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131A -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 Google Patents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131A
KR20100132131A KR1020090050785A KR20090050785A KR20100132131A KR 20100132131 A KR20100132131 A KR 20100132131A KR 1020090050785 A KR1020090050785 A KR 1020090050785A KR 20090050785 A KR20090050785 A KR 20090050785A KR 20100132131 A KR20100132131 A KR 2010013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lishing
glass body
release glass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318B1 (ko
Inventor
장용만
Original Assignee
(주)미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컴퍼니 filed Critical (주)미래컴퍼니
Priority to KR102009005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31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시스템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이송받은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동시에 연마하는 연마부와,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일 가공단위씩 연마부로 이송하고,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에 의해 대량의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 및 내측의 상하 모서리와 면에 대하여 동시에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연속적이면서도 능률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글라스체, 이형, 연마, 시스템

Description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System for grinding glass body of irregular shape and Method for grinding glass body of irregular sha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글라스체 연마장치는 액정 유리, 강화 유리 등의 글라스체의 윤곽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원판 글라스체를 워터젯 등의 가공수단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절단 가공하면 그 가공된 면에 헤어크랙 등이 발생하게 되는 바 그 면을 2차로 연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장치는 자동차, LCD, 반도체, 기계 산업용 공구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글라스체를 연마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LCD와 같이 직사각형 등의 일정 형상을 가지는 글라스체에 대하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연마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외측 모서리를 가공하였다.
이로 인해 하나의 글라스체를 연마함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여러번 이동을 시켜야 하는 바 작업의 능률성을 저해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글라스체의 외측만을 연마할 뿐이어서 글라스체의 내부 홀(hole)이나 슬롯(slot), 혹은 소형 LCD 터치 패널의 보호형 커버와 같은 이형의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대량의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 및 내측의 상하 모서리와 면에 대하여 동시에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연속적이면서도 능률적인 생산이 가능한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체 연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체에 대하여 그 높이를 보정하여 연마함으로써 연마면의 품질에 있어서 치핑(chipping)이 발생하지 않고 정밀 가공이 가능한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체 연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대하여 높은 위치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어 연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체 연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시스템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이송받은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동시에 연마하는 연마부와,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일 가공단위씩 연마부로 이송하고,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이 제공된다.
공급부는 나란히 배열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되, 컨베이어 유닛은 각각 이형 글라스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은 이형 글라스체의 너비에 상응하여 폭을 조정하는 폭 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는 이송부와 연동하여 이형 글라스체의 길이에 상응하는 일 피치씩 구동되는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연마부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지그가 두 가공단위 이상 구비되어 있고 이송부와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재치 유닛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지그에 고정된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연마휠을 구비한 연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흡착을 통해 이형 글라스체를 고정시키는 진공테이블과, 진공테이블의 사방에 위치하여 이형 글라스체를 X-Y방향으로 밀어주는 복수의 정렬바를 포함하는 얼라이너(aligner)가 지그마다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연마부는 X-Y-Z방향의 3축으로 수치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연마부는, 지그에 고정된 이형 글라스체의 Z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과, 센싱 유닛에서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연마휠의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마휠은 회전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휠 몸체 주변에 면취 및 모서리 연마를 위한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 홀 연마 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송부는, 진공 흡착을 통해 공급부 상의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부로 이송하는 제1 피커 유닛과, 진공 흡착을 통해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이형 글라스체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제2 피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커 유닛과 제2 피커 유닛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에서 투입된 복수의 글라스체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재치 유닛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지그에 고정된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복수의 연마휠이 구비되어 있는 연마 유닛과, 지그에 고정된 글라스체의 Z방향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유닛과, 센싱 유닛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연마휠의 Z축 영점 조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글라스체 연마 장치가 제공된다.
연마 유닛은 복수의 연마휠 전체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이 수행된 이후 지 그에 고정된 글라스체를 동시에 연마할 수 있다.
글라스체는 이형 글라스체일 수 있다.
연마휠은 회전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휠 몸체 주변에 면취 및 모서리 연마를 위한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 홀 연마 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진공 흡착을 통해 이형 글라스체를 고정시키는 진공테이블과, 진공테이블의 사방에 위치하여 이형 글라스체를 X-Y방향으로 밀어주는 복수의 정렬바를 포함하는 얼라이너(aligner)가 지그마다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을 구동시켜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방법으로서, (a) 공급부를 통해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b) 이송부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부로 이송하는 단계, (c) 연마부로 이송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동시에 연마하는 단계, (d) 이송부를 이용하여 연마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단계, (e) 배출부에서 연마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이 제공된다.
후순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한 단계 (b)와 이전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한 단계 (d)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a)는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는 나란히 배열되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유닛에 각각 투입되고, 컨베이어 유닛 각각에 대하여 단계 (a)는, (a1) 컨베 이어 유닛에 투입된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이동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a2) 이형 글라스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 컨베이어 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 이전에, (c1) 얼라이너(aligner)를 이용하여 이형 글라스체 각각을 X-Y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c2) 진공 흡착을 통해 이형 글라스체를 고정시키는 단계, (c3) 재치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 이전에, (c1)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각각 Z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2) 감지된 Z방향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연마휠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량의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 및 내측의 상하 모서리와 면에 대하여 동시에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연속적이면서도 능률적인 생산이 가능하고, 복수의 글라스체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그 높이를 보정하여 연마함으로써 가공시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연마면의 품질에 있어서 치핑이 발생하지 않고 정밀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글라스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대하여 높은 위치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어 연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글라스체는 자동차, LCD, 반도체 등에서 사용되는 강화유리, 액정유리 등을 의미하며, 이형 글라스체는 소형 LCD 터치 패널의 보호용 커버와 같이 외측 테두리가 단순한 다각형이 아닌 복잡한 형상이거나 내부에 홀(hole) 혹은 슬롯(slot)이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100), 공급부(10), 컨베이어 유닛(12), 이송부(20), 연마부(30), 재치 유닛(31), 연마 유닛(36), 배출부(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동시에 연마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형 글라스체 공급, 연마부(30)로의 이송, 연마, 배출부(40)로의 이송, 배출 등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마부(30)로의 이송과 배출부(40)로의 이송은 하나의 이송부(20)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100)은 연마 과정에 따라 인 접하여 배치되는 공급부(10), 이송부(20), 연마부(30), 배출부(4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부(10)는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나란히 배열된 컨베이어 유닛(12)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100) 내부로 연마대상물인 이형 글라스체가 공급된다. 각각의 컨베이어 유닛(12)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이형 글라스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해당 컨베이어 유닛(12)은 구동을 멈추고 이송부(20)에 의한 이송이 이루어질 때까지 대기한다. 여기서, 소정 위치는 이송부(20)에 의해 연마부(30)로의 이송이 가능한 위치이며, 스토퍼(stopper)가 구비되어 이형 글라스체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형 글라스체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이형 글라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sensor)가 구비되어 이형 글라스체의 소정 위치 도달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컨베이어 유닛(1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1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이형 글라스체와 컨베이어 유닛(12)의 벨트 사이의 마찰에 의한 이형 글라스체의 표면에서의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부(20)는 공급부(10)에 의해 공급되어 소정 위치에 도달한 이형 글라스체에 대해서 연마부(30)로 이송하고, 연마부(30)에서 연마된 이형 글라스체에 대해서 배출부(4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부(20)는 2단의 피커(picker) 유닛을 구비하여 공급부(10)로부터 연마부(30)로의 이송과 연마부(30)로부터 배출부(40)로의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피커 유닛이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하는 매커니즘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연마부(30)는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연마를 수행한다. 연마부(30)는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이형 글라스체를 각각 재치하는 복수의 지그가 구비되고, 각각의 지그에는 이형 글라스체를 X-Y방향으로 정렬하는 얼라이너(aligner)가 결합되어 있는 재치 유닛(31)과, 재치 유닛(31)에 고정된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기 위한 복수의 연마휠이 구비된 연마 유닛(36)을 포함한다.
연마부(3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재치 유닛(31)의 일부에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된 이형 글라스체를 재치하고, 이후 회전 등을 통해 해당 부분이 연마부(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연마 유닛(36)에 의한 연마가 수행된다. 그리고 연마가 완료된 후 회전 등을 통해 해당 부분이 다시 연마부(30)의 외부에 노출되어 이송부(20)를 통해 배출부(40)로 연마된 이형 글라스체가 이송되도록 한다.
연마 유닛(36)은 동시에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연마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동시에 연마가 가능한 이형 글라스체의 수를 가공단위라 한다. 전술하였던 공급부(10)의 컨베이어 유닛(12)의 수, 지그의 수, 얼라이너의 수, 연마휠의 수, 후술할 피커 유닛에 구비된 진공 흡착 패드의 수 등이 모두 이 가공단위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가공단위가 4인 것을 가정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가공단위는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마부(30)는 재치 유닛(31)의 지그(34)에 재치된 각 이형 글라스체의 Z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과, Z방향 위치에 따라 해당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할 연마휠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마부(30)의 각 유닛의 메커니즘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배출부(40)는 연마부(30)에 의해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받아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하나의 컨베이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송부(20)의 동작에 연동하여 이형 글라스체의 길이에 상응하는 일 피치(pitch)씩 구동할 수 있다.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어 배출부(40)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는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나란히 배열되며, 배출부(40)의 폭은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이 나란히 배열될 수 있을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급부(10), 이형 글라스체(1), 컨베이어 유닛(12), 벨트(14), 벽체(13a, 13b), 스토퍼(15), 폭 조정기(16)가 도시되어 있다.
공급부(10)는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컨베이어 유닛(12)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유닛(12)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폭을 조정할 수 있는 좌우 벽체(13a, 13b)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이형 글라스체(1)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14)를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공급부(10)에 투입된 이형 글라스체(1)는 좌우 벽체(13a, 13b)에 의해 정렬되고 벨트(14)의 회전에 의해 연마부로의 이송을 위한 위치까지 이동된다.
각 컨베이어 유닛(12)은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 컨베이어 유닛(12)은 벨트(14) 상에 거치된 이형 글라스체(1)의 위치에 따라 벨트(14)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12)의 일단에는 스토퍼(15)가 구비되어 있어 이형 글라스체(1)가 이송을 위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형 글라스체(1)가 스토퍼(15)에 의해 그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벨트(14)가 계속 구동한다면 벨트(14)와의 마찰에 의해 이형 글라스체(1)의 하부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형 글라스체(1)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해당 컨베이어 유닛(12)은 벨트(1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를 위해 스토퍼(15)에서의 접촉 감지 혹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센서에서의 감지에 의해 이형 글라스체(1)의 소정 위치 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유닛(12)을 구성하는 좌우 벽체(13a, 13b)는 폭 조정기(16)를 이용하여 해당 컨베이어 유닛(12)에 의해 이송되는 이형 글라스체(1)의 너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컨베이어 유닛(12)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폭 조정기(16)는 예를 들어 오른나사와 왼나사의 볼스크류로 구성되거나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외부에서의 회전 운동을 좌우 벽체(13a, 13b)의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유닛(12)의 폭 조정이 가능하다. 이 때 두 벽체(13a, 13b)는 동일 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폭 조정기(16)는 각 컨베이어 유닛(12)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거나 모든 컨베이어 유닛(12)이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 조정기(16)에 의해 폭이 조정된 컨베이어 유닛(12)에 의해 이 형 글라스체(1)는 어느 정도 정렬된 상태로 이송 위치에 도달하여 이송부(20)에 의한 이송을 기다린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부(20), 이송 몸체(26), 피커 유닛(22a, 22b), 흡착 패드(24a, 24b)가 도시되어 있다.
이송부(20)는 일측이 공급부(10)의 상방에 위치하고 타측이 배출부(40)의 상방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이 연마부(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이형 글라스체가 공급부(10)로부터 연마부(30)로, 그리고 연마부(30)로부터 배출부(40)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이송부(20)는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하여 연마부(30)의 재치 유닛(31) 상에 재치하는 제1 피커 유닛(22a)과, 연마부(30)에 의한 연마가 완료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하여 배출부(40) 상에 전달하는 제2 피커 유닛(22b)을 포함한다.
각 피커 유닛(22a, 22b)은 일 가공단위에 상응하는 수의 흡착 패드(24a, 24b)를 구비하고 있어 진공 흡착을 통해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한다. 이러한 진공 흡착을 위한 석션 라인이 이송부(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피커 유닛(22a)에 속하는 흡착 패드들(24a)과 제2 피커 유닛(22b)에 속하는 흡착 패드들(24b)은 각각 혹은 함께 진공 흡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흡착 패드(24a, 24b) 간의 간격은 공급부(10)의 컨베이어 유닛(12) 간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연마부(30)의 재치 유닛(31)에 구비된 일 가공단위씩 구분된 어느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지그(34) 간의 간격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피커 유닛(22a)은 공급부(10) 상에서 수직으로 하강하여 이형 글라스체를 진공으로 흡착하고,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한 후 연마부(30)의 재치 유닛(31) 상에서 수직으로 하강하여 재치 유닛(31)의 각 지그(34) 내에 이형 글라스체를 안착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연마부(30)에 이형 글라스체를 자동으로 공급한다.
제2 피커 유닛(22b)은 연마부(30)의 재치 유닛(31) 상에서 수직으로 하강하여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를 진공으로 흡착하고,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한 후 배출부(40) 상에서 수직으로 하강하여 이형 글라스체를 안착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배출부(40)에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 피커 유닛(22a)과 제2 피커 유닛(22b)은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제1 피커 유닛(22a)이 공급부(10)로부터 연마부(30)로 수평 이동함과 동시에 제2 피커 유닛(22b)이 연마부(30)로부터 배출부(40)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피커 유닛(22a)과 제2 피커 유닛(22b)은 이송 몸체(26)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공급부(10)와 연마부(30)의 대응되는 위치 간의 간격, 연마부(30)와 배출부(40)의 대응되는 위치 간의 간격, 제1 피커 유닛(22a)과 제2 피커 유닛(22b) 간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피커 유닛(22a)과 제2 피커 유닛(22b)이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동작함 으로써 연마 대상이 되는 이형 글라스체의 공급과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의 배출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능률성을 높일 수 있다.
이송부(20)는 그 일단이 배출부(40)의 일단에 구비된 로테이션 암(rotation arm)과 연결되어 회전 이동이 가능하며, 필요에 의해 그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치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치 유닛(31), 회전테이블(33), 지그(34a, 34b), 얼라이너(35), 장변 정렬바(42), 단변 정렬바(44), 진공테이블(46)이 도시되어 있다.
재치 유닛(31)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테이블(33)일 수 있다. 회전테이블(33)의 상면 두 방향으로는 각각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지그(34a, 34b)가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인 이형 글라스체가 재치될 수 있다.
이 때 각 지그(34a, 34b)에는 재치되는 이형 글라스체의 X-Y 방향 정렬을 위한 얼라이너(35)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별도로 구비된 진공펌프의 진공흡입력으로 연마대상물이 진공 흡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치 유닛(31)에는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지그(34a, 34b)가 두 그룹 이상 회전테이블(33)의 상면의 각 방향으로 구비된다. 도 5에서는 360도를 180도씩 분할한 2분할 방식을 택하고 있으나, 가공 조건에 따라 360도를 3분할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하여 유닛을 구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충분히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180도씩 2분할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제1 그룹(34a)이 연마부(30)의 외부에 노출되어 이송부(20)를 통해 공급부(10)로부터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받는 경우에, 제2 그룹(34b)은 연마부(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연마 유닛(36)에 의한 연마가 수행된다. 이후 180도 회전하여 제1 그룹(34a)이 연마부(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연마 유닛(36)에 의해 연마되는 동안에, 제2 그룹(34b)이 연마부(30)의 외부에 노출되어 이전에 연마된 이형 글라스체를 이송부(20)를 통해 배출부(40)로 이송함과 동시에 공급부(10)로부터 새롭게 공급된 이송 글라스체를 이송받게 된다. 이를 위해 재치 유닛(31)은 이송부(2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이형 글라스체의 공급, 연마,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각 그룹(34a, 34b)의 지그들은 전술한 피커 유닛(22a, 22b)의 흡착 패드들(24a, 24b)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커 유닛(22a, 22b)의 수직 하강 혹은 수직 상승에 따라 동시에 이형 글라스체가 지그 내에 안착되거나 흡착 패드(24a, 24b)에 흡착될 수 있다.
지그(34a, 34b)에 안착되는 이형 글라스체의 경우 정밀 연마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바, 각 지그(34a, 34b)에는 얼라이너(35)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형 글라스체가 이송부(20)에 의해 공급부(10)로부터 투입될 때 그 방향 등이 정확하게 재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정확한 방향으로 맞추어 주어야 이후 내외측 면 및 모서리의 면취가 용이하다. 따라서, 얼라이너(35)는 이형 글라스체를 X-Y 방향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지그(34a, 34b)마다 하나씩의 얼라이너(35)가 결합되지만,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5에는 하나의 얼라이너(35)만이 하나의 지그(34a)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얼라이너(35)는 투입된 이형 글라스체가 재치되고 이후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흡착되어 고정될 진공테이블(46)과, 진공테이블(46)을 중심으로 사방에 위치하며 X방향 또는 Y방향 중 한 방향 이상으로 이동가능한 정렬바들(42, 44)을 포함한다. 장변 정렬바(42)를 이용하여 이형 글라스체의 장변을 상하측에서 밀어주고, 단변 정렬바(44)를 이용하여 이형 글라스체의 단변을 좌우측에서 밀어주어 이형 글라스체를 진공테이블(46)에서 X-Y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단변 정렬바(44)는 그 단면이 사각형이고 이형 글라스체의 단변 하나에 대하여 하나가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장변 정렬바(42)는 그 단면이 원형이고 이형 글라스체의 장변 하나에 대하여 둘 이상이 있어, 글라스체의 윤곽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아닌 이형인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후 X-Y방향으로 정렬된 이형 글라스체를 진공 흡착을 통해 진공테이블(46) 상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회전테이블(33)을 회전시킴으로써 X-Y방향으로 정렬되고 진공 흡착된 이형 글라스체가 연마 유닛(36)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연마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연마 작업이 완료된 이후 다시 회전테이블(33)을 회전시켜 이형 글 라스체를 배출부(40)로 배출하고자 할 때에도 다시 한번 얼라이너(35)를 이용하여 X-Y방향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이송부(20)에 의한 이송 시 그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부 일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연마 유닛에 구비되는 연마휠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마부(30), 연마 유닛(36), 연마휠(37), 제어 유닛(38), 센싱 유닛(39), 휠 몸체(20), 제1 연마면(51), 제2 연마면(52), 홀 연마 팁(53)이 도시되어 있다.
연마부(30)는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연마휠(37)을 구비하는 연마 유닛(36)을 포함한다. 연마 유닛(36)은 끝단에 모터로 구동되는 복수의 연마휠(37)이 구비되어 있어 재치 유닛(31)에 재치된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 면과 모서리뿐 아니라 홀, 슬롯 등의 내측 면과 모서리에 대해서도 정밀 연마가 가능하다.
연마휠(37)은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며 외주면에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는 휠 몸체(50)와, 휠 몸체(50)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홀, 슬롯 등을 가공하기 위한 홀 연마 팁(53)을 포함한다. 연마면은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1 연마면(51)과,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 상하 모서리를 연마하기 위해 'V자'홈 혹은 'U자'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마면(52)으로 이루어진다. 홀 연마 팁(53)은 휠 몸체(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반경이 작아 글라스체에 형성되어 있는 크기가 작은 홀 혹은 슬롯 등에 대하여 내측 면 또는 상하 모서리의 연마가 가능하다. 홀 연마 팁(53)의 외주면에 역시 면취를 위한 연마면, 모서리 연마를 위한 연마면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연마휠(37)은 구리, 주석, 철, 코발트 등의 금속 결합제 혹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수지 결합제와 다이아몬드 분말, CBN(CubicBoroNitride) 분달 등의 지립(연삭제)를 혼합하여 고온에서 소결 및 성형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휠(37)을 구비한 연마 유닛(36)은 X-Y-Z방향의 3축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미리 입력된 수치 제어 방식에 따라 이형 글라스체의 외측 혹은 이형 글라스체의 내부에 형성된 홀 또는 슬롯의 내측의 면과 모서리를 연마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Z방향은 재치 유닛(31)에 재치된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며, X-Y방향은 재치된 이형 글라스체에 상응하는 평면에서의 방향을 의미한다.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이형 글라스체가 동시에 연마되기 위해서는 연마휠(37)의 X-Y방향으로의 움직임과 Z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동일해야 한다.
여기서, 이형 글라스체의 경우 그 크기가 수 인치(inch)에 해당하는 소형의 유리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수 mm 이하일 수 있다. 즉, X-Y방향에 따른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Z방향에 따른 위치가 가공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또한, 이형 글라스체들이 각각 지그 내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전술한 정렬기에 의해 평면 상의 위치에 대해서는 1차적으로 정렬이 이루어져 있을 수 있는 바, Z방향에 대하여 각 이형 글라스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마부(30)는 센싱 유닛(39)과 제어 유닛(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유닛(39)은 재치 유닛(31)에 재치된 각각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해서 그 Z방향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 유닛(38)은 감지된 Z방향 위치에 따라 해당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게 될 연마휠(37)이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7에서는 센싱 유닛(39)이 연마휠(37)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재치 유닛(3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유닛(39)은 각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절대적 기준값(예를 들어, 재치 유닛(31)의 회전테이블(33) 상면)에 대한 높이이거나 혹은 이형 글라스체와 연마휠 사이의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제어 유닛(38)은 센싱 유닛(39)이 감지한 Z방향 위치에 따라 연마휠(37)에 대한 Z축 영점 조정이 수행되도록 연마 유닛(36)을 제어하여 이형 글라스체의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Z축 영점 조정은 연마 유닛(36)에 구비된 연마휠(37)의 Z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각 연마 유닛(36)으로부터 이형 글라스체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한 후 모든 연마 유닛(36)에 동일한 Z방향 제어값을 이용한 연마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연마휠의 Z방향 제어값을 각 연마 유닛(36)마다 감지한 이형 글라스체의 Z방향 위치에 따라 조정하여 연마 작업 수행 시 각각의 Z방향 제어값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는 센싱 유닛(39)은 연마 유닛(36)에 결합되어 연마휠이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기 위해 수직으로 하강하던 중 이형 글라스체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한다. 제 어 유닛(38)은 이형 글라스체와 연마휠이 접촉하는 점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해당 기준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 연마 유닛(36)이 연마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부(30)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치 유닛(31), 연마 유닛(36), 센싱 유닛(39), 제어 유닛(38)을 구비하여 재치 유닛(31)에 재치된 글라스체들 각각의 Z방향 위치를 센싱 유닛(39)이 감지하고 제어 유닛(38)이 감지 결과에 따라 연마 유닛(36)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글라스체에 대하여 빠른 시간 내에 연마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에서의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의 순서도이다.
공급부(10)의 각 컨베이어 유닛(12)에 연속적으로 이형 글라스체를 투입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100). 폭 조정기(16)를 이용하여 각 컨베이어 유닛(12) 내에 투입된 이형 글라스체가 이동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102). 그리고 이형 글라스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 컨베이어 유닛(12)은 그 동작을 멈추어(단계 S104) 이형 글라스체의 하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20)는 공급부(10)의 소정 위치에 정렬된 이형 글라스체들을 연마부(30)로 이송한다(단계 S110).
이송부(20)는 제1 피커 유닛(22a)을 공급부(10)의 상방에서 수직 하강시킨 후 이형 글라스체들을 진공 흡착하고 이 후 수직 상승 및 수평 이동을 통해 연마 부(30)의 재치 유닛(31) 상방에서 수직 하강시켜 재치 유닛(3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지그(34a, 34b)에 안착되는 이형 글라스체의 경우 전술할 것과 같이 얼라이너(35)를 이용하여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정렬바(42, 44)를 이용하여 진공테이블(46) 상에 재치된 이형 글라스체를 X-Y방향으로 동시에 정렬시킨다(단계 S112). 그리고 X-Y방향으로 정렬된 이형 글라스체를 진공 흡착을 통해 진공테이블(46) 상에 고정시킨다(단계 S114). 그리고 재치 유닛(31), 즉 회전테이블(33)을 회전시킴으로써(단계 S116), X-Y방향으로 정렬되고 진공 흡착된 이형 글라스체가 연마 유닛(36)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연마 유닛(36)은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동시에 연마한다(단계 S120).
이 때 센싱 유닛(39)이 이형 글라스체들 각각의 Z방향 위치를 감지하고(단계 S122), 제어 유닛(38)이 Z방향 위치에 따라 연마 유닛(36)에 구비된 연마휠(37)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124). Z축 영점 조정이 수행됨으로 인해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동시에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단계 S126)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유닛(39)이 Z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연마휠(37)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앞서 전술하였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마가 완료되면, 재치 유닛(31)은 회전을 통해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 체들이 이송부(2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한번 얼라이너(35)를 이용하여 X-Y방향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이송부(20)에 의한 이송 시 그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송부(20)는 재치 유닛(31)에 재치된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들을 배출부(40)로 이송한다(단계 S130). 이송부(20)는 제2 피커 유닛(22b)을 재치 유닛(31)의 상방에서 수직 하강시킨 후 이형 글라스체들을 진공 흡착하고 이 후 수직 상승 및 수평 이동을 통해 배출부(40) 상방에서 수직 하강시켜 배출부(4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배출부(40)는 현재 이송부(20)로부터의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들을 이송받고 일 피치만큼 이동시킨 후 다음 이송이 수행되기를 기다린다(단계 S140).
여기서, 단계 S110와 단계 S13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공급부(10)에서 연마대상물인 이형 글라스체들을 연마부(30)로 이송하는 과정과 연마부(30)에서 연마가 완료된 이형 글라스체들을 배출부(40)로 이송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후 소정의 장치, 예를 들면,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비디오테이프, CD, VCD, DVD와 같은 자기 또는 광 기록매체이거나 또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상에 구축된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치 유닛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이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부 일부의 정면도.
도 8은 연마 유닛에 구비되는 연마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에서의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10: 공급부
12: 컨베이어 유닛 13a, 13b: 벽체
14: 벨트 15: 스토퍼
16: 폭 조정기 20: 이송부
22a, 22b: 피커 유닛 24a, 24b: 흡착 패드
30: 연마부 31: 재치 유닛
34, 34a, 34b: 지그 35: 얼라이너
42, 44: 정렬바 46: 진공테이블
36: 연마 유닛 40: 배출부

Claims (21)

  1.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형 글라스체를 상기 시스템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이송받은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동시에 연마하는 연마부와;
    상기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상기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상기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상기 일 가공단위씩 상기 연마부로 이송하고, 상기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상기 일 가공단위의 이형 글라스체들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부
    를 포함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나란히 배열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각각 상기 이형 글라스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이형 글라스체의 너비에 상응하여 폭을 조정하는 폭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동하여 상기 이형 글라스체의 길이에 상응하는 일 피치씩 구동되는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지그가 두 가공단위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와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재치 유닛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그에 고정된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일 가공단위에 해당하는 수의 연마휠을 구비한 연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진공 흡착을 통해 상기 이형 글라스체를 고정시키는 진공테이블과, 상기 진공테이블의 사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형 글라스체를 X-Y방향으로 밀어주는 복수의 정렬바를 포함하는 얼라이너(aligner)가 상기 지그마다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X-Y-Z방향의 3축으로 수치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연마부는, 상기 지그에 고정된 이형 글라스체의 Z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과, 상기 센싱 유닛에서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연마휠의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은 회전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휠 몸체 주변에 면취 및 모서리 연마를 위한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 홀 연마 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진공 흡착을 통해 상기 공급부 상의 이형 글라스체를 상기 연마부로 이송하는 제1 피커 유닛과, 진공 흡착을 통해 상기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이형 글라스체를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제2 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커 유닛과 상기 제2 피커 유닛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11. 외부에서 투입된 복수의 글라스체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재치 유닛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지그에 고정된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복수의 연마휠이 구비되어 있는 연마 유닛과;
    상기 지그에 고정된 글라스체의 Z방향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유닛과;
    상기 센싱 유닛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연마휠의 Z축 영점 조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글라스체 연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유닛은 상기 복수의 연마휠 전체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이 수행된 이후 상기 지그에 고정된 글라스체를 동시에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체 연마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체는 이형 글라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체 연마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은 회전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휠 몸체 주변에 면취 및 모서리 연마를 위한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 홀 연마 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체 연마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진공 흡착을 통해 상기 이형 글라스체를 고정시키는 진공테이블과, 상기 진 공테이블의 사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형 글라스체를 X-Y방향으로 밀어주는 복수의 정렬바를 포함하는 얼라이너(aligner)가 상기 지그마다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체 연마 장치.
  16.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을 구동시켜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하는 방법으로서,
    (a) 공급부를 통해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b) 이송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위치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연마부로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연마부로 이송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동시에 연마하는 단계;
    (d) 상기 이송부를 이용하여 상기 연마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단계;
    (e)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연마된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후순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한 상기 단계 (b)와 이전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한 상기 단계 (d)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는 나란히 배열되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유닛에 각각 투입되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컨베이어 유닛에 투입된 상기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이동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a2) 상기 이형 글라스체가 상기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베이어 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c1) 얼라이너(aligner)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글라스체 각각을 X-Y방향으 로 정렬시키는 단계;
    (c2) 진공 흡착을 통해 상기 이형 글라스체를 고정시키는 단계;
    (c3) 재치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c1) 상기 복수의 이형 글라스체에 대하여 각각 Z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2) 상기 감지된 Z방향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연마휠에 대하여 Z축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KR1020090050785A 2009-06-09 2009-06-09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KR10109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85A KR101094318B1 (ko) 2009-06-09 2009-06-09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85A KR101094318B1 (ko) 2009-06-09 2009-06-09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131A true KR20100132131A (ko) 2010-12-17
KR101094318B1 KR101094318B1 (ko) 2011-12-19

Family

ID=4350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785A KR101094318B1 (ko) 2009-06-09 2009-06-09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22B1 (ko) * 2011-08-09 2012-04-20 주식회사 글라소닉 다축분할자동박판유리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제조방법
US9199355B2 (en) 2012-05-22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grinding a substra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00B1 (ko) * 2007-05-07 2008-03-10 (주)성현 테크놀로지 유리가공장치 및 유리가공방법
TWI326633B (en) 2007-07-16 2010-07-01 Au Optronics Corp Polishing machine,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load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22B1 (ko) * 2011-08-09 2012-04-20 주식회사 글라소닉 다축분할자동박판유리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제조방법
US9199355B2 (en) 2012-05-22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grinding a substra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318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557B2 (ja) 加工装置
US7189149B2 (en) Method of truing chamfering grindstone and chamfering device
KR102214368B1 (ko) 반송 장치
KR101598657B1 (ko) 웨이퍼의 모따기 장치
JP6336772B2 (ja) 研削研磨装置
KR102408593B1 (ko) 연삭 장치
JP6377433B2 (ja) 研削方法
KR101094318B1 (ko)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KR101480685B1 (ko) 유리 기판 가공 장치
JP2015054373A (ja) 加工装置
JP2017047504A (ja) 加工装置
CN204913586U (zh) 并联式平面研磨设备
JP2009297882A (ja) 加工装置
JP2018027594A (ja) 研削装置
JP7339858B2 (ja) 加工装置及び板状ワークの搬入出方法
JP3323435B2 (ja) 薄板状工作物の両面研削方法
KR100507849B1 (ko)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의 에지를 가공하는 장치
JP2016078132A (ja) 加工装置
KR200487610Y1 (ko) 탄성 평면 연마 장치
JP4477974B2 (ja) 研磨装置
JP2014226767A (ja) ウェーハ面取り装置及びウェーハ面取り方法
KR100573035B1 (ko) 웨이퍼 성형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성형 방법
JP5512314B2 (ja) 研削装置
JP2018006595A (ja) 加工装置
TWM516481U (zh) 並聯式平面研磨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