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702A -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702A
KR20100130702A KR1020090049356A KR20090049356A KR20100130702A KR 20100130702 A KR20100130702 A KR 20100130702A KR 1020090049356 A KR1020090049356 A KR 1020090049356A KR 20090049356 A KR20090049356 A KR 20090049356A KR 20100130702 A KR20100130702 A KR 2010013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zoom
rod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985B1 (ko
Inventor
김태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Priority to KR102009004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8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외부에서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하되, 조절 수단이 다양한 크기의 렌즈에 대응할 수 있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는, 외주면에 제1안내홀 및 제2안내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에서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포커스(focus) 및 줌(zoom)이 조절되게 하는 포커스 조절부 및 줌 조절부;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며, 일측에 제1연장편이 형성된 제1로드 고정부; 상기 제1연장편에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제1안내홀에 위치하게 되는 포커스 조절로드; 상기 줌 조절부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며, 일측에 제2연장편이 형성된 제2로드 고정부; 및 상기 제2연장편에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제2안내홀에 위치하게 되는 줌 조절로드;가 포함된다.
감시카메라, 포커스, 줌, 렌즈부

Description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Camera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capable of Focusing and Zooming In/Out}
본 발명은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외부에서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하되, 조절 수단이 다양한 크기의 렌즈에 대응할 수 있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한 장소나 사물을 촬영하여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에 보냄으로써 촬영되는 장소나 사물의 이상 유무를 현장에 가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는 촬영 기기이다.
주로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 감시 및 도난을 방지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점검할 때에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 감시카메라는 렌즈의 둘레에서 전방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여 렌즈의 광량을 보충하는 복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기도 하며, 이 경우 사람의 시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어두운 야간에도 별도의 조명 장치 없이 보안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모든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원격지에 표시된 모니터를 통하여 영상을 모니터링하게 되며, 따라서, 감시 카메라는 가능한 한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대개 건물의 벽면 상부나 천장에 설치되어 특정방향을 향해 세팅된다. 그리고 세팅작업시에 요구되는 특정위치에 렌즈의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조절된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감시카메라는 카메라 렌즈의 포커스 및 거리를 특정 위치에 맞추기 위한 조절수단이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세팅 작업시 카메라 본체를 분해한 후에 포커스 및 줌 상태를 맞추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세팅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포커스 및 줌 상태의 변경이 필요할 때마다 매번 카메라 본체를 분해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근래에는 카메라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포커스 및 줌 조절을 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의 일 예로는 등록실용 제20-0369533호의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렌즈와 이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마운 트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이 렌즈부에 회전 작동하는 포커스 조절부와 줌 조절부가 형성되며, 이 각 조절부의 외측면에 회전 작동을 유도하는 조절로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조절로드가 노출되도록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안내홀이 형성되며, 이 안내홀 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회전하도록 조절링을 구비하되 이 조절링의 내측면에 상기 조절로드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링을 회전시키면 조절로드의 회전에 따라 조절부가 회전하게 되고 결국 포커스 및 줌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조절링을 별도로 제작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조절링이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두르고 있기 때문에 조절링 형성부위를 통한 하우징 내부로의 빗물 기타 이물질 유입의 문제가 있다.
또한 조절로드는 그 단부가 하우징의 안내홀 상에 위치해야 하는데, 이미 제작이 완료되어 안내홀의 위치가 정해진 하우징에 있어서 다른 크기의 렌즈부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 렌즈부에 구비되는 조절부 위치가 상기 안내홀의 위치에서 크게 떨어져 있다면 조절부에 조절로드를 결합하더라도 조절로드의 단부가 안내홀 상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이 렌즈부를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다양한 크기의 렌즈부에 대응하기 위해 각 렌즈부에 맞는 하우징을 별개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출된 본 발명은, 포커스 및 줌 상태에 대하여 카메라 하우징의 외부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되, 안내홀의 위치가 정해진 하우징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렌즈부를 적용하더라도 조절로드의 위치를 안내홀의 위치에 맞출 수 있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로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는, 외주면에 제1안내홀 및 제2안내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에서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포커스(focus) 및 줌(zoom)이 조절되게 하는 포커스 조절부 및 줌 조절부;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며, 일측에 제1연장편이 형성된 제1로드 고정부; 상기 제1연장편에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제1안내홀에 위치하게 되는 포커스 조절로드; 상기 줌 조절부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며, 일측에 제2연장편이 형성된 제2로드 고정부; 및 상기 제2연장편에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제2안내홀에 위치하게 되는 줌 조절로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안내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각 부위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제1, 제2안내홀을 내측 방향에서 덮어 폐쇄하며, 각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폐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포커스 조절로드 및 줌 조절로드의 각 끝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하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안내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각 부위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제1, 제2안내홀을 내측 방향에서 덮어 폐쇄하며, 각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제2폐쇄판; 및 상기 제1, 제2안내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커스 조절로드 및 줌 조절로드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안내홀이 외측 방향에서 덮여 폐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덮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덮개는 서로 연결되면서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덮개 의 일측 또는 상기 제2덮개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꼬리편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제2덮개 및 꼬리편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제2안내홀을 통해 포커스 조절로드와 줌 조절로드를 회동시 킬 수 있기 때문에, 감시카메라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제2로드 고정부, 그리고 제1, 제2로드 고정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제2연장편에 의해 제1, 제2안내홀이 형성된 이미 제작된 하우징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양한 렌즈부를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제2 폐쇄판에 의해 제1, 제2안내홀이 폐쇄됨으로써 제1, 제2안내홀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제2덮개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제2폐쇄판과 더불어 제1, 제2안내홀이 이중으로 폐쇄되고, 이로써 이물질 유입의 차단성이 보다 더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1)는, 하우징(100), 렌즈부(200), 포커스 조절 부(310), 줌 조절부(410), 제1, 제2로드 고정부(320, 420), 포커스 조절로드(350), 줌 조절로드(4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감시카메라의 구성 부품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도시된 바에서는 하우징(100) 형상의 일 예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된다. 다만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연통하는 제1안내홀(101) 및 제2안내홀(10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전후로 이격 형성된다.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렌즈부(20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렌즈(210)와 이 렌즈(210)를 장착하는 렌즈마운트(220)로 구성되며, 렌즈마운트(220)에는 렌즈(210)의 포커스(FOCUS) 및 줌(ZOOM)을 조절하기 위하여 포커스 조절부(310) 및 줌 조절부(410)가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포커스 조절부(310)는 렌즈(210)의 포커스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커스는 렌즈(210)를 통해 들어온 빛이 CCD(Charge-Coupled Device)에 상으로 맺히는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포커스 조절부(3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렌즈(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렌즈(210)의 구경이 확대 또는 축소되어 CCD에 맺힌 상이 흐리거나 선명하게 조절된다.
포커스 조절부(310)는 렌즈부(200)의 정해진 크기, 구체적으로 렌즈마운트(220)의 정해진 크기의 범위에서 한정된 전후방향의 폭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종래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서는 포커스 조절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포커스 조절로드가 이 정해진 폭 범위 내에서 포커스 조절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었다. 하지만, 렌즈부는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크기의 렌즈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렌즈부의 정해진 배치 위치에서 포커스 조절부의 위치가 제1안내홀(101)로부터 크게 이격되거나 혹은, 포커스 조절부의 폭이 좁게 형성됨으로 인해 포커스 조절로드의 결합 위치가 제1안내홀(101)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는 이미 제1안내홀(101)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하우징(100)을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결국 포커스 조절로드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안내홀(101)이 형성되도록 별개의 하우징을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1로드 고정부(320)를 포함한다.
제1로드 고정부(320)는 포커스 조절부(310)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된다.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는 구조로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조절부(310) 외주면의 폭 방향에서 적당한 위치를 선택하여 나사홈을 형성하고 제1로드 고정부(320)에도 이 나사홈에 대응하는 나사홀을 형성하여 나사부재에 의해 제1로드 고정부(320)가 결합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포커스 조절부(310) 외주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 의 나사홈을 형성하고, 이 나사홈 중 적당한 위치의 나사홈을 선택하여 제1로드 고정부(32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로드 고정부(320)가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적당한 내경을 갖도록 하여 포커스 조절부(310)의 외주면에서 다소 억지끼움 되듯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적당한 위치를 선택하여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로드 고정부(320)가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제1로드 고정부(320)의 일측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나사부재가 이 나사홀로 결합되면서 제1로드 고정부(320)의 외측면을 포커스 조절부(31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결합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제1로드 고정부(320)의 적당한 결합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1로드 고정부(320)는 일측에 제1연장편(321)이 연장 형성된다. 제1연장편(321)은 후술할 포커스 조절로드(350)가 결합된 상태에서 포커스 조절로드(350)의 끝단이 제1안내홀(101)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로드 고정부(32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장편(321)은, 앞서 문제점으로 제기한 바와 같이 렌즈부(200)의 배치 위치에 의해 포커스 조절부(310)의 위치가 제1안내홀(101)로부터 이격 위치하는 경우, 후술할 포커스 조절로드(350)를 이 포커스 조절부(310)에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동시에 포커스 조절로드(350)의 단부가 제1안내홀(101)에 위치토록 한다. 제1연장편(321)은 상술한 기능을 고려하여 그 연장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포커스 조절로드(350)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술한 제1연장편(321)에 결합되며, 하우징(100) 내에서 제1안내홀(101)로 수직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포커스 조절로드(350)는, 단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포커스 조절부(310)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술한 제1로드 고정부(320)를 매개로 포커스 조절부(310)와 연결되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안내홀(101)의 위치에서 이격 위치하는 포커스 조절부(310)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제1로드 고정부(320)의 제1연장편(321)에 의해 제1안내홀(101)을 수직으로 향하는, 그리하여 끝단이 제1안내홀(101)에 위치하는 배치상태를 이루면서 포커스 조절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줌 조절부(410)는 렌즈(210)의 거리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확대 또는 축소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줌 조절부(4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렌즈(21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CCD로 입력된 상의 크기가 조절된다. 줌 기능이 수행되어 피사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것이다.
줌 조절부(410) 또한 포커스 조절부(310)와 마찬가지로 렌즈부(200)의 정해진 크기 범위에서 한정된 전후방향의 폭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줌 조절부(410)에도 제1로드 고정부(320)와 마찬가지의 기능, 즉 후술할 줌 조절로드(450)를 줌 조절부(410)에 연결하면서 줌 조절로드(450)의 끝단이 제2안내홀(102)에 위치토록 하는 제2로드 고정부(420)가 구비되며 제2로드 고정부(420)의 일측에는 제2 연장편(421)이 연장 형성된다.
제2로드 고정부(420)가 줌 조절부(410)에 결합되는 구조 또한 상술한 제1로드 고정부(320)가 포커스 조절부(310)에 결합되는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로드 고정부(4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편(421)은 제2로드 고정부(420)에서 단순히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후에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렌즈마운트(220)의 형상에 따라 줌 조절부(410)의 외경이 포커스 조절부(3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연장편(421)의 회전 반경과 제1연장편(321)의 회전 반경이 동일하도록 제2연장편(421)이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면,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 포커스 조절로드(350) 및 줌 조절로드(45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포커스 조절로드(350)와 줌 조절로드(450)를 다른 형상, 다른 길이로 별개로 제작할 필요 없이 동일한 형상,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연장편(421)에는 줌 조절로드(450)가 결합된다. 줌 조절로드(450)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하우징(100) 내에서 제2연장편(421)에 결합되어 제2안내홀(102)로 수직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줌 조절로드(450) 또한, 포커스 조절로드(350)와 마찬가지로, 단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줌 조절부(410)가 함께 회전하도록 제2로드 고정부(420)를 매개로 줌 조절부(410)와 연결되며, 제2연장편(421)에 의해 제2안내홀(102)을 수직으로 향하는, 그리하여 끝단이 제2안내 홀(102)에 위치하는 배치상태를 이루면서 줌 조절부(410)와 연결될 수 있다.
포커스 조절로드(350)와 줌 조절로드(450)의 각 끝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안내홀(101, 102)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통해, 그리고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따라 포커스 조절로드(350) 및 줌 조절로드(4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2안내홀(101, 102)이 하우징(100) 내부로 연통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통해 빗물 기타 이물질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폐쇄판(510, 5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제2폐쇄판(510, 520)은 각각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에서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된다. 도시된 바에서는 제1, 제2폐쇄판(510, 520)은 판상이면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되고 있으나,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폐쇄할 수 있다면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2폐쇄판(510, 520)은 하우징(100) 내주면에 별다른 수단에 의하지 않고서도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벌어지려는 다소의 탄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폐쇄판(510, 520)의 각 일측에는 관통공(511, 5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관통공(511, 521)으로는 포커스 조절로드(350)와 줌 조절로드(450)의 각 끝단이 관통하면서 제1, 제2안내홀(101, 10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제2폐쇄판(510, 520)은 포커스 조절로드(350)와 줌 조절로드(450)의 단부가 관통 연결된 상태에 놓이므로 제1, 제2안내홀(101, 102) 부위를 벗어나지 않게 되며, 제1, 제2안내홀(101, 102)의 외측으로 돌출된 포커스 조절로드(350)의 끝단, 줌 조절로드(450)의 끝단을 손가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포커스 조절로드(350), 줌 조절로드(45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포커스 조절로드(350) 및 줌 조절로드(450)의 각 끝단이 제1, 제2안내홀(101, 102)의 길이방향에서 어느 위치에 놓이더라도 제1, 제2안내홀(101, 102)은 제1, 제2폐쇄판(510, 520)에 의해 내측방향으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통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511, 521)으로는 가이드 부재(351, 451)가 관통하면서 포커스 조절로드(350), 줌 조절로드(450)의 단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351, 451)는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포커스 조절로드(350), 줌 조절로드(450)와 결합되며 제1, 제2안내홀(101, 10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폐쇄판(510, 520)은, 가이드 부재(351, 451)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포커스 조절로드(350), 줌 조절로드(450)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 제2폐쇄판(510, 520)의 기능에 더하여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제1, 제2안내홀(101, 102) 형성 부위에는 제1, 제2덮개(610, 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2덮개(610, 620)는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외측방향에서 덮어 폐쇄하도록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제2덮개(610, 620)를 제1, 제2안내홀(101, 102)로부터 분리할 때 한번에 분리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면서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2덮개(610, 620)의 분리, 결합 과정에서 제1, 제2덮개(610, 620)가 하우징(100)에 계속 매달려 있게 하여 분실되지 않도록, 제1덮개의 일측 또는 제2덮개(620)의 일측에는 꼬리편(621)이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꼬리편(621)은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에서는 제2덮개(620)의 일측에서 꼬리편(621)이 연장 형성된 예가 도시되고 있으며, 또한 꼬리편(621)은 하우징(100)의 외주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1, 제2덮개(610, 620) 및 꼬리편(621)은, 제1, 제2안내홀(101, 102) 형성부위에서 분리, 결합이 쉽게 되도록, 그리고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통한 이물질 유입의 차단성을 더 향상시키도록 그 소재에 있어서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에서는 제1, 제2덮개(610, 620)가 제1, 제2안내홀(101, 102) 형성부위에서 분리되고, 꼬리편(621)에 의해 하우징(100)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 4b에서는 제1, 제2덮개(610, 620)가 제1, 제2안내홀(101, 102) 형성부위에 결합되어 제1, 제2안내홀(101, 102)을 폐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 표시된 부호 중 11 내지 17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여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것으로, 도면 부호 11은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전방커버를, 12는 전방커버의 내측 전면에 형성되는 투명창을, 13은 는 렌즈(210)의 둘레를 두르도록 투명창의 후측에 배치되는 LED를, 14는 LED가 장착되는 LED 기판을, 15는 렌즈부(20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16은 LED 기판, 인쇄회로기판 등의 구성을 하우징(100)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17은 하우징(100)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되는 후방커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감시카메라 11; 전방커버
12; 투명창 13; LED
14; LED 기판 15; 인쇄회로기판
16; 지지프레임 17; 후방커버
100; 하우징 101; 제1안내홀
102; 제2안내홀 200; 렌즈부
210; 렌즈 220; 렌즈마운트
310; 포커스 조절부 320; 제1로드 고정부
321; 제1연장편 350; 포커스 조절로드
351; 가이드 부재 410; 줌 조절부
420; 제2로드 고정부 421; 제2연장편
450; 줌 조절로드 451; 가이드 부재
510; 제1폐쇄판 511; 관통공
520; 제2폐쇄판 521; 관통공
610; 제1덮개 620; 제2덮개
621; 꼬리편

Claims (6)

  1. 외주면에 제1안내홀 및 제2안내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에서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포커스(focus) 및 줌(zoom)이 조절되게 하는 포커스 조절부 및 줌 조절부;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며, 일측에 제1연장편이 형성된 제1로드 고정부;
    상기 제1연장편에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제1안내홀에 위치하게 되는 포커스 조절로드;
    상기 줌 조절부의 외주면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되며, 일측에 제2연장편이 형성된 제2로드 고정부; 및
    상기 제2연장편에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제2안내홀에 위치하게 되는 줌 조절로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각 부위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제1, 제2안내홀을 내측 방향에서 덮어 폐쇄하며, 각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폐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포커스 조절로드 및 줌 조절로드의 각 끝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하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각 부위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제1, 제2안내홀을 내측 방향에서 덮어 폐쇄하며, 각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제2폐쇄판; 및
    상기 제1, 제2안내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커스 조절로드 및 줌 조절로드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홀이 외측 방향에서 덮여 폐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덮개는 서로 연결되면서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덮개 의 일측 또는 상기 제2덮개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꼬리편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일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제2덮개 및 꼬리편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1020090049356A 2009-06-04 2009-06-04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10103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356A KR101032985B1 (ko) 2009-06-04 2009-06-04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356A KR101032985B1 (ko) 2009-06-04 2009-06-04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702A true KR20100130702A (ko) 2010-12-14
KR101032985B1 KR101032985B1 (ko) 2011-05-09

Family

ID=4350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356A KR101032985B1 (ko) 2009-06-04 2009-06-04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505A2 (ko) * 2011-01-28 2012-08-02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피사체의 전방위 촬영 및 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049B2 (en) * 2001-06-15 2005-06-2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of managing media content
KR20040005483A (ko) * 2002-07-10 2004-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KR200405483Y1 (ko) * 2005-10-20 2006-01-10 주식회사 아비코 거리 및 초점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200440406Y1 (ko) 2006-12-12 2008-06-12 임재학 적외선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 조절수단
KR200446614Y1 (ko) * 2007-11-07 2009-11-12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감시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505A2 (ko) * 2011-01-28 2012-08-02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피사체의 전방위 촬영 및 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시스템
WO2012102505A3 (ko) * 2011-01-28 2012-11-22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피사체의 전방위 촬영 및 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985B1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7100B2 (en) Dome security camera
KR101899489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CN109428994B (zh) 摄像设备
JP2007334116A (ja) レンズ装置の焦点調整支援装置および焦点調整方法
KR20150107506A (ko)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JP4178228B2 (ja) 監視カメラ
JP2019033407A (ja) 多眼カメラ装置
KR200455617Y1 (ko) 적외선 카메라의 빛 차단장치
KR20080102713A (ko)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1032985B1 (ko)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US20080266392A1 (en) Infra-red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adjusting distance and focus by one element
KR101066905B1 (ko) 돔형 감시카메라
JP5590931B2 (ja) 照明付き監視カメラ装置
KR101899494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JP3944656B2 (ja) 照明器具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101410617B1 (ko) 감시카메라 하우징 구조
JP7218457B2 (ja) 撮像装置
KR20150003499A (ko) Cctv 카메라용 엘이디 램프를 구비한 cctv 카메라 조립체
KR101962912B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200368749Y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TWM464516U (zh) 具有移動式鏡頭模組之門眼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