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749Y1 -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749Y1
KR200368749Y1 KR20-2004-0025996U KR20040025996U KR200368749Y1 KR 200368749 Y1 KR200368749 Y1 KR 200368749Y1 KR 20040025996 U KR20040025996 U KR 20040025996U KR 200368749 Y1 KR200368749 Y1 KR 200368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distance
rod
distance adjus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기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20-2004-0025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부의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의 외주면에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각각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와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 또는 거리의 조정을 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된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초점 또는 거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FOCUS REGULATION EQUIPMENT OF CCTV CAMERA}
본 고안은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 및 거리를 하우징의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렌즈의 초점 및 초점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 카메라는 일반 가정의 방범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침입, 도난 또는 화재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방지하며, 만약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일반 시내도로 및 고속도로에서는 교통상황 및 위반차량을 단속하기 위하여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감시카메라(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CCTV 카메라 시스템은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모든 상황을 감시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영상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CCTV 카메라는 가능한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대개 건물의 벽면 상부나 천장에 설치되어 특정방향을 향하여 세팅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CCTV 카메라 렌즈의 거리 및 초점도 요구되는 특정 위치에 세팅되어야 하는 바, 피사체의 상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초점 및 거리의 조절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요구되었다.
종래의 초점거리 조절장치는 케이스의 프론트 커버에 렌즈를 장착한 경통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어 있고, 이 경통의 외주에는 가이드링에 의해 지지되는 조절링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링의 내측 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절연판을 기재하여 고정된 슬라이더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의 내측면에는 렌즈필터, 스페이서 및 고체촬상소자를 순차적으로 내장한 CCD홀더가 상호 대향하는 복수쌍의 훅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이드핀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커버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가이드핀이개재된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링을 정 또는 역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슬라이더가 가이드핀들에 안내되어 조절링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점거리 조절장치는 CCD홀더가 금속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CCD홀더와 인쇄회로기판과의 사이에 절연판이 개재되어야 하는 등 많은 부품수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바 제작과 조립작업이 번잡하고 원가상승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기술에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1-0036209호에 게재된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초점거리 조절장치"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4-0048500호에 게재된 "폐쇄 회로 감시 카메라용 경통 조립체"가 있다.
첫번째로,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초점거리 조절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프론트커버(122)에 조립되는 경통(123)과, 상기 경통(123)의 외주에 결합되는 조절링(125)과, 상기 조절링(12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더(128)와, 상기 슬라이더(128)가 고정되며 프론트커버(12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13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 접속되는 CCD(132) 및 CCD(132)와 렌즈(124)간에 위치되는 렌즈필터(136)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128)에는 상기 렌즈필터(136)와 CCD(132)가 간격을 두고 수용되는 CCD수납부(1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조절링(125)을 정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프론트커버(122)에 위치고정된 경통(123)의 렌즈(124)에 대해 인쇄회로기판(131)에 장착된 CCD(132)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두번째로, 폐쇄 회로 감시 카메라용 경통 조립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렌즈(211)가 수용되어 지지되며, 외주면에는 제1수나사부(212)가 형성된 렌즈홀더(210); 상기 렌즈홀더(210)의 제1수나사부(212)와 대응하는 제1암나사부(122)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홀더(210)가 조립되며, 외주면에는 제2수나사부(223)가 형성된 원통부(200a)를 갖춘 렌즈 마운터(200); 및 상기 렌즈 마운터(200)의 원통부(200a)의 내부에 조립된 렌즈홀더(2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원통부(200a)의 외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써 내주면에는 상기 제2수나사부(223)와 대응하는 제2암나사부(213)가 구비된 위치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위치고정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렌즈홀더(210)에 의해 초점거리를 조절하고 다시 위치고정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더(210)를 고정시킴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 중 첫번째인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초점거리 조절장치는 조절링(125)를 회전시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31) 및 CCD(132)와 연결된 슬라이더(128)가 전후로 이동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것인데, 전후로 이동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은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져 상기 렌즈(124)에 대한 상기 CCD(132)의 이격위치를 외부에서는 확인 할 수 없고 또한 초점의 거리 조절은 가능하지만 초점 조절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 중 두번째인 종래의 폐쇄 회로 감시 카메라용 경통 조립체는 상기 위치고정부재(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렌즈홀더(210)를 조절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 후 다시 상기 위치고정부재(300)로 상기 렌즈홀더(210)를 고정시키는 분해 또는 결합과정을 통해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그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또한 초점 거리의 조절은 가능하지만 초점 조절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초점초절부재와 거리조절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렌즈의 초점 및 거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의 위치만으로 상기 렌즈의 초점 및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CCTV 카메라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3 : 렌즈부
4 : 렌즈홀더 5 : 거리조절부재
6 : 초점조절부재 7 : 전방커버
8 : 후방커버 9 : 전면창
11 : 몸체 12 : 전방돌출부
13 : 후방돌출부 14 : 거리조절 가이드홀
15 : 초점조절 가이드홀 16 : 고정부재
17,18 : 고정홈 19 : 나사골
20 : 인쇄회로기판 21 : 서브플레이트
22 : LED기판 30 : 렌즈마운트
31 : 렌즈 32 : 거리조절수단
33 : 거리조절로드 33a : 나사공
34 : 초점조절수단 35 : 초점조절로드
35a : 나사공 36 : 결합체
41 : 고정판 42 : 결합홈
51,61 : 끼움홈 52,62 : 나사공
53,63 : 결합홀 71 : 나사산
81 : 지지부재 82 : 고정볼트
83 : 스크류 84 : O-링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초점조절 및 거리조절이 가능한 렌즈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CCTV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작동되는 초점조절수단과,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작동되는 거리조절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초점조절수단의 측면에는 막대형태로 돌출된 초점조절로드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초점조절로드가 삽입되도록 초점조절 가이드홀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 가이드홀이 형성 된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상기 초점조절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초점조절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상기 거리조절수단 측면에는 막대형태로 돌출된 거리조절로드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리조절로드가 삽입되도록 거리조절 가이드홀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상기 거리조절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거리조절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타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에는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와 각각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 가이드홀 및 거리조절 가이드홀은 상기 렌즈부의 초점 및 거리를 최대에서 최소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초점조절로드와 거리조절로드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에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과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 사이에는 링형태의 고정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에는 나사공이 천공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CCTV 카메라의 본체는 하우징(1), 렌즈부(3), 렌즈홀더(4), 인쇄회로기판(20), 초점조절부재(6), 거리조절부재(5), 전방커버(7), 후방커버(8)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상기 CCTV 카메라의 구성부품이 수납 및 설치되는 공간으로,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기 전면 및 후면으로는 상기 하우징(1)의 몸체(11) 외주면 둘레보다 약간 작은 둘레를 가지는 전방돌출부(12) 및 후방돌출부(13)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돌출부(12)및 후방돌출부(13)에는 상기 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부(3) 및 상기 렌즈부(3)와 연결된 인쇄회로기판(20)을 보호하고 상기 하우징(1)을 밀폐시키기 위한 전방커버(7) 및 후방커버(8)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돌출부(12)는 후방돌출부(13) 보다 더욱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전방돌출부(12)의 둘레로는 후술되는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가 결합되며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전면으로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31) 및 인쇄회로기판(20)을 보호하면서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전면창(9)이 형성된 전방커버(7)가 결합된다.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31)의 초점 및 거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부(3)에서 각각 돌출된 거리조절로드(33) 및 초점조절로드(35)가 상기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와 결합하도록 거리조절 가이드홀(14) 및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이 각각 천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리조절 가이드홀(14) 및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은 상기 거리조절로드(33) 및 초점조절로드(35)가 삽입되어 좌·우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원주곡면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천공형성되며, 상기 거리조절 가이드홀(14) 및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은 상기 렌즈부(3)에 형성된 거리조절로드(33) 및 초점조절로드(35)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이격거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부(12)이 선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전방커버(7)와 결합되도록 나사골(19)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가 결합되는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 부분의 둘레에는 오목한 형태의 고정홈(17,18)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가 상기 전방돌출부(12)로 결합된 후 상기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에 천공된 나사공(52,62)으로 스크류(83)를 결합시키면 상기 스크류(83)가 나사공(52,62)을 통해 상기 고정홈(17,18)으로 삽입되어 상기 초점조절부재(6) 및 거리조절부재(5)를 상기 전방돌출부(12)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커버(7)는 상기 하우징(1)의 전방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측에는 전면창(9)이 설치되고 그 내주면 둘레로는 나사산(7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와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후방커버(8)는 상기 하우징(1)의 후방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20)과 연결되어 전원입력, 신호입력 또는 렌즈(31)로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커버(8)는 상기 하우징(1)과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부(3)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렌즈(31)와 상기 렌즈(31)를 장착하는 렌즈마운트(30)로 구성되며, 상기 렌즈마운트(30)는 상기 렌즈(31)의 상기 렌즈(31)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수단(32)과 상기 렌즈(31)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초점조절수단(34)과으로 구분된다.
상기 거리조절수단(32)은 상기 렌즈(31)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거리조절수단(32)을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31)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피사체와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수단(32)의 외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는 막대형태의 거리조절로드(33)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에 형성된 거리조절 가이드홀(14)에 삽입되어 후술되는 거리조절부재(5)와 결합된다.
상기 초점조절수단(34)은 상기 렌즈(31)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초점조절수단(34)을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31)의 구경이 확대 또는 축소되어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점조절수단(34)의 외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는 막대형태의 초점조절로드(35)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에 형성된 초점조절 가이드홀(15)에 삽입되어 후술되는 초점조절부재(6)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거리조절로드(33) 및 초점조절로드(35)는 상기 거리조절수단(32) 및 초점조절수단(34)의 외주면과 분리될 수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거리조절수단(32)과 초점조절수단(34)의 외주면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로드(33)와 초점조절로드(35)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거리조절로드(33) 및 초점조절로드(35)는 상기 거리조절수단(32) 및 초점조절수단(34)과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홀더(4)는 상기 렌즈부(3)를 고정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장착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판(41)의 둘레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마운트(3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체(36)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결합홈(42)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렌즈홀더(4)의 결합홈(42)은 상기 렌즈마운트(30)의 결합체(36)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렌즈홀더(4)의 고정판(41)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볼트 등에 의해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렌즈부(3)와 인쇄회로기판(20)은 전선(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Printed Circuit Board)에는 CCD(고체촬상소자) 및 각종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상기 렌즈홀더(4)에 의해 상기 렌즈부(3)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3)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렌즈부(3)에 의해 상기 CCD로 입력된 영상을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3)와 결합된 렌즈홀더(4)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홀더(4)는 서브플레이트(21)의 중앙공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서브플레이트(21)는 디스크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렌즈홀더(4)의 결합체(36)의 둘레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중앙공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홀더(4)의 결합체(36)가 상기 서브플레이트(21)의 중앙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렌즈홀더(4) 및 렌즈부(3)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플레이트(21)는 상기 렌즈홀더(4)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0)과 고정볼트(82)에 의해 상호결합된 상태가 되어 상기 렌즈홀더(4) 및 렌즈부(3)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5)는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3)의 거리조절수단(32)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으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전방돌출부(12)의 거리조절 가이드홀(14)을 통해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된 거리조절로드(33)와 상호결합되도록 상기 거리조절부재(5)의 내주면에는 끼움홈(51)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에 상기 거리조절부재(5)가 결합되면 상기 거리조절부재(5)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5)의 끼움홈(51)으로 상기 거리조절로드(33)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거리조절부재(5)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거리조절로드(33)도 위치변경하게 된다.
상기 초점조절부재(6)는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3)의 초점조절수단(34)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으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을 통해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된 초점조절로드(35)와 상호결합되도록 상기 초점조절부재(6)의 내주면에는 끼움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 둘레로 상기 초점조절부재(6)가 결합되면 상기 초점조절부재(6)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6)의 끼움홈(61)으로 상기 초점조절로드(35)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초점조절부재(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초점조절로드(35)도 위치변경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의 외주면에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51,6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끼움홈(51,61)이 형성된 부분 또는 상기 끼움홈(51,61)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주변부분이 빗살형태 또는 요철형태의 무늬가 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부재(6)와 거리조절부재(5)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초점조절로드(32) 및 거리조절로드(33)의 위치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의 회전도 간편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 사이에는 링 형태의 고정부재(16)가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부재(5), 초점조절부재(6) 및 고정부재(16)의 측면에는 나사공(52,62,1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거리조절부재(5), 초점조절부재(6) 및 고정부재(16)가 상기 전방돌출부(12)외 외주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나사공(52,62,17)에 스크류(83)를 각각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의 조립 과정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결합을 설명하면, 인쇄회로기판(20)과 렌즈홀더(4)의 고정판(41)을 볼트에 의해 고정한 후 서브플레이트(21)와 상기 렌즈홀더(4)가 결합하도록 상기 렌즈홀더(4)의 결합홈(42)을 상기 서브플레이트(21)의 중앙공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렌즈홀더(4)의 고정판(41)을 기준으로 전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서브플레이트(21)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판(41)의 두께만큼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서브플레이트(21)가 이격거리를 가지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릴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서브플레이트(21)의 나사공이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한 후 고정볼트(82)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렌즈홀더(4)의 결합홈(42)으로 렌즈부(3)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체(36)를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렌즈부(3)의 결합홈(42)은 상기 렌즈홀더(4)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렌즈부(3)의 거리조절수단(32) 및 초점조절수단(34)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3)의 결합홈(42)을 위치조정하여 상기 거리조절수단(32) 및 초점조절수단(34)에 각각 형성된 거리조절로드(33)와 초점조절로드(35)가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에 형성된 거리조절 가이드홀(14) 및 초점조절 가이드홀(15)에 각각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 가이드홀(14) 및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은 상기 렌즈부(3)의 거리 및 초점을 최대에서 최소까지 조절할 수 있는 길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3)의 전방으로 LED가 형성된 LED기판(22)을 상기 렌즈부(3)로 결합시킨다. 상기 LED기판(22)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상기 렌즈부(3)의 렌즈마운트(30)가 삽입되도록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공의 주위로 복수개의 LED가 장착되어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3)의 렌즈마운트(30)가 상기 중앙공으로 삽입되도록 끼워진 후 상기 서브플레이트(21)와 지지부재(81)에 의해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LED기판(22)의 중앙공의 직경은 상기 렌즈부(3)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3)의 거리조절수단(32)은 용이하게 회전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의 외주면에 거리조절부재(5), 고정부재(16) 및 초점조절부재(6)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부재(5)의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51)이 상기 전방돌출부(12)의 거리조절 가이드홀(14)을 통해 돌출된 상기 거리조절로드(33)와 결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6)의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61)이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초점조절 가이드 홀(15)을 통해 돌출된 상기 초점조절로드(35)와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 사이에 결합된 고정부재(16)의 나사공(17)으로 스크류(83)로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6)는 상기 하우징(1)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6) 및 거리조절부재(5)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모든 구성요소의 결합부분 사이사이에 O-링(84)을 삽입하여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기밀 및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요소가 상기 하우징(1)의 내외부에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에는 전면창(9)이 형성된 전방커버(7)를 결합하고 후방돌출부(13)에는 후방커버(8)를 결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조립이 완료된 CCTV 카메라를 감시하고자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케이블(미도시)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연결한 후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의 CCTV 카메라의 사용 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렌즈(31)의 거리 또는 초점을 다시 세팅하고자 할 경우 상기 하우징(1)의 외주면에 결합된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31)의 거리 또는 초점를 조절하면 된다.
즉, 상기 렌즈(31)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의 외주면에 설치된 거리조절부재(5)를 일측방향을 회전시키면 상기 거리조절부재(5)의 끼움홈(51)에 결합된 렌즈부(3)의 거리조절로드(33)가 상기 하우징(1)의 거리조절 가이드홀(1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거리조절로드(33)와 일체로 형성된 거리조절수단(32)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거리조절부재(5)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31)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31)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렌즈(31)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렌즈(31)의 초점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의 외주면에 설치된 초점조절부재(6)를 일측방향을 회전시키면 상기 초점조절부재(6)의 끼움홈(61)에 결합된 렌즈부(3)의 초점조절로드(35)가 상기 하우징(1)의 초점조절 가이드 홀(15)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초점조절로드(35)와 일체로 형성된 초점조절수단(34)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초점조절부재(6)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31)의 구경이 작아지고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31)의 구경이 확대되어 렌즈(31)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에 의해 렌즈(31)의 거리 또는 초점을 조절한 후 상기 거리조절부재(5) 및 초점조절부재(6)의 측면에 천공형성된 나사공(52,62)으로 스크류(83)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에 형성된 고정홈(17,18)에 결합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초점조절부재(6) 및 거리조절부재(5)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렌즈(31)의 초점 및 거리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인 거리조절로드, 초점조절로드와 거리조절부재, 초점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렌즈부(3)의 거리조절수단(32)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거리조절로드(33)와 상기 초점조절수단(34)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초점조절로드(35)의 타단에 고정볼트가 삽입되도록 나사공(33a,35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에는 상기 거리조절로드(33) 및 초점조절로드(35)가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홀(53,63)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거리조절로드(33)와 초점조절로드(35)가 형성된 렌즈부(3)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1)의 전방돌출부(12)로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초점조절부재(6)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로드(33)는 상기 전방돌출부(12)의 거리조절 가이드홀(14)을 통과하여 상기 거리표절로드(33)가 상기 거리조절부재(5)의 결합홀(53)로 삽입되도록 결합시킨 후 상기 거리조절로드(33)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공(33a)으로 고정볼트(83)를 결합시켜 상기 거리조절로드(33)가 상기 거리조절부재(5)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초점조절로드(35)는 상기 전방돌출부(12)의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을 통과하여 상기 초점조절로드(35)가 상기 초점조절부재(6)의 결합홀(63)로 삽입되도록 결합시킨 후상기 초점조절로드(35)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공(35a)으로 고정볼트(83)를 결합시켜 상기 초점조절로드(35)가 상기 초점조절부재(6)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거리조절부재(5)를 회전시키면 상기 거리조절부재(5)와 고정볼트(83)에 의해 일체가 된 거리조절로드(33)가 상기 하우징(1)의 거리조절 가이드홀(1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거리조절수단(32)을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31)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6)를 회전시키면 상기 초점조절부재(6)와 고정볼트(83)에 의해 일체가 된 초점조절로드(35)가 상기 하우징(1)의 초점조절 가이드홀(15)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초점조절수단(34)을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31)의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는,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수단에는 초점조절로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에는 거리조절로드가 돌출형성된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각각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와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 또는 거리의 조정을 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된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초점 또는 거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삽입되는 초점조절 가이드홀 및 거리조절 가이드홀은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이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의 초점 및 거리를 최대에서 최소까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의 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과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되므로, 상기 렌즈부 또는 초점조절로드, 거리조절로드를 교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초점조절부재, 고정부재, 거리조절부재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하우징의 외주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는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작동을 용이하게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에는 나사공이 천공형성되어 렌즈부의 초점 및 거리를 조절한 후 상기 나사공으로 스크류를 결합시켜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초점조절 및 거리조절이 가능한 렌즈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CCTV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작동되는 초점조절수단과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작동되는 거리조절수단으로 포함하며, 상기 초점조절수단의 측면에는 막대형태로 돌출된 초점조절로드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초점조절로드가 삽입되도록 초점조절 가이드홀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상기 초점조절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초점조절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상기 거리조절수단 측면에는 막대형태로 돌출된 거리조절로드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리조절로드가 삽입되도록 거리조절 가이드 홀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상기 거리조절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거리조절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타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에는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와 각각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 가이드홀 및 거리조절 가이드홀은 상기 렌즈부의 초점 및 거리를 최대에서 최소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초점조절로드와 거리조절로드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에는 나사공이 각각 천공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수단 및 거리조절수단과 초점조절로드 및 거리조절로드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 사이에는 링형태의 고정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에는 나사공이 천공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상기 초점조절부재 및 거리조절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20-2004-0025996U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200368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96U KR200368749Y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96U KR200368749Y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29A Division KR100466987B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749Y1 true KR200368749Y1 (ko) 2004-12-03

Family

ID=4944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96U KR200368749Y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7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0B1 (ko) 2004-06-30 2006-11-23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포커스 조절이 간편한 베리포컬 카메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0B1 (ko) 2004-06-30 2006-11-23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포커스 조절이 간편한 베리포컬 카메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172B2 (en)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200252100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JP5676754B2 (ja) 赤外線カメラアセンブリ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US8249444B2 (en) Covert camera with a fixed lens
US9989834B2 (en) Camera module assembly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1763845B1 (ko)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JP6400822B2 (ja) カメラ一体型エルイーディー照明装置
KR200368749Y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240051762A (ko) Cctv카메라의 상기렌즈조절기술
KR200402677Y1 (ko) 감시용 카메라
KR101899494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200286962Y1 (ko) 적외선 엘이디가 설치된 감시카메라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102381195B1 (ko) 원포인트 나사 조정으로 틸트와 로테이션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돔 타입 cctv 장치
KR101032985B1 (ko)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CN112136320A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KR100647267B1 (ko)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KR100731200B1 (ko) 감시용 카메라
KR102643664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