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912B1 -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912B1
KR101962912B1 KR1020170051046A KR20170051046A KR101962912B1 KR 101962912 B1 KR101962912 B1 KR 101962912B1 KR 1020170051046 A KR1020170051046 A KR 1020170051046A KR 20170051046 A KR20170051046 A KR 20170051046A KR 101962912 B1 KR101962912 B1 KR 10196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window
unit
camera uni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911A (ko
Inventor
김재홍
성우용
신동혁
소대환
Original Assignee
티.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9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2Housing watert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윈도우에 온도변화에 따른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여 윈도우부(300)에 결로발생을 방지하는 결로방지부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CAMERA APPARATUS HAVING DEW PREVENT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윈도우에 온도변화에 따른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공기관,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동작 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내장되고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구에 글래스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카메라의 글래스에는 일출이나 일몰에 의한 온도변화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에 의한 결로가 발생되어 카메라에서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0465126호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윈도우에 온도변화에 따른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는,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여 윈도우부(300)에 결로발생을 방지하는 결로방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결로방지부재(400)는 튜브로 구성되어 일단으로 카메라부(10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타단이 윈도우(30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결로방지부재(400)인 튜브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는, 결로방지부재에 의해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윈도우에 온도변화에 따른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결로에 의한 불명확한 촬영이 이루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로방지부재가 신축성을 갖는 튜브로 구성됨에 따라 카메라의 렌즈와 렌즈를 커버하는 윈도우의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로방지부재인 튜브에 주름이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경통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a)(b)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부의 렌즈가 설치된 경통이 윈도우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부의 렌즈가 설치된 다양한 길이의 경통이 결로방지부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는,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여 윈도우부(300)에 결로발생을 방지하는 결로방지부재(40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0)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00)는 촬영영역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부(110)를 포함한다.
렌즈부(11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는 외부경통(111)과, 외부경통(111)에 내장되어 외부경통(111)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거나 후진되는 내부경통(112)와, 내부경통(112)에 설치되는 렌즈(113)를 포함한다.
외부경통(111)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외부경통(112)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외부경통(111)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렌즈(113)는 볼록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렌즈와 함께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외부경통(111)이 회전되면 내부경통(112)이 전진되거나 후진되므로, 렌즈(113)가 윈도우부(30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커싱기능 및 줌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하우징(200)은 개방구의 둘레에 나사탭이 형성되거나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이 개방구로 개방되므로 카메라하우징(200)에 내장되는 카메라부(100)가 개방구를 통해 외부의 촬영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빛이 투과되도록 아크릴이나 유리로 구성되어 카메라부(100)의 개방구에 위치되고,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여 빗물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200)에는 윈도우(300)를 고정시키는 윈도우고정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고정부(500)는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윈도우부(30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카메라하우징(200)에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고정부(500)는 내부가 중공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끝단에 윈도우부(300)의 둘레가 걸리는 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이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카메라하우징(200)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200)에는 카메라부(100)의 촬영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LED와, LED가 탑재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600)이 내장될 수 있다. 기판은 카메라부(100)의 렌즈(113)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LED는 다수로 구성되어 관통홀의 둘레에 분산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명(6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윈도우(300)를 투과하여 촬영영역에 조명될 수 있다.
결로방지부재(400)는 튜브로 구성되어, 일단으로 카메라부(100)의 외부경통(111)이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타단이 윈도우(300)에 밀착된다. 이때, 결로방지부재(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되며,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보다 작은 부피를 이루게 된다. 즉, 작은 공간에서 수증기로 변화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적기 때문에,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김이 서리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결로방지부재(400)인 튜브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300)에 밀착될 수 있어서,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즉, 결로방지부재(400)의 내부나 외부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결로방지부재(400)인 튜브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100)에 구비되는 다양한 규격의 외부경통(111)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주름에 의해 결로방지부재(4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서, 길이가 길거나 짧은 카메라부(100)의 외부경통(111)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가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 일출이나 일몰에 의해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결로방지부재(4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양이 적어서 수증기로 변화되어 윈도우(300)가 뿌옇게 되는 현상이나 윈도우(300)에 결로가 형성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외부의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결로 발생이 미비하여 윈도우(300)의 맑은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서, 카메라부(100)에서 선명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부(100)에서 줌/포커스 조정 또는 기능조작에 의해 결로방지부재(400)가 유동되어 공기가 유통되어도 결로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카메라를 커버하는 윈도우에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CCTV와 같은 보안용 카메라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카메라부
110 : 렌즈부
111 : 외부경통
112 : 내부경통
113 : 렌즈
200 : 카메라하우징
300 : 윈도우부
400 : 결로방지부재
500 : 윈도우고정부
600 : 조명

Claims (3)

  1.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여 윈도우부(300)에 결로발생을 방지하는 결로방지부재(400)를 포함하고,
    카메라부(100)는 촬영영역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부(110)를 포함하며,
    렌즈부(11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는 외부경통(111)과,
    외부경통(111)에 내장되어 외부경통(111)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거나 후진되는 내부경통(112)와,
    내부경통(112)에 설치되는 렌즈(113)를 포함하고,
    외부경통(111)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부경통(112)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외부경통(111)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메라하우징(200)은
    카메라부(100)의 촬영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LED와,
    LED가 탑재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은 카메라부(100)의 렌즈(113)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LED는 다수로 구성되어 관통홀의 둘레에 분산되게 설치되며,
    카메라하우징(200)에는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윈도우고정부(500)는 내부가 중공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끝단에 윈도우부(300)의 둘레가 걸리는 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이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카메라하우징(20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결로방지부재(400)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면서 주름이 형성된 튜브로 구성되어 일단으로 카메라부(10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타단이 윈도우(300)에 밀착됨에 따라, 카메라부(100) 및 윈도우(300)의 사이가 밀폐되어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보다 작은 부피를 이루어서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김이 서리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51046A 2017-04-20 2017-04-20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10196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046A KR101962912B1 (ko) 2017-04-20 2017-04-20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046A KR101962912B1 (ko) 2017-04-20 2017-04-20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911A KR20180117911A (ko) 2018-10-30
KR101962912B1 true KR101962912B1 (ko) 2019-03-28

Family

ID=6410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046A KR101962912B1 (ko) 2017-04-20 2017-04-20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9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463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および結露防止装置
KR101235294B1 (ko) * 2012-07-13 2013-02-20 김현우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난반사 방지용 윈도우 어셈블리
JP2015129918A (ja) * 2013-12-19 2015-07-16 アクシス アーベー 密閉されたセンサ空間を有する画像収集装置および画像収集装置におけるセンサ空間を密閉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53B1 (ko) * 2008-09-10 2010-04-15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윈도우
KR102389392B1 (ko) * 2015-06-30 2022-04-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463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および結露防止装置
KR101235294B1 (ko) * 2012-07-13 2013-02-20 김현우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난반사 방지용 윈도우 어셈블리
JP2015129918A (ja) * 2013-12-19 2015-07-16 アクシス アーベー 密閉されたセンサ空間を有する画像収集装置および画像収集装置におけるセンサ空間を密閉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911A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333B2 (en) Photographic device having light-blocking film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US8913886B2 (en) Photographic device
JP7016644B2 (ja) 撮像装置
KR101337671B1 (ko) 적외선 겸용 카메라 모듈
US9989834B2 (en) Camera module assembly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1962912B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20100104309A (ko) 적외선 레이저 투광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KR101380232B1 (ko) 감시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투광기
KR100612476B1 (ko) Cctv용 적외선 카메라
WO2016166586A1 (en) Camera led flash with variable lens gain
KR101626579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933496B1 (ko)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200395203Y1 (ko) 외부에서 초점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101032985B1 (ko)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100872495B1 (ko) 홍채 촬영장치
JP2011028981A (ja) カメラ内蔵照明器具
TWM464516U (zh) 具有移動式鏡頭模組之門眼裝置
KR20180083128A (ko) 무게중심축을 이용한 일체형 cctv 카메라
KR102498196B1 (ko) 난반사 제거를 위한 버블 구조를 갖는 ptz 카메라 장치
CN203423742U (zh) 一种红外摄像机新型无螺丝易开盖结构
JP2022051786A (ja) 撮像装置
CN210534506U (zh) 一种用于相机的灯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