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342A - 트렌치 커버 - Google Patents

트렌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342A
KR20100132342A KR1020090051123A KR20090051123A KR20100132342A KR 20100132342 A KR20100132342 A KR 20100132342A KR 1020090051123 A KR1020090051123 A KR 1020090051123A KR 20090051123 A KR20090051123 A KR 20090051123A KR 20100132342 A KR20100132342 A KR 2010013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cover
trench
female
cov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275B1 (ko
Inventor
김영미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미 filed Critical 김영미
Priority to KR102009005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2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 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도난을 방지함과 아울러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치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은 양단에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지지부들 사이에 배수홈이 다수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다른 트랜치 커버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하되 중앙에 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각각 형성된 암수연결부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암/수연결부는 교호되게 결합되도록 좌우 한 쌍의 연결편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의 연결편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판이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의 연결편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연결부의 연결편의 내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의 연결편과 설치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삽입 고정되는 머리홈이 형성된 트렌치 커버가 개시된다.
트렌치, 커버, 유격조절돌기, 차폐판, 암/수연결부

Description

트렌치 커버{TRENCH COVER}
본 발명은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 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도난을 방지함과 아울러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주차장, 각종 건축물 등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수 및 집수하기 위한 이른바 트렌치(Trench)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보행자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 또는 기타 오물이 트렌치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트렌치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트렌치 커버의 일례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2685호에 개시된 "도로 횡단 및 지하램프용 배수로 트랜지 뚜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양측면에 리브(11)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10)의 양단부에 다른 트렌치 커버와 연결하기 위한 요부(12)와 철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요부(12) 및 철부(13)의 내측에 연결공(16)을 각각 형성하여 다른 트렌치 커버의 요 부 또는 철부를 서로 대응되게 맞대어 볼트(15)와 너트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렌치 커버는 양측에 형성된 요부(12)와 철부(13)를 볼트(15)와 너트로 일일이 결합하면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결 및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렌치 커버는 여러 개를 연결 시 양측의 요부(12)가 인접하는 다른 커버의 철부(13)와 각각 대응되기 때문에 서로 간의 접촉간섭에 의해 좌우로 전혀 유동되지 않아 그 폭 조절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설치현장의 여건이나 가공 및 조립오차에 따라 발생되는 트렌치와의 틈새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고, 그로 인해 차량이 빈번하게 지나다니는 주차장의 출입구와 같이 외력의 영향이 잦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 트렌치 프레임과의 이격된 공간에서 자유로이 유동되면서 마찰소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트렌치 커버들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15)와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적 특성상 설치가 완료되더라도 렌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에 취약한 문제점이 상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다양한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 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렌치 커버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폭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으면서 설치 시 폭 방향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치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치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력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치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에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지지부들 사이에 배수홈이 다수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다른 트랜치 커버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하되 중앙에 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각각 형성된 암수연결부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암/수연결부는 교호되게 결합되도록 좌우 한 쌍의 연결편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의 연결편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상부로 노출 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판이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의 연결편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연결부의 연결편의 내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의 연결편과 설치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삽입 고정되는 머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완충재가 대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커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폭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조절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커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몸체부의 중심부 양측에 교호로 형성된 하나의 암/수연결부를 통해 다른 트랜치 커버가 연결되므로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격조절돌기의 길이에 따라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의 연결편과 접촉간격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여러 개가 연결되는 트렌치 커버의 좌우 폭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연장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트렌치의 폭 등 다양한 설치장소의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가공 및 조립오차 등로 인한 조립불량없이 현장특성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손쉽게 적용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좌우 폭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흔들림이나 마찰 등에 따른 소음 및 진동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연결부의 연결편 외측면에 볼트의 머리부 또는 너트가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판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암연결부의 다른 연결편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수연결부의 연결편 외측면에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삽입 고정되는 머리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트렌치 커버를 연결 조립한 상태로 현장 설치가 완료되면 렌치, 스패너 등의 도구를 볼트나 너트에 삽입 및 직접적으로 접촉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단위체 형태로 다수가 연결된 트렌치 커버를 전체적으로 들어올리지 않는한 부분적으로 분리할 수 없으므로 분실 및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각별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100)는 크게 몸체부(110), 지지부(120), 암/수연결부(130/14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몸체부(11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상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만곡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양측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하이힐의 굽과 같은 가늘고 긴 물체가 트렌치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의 배수홈(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곡률의 반경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형태적 특성상 그 상면에 위험이나 경고의 의미를 갖는 다양한 색상 또는 야광도료 등을 도포할 경우 차량의 진출입로나 골목길 등에서 과속방지턱 및 안전가이드의 기능과 동일한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몸체부(110)의 최상면과 차량의 바퀴 등과 같은 물체는 상호 간의 접촉 면적이 곡률반경에 의해 최소화되므로 접촉 시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저감시키며,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지지부(120)는 트렌치 프레임(200)의 양측에 안착되도록 몸체부(1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재(150) 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트렌치 프레임(200)의 양측벽과 긴밀하게 접촉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조절돌기(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홈(121)의 내측벽면에는 걸림턱(122)이 대향되게 돌출되어 있고, 완충재(150)에는 이와 대응하는 걸림홈(151)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을 받더라도 완충재(150)가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지지부(12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서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재(150)는 결합홈(121)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자체 탄성변형 및 복원력에 의해 결합홈(121)에 빡빡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결합홈(121)과 대향면에 별도로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부착할 경우 한층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완충재(150)는 하중이나 충격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트렌치 프레임(200)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지지부(120)와 트렌치 프레임(200)의 불균형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들뜸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 트렌치 커버(100)가 외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될 경우 발생되는 흔들림, 덜커덩거림 등에 의한 마찰소음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폭조절돌기(123)는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커버의 최대폭을 트렌치 프레임(200)의 양측벽 사이 거리와 대응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즉, 트렌치 커버(100)를 트렌치 프레임(200)에 설치 시 트렌치 커버(100)의 폭과 트렌치 프레임(200)의 폭이 가공 및 조립오차 등으로 인해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폭조절돌기(123)를 그라인더 등의 연삭공구로 트렌치 프레임(200)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삭하여 제거함으로써 트렌치 커버(1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폭조절돌기(123)의 길이 조절에 따라 트렌치 커버(100)가 트렌치 프레임(200)의 내측벽과 긴밀하게 상호 밀착되므로 트렌치 커버(100)가 트렌치 프레임(200)의 내측에서 외력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암/수연결부(130/140)는 몸체부(110)의 양측에 다른 트랜치 커버(100')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수연결부(130/140)와 교호되게 결합되도록 좌우 한 쌍의 연결편(131,132/141,142)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볼트(B)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공(133/143)이 좌우로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암/수연결부(130/140)에 의해 다른 트렌치 커버(100')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B)의 머리부와 너트(N)가 암/수연결부의 연결편(131/142)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외력을 받더라도 트렌치 커버(100)가 제각기 유동되거나 들어 올려지면서 분리 및 튀어나가는 것을 막아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암연결부(130)의 연결편(131,132)들 중 수연결부(140)와 결합 시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편(131)의 외측에는 볼트(B)의 머리부 또는 너트(N)가 상부로 노 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판(13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암연결부(130)의 다른 연결편(132)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수연결부(140)의 연결편(142) 내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의 연결편과 설치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돌기(144)가 연결공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결편(142)의 외측면에는 볼트(B)의 머리부나 너트(N)가 삽입 고정되는 머리홈(145)이 연결공(143)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렌치 커버(100)와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100')를 연결하는 볼트(B)의 머리부 혹은 너트(N)가 차폐판(134) 및 머리홈(145)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트렌치 커버를 연결 조립한 상태로 현장 설치가 완료되면 렌치나 스패너 등의 공구를 볼트(B)나 너트(N)에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즉, 다수가 서로 연결된 트렌치 커버(100)를 트렌치 프레임(200)에서 해체하거나 부분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볼트(B)나 너트(N)의 조임상태를 해제시켜야 하는데, 이때 트렌치 프레임(20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별도로 마감 설치되는 트렌치 커버를 먼저 분해하여 하나의 단위체 형태로 조립된 트렌치 커버 전체를 동시에 뒤집거나 혹은 하나의 트렌치 커버를 다른 트렌치 커버에 대하여 볼트(B)를 축으로 상방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볼트(B)나 너트(N)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를 전연 조작할 수 없는 것이다.
더군다나 트렌치 커버(100)가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우수한 구상흑연주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특성상 그 무게가 상당하므로 별도의 기계장비를 이용하 지 않고서는 여러 개가 하나의 단위체 형태로 조립된 상태로는 동시에 들어올릴 수도 없어 좀도둑 등에 의해 분실 및 도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격조절돌기(144)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130)의 연결편(132)과 접촉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설치장소의 여건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가공 및 조립오차 등로 인한 조립불량없이 손쉽게 적용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치된 트렌치 프레임(200)의 폭이 준비된 트렌치 커버(100)보다 클 경우에는 줄이나 그라인더 등의 연삭공구를 이용하여 유격조절돌기(144)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연삭한 후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130)의 연결편(132)와 밀착시켜 연결하게 되면 하나의 트렌치 커버(100)와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100')가 좌우 양측으로 어긋나게 조립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짝을 이루는 두 개의 트렌치 커버(100/100')는 좌우 양측 폭이 트렌치 프레임(200)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변경됨으로 인해 설치 시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트렌치 커버(100/1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함으로써 흔들림이나 마찰 등에 따른 소음 및 진동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100)는 암/수연결부(130/140)가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인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파손 등에 따른 유지보수 시 하나의 단위체 형태로 여러 개가 연결된 트렌치 커버 전체를 뒤집어서 볼트(B)와 너트(N)의 조립상태를 해제 및 분해하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며, 여러 개를 조립한 상태로 간편하게 말아서 운반 및 보관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렌치 커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트렌치 커버 110: 몸체부
111: 배수홈 120: 지지부
121: 결합홈 122: 걸림턱
123: 폭조절돌기 130: 암연결부
131/132: 연결핀 133: 연결공
134: 차폐판 140: 수연결부
141/142: 연결핀 143: 연결공
144: 유격조절돌기 145: 머리홈
150: 완충재 151: 걸림홈
200: 트렌치 프레임
B: 볼트 N: 너트

Claims (3)

  1. 양단에 지지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수홈(111)이 다수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에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하되 중앙에 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공(133/143)이 각각 형성된 암/수연결부(130/140)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암/수연결부(130/140)는 교호되게 결합되도록 좌우 한 쌍의 연결편(131,132/141,142)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130)의 연결편(131,132)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판(134)이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130)의 연결편(131,132)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연결부(140)의 연결편(141,142)의 내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의 암연결부의 연결편과 설치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돌기(144)가 형성되고, 그 연결편(141,142)의 외측면에는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가 삽입 고정되는 머리홈(1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의 저면에 결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1)에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완충재(150)가 대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커 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의 측면에 폭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조절돌기(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커버.
KR1020090051123A 2009-06-09 2009-06-09 트렌치 커버 KR10106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123A KR101062275B1 (ko) 2009-06-09 2009-06-09 트렌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123A KR101062275B1 (ko) 2009-06-09 2009-06-09 트렌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342A true KR20100132342A (ko) 2010-12-17
KR101062275B1 KR101062275B1 (ko) 2011-09-05

Family

ID=4350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123A KR101062275B1 (ko) 2009-06-09 2009-06-09 트렌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19Y1 (ko) 2009-12-24 2011-12-08 김성찬 칼라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101271495B1 (ko) 2011-06-10 2013-06-05 서울메트로 접이식 커버가 구비된 트렌치 구조
KR102223197B1 (ko) 2019-04-29 2021-03-05 김종국 무소음 트렌치 및 이를 제조하는 무소음 트렌치용 주물 금형
KR20230139669A (ko) 2022-03-28 2023-10-05 최예은 들림 방지형 트렌치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057B1 (ko) 2007-03-22 2008-08-29 김영미 트렌치 커버
KR200445470Y1 (ko) 2007-08-08 2009-08-04 김성찬 무소음 트렌치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275B1 (ko) 201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275B1 (ko) 트렌치 커버
US10308298B2 (en) Track shoe pad structure assembly
US20070245568A1 (en) Demolition claw
US20130139461A1 (en) Attachment of wall elements
KR100669922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용 덮개
US9851048B2 (en) Liner retention system for an aerial device
KR100855057B1 (ko) 트렌치 커버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200487897Y1 (ko)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20130061790A (ko) 차선분리대
JP6068243B2 (ja) 道路用伸縮継手
KR20150076061A (ko) 역류 방지 그레이팅
KR101365250B1 (ko) 스틸그레이팅
KR200480502Y1 (ko) 교량 받침대용 볼트유닛
KR20120124698A (ko) 그레이팅
JP3185244U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JP4827612B2 (ja) 壁高欄の伸縮間隙被覆構造
KR101146650B1 (ko) 복공판의 체결장치
JP3182813U (ja) 溝蓋用受枠
KR20210019264A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200275867Y1 (ko) 방호벽용 신축이음장치
KR101916372B1 (ko) 삼각 트렌치 커버
KR20160001851U (ko) 대리석 경계턱을 가지는 측구 수로관
KR100467098B1 (ko) 건축용 체결식 거푸집 설치구조
KR200350014Y1 (ko) 구축물용 난간 클램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