀 수지 약 5 mg을 칭량하고, 가부시끼가이샤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60)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 ℃/분으로 200 ℃까지 승온시키고, 200 ℃에서 5분간 유지한 후, 강온 속도 10 ℃/분으로 0 ℃까지 냉각한 후, 재차 10 ℃/분으로 200 ℃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차트로부터 결정 융해열 및 결정화 열량을 구한다.
(2) 수지의 탄성률
JIS K 7162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시험편: 1A형
척 사이: 115 mm
속도: 1 mm/분
(3) 표면 조도의 측정
(주)고사카 겡뀨쇼 제조의 접촉식 삼차원 중심면 표면 조계(형식 ET-30HK) 및 삼차원 조도 해석 장치(SPA-11)를 사용하여, 이형면, 점착면 표면의 중심면 평균 조도(SRa)를 다음의 조건으로 촉침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조건은 하기와 같고, 20회 측정값의 평균값을 값으로 하였다.
촉침 선단 반경: 0.5 ㎛
촉침압: 20 mg
컷오프값: 80 ㎛
측정 길이: 1000 ㎛
세로 배율: 5000배
측정 속도: 100 ㎛/s
측정 간격: 2 ㎛
(4) 점착성의 평가
JIS-Z-0237(2000) 점착 테이프ㆍ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피착체로서,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주) 제조: 아크릴라이트 3 mm 두께) 50 mm×150 mm를 준비하고, 시험편으로서 필름 제조시의 권취 방향으로 25 mm,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180 mm의 시험편을 절단하고, 질량 2000 g의 고무 롤(롤러 표면의 스프링 경도 80 Hs, 두께 6 mm의 고무층으로 피복된 폭 45 mm, 직경(고무층을 포함함) 95 mm인 것)을 사용하여, 피착체와 시험편을 5 mm/초의 속도로 1회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압착 후 온도 23 ℃, 상대 습도 65 %의 환경하에 30분간 방치한 것을 초기로 하고, 24 시간 동안 방치한 것을 경시로서, 도요 세이끼사 제조 "텐실론"(UTM-IIIL)을 사용하여 300 mm/분의 속도로 180도 박리했을 때의 저항값을 점착력[cN/25 mm]으로 하였다. 180도 박리란, 박리시의 저항값을 측정할 때의 아크릴판과 필름의 박리 각도를 180도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시에는 측정 시료의 척으로서 두께 190 ㎛, 크기 25 mm×170 mm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점착 필름과 아크릴판을 압착한 측정 시료의 점착 필름측의 끝에 접착 부분 15 mm의 폭으로 셀로판 테이프로 접착하여 측정시의 척으로 하였다. 측정 시료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낸다. 측정은 하나의 샘플에 대하여 3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그 샘플의 점착력으로 하였다.
(5)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 비율의 평가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아크릴판에 접착시키고, 23 ℃×30분 후에 아크릴판과 점착 필름의 접촉면 상태를 관찰하였다.
관찰 조건: 키엔스(KEYENCE) 제조 디지털 현미경 VHX-200F를 사용하여, 배율 100배로 디지털 화상을 촬영한 후,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로 아크릴판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 비율을 산출하였다.
(6) 고온 처리시의 발포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아크릴판에 접착한 후, 80 ℃×24 시간의 조건으로 가열 처리를 실시하였다. 접착된 필름의 아크릴판으로부터의 들뜸이나 박리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고온 처리시의 발포 유무를 평가하였다.
○: 발포에 의한 들뜸ㆍ박리가 없음
×: 발포가 보임
(7) 필름 헤이즈
JIS-K-7105 플라스틱의 광학적 특성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닛본 덴쇼꾸 고교(주) 헤이즈 미터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8) 내블록킹성의 평가
점착 필름을 세로 150 mm×가로 5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점착면과 이형면을 대향시켜 중첩한 후, 20 kg의 하중을 가하여 40 ℃의 환경하에 7일간 정치하였다. 그 후, 처리한 점착 필름을 25 mm 폭×100 mm 길이로 절단하고, 도요 세이끼 제조 인장 시험기 텐실론 UT-IIIL을 사용하여, 속도 300 mm/분의 속도로 점착면과 이형면 사이를 180° 박리했을 때의 저항값[cN/25 mm]을 측정하였다.
(9) 두께 변동률
안리쯔 필름 두께 시험기 KG601A 및 K306C를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속도 0.01초
전송 속도 1.5 m/분
하이컷 OFF
솎음(thinning) 처리 OFF
필름 제조시의 권취 방향에 대하여 40 mm, 권취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500 mm의 길이의 샘플을 절단하고, 권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연속 두께를 상기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이하의 수학식 2에 의해 두께 변동률을 구하였다. 측정은 하나의 샘플에 대하여 5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그 샘플의 두께 변동률로 하였다.
[수학식 2]
두께 변동률(%)=[(두께의 최대값-두께의 최저값)/두께의 평균값]×100
[실시예 1]
(기재층의 제조)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 FLX80E4, 인장 탄성률: 1500 MPa) 100 중량%를 60 mmφ 단축 압출기(L/D: 22.4)로 용융 압출하여 기층으로 하였다.
(점착층의 제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미쯔비시 가가꾸 제조: 제라스 MC707) 100 중량%를 45 mmφ 2축 압출기(L/D: 19)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이형층의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선알로머 제조: PC480A) 100 중량%를 65 mmφ 단축 압출기(L/D: 25)로 용융 압출하여 이형층으로 하였다.
(필름의 제조)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각각이 각 압출기로 용융된 상태에서, 250 ℃의 3층 T 다이(멀티 매니폴드형, 립폭 250 mm, 립 간격 1 mm) 내에서 적층 압출을 행하였다. 압출한 필름을 온도 20 ℃의 캐스팅 롤에 에어 나이프로 분사하고, 12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기재층 두께가 40 ㎛, 점착층 두께가 5 ㎛, 이형층 두께가 5 ㎛인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평활한 점착층이 형성되었으며, 상온에서의 점착성을 갖고,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불균일이 없고, 피착체와의 접착 후의 고온 처리시에 발포가 없고, 외관이 우수하고, 이형층과 점착층간의 블록킹이 없고, 취급성이 양호한 것이었다.
[실시예 2]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점착층과 각 층의 비율을 하기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
비정질성 PP(스미또모 가가꾸 제조: 타프셀렌 H3522A, 결정 융해 열량 및 결정화 열량이 28 J/g)와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 FLX80E4, 인장 탄성률: 1500 MPa)를 80/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45 mmφ 2축 압출 기(L/D: 19)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필름의 제조)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각각이 각 압출기로 용융된 상태에서, 250 ℃의 3층 T 다이(멀티 매니폴드형, 립폭 250 mm, 립 간격 1 mm) 내에서 적층 압출을 행하였다. 압출한 필름을 온도 20 ℃의 캐스팅 롤에 에어 나이프로 분사하고, 12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기재층 두께가 25 ㎛, 점착층 두께가 20 ㎛, 이형층 두께가 5 ㎛인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평활한 점착층이 형성되었으며, 상온에서의 점착성을 갖고,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불균일이 없고, 피착체와의 접착 후의 고온 처리시에 발포가 없고, 외관이 우수하고, 이형층과 점착층간의 블록킹이 없고, 취급성이 양호한 것이었다.
[실시예 3]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점착층과 각 층의 층 비율을 하기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
비정질성 PP(스미또모 가가꾸 제조: 타프셀렌 H3522A, 결정 융해 열량 및 결정화 열량이 28 J/g)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스미또모 가가꾸 제조: SPX78J1, 인장 탄성률: 530 MPa)를 80/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45 mmφ 2축 압출 기(L/D: 19)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필름의 제조)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각각이 각 압출기로 용융된 상태에서, 250 ℃의 3층 T 다이(멀티 매니폴드형, 립폭 250 mm, 립 간격 1 mm) 내에서 적층 압출을 행하였다. 압출한 필름을 온도 20 ℃의 캐스팅 롤에 에어 나이프로 분사하고, 12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기재층 두께가 35 ㎛, 점착층 두께가 10 ㎛, 이형층 두께가 5 ㎛인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평활한 점착층이 형성되었으며, 상온에서의 점착성을 갖고,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불균일이 없고, 피착체와의 접착 후의 고온 처리시에 발포가 없고, 외관이 우수하고, 이형층과 점착층간의 블록킹이 없고, 취급성이 양호한 것이었다.
[실시예 4]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기재층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기재층)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스미또모 가가꾸 제조: SPX78J1, 인장 탄성률: 530 MPa)를 45 mmφ 2축 압출기(L/D: 19)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비교예 1]
(기재층의 제조)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 FLX80E4) 100 중량%를 60 mmφ 단축 압출기(L/D: 22.4)로 용융 압출하여 기층으로 하였다.
(점착층의 제조)
비정질성 PP(스미또모 가가꾸 제조: 타프셀렌 H3522A)와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 FLX80E4)를 80/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45 mmφ 2축 압출기(L/D: 19)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이형층의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선알로머 제조: PC480A) 100 중량%를 65 mmφ 단축 압출기(L/D: 25)로 용융 압출하여 이형층으로 하였다.
(필름의 제조)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각각이 각 압출기로 용융된 상태에서, 250 ℃의 3층 T 다이(멀티 매니폴드형, 립폭 250 mm, 립 간격 1 mm) 내에서 적층 압출을 행하였다. 압출한 필름을 온도 20 ℃의 캐스팅 롤에 에어 나이프로 분사하고, 12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기재층 두께가 40 ㎛, 점착층 두께가 5 ㎛, 이형층 두께가 5 ㎛인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평활한 점착층이 형성되었으며, 상온에서의 점착성을 갖지만,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불균일이 관찰되었으며, 피착체와 점착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있었다. 또한, 접착 후의 고온 처리시에 발포되었으며, 가열 후에 외관의 악화가 관찰되었다. 이형층과 점착층간의 블록킹은 없었으며, 취급성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2]
기재층, 점착층은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이형층, 각 층의 구성을 하기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형층의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선알로머 제조: PC523A) 100 중량%를 65 mmφ 단축 압출기(L/D: 25)로 용융 압출하여 이형층으로 하였다.
(필름의 제조)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각각이 각 압출기로 용융된 상태에서, 250 ℃의 3층 T 다이(멀티 매니폴드형, 립폭 250 mm, 립 간격 1 mm) 내에서 적층 압출을 행하였다. 압출한 필름을 온도 20 ℃의 캐스팅 롤에 에어 나이프로 분사하고, 12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기재층 두께가 40 ㎛, 점착층 두께가 5 ㎛, 이형층 두께가 5 ㎛인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상온에서의 점착성이 약간 저하되었으며, 점착층 표면의 조도가 높고,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불균일이 관찰되고, 피착체와 점착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있었다. 또한, 접착 후의 고온 처리시에 발포되었으며, 가열 후에 외관의 악화가 관찰되었다. 이형층과 점착층간의 블록킹은 없었으며, 취급성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3]
기재층, 점착층은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이형층을 하기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기재층 두께가 40 ㎛, 점착층 두께가 5 ㎛, 이형층 두께가 5 ㎛인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형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 FLX80E4) 100 중량%를 65 mmφ 단축 압출기(L/D: 25)로 용융 압출하여 이형층으로 하였다.
이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평활한 점착층이 형성되었으며, 상온에서의 점착성을 갖고,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불균일이 관찰되지 않고, 피착체와 점착면의 접촉 면적이 충분하였다. 또한, 접착 후의 고온 처리시에 발포도 없고, 가열 후의 외관도 양호하였지만, 이형층과 점착층간의 블록킹이 강하고, 취급성에 문제가 있었다.
상기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점착 필름끼리의 블록킹이 적고, 특히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한 후에도 블록킹이 적고,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접합한 후 고온에서 처리하여도 발포되기 어렵기 때문에, 합성 수지판, 화장 합판, 금속판 및 도장 강판, 자동차의 소부 도장시나 인쇄 기판 등의 폭넓은 용도 분야에 이용할 수 있으며, 산업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한쪽면에 점착층을, 반대쪽면에 이형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며, 상기 이형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200 ㎛ 이하이고, 상기 점착층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030 ㎛ 이하이고, 명세서 중에서 정의하는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이 90 % 이상, 100 % 이하이고, 필름 헤이즈가 1 내지 4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만을 포함하는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이형층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1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평균 표면 조도 SRa가 0.0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 점착층 및 이형층이 복수의 압출기로부터 공압출법에 의해 용융 압출 적층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7. 제1항에 기재된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롤이며, 상기 필름 롤의 폭이 450 mm 이상, 길이가 300 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롤.
KR1020107021848A 2008-04-30 2009-03-27 점착 필름 KR101605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8563 2008-04-30
JPJP-P-2008-118563 2008-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630A true KR20100134630A (ko) 2010-12-23
KR101605214B1 KR101605214B1 (ko) 2016-03-21

Family

ID=4125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848A KR101605214B1 (ko) 2008-04-30 2009-03-27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39069A1 (ko)
JP (1) JP5446369B2 (ko)
KR (1) KR101605214B1 (ko)
CN (1) CN102015942B (ko)
TW (1) TWI452105B (ko)
WO (1) WO2009133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6369B2 (ja) * 2008-04-30 2014-03-19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JP5600905B2 (ja) * 2009-08-24 2014-10-08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WO2011158110A2 (en) 2010-04-28 2011-12-22 Nuformix Limited Cilostazol cocrystals and compositions
JP5987293B2 (ja) * 2010-12-01 2016-09-07 東洋紡株式会社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2016196650A (ja) * 2010-12-01 2016-11-24 東洋紡株式会社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5731835B2 (ja) * 2011-01-24 2015-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KR101978535B1 (ko) * 2011-10-31 2019-09-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계 필름
JP2013185148A (ja) * 2012-03-12 2013-09-19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KR102020085B1 (ko) * 2012-04-10 2019-09-09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JP2014019777A (ja) * 2012-07-18 2014-02-03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US10336046B2 (en) 2013-02-21 2019-07-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adhering tape comprising multilayers of polyolefin polymer materials and method
JP6341049B2 (ja) * 2014-03-13 2018-06-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フィルム
CN112805136B (zh) * 2018-10-26 2023-06-20 东洋纺株式会社 液晶化合物取向层转印用取向薄膜
CN115298279B (zh) * 2020-03-19 2024-01-09 三井化学株式会社 自粘着片
CN115315495A (zh) * 2020-03-27 2022-11-08 优泊公司 粘合片层叠体及其制造方法
CN112538318B (zh) * 2020-11-30 2022-07-05 永新股份(黄山)包装有限公司 一种液晶背光源导光板自粘保护膜及其生产方法
CN112852334A (zh) * 2021-01-14 2021-05-28 安徽英诺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高温自粘保护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8062A3 (en) * 1984-09-10 1989-05-10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Hot melt presssure sensitive thermoplastic elastomeric adhesive compositions
JP3103190B2 (ja) * 1992-02-25 2000-10-23 東レ合成フィルム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イルム
JP2001139903A (ja) * 1999-11-11 2001-05-22 Kureha Elastomer Co Ltd 貼着用機能性複合フィルム
JP3668439B2 (ja) * 2001-06-14 2005-07-06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
WO2007016068A1 (en) * 2005-08-01 2007-02-08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lease l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4779874B2 (ja) * 2006-08-22 2011-09-28 東洋紡績株式会社 未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
JP2008068564A (ja) * 2006-09-15 2008-03-27 Dainippon Ink & Chem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080626A (ja) * 2006-09-27 2008-04-10 Toray Advanced Fil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46369B2 (ja) * 2008-04-30 2014-03-19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0587A (en) 2010-01-01
TWI452105B (zh) 2014-09-11
JP5446369B2 (ja) 2014-03-19
WO2009133741A1 (ja) 2009-11-05
KR101605214B1 (ko) 2016-03-21
CN102015942A (zh) 2011-04-13
CN102015942B (zh) 2014-03-12
US20110039069A1 (en) 2011-02-17
JP2009287004A (ja)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214B1 (ko) 점착 필름
JP656972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781230B1 (ko) 점착 필름
JP5292763B2 (ja) 粘着フィルム
KR101867113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983418B1 (ko) 폴리올레핀계 필름
KR101978535B1 (ko) 폴리올레핀계 필름
JP6506556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TWI621683B (zh) Self-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JP5544821B2 (ja) 粘着フィルムロール
JP5445023B2 (ja) 粘着フイルム
JP650838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287005A (ja) 粘着フィルム
JP5445022B2 (ja) 粘着フイルム
JP5531441B2 (ja) 粘着フィルム
JP5531440B2 (ja) 粘着フィルム
JP5531439B2 (ja) 粘着フィルム
JP2016196650A (ja)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2010229222A (ja) 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