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664B1 - 감시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664B1
KR102643664B1 KR1020180143900A KR20180143900A KR102643664B1 KR 102643664 B1 KR102643664 B1 KR 102643664B1 KR 1020180143900 A KR1020180143900 A KR 1020180143900A KR 20180143900 A KR20180143900 A KR 20180143900A KR 102643664 B1 KR102643664 B1 KR 10264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unit
unit
surveillance camera
adjustment memb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059A (ko
Inventor
강성민
박문희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6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 모듈이 배치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의 외면 중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촬상부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곡면 지지부를 가지는 전면 케이스부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연결되며 조정 구멍이 형성된 후면 케이스부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상기 후면 케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 구멍이 형성된 회로기판부와, 상기 조정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며 일단이 상기 촬상부에 고정되는 조정 부재부와, 상기 조정 부재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장치{A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안 시장이 발달하면서 여러 종류의 감시 카메라 장치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 장치는 감시가 필요한 지역의 기둥, 천장, 벽 등에 설치되어, 감시 카메라 장치가 촬상한 영상으로 직접 감시를 수행하거나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범죄 예방 또는 범죄 현장을 분석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돔 커버가 장착된 돔 감시 카메라 장치는 외부의 충격 및 습도 등으로부터 내부의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는데다가, 디자인이 미려해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이다.
일본공개특허 2005-215463호에는 돔 형상의 카메라 장치의 외형과 내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 장치의 후면 쪽에서 촬상부의 촬상 방향의 조정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 모듈이 배치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의 외면 중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촬상부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곡면 지지부를 가지는 전면 케이스부;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연결되며, 조정 구멍이 형성된 후면 케이스부;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상기 후면 케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 구멍이 형성된 회로기판부;와, 상기 조정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며, 일단이 상기 촬상부에 고정되는 조정 부재부;와, 상기 조정 부재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 부재부와 상기 조작부는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의 안쪽면은 곡면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외면의 일부도, 상기 조작부의 안쪽면에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부는,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돔 커버부의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는, 감시 카메라 장치의 후면 쪽에서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전면 쪽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를 후면 쪽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틸트 조정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회전 조정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팬 조정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전면 쪽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후면 쪽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을 위해 프레임부(F)가 생략되어 있는데, 프레임부(F)는 전면 케이스부(120)와 돔 커버부(170)를 지지하며 프레임부(F)에 의해 감시 카메라 장치(100)가 벽이나 천장 등의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돔 카메라 장치로서, 촬상부(110), 전면 케이스부(120), 후면 케이스부(130), 회로기판부(140), 조정 부재부(150), 조작부(160), 돔 커버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돔 커버부(170)를 포함하는 돔 카메라 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장치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나 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촬상부(110)는 그 내부에 렌즈 모듈(111)과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미도시) 등의 장치가 배치되어,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촬상부(110)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구(球)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그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그러한 곡면 형상 부분은 전면 케이스부(120)의 곡면 지지부(121a)와 접촉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전면 케이스부(120)는 촬상부(110)를 지지하며, 중앙부에는 수용 구멍(120a)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케이스부(120)의 앞쪽에는 오목하게 개구된 촬상부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촬상부 수용부(121)에는, 촬상부(110)의 외면의 곡면 형상 부분에 접촉하여 촬상부(11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곡면 지지부(121a)가 존재하고 있다.
후면 케이스부(130)는 전면 케이스부(120)의 후방에 연결되어 설치되는데, 전면 케이스부(120)와 결합하여 그 안쪽에 회로 기판 수용 공간(PS)을 형성한다. 회로 기판 수용 공간(PS)에는 회로기판부(140)가 수용된다.
특히 후면 케이스부(130)에는 조정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조정 구멍(131)에는 조정 부재부(150)가 통과하여 배치되게 된다. 조정 구멍(131)의 크기는, 틸트 조정, 회전 조정 등을 위한 조정 부재부(150)의 움직임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또한, 후면 케이스부(130)의 외면의 부분 중 조정 구멍(131)의 주변 부분(132)은, 후방으로 돌출된 곡면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그러한 주변 부분(132)은 조작부(160)의 부분 중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안쪽면(160a)에 균일하게 접촉하여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로기판부(140)는 각종 회로, 집적회로칩 등이 배치되어 있어 촬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며, 전면 케이스부(120)와 후면 케이스부(130) 사이의 회로 기판 수용 공간(PS)에 배치된다.
회로기판부(140)에는 관통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 구멍(141)에는 조정 부재부(150)가 관통하여 배치되게 된다. 관통 구멍(141)의 크기는, 틸트 조정, 회전 조정 등을 위한 조정 부재부(150)의 움직임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한편, 조정 부재부(150)는 막대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단이 촬상부(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150a)은 조작부(16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부(150)는 관통 구멍(141)과 조정 구멍(131)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데, 조정 부재부(150)의 타단(150a)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조작부(160)의 장착 구멍(162)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160)는 조정 부재부(150)의 타단(150a)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60)의 안쪽면(160a)은 후면 케이스부(130)의 주변 부분(132)에 접촉하면서 미끄럼 움직임이나 회전 운동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조작부(160)의 부분 중 안쪽면(160a)은 오목한 곡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볼록하게 형성된 후면 케이스부(130)의 주변 부분(13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안쪽면(160a)은 주변 부분(132)에 균일하게 접촉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작부(160)에는 설치 및 조작을 위해 노브(161)가 형성되어 있는데, 노브(161)의 외주면에는 설치 및 조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복수개의 미세 돌기(161a)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 및 설치 시 노브(161)를 잡아 돌려서 조작부(160)의 설치 및 촬상부(110)의 팬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60)의 안쪽면(160a)에는 조정 부재부(150)의 타단(150a)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내주에 나사가 형성된 장착 구멍(162)이 형성되어 있다.
제조자는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조립 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110)를 전면 케이스부(120)의 촬상부 수용부(121)에 배치시키면서 조정 부재부(150)가 관통 구멍(141)과 조정 구멍(131)을 통과하도록 배치하고, 조정 부재부(150)의 타단(150a)을 조작부(160)의 장착 구멍(162)에 나사 결합한다. 이 때 제조자는 조작부(160)를 적절히 돌려 나사 결합으로 조정 부재부(150)에 체결시키고 고정시킨 상태로 출시함으로써, 「전면 케이스부(120)의 곡면 지지부(121a)와 촬상부(110)의 곡면 형상 부분 사이의 마찰력」 및 「후면 케이스부(130)의 주변 부분(132)과 조작부(160)의 안쪽면(160a) 사이의 마찰력」을 적당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만약 조립 시 조작부(160)를 지나치게 많이 돌려 조작부(160)와 촬상부(110)의 거리가 기준치보다 줄어든 상태로 출시하게 되면 상기 마찰력들이 크게 되므로, 조작부(160)를 움직이는데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그와 반대로 만약 조작부(160)를 적게 회전시켜 체결시킨 상태로 출시하게 되면 상기 마찰력들이 기준치보다 작게 되므로, 촬상부(110)의 틸트 조정, 팬 조정, 회전 조정 등의 세팅 작업이 종료된 후에도 중력이나 외력 등에 의해 세팅 값들이 쉽게 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조자는 아예 조작부(160)를 조정 부재부(150)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출시하거나 조정 부재부(150)에 충분히 느슨하게 체결시킨 상태로 출시한 후, 최종 설치자가 조작부(160)를 돌려 최종적으로 조작부(160)를 조정 부재부(150)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최종 설치자는 조작부(160)를 조정 부재부(150)에 느슨하게 체결하여 결합시킨 후, 조정 부재부(150)를 적절히 움직여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세팅한 다음, 조작부(160)를 추가적으로 돌려 마찰력을 좀 더 크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의 세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 조작부(160)를 회전시켜 수행되는 팬 조정(도 7 참조)은, 조작부(160)가 조정 부재부(150)에 충분히 고정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돔 커버부(170)는 유리나 합성수지 등의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F)에 설치되어 있다. 돔 커버부(170)의 안쪽에는 촬상부(110)가 배치되게 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촬영 방향의 조정 모습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틸트 조정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회전 조정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촬상부의 팬 조정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감시 방향으로 촬상부(110)의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부(160)를 움직여 틸트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감시 방향으로 촬상부(110)의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중심축(O)을 중심으로 조작부(160)를 회전시키는 조정(공전 형태)을 수행함으로써,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감시 방향으로 촬상부(110)의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부(160)를 조정 부재부(15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팬 조정(자전 형태)을 수행함으로써,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후면 쪽에서 조작부(160)를 이용하여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구조상의 문제로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전면 쪽에서 촬상부(110)의 촬영 방향을 조정할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 따르면, 조작부(160)와 조정 부재부(150)는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자가 조작부(160)를 돌려 나사 결합의 체결력을 직접 조정할 수 있도록 출시되는 경우, 설치자의 의도대로 「전면 케이스부(120)의 곡면 지지부(121a)와 촬상부(110)의 곡면 형상 부분 사이의 마찰력」 및 「후면 케이스부(130)의 주변 부분(132)과 조작부(160)의 안쪽면(160a) 사이의 마찰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되으므로, 촬상부(110)의 틸트 조정, 팬 조정, 회전 조정 등의 세팅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 따르면, 전면 케이스부(120)와 후면 케이스부(130) 사이에 배치된 회로기판부(140)에 관통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고, 조정 부재부(150)는 관통 구멍(141)과 조정 구멍(131)을 통과하여 조작부(16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내부 배치 공간이 최적화되므로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전체적인 부피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조하는 산업에 사용될 수 있다.
100: 감시 카메라 장치 110: 촬상부
120: 전면 케이스부 130: 후면 케이스부
140: 회로기판부 150: 조정 부재부
160: 조작부 170: 돔 커버부

Claims (4)

  1. 렌즈 모듈이 배치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외면 중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촬상부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곡면 지지부를 가지는 전면 케이스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연결되며, 조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 구멍의 주변 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후면 케이스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상기 후면 케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 구멍이 형성된 회로기판부;
    막대 형상을 가지며, 동축으로 배치된 상기 조정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며, 일단이 상기 촬상부에 고정되는 조정 부재부; 및
    상기 조정 부재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곡면 형상을 갖는 안쪽면이 상기 주변 부분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조정 부재부를 자전 및 공전시키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정 부재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정 부재부와 나사 결합의 체결력에 따라 상기 전면 케이스부의 곡면 지지부와 상기 촬상부의 곡면 형상 부분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주변 부분과 상기 조작부의 안쪽면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감시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부와 상기 조작부는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돔 커버부의 안쪽으로 배치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0180143900A 2018-11-20 2018-11-20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64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00A KR102643664B1 (ko) 2018-11-20 2018-11-20 감시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00A KR102643664B1 (ko) 2018-11-20 2018-11-20 감시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59A KR20200059059A (ko) 2020-05-28
KR102643664B1 true KR102643664B1 (ko) 2024-03-05

Family

ID=7092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900A KR102643664B1 (ko) 2018-11-20 2018-11-20 감시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2068A (ja) 2012-02-29 2013-09-12 Fujifilm Corp 監視カメラ及び調整用治具
JP2015096903A (ja) 2013-11-15 2015-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2068A (ja) 2012-02-29 2013-09-12 Fujifilm Corp 監視カメラ及び調整用治具
JP2015096903A (ja) 2013-11-15 2015-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59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5916B2 (ja) 小型移動式偵察システム
US7661890B2 (en) Imagine apparatus with rotatable lens barrel
EP3490239B1 (en) Spherical video camera
KR101899489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US8913886B2 (en) Photographic device
JP2003174572A (ja) 監視カメラ装置
US1016516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rotating sphere section and stopper structure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sphere section
JP7362363B2 (ja) 撮像装置
US9989834B2 (en) Camera module assembly
KR102643664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JP5212409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0455617Y1 (ko) 적외선 카메라의 빛 차단장치
KR200494074Y1 (ko) 촬상 장치
KR100492121B1 (ko) 돔형상 감시카메라 조립체
CN112136320B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JP6399991B2 (ja) 監視カメラ
KR101899494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JP3726817B2 (ja) 撮像装置
JP2008141232A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JP2008141231A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20130056683A (ko) 돔 촬상 장치
CN212723627U (zh) 相机装置和包括该相机装置的拍摄系统
KR200380960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200368749Y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