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496B1 -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496B1
KR101933496B1 KR1020170051047A KR20170051047A KR101933496B1 KR 101933496 B1 KR101933496 B1 KR 101933496B1 KR 1020170051047 A KR1020170051047 A KR 1020170051047A KR 20170051047 A KR20170051047 A KR 20170051047A KR 101933496 B1 KR101933496 B1 KR 10193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mera
filter
ho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912A (ko
Inventor
김재홍
성우용
신동혁
소대환
Original Assignee
티.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4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2Housing watert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김서림이나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고 카메라부(100)의 내부공간에 외부공기가 유통되도록 유통홀(310)이 형성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윈도우부(300)에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윈도우부(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윈도우부(300)에 구비되어,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줄이기 위한 공기의 유통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CAMERA APPARATUS HAVING DEW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김서림이나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공기관,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동작 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내장되고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구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카메라의 글래스에는 일출이나 일몰에 의한 온도변화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에 의한 김서림이나 결로가 발생되어 카메라에서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0465126호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김서림이나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는,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고 카메라부(100)의 내부공간에 외부공기가 유통되도록 유통홀(310)이 형성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윈도우부(300)에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윈도우부(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윈도우부(300)에 구비되어,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줄이기 위한 공기의 유통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물질방지부재(400)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유통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410)와, 필터(410)가 구비된 상태로 윈도우(300)에 고정되는 고정바디(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윈도우(300)는 이물질방지부재(400)가 결합되기 위한 윈도우결합부(320)가 형성되고, 윈도우결합부(320)는 돌기나 홈으로 구성되며, 고정바디(420)는 윈도우결합부(320)인 돌기나 홈에 결합되도록 홈이나 돌기로 구성되는 바디결합부(4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윈도우(300)는 조명(600)에서 발산되는 빛이 윈도우(300)를 통해 난반사되어서 카메라부(100)에 조사됨을 방지하도록, 링형태로 형성되어 윈도우(300)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빛차단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물질방지부재(400)는 고정바디(420)에 형성되어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에 연통되는 연통부(430)와, 연통부(430)에 구비되는 필터(410)를 고정시키는 필터고정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통부(430)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에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홀의 둘레에는 필터(410)가 걸리도록 턱이 형성도고, 필터고정부(440)는 연통부(430)인 홀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연통부(430)인 홀의 둘레에 형성된 턱에 걸린 필터(410)의 둘레를 가압하도록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김서림이나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결로에 의한 불명확한 촬영이 이루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윈도우에 홀이 형성되고 홀이 이물질방지부재의 필터에 의해 커버되므로, 습기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면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방지부재 및 윈도우에 돌기 및 홈을 서로 대응되게 형성함에 따라, 윈도우에 이물질방지부재의 분리 및 결합작업이 편리하면서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도우에 이물질방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로나 빗물과 같은 습기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방지부재가에 형성되어 윈도우에 형성된 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에 필터가 위치되고, 필터고정부가 연통홀에 위치된 필터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필터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윈도우에 이물질방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물질방지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물질방지부재가 윈도우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는,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고 카메라부(100)의 내부공간에 외부공기가 유통되도록 유통홀(310)이 형성되며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윈도우부(300)에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윈도우부(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윈도우부(300)에 구비되어,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줄이기 위한 공기의 유통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재(40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0)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한다. 그리고, 카메라부(100)는 포커싱기능이나 줌기능을 위해 렌즈가 구비된다.
카메라하우징(200)은 개방구의 둘레에 나사탭이 형성되거나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이 개방구로 개방되므로 카메라하우징(200)에 내장되는 카메라부(100)가 개방구를 통해 외부의 촬영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는 카메라부(100)의 촬영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LED(610)들과, LED(610)들이 분산되게 탑재되는 기판(620)과, 기판(620)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LED(610)의 빛이 내부로 투과됨을 차단하는 조명차단부(630)를 포함하는 조명(600)이 내장될 수 있다.
LED(610)들은 조명차단부(630)을 포위하면서 기판(620)에 분산되게 탑재된다.
기판(620)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LED(610)에 인가한다.
조명차단부(630)가 관체형태로 형성되면서 윈도우(300)에 끝단이 밀착되므로, 카메라부(100)가 조명차단부(630)의 내측을 통해 외부를 촬영한다. 즉, 조명(6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윈도우(300)를 투과하여 촬영영역에 조명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차단부(630)의 외측에 위치되는 LED(610)의 빛이 내측에 위치되는 카메라부(100)에 조사됨을 방지하여, 조명빛이 촬영영역에만 조사되므로 촬영영역이 카메라부(100)에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200)에는 윈도우(300)를 고정시키는 윈도우고정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고정부(500)는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윈도우부(30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카메라하우징(200)에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고정부(500)는 내부가 중공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끝단에 윈도우부(300)의 둘레가 걸리는 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이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카메라하우징(200)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빛이 투과되도록 아크릴이나 유리로 구성되어 카메라부(100)의 개방구에 위치되고,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여 빗물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부(300)에 형성된 유통홀(310)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므로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기의 온도와 외부공기의 온도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 일출이나 일몰에 의해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온도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윈도우(300)에 김서림이나 결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카메라부(100)에서 선명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명(600)에서 발생되는 열기도 유통홀(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윈도우(300)는 후술되는 이물질방지부재(400)가 결합되기 위한 윈도우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윈도우결합부(320)는 돌기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300)는 조명(600)에서 발산되는 빛이 윈도우(300)를 통해 난반사되어서 카메라부(100)에 조사됨을 방지하도록, 링형태로 형성되는 빛차단부(330)가 윈도우(300)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빛차단부(330)에는 윈도우결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빛차단부(330)는 윈도우결합부(32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철재나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물질방지부재(400)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유통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410)와, 필터(410)가 구비된 상태로 윈도우(300)에 고정되는 고정바디(420)를 포함한다.
필터(410)는 공기가 유통되면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되는 극세사섬유로 직조된 천이나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고정바디(420)는 링형태이면서 카메라부(100)의 둘레를 포위하는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어서, 카메라부(100)가 고정바디(4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면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을 포위하는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바디(420)는 윈도우(300)에 형성된 윈도우결합부(320)인 돌기나 홈에 결합되도록 홈이나 돌기로 구성되는 바디결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결합부(421)가 윈도우결합부(3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고정바디(420)는 윈도우(3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420)는 빛차단부(330)에 자력으로 부착되어서 고정되도록 영구자석이나 철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바디(420)나 빛차단부(330)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경우 고정바디(420)에 빛차단부(330)가 접착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방지부재(400)는 고정바디(420)에 형성되어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에 연통되는 연통부(430)와, 연통부(430)에 구비되는 필터(410)를 고정시키는 필터고정부(440)를 포함한다.
연통부(430)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에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홀의 둘레에는 필터(410)가 걸리도록 턱이 형성된다.
필터고정부(440)는 연통부(430)인 홀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연통부(430)인 홀의 둘레에 형성된 턱에 걸린 필터(410)의 둘레를 가압하도록 링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고정부(440)를 연통부(430)에서 분리하면 오염된 필터(410)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가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 일출이나 일몰에 의해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이물질방지부재(400)를 통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 되는 공기가 카메라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로 유통되어, 일출이나 일몰과 같은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윈도우(300)에 김서림이나 결로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윈도우(300)에 김이 서려서 뿌옇게 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외부의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윈도우(300)의 맑은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서, 카메라부(100)에서 선명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변화가 발생되어도 카메라를 커버하는 윈도우에 김서림이나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CCTV와 같은 보안용 카메라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카메라부
200 : 카메라하우징
300 : 윈도우부
310 : 유통홀
320 : 윈도우결합부
400 : 이물질방지부재
410 : 필터
420 : 고정바디
421 : 바디결합부
430 : 연통부
440 : 필터고정부
500 : 윈도우고정부
600 : 조명
610 : LED
620 : 기판
630 : 조명차단부

Claims (6)

  1.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카메라부(1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200)과,
    카메라하우징(200)의 개방구에 구비되고, 카메라부(100)의 내부공간에 외부공기가 유통되도록 유통홀(310)이 형성되며, 돌기나 홈으로 구성되는 윈도우결합부(320)가 형성되고,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부(300)와,
    윈도우부(300)에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윈도우부(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윈도우부(300)에 구비되어, 내부 및 외부 온도차를 줄이기 위한 공기의 유통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재(400)와,
    카메라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카메라부(100)의 촬영영역을 조명하는 조명(600)을 포함하고,
    이물질방지부재(400)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유통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410)와,
    필터(410)가 구비된 상태로 윈도우(300)에 고정되는 고정바디(420)와,
    고정바디(420)에 형성되어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에 연통되는 연통부(430)와,
    연통부(430)에 구비되는 필터(410)를 고정시키는 필터고정부(440)를 포함하며,
    고정바디(420)는 링형태이면서 카메라부(100)의 둘레를 포위하는 직경의 크기로 형성되고, 윈도우(300)에 형성된 윈도우결합부(320)인 돌기나 홈에 결합되도록 홈이나 돌기로 구성되는 바디결합부(421)가 형성되며,
    연통부(430)는 윈도우(300)의 유통홀(310)에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홀의 둘레에는 필터(410)가 걸리도록 턱이 형성되고,
    필터고정부(440)는 연통부(430)인 홀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연통부(430)인 홀의 둘레에 형성된 턱에 걸린 필터(410)의 둘레를 가압하도록 링형태로 형성되며,
    필터고정부(440)를 연통부(430)에서 분리하면 오염된 필터(410)를 교체할 수 있고,
    조명(600)은
    빛을 조사하는 LED(610)들과,
    LED(610)들이 분산되게 탑재되는 기판(620)과,
    기판(620)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LED(610)의 빛이 내부로 투과됨을 차단하는 조명차단부(630)를 포함하며,
    조명차단부(630)가 관체형태로 형성되면서 윈도우(300)에 끝단이 밀착되어, 조명차단부(630)의 외측에 위치되는 LED(610)의 빛이 내측에 위치되는 카메라부(100)에 조사됨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51047A 2017-04-20 2017-04-20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10193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047A KR101933496B1 (ko) 2017-04-20 2017-04-20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047A KR101933496B1 (ko) 2017-04-20 2017-04-20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912A KR20180117912A (ko) 2018-10-30
KR101933496B1 true KR101933496B1 (ko) 2019-03-18

Family

ID=641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047A KR101933496B1 (ko) 2017-04-20 2017-04-20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533B1 (ko) * 2019-11-20 2022-04-11 주식회사 에이앤디시스템 기상 관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193B1 (ko) * 2014-02-07 2016-01-11 강상수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습기 방지용 윈도우 어셈블리
KR102283424B1 (ko) * 2015-01-15 2021-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389392B1 (ko) * 2015-06-30 2022-04-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912A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333B2 (en) Photographic device having light-blocking film
CN108234836A (zh) 具有照明器的摄像机装置
US20030142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 remote flash on a camera with a panoramic lens
TW200952473A (en) Linking type infrared monitor
CN109428994B (zh) 摄像设备
KR101933496B1 (ko)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20090048743A (ko) 적외선 겸용 카메라 모듈
CN110426807B (zh) 镜头模组
KR100696608B1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KR20020030218A (ko) 적외선 엘이디부착구를 장착한 감시카메라
KR20160000669U (ko) 액자형 공기청정기
TWM378405U (en) Photographing device
US9709709B2 (en) Optical lampshade and related camera device capable of decreasing noise of optical reflection
KR200220883Y1 (ko) 적외선 엘이디부착구를 장착한 감시카메라
KR101962912B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
KR20050104500A (ko) Cctv용 적외선 카메라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200232668Y1 (ko) 유리필터의 스모그현상을 억제한 감시용카메라
KR101032985B1 (ko)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100896310B1 (ko) 카메라용 반사체 차단장치
KR101623379B1 (ko) 습기 및 난반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돔형 감시카메라
TWM464516U (zh) 具有移動式鏡頭模組之門眼裝置
KR102498196B1 (ko) 난반사 제거를 위한 버블 구조를 갖는 ptz 카메라 장치
KR101094646B1 (ko) 카메라의 이미지센서 테스트장치
JP3103990U (ja) 赤外線発光手段内臓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